맨위로가기

전손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손사(顓孫師)는 기원전 503년에 태어난 공자의 제자이다. 그는 예법에 능통했으나 인(仁)을 추구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공자의 가르침을 통해 단점을 극복하고 성장했다. 공자 사후에는 자하, 유약 등과 함께 예(禮)를 중시하는 숭례파를 형성하여 문인들을 가르쳤으며, 자장학파를 형성하여 순자, 한비자 등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과유불급'의 정신을 대표하는 인물로, 공자묘 십철 중 서쪽에서 다섯 번째로 위치하며, 당나라, 송나라 시대에 작위가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나라 (규성) - 진 (규성)
    진나라는 순 임금의 후손이 주나라에 봉해져 건국되었으며, 춘추 시대에 쇠퇴하여 초나라에 병합되었고, 멸망 후 많은 사람들이 진씨의 기원이 되었다.
  • 공자의 제자 - 자로
    자로는 기원전 542년경 노나라에서 태어난 공자의 제자로, 공자를 호위하며 14년간 그의 가르침을 받았으나 위나라에서 괴외의 난에 휘말려 전사하고 젓갈로 담가지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강직하고 용감한 인물이다.
  • 공자의 제자 - 증자 (사상가)
    증자는 공자의 제자로서 효를 강조하고 《효경》과 《대학》의 전파에 기여했으며, 맹자의 스승인 자사를 가르쳐 유교 정통 계보를 잇는 데 영향을 미친 사상가이다.
전손사
기본 정보
이름전손사
자장 (子張)
인물 정보
국적노나라
출생기원전 503년
사망상세 불명
스승공자
사상 및 학문
주요 사상유학
관련된 경전논어
기타
관련 항목공문십철

2. 생애

전손사(顓孫師)는 기원전 503년에 태어났으며, 공자보다 48세 어렸다.[1] 그의 가계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엇갈린다. 《세본(世本)》에 따르면 그의 할아버지는 진나라의 왕자로, 노나라에서 벼슬을 지냈다.[1] 반면, 사마천의 《사기》는 자장을 진(晉)나라 출신으로 언급하지만, 그는 노나라에서 태어나 자란 것으로 보인다. 《여씨춘추》와 《시자(尸子)》에서는 자장이 노나라의 평민 출신이었다고 전한다.

자장은 예법에 능통했지만, 인(仁)을 추구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었다고 평가받는다. 공자는 자장이 외모나 명성, 출세 등에 지나치게 관심을 둔다고 보았으며, 언행을 삼가는 법에 대해 가르쳤다. 《논어》 〈위정편〉에는 자장이 녹(祿)을 구하는 방법을 묻자 공자가 언행을 조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자장은 동문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자유(子游)는 "나의 벗 자장은 하기 어려운 것을 할 수 있지만, 아직 인(仁)을 이루지는 못했다."라고 평했고, 증삼(曾參)은 "당당하구나, 자장이여! 그러나 함께 인(仁)을 행하기는 어렵구나."라고 평했다.

그러나 자장은 공자의 가르침을 받으며 자신의 단점을 극복하고 성장해 나갔다. 훗날 자공(子貢)은 《공자가어》 〈제자행편〉에서 자장에 대해 "아름다운 공로가 있어도 자랑하지 아니하고, 귀한 지위를 가졌어도 잘한다고 여기지 아니하며, 남을 업신여기거나 안일에 빠지지 아니하고, 고할 데 없는 이들에게 거만하게 굴지 않는 것은 자장의 행동이다."라고 평가했다.

3. 공자 사후의 자장

공자 사후에 제자들은 여러 문파로 나뉘었는데, 증자자사의 계통은 내성(안으로 반성. 마음 수양을 중시)을 중시하는 학파를 이루었고, 자장은 자하, 유약 등과 함께 예(禮)를 중시하는 숭례파(崇禮派)를 형성하며 문인들을 가르쳤다.[1]

자장은 자신의 학문을 세웠고, 그의 제자들은 '자장학파(子張學派)'로 알려진 유교의 한 분파를 형성했다. 이들은 순자한비자에 의해 언급될 정도로 후대에 영향을 끼쳤다.[1]

논어》에는 자장의 어록 세 편이 수록되어 있다.

4. 평가

자장은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는 뜻의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말로 대표되는 인물이다. 《논어》 선진편에서 공자는 자장의 '과(過)'한 면모를 지적했다.[1] 증자는 자장을 "훌륭하긴 하지만, 함께 인(仁)을 행하기는 어렵다"라고 평가했고, 자유(子游)는 "우리가 미치기 어려운 훌륭한 인재라고 생각하지만, 아직 인(仁)에는 이르지 못했다"라고 평가했다. (《논어》 자장편)[1]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자장의 '과유불급(過猶不及)' 정신은 여전히 유효하며, 특히 정치권에서 극단적인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용(中庸)의 가치를 되새기게 한다.

5. 영예

공자묘에서 전손사의 신주(神主)는 12철 중 서쪽에서 다섯 번째에 위치한다.

당나라 당 현종은 전손사에게 진백(陳伯)의 작위를 추서했다. 송나라 시대에는 완구후(宛丘侯), 영천후(穎川侯), 진공(陳公)의 작위가 추가로 수여되었다.

전손사의 후손들은 오경박사(五經博士, 五經博士|Wǔjīng Bóshì중국어) 칭호를 받았다. 남송 함순 3년(1267년)에는 제사에서 안회 대신 자장을 십철에 추가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Zhuansun Shi http://www.ct.taipei[...] Taipei Confucian Temple 2014-11-10
[2]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4-15
[3] 서적 大学衍義補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