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발 (155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발은 1553년 경기도 연천에서 태어난 조선의 무신으로, 1592년 임진왜란 발발 당시 부산진 첨사로 부산진을 방어하다가 전사했다. 1579년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해남현감 등을 거쳐 여진족 토벌에 참여했으며, 임진왜란 당시 부산진에 상륙한 일본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 사후 충렬공의 시호를 받았으며, 부산진 전투에서 그의 용감한 활약은 여러 기록과 미디어를 통해 전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천군 출신 - 김상용 (시인)
김상용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망향의 정서와 시대적 고뇌를 표현한 시집 『망향』과 해방 이후 한국 사회를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소설집 『무궁화』를 발표한 시인이다. - 연천군 출신 - 정성호 (1962년)
정성호는 서울대 법대 졸업 후 변호사로 활동하다 2004년 17대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민주당 계열 정당 소속으로 5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 더불어민주당 인재위원회 위원장이다. - 1553년 출생 - 모리 데루모토
모리 데루모토는 모리 모토나리의 손자이자 모리 가문의 당주로, 고바야카와 타카카게와 기카와 모토하루의 지원을 받으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 총대장으로서 실질적으로 참전하지 않아 영지를 잃고 조슈 번을 다스리게 된 인물이다. - 1553년 출생 - 앙리 4세
앙리 4세는 위그노 전쟁 시대를 살며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프랑스 왕위에 오른 후 낭트 칙령으로 종교 전쟁을 종식시키고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암살당한 프랑스이자 나바라의 왕이다. - 경주 정씨 - 정상학
정상학은 1937년생으로 판사로 임용되어 제주지방법원과 대구지방법원 법원장을 역임하며 국가보안법 및 노동 운동 관련 사건 등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일으킨 사건들에 대해 강경한 판결을 내린 인물이다. - 경주 정씨 - 정순균
정순균은 중앙일보 기자, 국정홍보처장 등을 역임하고 문재인 후보의 언론특보를 지낸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며, 서울 강남구청장에 당선되었으나 재선에는 실패했다.
정발 (155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명 | 자는 자고(子固) 또는 자주(子周), 호는 백운(白雲), 시호는 충장(忠壯), 별칭은 흑의장군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연천군 마전면 광동리 너븐골 |
사망지 | 조선 경상남도 부산진 |
사망일 | 1592년 5월 23일 (음력 4월 13일) |
군사 정보 | |
복무 | 조선 육군 |
복무 기간 | 1579년 ~ 1592년 4월 13일 |
최종 계급 | 정3품 행 절충장군 경상좌도 부산진 수군첨절제사 |
부대 | 조선 육군 |
지휘 | 부산진 첨사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부산진 전투 |
서훈 내역 | 알려진 바 없음 |
기타 이력 | 1579년(선조 12년) 무과 급제 |
2. 생애 초반
1553년 (명종 8년)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광동리 너븐골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정명선(鄭明善)이다. 정발은 1579년(선조 12년) 25세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2. 1. 출생과 가계
1553년(명종 8년)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광동리 너븐골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돈녕부도정을 지낸 정세현(鄭世賢), 양조부는 군수(郡守) 정세호(鄭世豪)이고, 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정명선(鄭明善)과 어머니 남궁씨(南宮氏)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그의 선조는 고려 때 군기감윤(軍器監尹)을 지낸 정진후(鄭珍厚)의 후손으로, 고려말, 조선초 태조 이성계의 인척이기도 한 정희계(鄭熙啓)가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의정부찬성사(議政府贊成事)와 좌의정을 지내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졌다. 정희계는 그의 6대조이다. 고조부 정지례(鄭之禮)는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을 지냈으며, 증조부 정수덕의 묘를 연천에 쓰게 되면서 연천에 정착하였다. 정수덕의 아들은 군수 정세호(鄭世豪)와 돈녕부도정을 지낸 정세현(鄭世賢)이 있었다.아버지 정명선은 원래 정세현의 아들이었는데 후사가 없는 큰아버지 정세호의 양자가 되었다. 아버지 정명선은 간성군수(干城郡守)를 지냈고, 어머니 남궁씨는 관찰사(觀察使) 남궁숙(南宮淑)의 딸이다.
정발은 어릴 때부터 독서를 즐겨 했고, 과묵하여 선비의 풍모가 완연하였다. 특히 소학(小學)에서 얻은 바가 많았고, 자라면서 그 형과 같이 독행인(篤行人)으로 뽑혔다고 하니 그 행실이 얼마나 돈독하였는가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약관(弱冠)에 이미 사서(四書)와 오경(五經)을 통독하였으며, 아울러 손오병법(孫吳兵法)에도 통달하였다.[3]
2. 2. 관료 생활
1579년(선조 12년)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선전관(宣傳官)이 되었고, 해남현감, 거제현령 등 외직을 역임했다. 이후 북변 종성(鐘城)에 여진족이 침입하자 북정원수(元帥)의 종사관으로 임명되어 여진족 토벌에 참전했다. 1589년에는 국경을 넘어온 야인 자피선(者皮船)을 활로 쏘아 죽였다.[4]여러 벼슬을 거쳐 거제현령(巨濟縣令)으로 나갔다가 내직으로 돌아와 비변사의 낭관이 되었다. 다시 위원군수로 외직에 나갔다가 1589년(선조 22년) 비변사에서 무인을 특별 채용할 때 강섬(姜暹)의 천거로 훈련원부정이 되었다. 이후 사복시첨정(司僕寺僉正)으로 전임되었으며, 그해 변방을 침략하는 여진족을 활로 쏘아 죽이자, 살아남은 여진족은 자피선(者皮船)을 타고 도망쳤다. 사복시 내승을 거쳐 1592년(선조 25년) 정3품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승진하여 종3품직인 부산진수군첨절제사가 되었다.
3. 임진왜란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정발은 부산진 전투에서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 소서행장과 종의지 등의 "길을 빌려달라(가도입명, 假道入明)"는 요구를 거절하고 격렬하게 저항했으나, 병력과 무기의 열세로 패배했다.[1]
정발은 검은색 갑옷을 입고 전투에 임했으며, 부하들의 탈출 권유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싸우다 일본군의 총탄에 맞아 전사했다. 부산진성 남문에서 끝까지 싸우라고 호령하던 중이었다고 전해진다.
난중잡록에 기록된 부산포 해전 생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정발은 도망치지 않고 자신의 자리를 지키며 싸웠다고 한다.[1] 일부 기록에서는 정발이 전투에서 도망쳤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정발은 임진왜란에서 전사한 최초의 고위 장교였다. 사후 조선은 그에게 충렬공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좌찬성을 추증하였다. 1624년에는 충렬사에 배향되었으며,[2] 부산광역시 동구에는 그를 기리는 동상이 있다.
3. 1. 전란 직전
1592년 4월 일본군이 조선을 침공하기 직전, 정발은 절영도(絶影島)에서 사냥하다가 이를 목격했다. 그는 조공하러 오는 왜군으로 생각했으나, 왜군이 공격을 시작하자 긴급히 부산진으로 돌아갔다.[1] 그는 포구에 정박해 있던 왜군 평의지(平義智)에게 서신을 통해 조선에 온 목적을 물었고, 평의지는 길을 빌려달라는 내용의 글로 답했다.[1] 이에 정발은 상황이 심상치 않음을 직감하고 비밀리에 전령을 보냈다.[1]임진왜란 발발 당시, 1592년 4월 12일(음력), 일본군은 부산 앞바다의 절영도에 정박하여 정찰을 실시하고 다음 날 상륙을 결정했다.[6] 부산진수군첨사(수군의 무관. 약칭, 부산첨사)였던 정발은 전선 3척을 이끌고 일본 함대를 발견하고, 심상치 않은 기색에 부산진성으로 돌아왔다.[6] 정발은 일본군의 손에 넘어가지 않도록 군선을 자침하고, 군민을 동원하여 항전 준비를 명령했다.[6]
3. 2. 부산진 전투와 전사
1592년 4월 일본군이 조선을 침공했을 때, 정발은 절영도(絶影島)에서 사냥 중이었다. 왜군이 공격해오자 긴급히 부산진으로 돌아가 고니시 유키나가에게 길을 빌려달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죽음이 있을지언정 길을 비켜줄 수 없다"며 거절했다.
임진왜란의 첫 전투인 부산진 전투에서 정발은 800여 명의 정규군과 2200여 명의 백성과 함께 일본군에 맞섰다. 그러나 1만 8700명에 달하는 왜군에 비해 병력이 부족했고, 북쪽의 허술한 곳을 넘어 성 안으로 쳐들어온 왜군에 의해 패배했다. 정발은 일본군의 조총에 맞아 전사했고, 부산성은 함락되었다.[1]
정발은 검은 옷을 입고 있어 흑의장군으로 불렸다. 죽을 각오로 싸웠으며, 부하들의 피난 권유에도 "나는 이 성의 귀신이 될 것이다."라며 거절했다. 4월 13일 고니시 유키나가가 이끄는 일본군 선발대가 부산진 앞바다에 도착했고, 정발은 1천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방어하고 있었다. 일본군은 조총부대를 상륙시켜 성벽을 공격했고, 정발은 백병전을 벌였으나 적의 총탄에 맞아 39세의 나이로 전사했다.
정발은 임진왜란에서 전사한 최초의 고위 장교였다.
3. 2. 1. 전사 후 논란과 진실
정발은 부산진 전투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했으나, 그의 죽음을 둘러싼 여러 논란이 있었다. 당시 시신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정발이 송상현과 함께 일본군에 투항하여 일본군 장수가 되었다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다.[1] 선조는 이 소문을 의심하여 1592년 8월 7일과 11월 25일에 사람을 시켜 확인하게 했다.하지만 정발의 애마(愛馬)인 용상(龍嘗)이 투구와 갑옷을 생가까지 물고 달려왔다. 시신을 찾지 못한 정발은 투구와 갑옷으로 경기도 연천군 마전면 백석리 새릉에 의관장(衣冠葬)으로 장례를 치렀다.
임진왜란에 대한 일부 한국 기록은 정발이 전투에서 도망쳤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난중잡록(Nanjungjaprok)에는 부산포 해전 생존자들의 증언이 담겨 있으며, 생존자들은 정발이 도망치지 않고 자신의 자리를 지켰다고 증언했다.[1]
결론적으로 정발은 임진왜란 초기, 부산진을 지키기 위해 용감하게 싸우다 전사한 충신으로 평가받고 있다.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의 초량역 근처에는 그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져 있으며, 1624년에는 충렬사에 배향되었다.[2]
4. 사후
정발은 임진왜란 부산진 전투에서 전사했다. 당시 그의 나이는 39세였다. 그의 시신은 찾지 못했지만, 그의 애마(愛馬)인 용상(龍嘗)이 투구와 갑옷을 생가까지 물고 달려왔다. 이에 시신 대신 투구와 갑옷으로 경기도 연천군 마전면 백석리 새릉에 의관장(衣冠葬)으로 장례를 치렀다. 이후 그의 후손들은 연천군 마전과 적성현 일대에 정착하였다. 그의 묘소는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백석리 산34에 있으며, 1979년 9월 3일 경기도의 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었다.
4. 1. 추증과 현창
선조는 정발이 전사했는지 의심했고, 1593년 명나라에서 파견한 경략 1명도 정발의 전사 사실을 의심하였다. 그러나 목격자들의 진술로 전사가 인정되었다.[5] 1615년(광해군 7년) 이순신, 원균, 이억기와 함께 충신 대열에 들어 충신록에 수록되었다.정발의 용전사실은 왜란이 끝난 후 통신사(조선시대에 일본으로 보내던 사신)로 일본에 갔던 황신(黃愼)이 왜군 평조신(平調信)으로부터 무용(武勇: 싸움에서 용맹스러움. 무예와 용맹)을 극찬하는 회고담을 듣고 돌아와 조정에 알려졌다. 그 후 증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증직되었다.[5] 1681년(숙종 7년) 동래 부사(東萊府使) 조세환(趙世煥)의 상소로 증직된 관작이 낮다는 상소를 올려 증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겸 판의금부사에 추증되었고, 동래의 안락서원(安樂書院)에 배향되었다. 1686년(숙종 12년) 충장의 시호가 내려졌다.
1722년(경종 3년) 그의 4대손 정인중(鄭麟重)이 임인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당했다. 그 뒤 1744년(영조 20년) 경기도 암행어사 임상원(林象元)이 그의 첩의 순절 사실을 조정에 보고하여 정표가 내려졌다.
1766년(영조 42년) 부산첨사 이광국(李光國)은 그의 순절지(殉節地)인 당시의 부산진성 남문 자리에 정공단을 설치하고, 이후 부산 주민들은 매년 4월 14일 그를 추모하는 제를 올렸다. 1761년(영조 37)에는 경상좌수사 박재하(朴載河)가 정공단 근처에 정발 장군 전망비(부산광역시 기념물 제64호)를 세웠다.
1624년 충렬사에 배향되었다.[2]
4. 2. 사당과 기념물
1593년 명나라에서 파견한 경략이 조선에 와서 정발의 전사 사실을 의심했으나, 목격자들의 진술로 전사가 인정되었다.[5] 1615년(광해군 7년) 이순신, 원균, 이억기와 함께 충신 대열에 들어 충신록에 수록되었다.정발의 용맹함과 무예에 관한 사실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선 통신사로 일본에 갔던 황신(黃愼)이 왜군 평조신(平調信)으로부터 그의 무용(武勇)을 극찬하는 회고담을 듣고 돌아와 조정에 알려졌다.[5] 이후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증직되었다가, 1681년(숙종 7년) 동래 부사(東萊府使) 조세환(趙世煥)의 상소로 숭정대부 의정부좌찬성 겸 판의금부사에 추증되었고, 동래 안락서원(安樂書院)에 배향되었다. 1686년(숙종 12년) 충장(忠莊)의 시호가 내려졌다.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백석리 산에 안장되었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그의 생가가 있던 광동리 너븐골 근처에는 조정에서 내린 불천위(不遷位)의 은전으로 별묘(別廟)가 건립되고, 광동리 마을 입구에는 충신정려문이 세워졌으나 6ㆍ25 전쟁 때 모두 불에 소실되었다. 비문은 송시열이 지었으나 유실되었고, 1982년 후손들이 다시 비를 세웠다. 1683년(숙종 9) 미산면 백석리 묘소로 가는 길 입구에 정려문이 세워졌으나 한국 전쟁 때 화재로 전소되었다.
1722년(경종 3년) 그의 4대손 정인중(鄭麟重)이 임인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당했다. 그 뒤 영조 즉위 후 1744년(영조 20년) 경기도 암행어사 임상원(林象元)이 그의 첩의 순절 사실을 조정에 보고하여 정표가 내려졌다.
1766년(영조 42년) 부산첨사 이광국(李光國)은 그의 순절지(殉節地)인 당시 부산진성의 남문 자리에 정공단을 설치하고, 이후 부산 주민들은 매년 4월 14일 그를 추모하는 제사를 올렸다. 1761년(영조 37)에는 경상좌수사 박재하(朴載河)가 정공단 근처에 정발 장군 전망비(부산광역시 기념물 제64호)를 세웠다.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초량역 근처에 동상이 설치되어 있다.[1] 1624년 충렬사에 배향되었다.[2]

5.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정세현(鄭世賢) | |
부(父) | 정명선 | 1517년 - 1566년 |
모(母) | 남궁씨 | 관찰사 남궁숙(南宮淑)의 딸. 아들 정발의 갑옷을 직접 만들어 줌. |
부인 | 풍천 임씨 | |
아들 | 정흔 | |
첩 | 애향 | 1575년 - 1592년, 기생 출신 |
6. 기타
그의 묘소 근처인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에는 임진왜란 때 전사한 박진의 묘가 있다.
1709년(숙종 35년) 권이진에 의해 그의 순절 장면인 부산진 순절도가 그려졌다. 부산진 순절도는 보물 제391호로 지정되어 현재 육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부산시에서는 장군의 애국충절 정신을 받들기 위해 1977년 3월 동구 초량3동 1148번지에 동상을 건립하였다.[7]
7. 미디어에서
참조
[1]
서적
Samurai Invasion. Japan's Korean War 1592–98
Cassell & Co
2002
[2]
웹사이트
Pride of Busan
http://english.busan[...]
2007-06-04
[3]
웹인용
충장공 정발
http://busanurim.org[...]
2011-12-30
[4]
문서
장령 윤섬이 변방 경비를 소홀히 한 병사 곽영의 추고와 변장의 죄를 청하다
[5]
웹사이트
우리나라 범정씨(鄭氏)의 대종(大宗),흑의장군 정발
http://www.dtnews24.[...]
[6]
문서
경기 어사 임상원을 인견하고 수령의 현부를 묻다
[7]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동구 문화관광
http://tour.bsdongg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