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제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제신은 파주 염씨 출신으로, 고려 말기의 문신이다. 그는 원나라에서 관료 생활을 시작하여 정동성낭중 등을 역임했고, 고려로 돌아와 충숙왕, 충목왕, 충정왕 시기에 삼사사 우사, 도첨의평리 등을 거쳐 문하 찬성사까지 올랐다. 공민왕 대에는 문하우정승, 문하좌정승을 지내며 개혁을 지원하고 홍건적의 난을 겪었으며, 서북면 도원수, 수문하시중을 역임했다. 이후 신돈과의 갈등, 서북면 도통사 등을 거쳐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으며, 우왕 때 영삼사사를 지냈다. 그는 공민왕의 후궁 신비 염씨의 아버지이며, 고려와 독일 간 최초의 만남을 기록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04년 출생 - 원 문종
원 문종은 원나라의 제9대 황제이며, 유배 생활과 쿠살라와의 황위 쟁탈전을 겪었으며, 불교와 유학을 장려했으나 엘테무르의 독재로 정치적 쇠퇴를 겪고 29세에 사망했다. - 1304년 출생 - 이븐 바투타
모로코 출신 베르베르인 여행가이자 탐험가인 이븐 바투타는 약 30년간 아프리카, 중동, 아시아 등지를 여행하며 14세기 이슬람 세계의 사회상과 풍습을 기록한 《여행기》를 남겼다. - 고려의 부원군 - 최영
최영은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왜구와 홍건적을 격퇴하고 쌍성총관부를 수복하는 등 국방을 굳건히 했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공민왕을 보필했으나, 우왕의 요동정벌에 참여했다가 위화도 회군으로 이성계에 의해 처형당한 후 무민이라는 시호를 받은 고려 말기의 대표적인 무신이다. - 고려의 부원군 - 이제현
이제현은 고려 후기에 활동한 문신이자 유학자, 성리학자로, 원나라와 고려를 오가며 외교적 역할을 수행하고 개혁 정치를 펼쳤으며, 이색 등 제자를 길러 조선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1382년 사망 - 효자고황후 (명나라)
효자고황후는 명나라 홍무제 주원장의 황후로서, 홍건적의 난에서 주원장과 혼인하여 명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며, 검소하고 현명하게 내조하며 정치에도 관여하다 1382년에 사망한 후 효자황후로 추존되었다. - 1382년 사망 - 루도비코 2세 곤차가
루도비코 2세 곤차가는 곤차가 가문 출신으로 1369년부터 1382년까지 만토바를 통치하며 비스콘티 가문과의 우호 관계 유지, 베네치아와의 무역, 요새 건설을 통해 만토바의 번영과 방어력 강화, 내부 권력 공고화에 힘썼다.
염제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염제신 |
원어명 | 廉悌臣 |
작위 | 고려의 문하우정승 |
임기 | 1363년 6월 11일 ~ 1364년 2월 29일 |
군주 | 고려 공민왕 |
군주 명칭 | 국왕 |
정당 | 무소속 |
섭정 | 고려 덕흥군 왕혜 |
거주지 | 고려 개경 |
출생일 | 1304년 10월 30일 |
출생지 | 고려 양광도 파주 |
종교 | 불교 |
사망일 | 1382년 3월 18일 |
사망지 | 고려 개경에서 노환으로 병사 |
경력 | 문신, 관료, 정치가 |
별명 | 초명은 염불노(廉佛奴), 자는 개숙(愷叔) |
호 | 매헌(梅軒) |
시호 | 충경(忠敬) |
군호 | 곡성군, 곡성부원군 |
배우자 | 사별 초배 완산군부인 경주 배씨, 재혼 계배 진한국대부인 안동 권씨, 그 외 측실 2명(김씨, 이씨) |
부모 | 아버지 염세충(廉世忠), 어머니 가순택주 평양 조씨 부인(嘉順宅主 平壤 趙氏 夫人) |
친인척 | 할아버지 염승익(廉承益), 셋째사위 정희계, 넷째사위 공민왕 왕기, 고모부 말길(末吉), 처조카사위 이색, 사돈 우왕 왕우 |
자녀 | 슬하 5남 6녀 (염국보(장남), 염흥방(차남), 염정수(삼남), 서원군부인 염씨(3녀), 신비 염씨(4녀)) |
웹사이트 | 충경공 염제신 |
2. 생애
본관은 파주(坡州)이며, 아명은 '''염불노'''(廉佛奴), 자는 개숙(愷叔), 호는 매헌(梅軒), 시호는 충경(忠敬)이다. 첨의중찬(僉議中贊)을 지낸 염승익의 손자이며, 아버지는 감문위대호군(監門衛大護軍) 염세충이고, 어머니는 평양부원군 조인규(趙仁規)의 딸인 가순택주(嘉順宅主) 조씨이다. 부인은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딸인 진한국대부인(辰韓國大夫人) 안동 권씨로, 목은 이색의 처고모가 된다. 아들은 고려말 권신 염국보·염흥방·염정수이며, 홍징·임헌·정희계·공민왕의 장인이다. 그의 딸이 공민왕의 후궁인 신비 염씨이다. 파주 염씨(坡州 廉氏) 중시조이다.
1304년(충렬왕 복 6) 10월 30일 : 도첨의중찬을 지내신 충정공 승익의 손자이며, 아버지 염세충과 어머니 가순택주조씨의 2남으로, 아명은 불노(佛奴), 자는 개숙(凱淑)으로 뒤에 이름을 제신으로 고쳤다.
1309년(충선왕 복 1 ) 11월 28일 : 6세 때 아버지 대호군 염세충 사망했다.
1314년(충숙왕 1 ) : 11세때 원나라로 건너가 고모부 말길공(末吉公. 중서평장사) 집에서 10여 년간 생활하며 수학했다.
1324년(충숙왕 11) : 21세때 원의 태정황제를 모시는 금중의 숙위에 임명되었다.
1326년(충숙왕 13) : 23세때 어머니를 봉양하러 고려의 귀국을 원나라 황제에게 청하자 들어주었다. 금자원패를 하사받고 금강산을 강향한 뒤 귀국했다.
1329년(충숙왕 16) : 귀국 후 원나라로 다시 돌아가 상의사를 제수받았다.
1333년(충숙왕 복 1) : 정동성낭중으로 임명, 순제께 귀국을 청하자 다시 정동성낭중에 임명된 뒤 현직으로 귀국, 충숙왕의 신임을 받았다.
1340년(충혜왕 복 1) : 충혜왕이 죽자 다시 원나라로 되돌아갔고, 봉훈대부 익정사승에 제수되었다.
1343년(충혜왕 복 4) : 원나라의 자덕대부로 승진, 절강성 봉명사, 중정원 회계감사, 장작원사를 지냈다.
1343년(충혜왕 복 4) : 고려로 영구 귀국했다.
일찍이 고모부인 원나라사람 중서평장(中書平章) 말길공(末吉公) 밑에서 10여 년간 수업을 받은 후 원나라 진종 황제를 숙위하면서 원나라에서 정동성낭중(征東省郎中), 익정사승(翊正司丞) 등의 벼슬을 시작하였다. 그 후 충목왕·충정왕·공민왕·우왕 때까지 고려에서 벼슬을 하였다.
충숙왕 때 고려에 귀국하여 벼슬을 시작하여 충목왕·충정왕때에 삼사사 우사(右使)·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를 거쳐 1349년 문하 찬성사로 승진했다.
1354년(공민왕 3) 문하우정승·문하좌정승을 역임하며, 공민왕의 개혁, 홍건적의 난, 안동으로 피신한 공민왕을 호종 하는 일 등으로 단성수의동덕보리공신(端誠守義同德輔理功臣)이 되고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에 책봉되었다. 이어 원나라 장사성의 난이 발생했을 때 지원군을 이끌고 내란을 진압하는데 파견되고, 귀국 후 1356년 기황후의 오빠인 친원파(親元派) 기철 등의 일당을 숙청한 뒤 서북면도원수,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을 거쳐 1358년에 문하시중이 되었다가 1361년 사직하였다.
1363년 문하우정승, 1364년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를 거쳐 신돈과 갈등하였고, 1364년 영도평의사사(領都僉議司事)를 거쳐 1371년 서북면 도통사(都統使)로 나갔다. 서북면도통사로 재직 중 1371년 오로산성(五老山城, 현재의 원책산성(元刺山城))에 출몰한난 야인을 정벌하고 돌아온 뒤 곡성백(曲城伯)으로 개봉되었다. 이후 영삼사사를 거쳐 문하부영사(門下府領事)에 이르렀으며 충성수의동덕논도보리공신(忠誠守義同德論道輔理功臣)에 책록되었다.
1346년(충목왕 2) : 광정대부 삼사우사 겸 상호군
1347년(충목왕 3) : 수성익대공신호를 받고 중대광이 됨
1347년(충목왕 3) : 도첨의평리, 12월에 찬성사에 제수
1348년(충목왕 4) : 판판도사사에 승진됨
1349년(충정왕 1) : 다시 중대광 도첨의찬성사 판판도가 됨.
1350년(충정왕 2) : 원나라에 파견되는 성절사로 대도에 감
1351년(충정왕 3) : 귀국
1353년(공민왕 2) : 조일신의 사감으로 등용치 못함, 공민왕(1351-74)의 즉위로 찬성사에 복직
1354년(공민왕 3) : 단성수의동덕보리공신 벽상삼한중대광 도첨의좌정승 판군부사사상호군 영경령전사제수, 우정승판전리 영효사관사 곡성백에 봉해짐
1354년 원나라에서 남정군을 요청하여 구원군 지휘관으로 참전, 그간의 한국관료로서는 프랑크제국(독일) 사신을 최초로 접견함
1355년(공민왕 4) : 장남 염국보 과거시험에 급제
1356년(공민왕 5) : 공민왕의 개혁정책으로 친원파 처단. 원의 공격 대비 서북면 도원수가 되고, 곧 개부 의동삼사상주국 수문하시중 상장군 판병부사 영경령전사를 제수받음
1357년(공민왕 6) : 차남 염흥방 과거시험에 장원급제
1357년(공민왕 6) : 판리부사 영효사관사로 승진
1361년(공민왕 10) : 홍건적 침입으로 어가호종하여 수행, 그러나 모친을 피란시키지 못해서 탄핵을 받고 파직
1362년(공민왕 11) : 복직, 다시 벽상삼한삼중대광 곡성후가 됨
1363년(공민왕 12) : 시중에 기용되었으나, 공의 모친 상으로 사직
1364년(공민왕 13) : 1월 영도첨의사사가 되고, 9월에 서북면 도통사가 됨
1369년(공민왕 18) : 66세때 서북도통사에 보국이 더해졌고, 공민왕이 친필 염제신상을 하사, 그 후 삼중대광에 특진, 곡성백에 봉함.
1371년 : 68세때 3남 염정수 과거 급제, 세아들의 급제로 부인권씨가 진한국대부인에 봉해짐. 딸이 공민왕의 부인 신비로 책봉 됨
1374년(공민왕 23) : 광주에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남 영문하사 영서연사 제수 문하시중 중임
1375년(우왕 1) : 충성수의동덕논도보리공신, 영삼사사가 되고 나머지도 전의 직책으로 복직
1376년(우왕 2) : 원나라에서 자덕대부 장작원사 벼슬을 내림
1377년(우왕 3) : 도총도감을 설치하고 5부의 병마를 훈련
1379년(우왕 5) : 76세때 판문하사, 부원군으로 다섯 임금을 섬긴 원로가 됨
1380년(우왕 6) : 영삼사사가 되고 곡성부원군에 봉해짐
1382년(우왕 8) 3월 18일 : 사망, 향년 79세, 시호는 충경공(忠敬公)으로 내려짐
1384년(우왕 10) : 신도비가 세워짐, 처조카 목은 이색이 왕명을 받고 신도비문을 찬함
수성익대공신(輸誠翊戴功臣), 단성수의동덕보리공신(端誠守義同德輔理功臣), 충성수의동덕론도보리공신(忠誠守義同德論道輔理功臣) 등에 녹훈되고 영문하부사에 이르렀다.
2. 1. 초기 생애와 원나라 관료 생활
염제신은 1304년 10월 30일 아버지 염세충(廉世忠)과 어머니 가순택주(嘉順宅主) 평양 조씨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위로는 형 효신(孝臣)이 있었다. 염신약(廉信若)의 7대손으로, 증조부는 순언(純彦), 조부는 충정공 염승익이었다. 조부 염승익은 흥법좌리공신(與法佐理功臣)으로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첨의중찬(僉議中贅) 상장군(上將軍) 판천리감찰사사(判典理監察司事)를 역임하였으나 후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아버지 염세충은 일찍 사망했고, 염제신은 일찍이 원나라로 건너가 당시 원나라에서 평장사(平章事)로 재직하고 있는 고모부 말길공(末吉公) 밑에서 10여 년간 수업을 받으며 자랐다. 원나라 황제 태정제(泰定帝)의 시종으로 있으면서 총애를 받고 상의서사로 있다가 홀로 계신 어머니의 봉양을 위하여 귀국을 요청, 정동성낭중(征東省郞中)에 임명되었다.
그는 동료들의 횡포를 억제하는 한편, 그 자신도 스스로 지위나 신분을 이용하여 사사로운 청탁을 하지 않았다. 청탁 금지령과 함께 토지와 노비의 소송은 모두 관계당국에 돌리어 처리하게 함으로써 충숙왕의 신임을 받았다. 그는 다시 원나라에 건너가서 익정사승(翊正司丞)이 되었고, 뒤이어 강소성에 나가 중정원(中政院)의 전화(錢貨)를 회계하게 되었는데, 이때 관기들이 그에게 접대와 뇌물을 주어 매수하려 하는 것을 모두 거절, 물리치기도 하였다.
2. 2. 고려 관료 생활
2. 2. 1. 귀국과 관직 활동
원나라 순제가 이 사실을 보고받고 그를 특별히 등용하려 하였으나, 그는 어머니의 병으로 귀국을 간청하여 고려로 되돌아왔다. 충목왕 때 삼사좌사(三司左使)에 수성익대공신(輸誠翊戴功臣)으로 봉해졌다가 뒤이어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가 되었다.[1] 충정왕 즉위 후인 1349년 충정왕 즉위후에 문하찬성사에 임명되었다.당시 정동행성의 관리가 어떤 일을 핑계로 감찰대부로 있던 이공수를 문초하려 했을 때, 염제신은 "대신(臺臣)의 기강은 흔들 수 없고, 이(李) 대부는 한 시대의 인걸인데 어찌 욕을 보일 수 있겠는가"라고 말려서 중지시켰다고 한다.[2]
그 이듬해 원나라에 파견되는 하정사(賀正使)로 대도에 갔다가 귀국하였다. 1354년 문하우정승·문하좌정승을 역임하였다.
공민왕 3년(1354년)에 좌정승이 되었다가 뒤이어 우정승이 되었으며, 단성수의동덕보리공신(端誠守義同德輔理功臣)에 봉해지고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이 되었다. 그때 원나라에서 내란이 일어나 고려에 구원을 청하므로, 유탁 등과 함께 군사 2천을 이끌고 원나라에 갔다가 그해 10월에 공민왕의 부름을 받고 귀국하였다.
강남에서 원에 맞서 반란을 일으킨 장사성을 진압하기 위해 원은 고려에 지원군을 요청하였고, 이때 고려 조정은 염제신과 유탁, 권겸, 최영 등 40여명의 장수와 300여 명의 수군을 파병하였다. 고려군은 원의 승상(丞相) 탈탈(脫脫)과 함께 강소성의 고우까지 진격하였으나, 마침 원에 정변(政變)이 일어나고 탈탈이 실각한 뒤 정벌은 중지되고, 출정 3개월 만에 고려군은 철수하였다. 그 뒤 곡성백(曲城伯)에 봉해졌다.
2. 2. 2. 공민왕 대의 활약과 시련
1356년 원나라의 세력을 배경에 업은 기황후의 오빠 친원파(親元派) 기철 등의 일당을 규탄, 이후 기철 일파를 탄핵하여 숙청한 뒤 서북면도원수에 임명되었다. 이때 공민왕은 유연과 김지순을 부원수로 임명하여 그를 돕게 하고, 그에게 "염공은 나에게 만리장성이니 경이 떠난 후 내가 북쪽을 걱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만약을 대비하여 성을 구축, 군비를 강화, 군사들을 지휘할 때, 군량과 말먹이를 첫째로, 성곽 수리를 둘째로, 병기 정비를 셋째로 삼았다. 염제신은 마음에 모든 책략이 정해 있었고 그가 도원수의 직책에 있었으나 부관의 뜻을 존중하는 뜻으로 부사 최영과 의논한 후에야 결정내렸다.서북면 도원수로 재직 중 병력을 확충하여 원나라의 공격이 있을 것에 대비하였으며, 동년 11월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에 임명되어 서북면도원수를 겸하였다. 1358년에 문하시중이 되었으며, 1361년 스스로 사직하였다.
1361년 홍건적이 침입하였다. 1362년 봄 다시 기용되어 벽상삼한삼중대광을 제수했고, 곡성후로 봉작하였다. 그러나 곧 홍건적이 개경을 함락하여 공민왕이 충청도와 경상도로 몽진(임금님의 피란)할 때 염제신이 어가를 모셨다. 1363년 1월 홍건적 평정 후 공민왕이 청주에서 개경으로 돌아왔다. 염제신이 여러 재상과 '흥왕사'에서 축수의 잔을 올리자 공민왕은 "뜻밖에도 오늘에야 송도로 돌아가게 되었으니, 이는 모두 경들의 공이로다"라고 치하하였다. 1363년에 우정승이 되었으나, 홍건적의 난 당시 어머니를 버리고 피난한 것이 문제가 되어 언관들의 탄핵을 받고 고신(告身:任命狀)에 서경(署經)되지 못하여 파면되었다.
1364년 영도첨의사사(領都僉議司事)가 되었는데, 이때 신돈이 자기에게 아부하지 않아 미워하였으나 끝내 굽히지 않았다. 이로 인해 한때는 모함으로 파직되기도 하였고 1364년 영도평의사사(領都僉議司事)를 거쳐 1369년 서북도통사로서 요녕성 환인(만주) 서북쪽의 올라성 정벌에 출정하였다. 이 때, 지휘관이 적들을 많이 죽이지 못하게 했다. 올라성을 공략하고 돌아와 다시 문하시중이 되었고, 품계에 보국이 더해졌다. 1371년 서북면 도통사(都統使)로 나갔다.
2. 2. 3. 서북면 도통사와 말년
1371년 서북면도통사로 재직 중 오로산성(五老山城, 현재의 원책산성(元刺山城))에 출몰한 야인을 정벌하고 돌아온 뒤 곡성백(曲城伯)으로 개봉되었고 이어 딸이 공민왕의 후궁 신비(愼妃)로 책봉되었다. 1374년 문하시중 이인임이 파면되자 다시 문하시중이 되었다. 그러나 1374년 6월 명나라 사신 채빈의 비위를 거슬렸다는 이유로 제신이 광주로 유배를 당했다.[3]
그러나 1374년 9월 우왕이 즉위하자 풀려나 복직, 영삼사사(領三司事)가 되었다. 이후 영삼사사·판개성겸감춘추관사·영삼사영경연사, 도총도감, 판문하사를 거쳐 문하부영사(門下府領事)에 이르렀다. 이후 충성수의동덕논도보리공신(忠誠守義同德論道輔理功臣)에 책록되었다.
1382년(우왕 8) 3월 18일에 사망하니 당시 78세였다. 충경공(忠敬公)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염흥방, 염국보, 염정수 등 아들 셋을 두었고, 그의 딸은 정희계에게 출가하였다.
3. 가족 관계
염제신의 증조부는 소부승(小府丞)을 지내고 은청광록대부·문하시랑평장사·판이부사에 추증된 염순언(廉純彦)이다. 조부는 벽상삼한삼중대광·도첨의중찬을 역임한 염승익(廉承益)이다.[4] 아버지는 중현대부·감문위대호군 염세충(廉世忠)이며, 어머니는 평양부원군 조인규(趙仁規)의 딸인 가순택주(嘉順宅主) 평양 조씨이다.[4][5]
첫째 부인은 중대광(重大匡) 완산군(完山君) 배정(裵挺)의 딸인 완산군부인(完山郡夫人) 배씨이고, 둘째 부인은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딸인 진한국대부인(辰韓國大夫人) 안동 권씨이다.[4][5]
장남 염국보(廉國寶)는 서성군(瑞城君)에 봉해졌으나 무진피화(戊辰被禍)를 입었다. 며느리는 현복군(玄福君) 권염(權廉)의 딸 안동 권씨이다.[4][5] 차남 염흥방(廉興邦)은 문하평리(門下評理)를 지냈으나 무진피화(戊辰被禍)를 입었다.[4] 3남 염정수(廉廷秀)는 지신사(知申事)를 역임했으나 무진피화(戊辰被禍)를 입었다.[4][5]
장녀는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 부사(密直副使) 홍징(洪徵)에게, 차녀는 봉익대부 판내부시사 진현관제학 임헌(任獻)에게, 3녀는 추성좌리공신 봉익대부 밀직사 상호군 정희계(鄭煕啓)에게 출가했다. 4녀는 고려 공민왕의 비 신비 염씨이며,고려 공민왕 사후 여승이 되었다.[4][5] 5녀는 중정대부 삼사 우윤 이송(李悚)에게 출가했다.
부실 김씨(副室 金氏)에게서 4남 염혜주(廉惠珠)를 두었고, 6녀를 홍문필(洪文弼)에게 출가시켰다. 부실 이씨(副室 李氏)에게서 5남 염광원(廉廣元)을 두었다.
첫째 고모는 양천허씨(陽川許氏) 허호(許蒿)에게 출가하여 허경(許慶)을 낳았다. 둘째 고모는 원나라 사람 말길(末吉)에게 출가하여 중서평장사를 역임했다. 막내 고모는 창녕 조씨(昌寧曺氏) 조적(曺頔)에게 출가하였으며, 조적은 밀직부사를 역임하였다.[4]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5. 기타
고려시대에 그려진 염제신의 초상화 2점이 전해진다. 공민왕이 생전에 그의 모습을 친히 초상화로 그렸다고 하며, 목은 이색의 저서 목은집에 공민왕이 직접 그의 영정을 그려 주었다는 기록이 실려 있다. 공민왕이 그렸다는 염제신의 초상화는 1991년 9월 30일 보물 제1097호로 지정된다.
1354년 염제신은 원나라에 파병되어 프랑크 제국의 대사를 최초로 접견하였다. 염제신은 원에 지휘관으로 출정 중이던 1354년 프랑크 제국(독일)의 사신을 만났다는 기록이 나타났다. 역사상 고려와 독일 사이에 이루어진 최초 접촉이자 한국 관료로서는 최초로 독일인을 만난 기록이었다.
5. 1. 염제신 초상화
고려시대에 그려진 염제신의 초상화 2점이 전해진다. 공민왕이 생전에 그의 모습을 친히 초상화로 그렸다고 하며, 목은 이색의 저서 목은집에 공민왕이 직접 그의 영정을 그려 주었다는 기록이 실려 있다. 공민왕이 그렸다는 염제신의 초상화는 1991년 9월 30일 보물 제1097호로 지정된다.1354년 염제신은 원나라에 파병되어 프랑크 제국의 대사를 최초로 접견하였다. 염제신은 원에 지휘관으로 출정 중이던 1354년 프랑크 제국(독일)의 사신을 만났다는 기록이 나타났다. 역사상 고려와 독일 사이에 이루어진 최초 접촉이자 한국 관료로서는 최초로 독일인을 만난 기록이었다.
5. 2. 한국-독일 최초의 만남
고려시대에 그려진 염제신의 초상화 2점이 전해진다. 이색의 저서 《목은집》에 공민왕이 직접 그의 영정을 그려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공민왕이 그렸다는 염제신의 초상화는 1991년 9월 30일 보물 제1097호로 지정되었다.1354년 염제신은 원나라에 파병되어 지휘관으로 출정 중 프랑크 제국(독일)의 사신을 만났는데, 이는 역사상 고려와 독일 사이에 이루어진 최초의 접촉이자 한국 관료로서는 최초로 독일인을 만난 기록이었다.
6. 등장 작품
1983년 KBS 드라마 《개국》에서는 배우 남일우가 염제신 역을 연기하였다.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방영된 MBC 드라마 《신돈》에서는 배우 김상순이 염제신 역을 맡았다.
참조
[1]
서적
고려사 권제111 열전제24 제신 염제신
[2]
서적
고려사 권제111 열전제24 제신 염제신
[3]
문서
고려 사신 채빈의 행실
[4]
서적
고려사 열전 간신 임견미
[5]
서적
고려사 열전 간신 임견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