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희계는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으로, 공민왕에게 발탁되어 근시로 활동을 시작했다. 여러 관직을 거쳐 대호군에 이르렀으며, 우왕 시기에는 왜구와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유배를 겪기도 했다. 이후 이성계의 일파로 조선 개국에 참여하여 좌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계림군에 봉해졌다. 1396년 판한성부사 재직 중 사망하였으며, 사후 시호를 정하는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정희계는 처음 고려에서 벼슬을 시작하여 공민왕의 눈에 띄어 근시(近侍)가 되었고, 여러 관직을 거쳐 대호군(大護軍)에 이르렀다.[1] 공민왕 사후에는 최영의 휘하에 들어갔으며,[1] 1383년에는 왜구와 싸웠으나 패했다. 우왕의 친척이라는 이유로 승진했으나, 무진피화 때 임견미, 염흥방 일파가 숙청될 때도 우왕의 친척이라는 이유로 화를 면했다.[3][4] 최영의 일파로 몰려 유배를 가기도 했지만, 창왕의 생일을 맞아 풀려났다.[5] 복직 후 김종연의 옥사에 연루되어 다시 유배를 갔지만, 국대비의 생일을 맞아 경외종편(京外從便)이 허락되었다.[6]
이성계의 일파로서 1392년(공양왕 4) 4월 판개성부사, 6월 문하평리·응양군상호군을 차례로 거쳤으며[7], 공양왕의 폐위와 조선 개국에 동참했다.
2. 고려 말의 관직 생활
2. 1. 공민왕 시대
공민왕은 정희계의 용모와 태도를 보고 그를 발탁하여 근시(近侍)로 삼았다.[1] 정희계는 여러 관직을 거쳐 대호군(大護軍)에 이르렀다.[1]
2. 2. 우왕 시대
공민왕 시해 후 최영의 막하로 예속되었다.[1] 1383년(우왕 9) 밀직상의(密直商議)로서 전 정당문학상의(政堂文學商議) 남좌시 등과 함께 왜구와 싸웠으나 패했다.
이듬해 우왕의 친척이라는 이유로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로 승진했고, 이후 서북면도순문사(西北面都巡問使)로 나갔다.[2]
우왕 14년 정월 무진피화로 임견미, 염흥방과 그 일당이 숙청될 때 역시 우왕의 친척이라는 이유로 화를 면했다.[3][4] 6월 최영의 일파로 지목되어 음죽(陰竹)으로 유배되었으나,[2] 8월 창왕의 생일을 맞아 풀려났다.[5]
2. 3. 공양왕 시대
1390년(공양왕 2) 판자혜부사(判慈惠府事)로 복직되었으나, 김종연의 옥사에 연루되어 다시 안변으로 유배되었다.[6] 이듬해 국대비(國大妃)의 생일을 맞아 경외종편(京外從便)이 허락되었다.
3. 조선 개국과 이후 활동
3. 1. 좌명공신 책록과 계림군 책봉
1392년 공양왕의 폐위와 조선 개국에 동참한 이성계의 일파로서, 같은 달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다.[7] 이후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팔위상장군(八衛上將軍)·계림군(雞林君)에 임명되었으며, 12월 판팔위사(判八衛事)가 더해졌다.[7]
3. 2. 군사 활동
1393년 좌도수군도절제사(左道水軍都節制使) 박자안과 우도수군도절제사(右道水軍都節制使) 김을귀(金乙貴)가 병선을 거느리고 왜구를 토벌하러 갈 때, 고만량만호(高灣梁萬戶) 신용무(申用茂)의 죽음을 면하고 박자안과 함께 종군시킬 것을 청해 관철시켰다.[1]
3. 3. 사망과 시호
1396년(태조 5)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로 재직 중 등창으로 사망했다.[1]
사후 봉상시(奉常寺)에서 그의 시호를 안양(安煬)·안황(安荒)·안혹(安惑) 등으로 의논해 예조(禮曹)에 올렸는데, 다시 예조에서 이를 보고받은 문하부(門下府)가 문안(文案)을 만들어 태조에게 결재를 청했다.[1]
이에 태조는 정희계에게 악시(惡諡)를 올린 최견 등 5명을 장형(杖刑)에 처한 후 유배보냈고, 예조의 관리인 전백영·이황, 문하부의 관리인 맹사성·조사수는 파직했다.[1]
고쳐진 시호는 양경(良景)이다.[1]
4. 가족 관계
정희계의 증조부는 삼사정랑을 지낸 정공단[8][9]이며, 조부는 유비창승을 역임한 정자초[8]이다. 아버지는 문하평리를 지낸 월성군 정휘(1317년 ~ 1381년)이고, 어머니는 도첨의중찬, 판전리사사, 화평부원군을 지낸 충숙공 김심(1262년 ~ 1338년)의 7녀이다.[8][10]
첫째 부인은 영삼사사, 곡성부원군, 충경공 염제신(1304년 ~ 1382년)의 3녀이고, 둘째 부인은 판서를 지낸 신귀의 차녀이다.[8] 아들은 상호군을 지낸 정길상이며, 정발의 5대조이다. 첫째 사위는 중추원부사를 지낸 이만[8], 둘째 사위는 장령을 지낸 곽덕연[8], 셋째 사위는 군기시판관을 지낸 최도일[8]이다.
4. 1. 증조부
鄭公但|정공단중국어[8]은 삼사정랑(三司正郎)을 역임했다.[9]4. 2. 조부
조부는 정자초이며, 유비창승(有備倉丞)을 역임했다.[8]4. 3. 부모
- 아버지 - 정휘(1317년 ~ 1381년): 문하평리(門下評理), 월성군[8]
- 어머니 - 충숙공 김심(1262년 ~ 1338년)의 7녀[8][10]: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판전리사사(判典理司事)·화평부원군(輸化平府院君)
4. 4. 처
4. 5. 자녀
구분 | 이름 | 직위 | 비고 |
---|---|---|---|
아들 | 정길상 | 상호군(上護軍) | 정발의 5대조 |
첫째 사위 | 이만[8] |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 |
둘째 사위 | 곽덕연(郭德淵)[8] | 장령(掌令) | |
셋째 사위 | 최도일(崔道一)[8] | 군기시판관(軍器寺判官) |
참조
[1]
서적
태조실록
[2]
서적
고려사 신우전
[3]
서적
고려사 윤소종전
[4]
문서
정희계는 염흥방의 매부였다
[5]
서적
고려사 신창전
[6]
서적
고려사 김주정전
[7]
서적
고려사 공양왕세가
[8]
서적
씨족원류
[9]
문서
삼사에는 정랑이란 관직이 없었다. 정랑과 같은 정5품 관직인 삼사판관(三司判官)의 오류가 아닌가 생각된다.
[10]
문서
김심 묘지명에 의하면, [[1339년]](충숙왕 복위 8) 당시 김심의 딸 7명 중 막내딸만이 시집가지 않았다. 『씨족원류』와 종합해 보면, 바로 이 딸이 정휘에게 시집간 것으로 보인다.
[11]
서적
염제신 신도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