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파의 전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파의 전파는 주파수에 따라 대기 중 전파 방식이 달라지며,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극저주파(ELF)부터 극초극초고주파(THF)까지 다양한 전파 방식이 존재한다. 전파는 직접파, 지표파, 전리층파, 대류권파, 회절파로 분류되며, 이상 전파 현상도 발생한다. 전파 모델은 주파수, 거리 등 조건에 따라 전파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이며, 자유 공간 감쇠 모델, 옥외 감쇠 모델, 옥내 감쇠 모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기 스펙트럼 - 마이크로파
    마이크로파는 전자기 스펙트럼에서 라디오파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며, 통신, 레이더, 가열, 전파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전자기 스펙트럼 - 전파창
    전파창은 지구 대기를 통과하는 약 15 MHz에서 1 T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리층 굴절, 대류권 흡수, 전파 간섭 등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전파 간섭은 전파 천문학 관측에 영향을 미쳐 해결 노력이 필요합니다.
  • 전파 - 협대역
    협대역은 통신에서 광대역에 비해 좁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전화 통신, 무선 통신, 유선 데이터 통신 등에서 다양한 특징과 활용 범위를 가진다.
  • 전파 - X 밴드
    X 밴드는 8 GHz에서 12 GHz 사이의 전자기 스펙트럼 영역으로, 레이더 시스템에서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며 기상 레이더, 항공 교통 관제,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 무선공학 - 광석 라디오
    광석 라디오는 19세기 후반에 발명되어 20세기 초 라디오 방송 수신에 사용되었으며, 안테나, 동조 회로, 광석 검파기, 이어폰으로 구성되어 전파를 수집하고 소리를 내는 무전원 라디오이다.
  • 무선공학 - 스마트 안테나
    스마트 안테나는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로 안테나 방사 패턴을 제어하고 간섭을 억제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기술로, 빔포밍에서 MIMO 기술로 발전했지만 개인 정보 수집 및 공정 경쟁 문제에 대한 논란도 있다.
전파의 전파
개요
정의전파의 전파는 전파가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이동하는 방식이다.
관련 요소전파
대기
지형
활용무선 통신
방송
레이더
위성 통신
전파 모드
지표파지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전파
지표면의 전기적 특성과 대기 조건에 영향 받음
해수와 같이 전도성이 높은 표면에서 더 효과적임
굴절파대류권에서 굴절되어 전파되는 전파
대기 조건에 따라 전파 경로가 달라짐
전리층파 (Skywave)전리층에서 반사되어 전파되는 전파
장거리 통신에 사용
전리층 상태에 따라 가변적
밤과 겨울에 가장 안정적인 장거리 단파 통신 가능
직접파송신기와 수신기 사이를 직접 전파되는 전파
가시선 통신에 필요
높은 주파수에서 주로 사용
기타 전파 모드회절파
산란파
도파관 전파
주파수별 전파 특성
매우 낮은 주파수 (VLF)지표파 전파가 우세
해수 침투 가능
군사 통신에 사용
낮은 주파수 (LF)지표파 전파와 전리층파 전파 모두 사용
항해 통신에 사용
중간 주파수 (MF)AM 방송에 사용
지표파 전파와 전리층파 전파 모두 사용
야간에 전리층파 전파로 장거리 통신 가능
높은 주파수 (HF)단파 방송에 사용
전리층파 전파를 이용하여 장거리 통신 가능
초고주파 (VHF) 및 극초단파 (UHF)직접파 전파가 우세
FM 방송, 텔레비전 방송, 휴대 전화 통신에 사용
마이크로파직접파 전파가 우세
위성 통신, 레이더에 사용
대기 중 습기에 의해 감쇠될 수 있음 (강우 감쇠)
전파 환경 요소
대기대기 중 기상 조건 (강수, 온도, 습도)은 전파에 영향
지형지형의 고도, 지형지물 등은 전파 경로에 영향
장애물건물, 산, 나무 등은 전파를 차단, 반사, 굴절시킴
전파 예측
중요성통신 시스템 설계 및 운용에 필수적
최적의 통신 경로 및 주파수 선택에 도움
방법경험적 모델
전산 시뮬레이션
기타 고려 사항
다중 경로 페이딩여러 경로를 통해 수신된 전파 간의 간섭
신호 강도 저하 및 오류 발생 가능성 증가
도플러 효과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상대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주파수 변화
이동 통신에서 중요
전파 간섭다른 전파 신호로 인한 통신 품질 저하
주파수 할당 및 관리 중요

2. 주파수에 따른 전파 특성

전파는 주파수에 따라 대기 중에서 서로 다른 방식, 즉 모드로 전파된다.[3] 전파 전파의 분류를 '''전파 모드'''라고 하며, 이는 자유 공간 및 도파관 내부에서의 전파 전파에 사용되는 용어이다.

전파 주파수와 주요 전파 방식
주파수 대역주파수전파 방식
UHF극초단파300 - 3000MHz시정거리의 직접파
SHF초고주파3 - 30 GHz직접파 전파. 때때로 강우 산란.
EHF극초고주파30 - 300 GHz직접파 전파, 대기 흡수에 의해 수 킬로미터(마일)로 제한됨.
THF초극초고주파0.3 - 3 THz직접파 전파, 대기 흡수에 의해 수 미터로 제한됨.[4][5]
FIR원적외선
(전파와 겹침)
0.3–20 THz직접파 전파, 대부분 대기 흡수에 의해 수 미터로 제한됨.[6][8]


2. 1. 극저주파 (ELF) ~ 극초단파 (VHF)

전파 주파수와 주요 전파 방식
주파수 대역주파수파장전파 방식
ELF (Extremely Low Frequency)극초저주파3–30 Hz100,000–10,000 km지구와 전리층의 D층 사이에서 유도됨.[3]
SLF (Super Low Frequency)초저주파30–300 Hz10,000–1,000 km지구와 전리층 사이에서 유도됨.[3]
ULF (Ultra Low Frequency)극저주파300–3,000 Hz (0.3–3 kHz)1,000–100 km지구와 전리층 사이에서 유도됨.[3]
VLF (Very Low Frequency)극저주파3–30 kHz100–10 km지구와 전리층 사이에서 유도됨.[3] 지표파.
LF (Low Frequency)저주파30–300 kHz10–1 km지구와 전리층 사이에서 유도됨.[3] 지표파.
MF (Medium Frequency)중파300–3,000 kHz1000–100 m지표파.[3] 야간에는 D층 흡수가 약해짐에 따라 E층, F층 전리층 굴절.
HF (High Frequency) (단파)고주파 (단파)3–30 MHz100–10 mE층 전리층 굴절.[3] F1, F2 층 전리층 굴절.
VHF (Very High Frequency)초고주파30–300 MHz10–1 m직접파 전파.[3] 드물게 E층 전리층 (Es) 굴절. 높은 태양 흑점 활동 시 50 MHz까지, 드물게 80 MHz까지 F2층 전리층 굴절. 때때로 대류권 도파관 전파 또는 유성 산란.



두 번째 테이블은 첫 번째 테이블과 겹치는 내용이 많고, VHF까지만 다루고 있으므로 삭제한다.

3. 전파 경로에 따른 분류

전파는 전파되는 경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간접파: 직접파를 제외하고 지면반사파, 회절파, 지표파, 상공파, 대류권파 등을 통틀어 간접파라고 부른다.
  • 지표파: 30kHz에서 3,000kHz 사이의 저주파 수직 편파된 전파가 지구 표면을 따라 표면파 형태로 전파되는 것을 말한다. MF, LF 및 VLF 대역에서 주로 사용되며, 라디오 방송 및 무선 항법 시스템에 활용된다.
  • 전리층파: 단파 대역의 전파가 지구 상공 50~500km 부근의 전리층에 반사되어 시정거리보다 먼 곳까지 전파되는 현상이다. 스포라딕 E층과 같이 초단파가 멀리 전파되는 경우도 있다.
  • 대류권파: 지구 대기굴절률 변화에 의해 전파가 굴절되거나 반사되어 전파되는 현상이다. 라디오덕트 발생 시 극초단파가 통상적인 가시거리를 넘어 전파되거나 경로가 휘어지는 이상 전파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회절파: 초단파극초단파가 지표면, 산악, 건축물 등에서 회절하여 시정거리보다 멀리 전파되는 현상이다.

3. 1. 직접파 (Direct wave)

시정거리는 송신 안테나에서 수신 안테나로 직선으로 직접 전파되는 전파를 말하며, 직접파라고도 한다. 반드시 시야가 확보된 경로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저주파에서는 전파가 건물, 초목 및 기타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다. 이것은 초고주파 이상에서 가장 일반적인 전파 방식이며, 마이크로파 주파수 이상에서는 유일하게 가능한 방식이다. 지구 표면에서 시정거리 전파는 시지평선에 의해 약 약 64.37km로 제한된다. 이 방법은 휴대 전화, 무선 전화, 워키토키, 무선 네트워크, 지점 간 마이크로파 무선 중계 링크, FM텔레비전 방송 그리고 레이더에 사용된다. 위성 통신은 더 긴 시정거리 경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가정용 위성 안테나는 지구 상공 약 35.41km에 있는 통신 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하며, 지상국은 지구에서 수십억 마일 떨어진 우주선과 통신할 수 있다.

접지면 반사 효과는 초고주파 시정거리 전파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직접파와 지면 반사파 간의 간섭은 종종 접지면에 제한된 방사에 대해 효과적인 역 4제곱 법칙을 초래한다.

전파가 지구 표면을 따라 전파될 경우, 두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직접파'''와 전파가 지면에 반사되어 전파되는 '''지면반사파'''가 있다. 지상과 인공위성 간의 통신을 직접파에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마이크로파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므로, 기본적으로 이 경로에서 시정거리 내에서 전파된다.[1]

근거리에서는 직접파와 지면반사파가 간섭하기 때문에, 전파의 방사점으로부터 어떤 거리에서 전계강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1]

3. 2. 지표파 (Ground wave)

30kHz에서 3,000kHz 사이의 저주파 수직 편파된 전파는 지구의 곡면을 따라 표면파로 전파될 수 있는데, 이를 '''지표파''' 전파라고 한다.

지표파 전파
지표파 전파


이 방식에서 전파는 지구의 전도성 표면과 상호 작용하여 전파된다. 전파는 지표면에 "달라붙어" 지구의 곡률을 따라가므로 지표파는 산과 수평선 너머로 전파될 수 있다. 지표파는 수직 편파로 전파되므로 수직 안테나(모노폴)가 필요하다. 지표면이 완벽한 전기 도체가 아니기 때문에 지표파는 지구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동안 감쇠된다. 감쇠는 주파수에 비례하므로 지표파는 MF, LF 및 VLF 대역의 저주파에서 주요 전파 방식이다. 지표파는 MF 및 LF 대역의 라디오 방송국과 시각 신호 및 무선 항법 시스템에 사용된다.

중파 이하에서는 회절의 작용이 강하고, 지표면을 따라 전파가 전파되는 성질이 강하다. 이것을 '''지표파'''라고 한다.

3. 3. 전리층파 (Sky wave)

지표면으로부터 상공 50~500km 부근에는 전자 밀도가 높은 전리층이라 불리는 층이 존재한다. 주로 단파 대역의 전파가 전리층에 의해 반사되어, 시정거리보다 더 먼 곳까지 전파된다. 전리층에는 여러 가지 정기적·불규칙적인 변동이나 교란, 이상이 있기 때문에, 그것에 의한 영향이 여러모로 나타나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특이한 것으로는 스포라딕 E층처럼 일반적으로는 전리층 반사가 없는 초단파가 멀리 떨어진 지점까지 전파되는 경우도 있다.

3. 4. 대류권파 (Tropospheric wave)

지구 대기는 상층으로 갈수록 희박해지므로, 지표면에서 수평으로 방사된 전파는 대기 중에서 약간 아래쪽으로 굴절되어 전파되는 성질이 있다. 또한, 기온습도의 영향으로 대기 중에 굴절률의 불연속면이 생기면, 전파가 불연속면에서 굴절·반사하면서 전파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이상전파의 원인이 된다. 이때 생긴 전파 경로를 '''라디오덕트'''라고 부른다. 라디오덕트 발생으로 인해 극초단파가 통상적인 가시거리를 훨씬 넘어서거나 진행 경로가 휘어져 이상전파하는 경우가 있다.

3. 5. 회절파 (Diffracted wave)

초단파극초단파에서는 지표면이나 산악, 건축물 등에서 전파가 회절함으로써 시정거리보다 더 멀리 전파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회절파'''라고 한다. 전계강도는 매우 짧은 거리를 제외한 시정거리에서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직접파가 도달하지 않고 지표면을 따라 회절하는 거리에서는 거리의 네제곱에 반비례한다.

4. 이상 전파 (Abnormal propagation)

일반적인 전파 경로를 벗어나 예상치 못한 지역에서 수신되는 전파를 이상 전파라고 한다. 이상 전파의 원인과 그로 인한 현상은 다음과 같다.


  • 원인
  • * 스포라딕 E층
  • * 델린저 현상
  • * 자기폭풍
  • * 유성 산란
  • * 라디오 덕트: 기온습도의 영향으로 대기 중에 굴절률의 불연속면이 생기면, 전파가 불연속면에서 굴절·반사하면서 전파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 생긴 전파 경로를 라디오 덕트라고 부른다.
  • 현상
  • * 장거리 전파(long path): 전리층의 영향으로 인해 지구상의 최단 경로 이외의 경로를 통한 전파가 강해지는 경우이다.
  • * 에코(echo): 전파가 지구를 한 바퀴 도는 데 약 1/15초가 걸리기 때문에 장거리 전파 또는 지구를 한 바퀴, 두 바퀴 돈 전파가 모두 도착하면 에코로 들리는 경우가 있다.
  • * 적도횡단전파(Trans Equatorial Propagation, TEP): 춘분, 추분 무렵, 초단파에서 일본오스트레일리아적도를 사이에 둔 원거리에 대해 이상 전파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스포라딕 E층과는 다른 현상이다.
  • * 반대편 지점 효과(antipodal operator, antipodal effect): 지구상의 정반대 지점(반대편 지점)에는 무수한 전파 경로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파 전파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현상이다. 조건에 따라서는 거의 하루 종일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일본의 반대편 지점은 아르헨티나우루과이 부근이다.
  • * 장시간 지연 에코(LDEs): 자국 또는 타국에서 발사한 전파가 수 초에서 수십 시간 후에 수신되는 경우가 드물게 있다. 원인은 불명이다.

  • 거시적 이상 현상
  • * 전자기적 현상: 지진 전후의 이상한 전자기적 현상 보고가 있지만, 인과 관계 또는 상관 관계가 있는지, 또 그 기전은 어떠한지에 대한 점은 현재로서는 불명이며, 이상 전파인지 여부까지 포함하여 다른 거시적 이상 현상과 마찬가지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다. 예로는, 1993년에 발생한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에서 지진 발생 1주일 전부터 LF와 VLF의 현저한 증가가 있었다는 기록[15]이나, 1995년에 발생한 고베 지진에서 지진 발생 6시간 반 전에 녹화된 텔레비전 방송에 노이즈가 들어 있었다는 보고[16]가 있다.

5. 전파 모델

전파 모델은 전파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이다.


  • 경험적 모델: 실제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모델이다.
  • 오쿠무라 모델
  • 하타 모델
  • 이론적 모델: 전파 이론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모델이다.
  • 자유 공간 경로 손실


전파 모델은 통신 시스템 설계, 주파수 할당, 전파 간섭 분석 등에 활용된다.

구글리엘모 마르코니는 1900년 이전에 최초의 조잡한 경험적 무선 전파 규칙(최대 전송 거리는 안테나 높이의 제곱에 비례)을 공식화했다.[1]

각 통신 링크는 서로 다른 지형, 경로, 장애물, 대기 조건 등을 만나기 때문에, 단일 수학 방정식으로 모든 통신 시스템의 정확한 손실을 공식화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서로 다른 조건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무선 링크에 대해 서로 다른 모델이 존재한다. 이 모델은 고려된 조건이 발생할 특정 확률 하에서 링크에 대한 중간 경로 손실을 계산한다.[1]

무선 전파 모델은 특정 시나리오에 대해 수집된 방대한 데이터 집합을 기반으로 개발되는 경험적 모델이다. 데이터 수집은 특정 시나리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에 대해 충분한 가능성(또는 충분한 범위)을 제공할 만큼 충분히 커야 한다. 모든 경험적 모델과 마찬가지로, 무선 전파 모델은 링크의 정확한 동작을 지적하지 않고, 지정된 조건에서 링크가 나타낼 가능성이 가장 높은 동작을 예측한다.[1]

다양한 조건에서 전파 거동을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었다. 무선 전파 모델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1]

;자유 공간 감쇠 모델

  • 자유 공간 경로 손실
  • 자유 공간에서의 다이폴 전계 강도
  • 프리스 전송 방정식


;옥외 감쇠 모델

  • 지형 모델
  • * ITU 지형 모델
  • * 에글리 모델
  • * 롱리-라이스 불규칙 지형 모델 (ITM)
  • * 이중 경로 지면 반사 모델
  • 도시 모델
  • * 오쿠무라 모델
  • * 하타 모델
  • * COST 하타 모델


;옥내 감쇠 모델

  • 옥내 감쇠에 대한 ITU 모델
  • 로그 거리 경로 손실 모델

참조

[1] 서적 Reference Data for Radio Engineers Howard W. Sams and Co.
[2] 서적 Basic Electromagnetic Theory McGraw Hill
[3] 서적 Introduction to RF Propag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05
[4] 서적 Principles of Terahertz Time-Domain Spectroscopy: An introductory textbook https://books.google[...] CRC Press
[5] 웹사이트 Studying the Energy of the Universe https://www.nasa.gov[...] 2021-05-19
[6] 서적 Unexploded Ordnance Detection and Mitigation https://archive.org/[...] Springer
[7] 학술지 Short electromagnetic waves of wave-length up to 82 Microns
[8] 웹사이트 Near, mid and far-infrared http://www.ipac.calt[...]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3-01-28
[9] 서적 200 meters & Down - The Story of Amateur Radio The American Radio Relay League
[10] map WSPR propagation conditions http://wsprnet.org/d[...] 2020-12-04
[11] 웹사이트 Network of CW signal decoders for realtime analysis http://www.reversebe[...] 2020-12-04
[12] 보고서 Why AM stations must reduce power, change operations, or cease broadcasting at night https://www.fcc.gov/[...] U.S.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7-02-11
[13] 웹사이트 VHF/UHF Propagation http://rsgb.org/main[...] Radio Society of Great Britain 2017-02-11
[14] 문서 「伝搬」はほぼ英語のto carryに近い意味を持つ(例:「ループ伝搬」)。「伝播」はほぼto propagateの意味を持つ。「伝達」はほぼto transfer, to passの意味を持つ。
[15] 학술지 地震に伴う電磁放射の波形記録システムと1993年北海道南西沖地震前後の記録 https://dil-opac.bos[...] 独立行政法人防災科学技術研究所
[16] 학술지 Analysis of barber-pole color and speckle noises recorded 6 and a half hours before the Kobe earthquake https://doi.org/10.1[...]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