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대 벌링턴 백작 리처드 보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대 벌링턴 백작 리처드 보일은 부유한 영국-아일랜드 귀족 가문 출신으로, 9세의 나이에 작위와 영지를 물려받았다. 그는 음악에 대한 애정을 보였으며, 건축가로서 팔라디안 건축에 심취하여 다양한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주요 작품으로는 벌링턴 하우스, 치즈윅 하우스, 요크 어셈블리 룸스 등이 있으며, 윌리엄 켄트 등과 협력하여 팔라디안 양식을 영국에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3대 벌링턴 백작 리처드 보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존칭 | 각하 |
| 작위 | KG PC |
| 출생일 | 1694년 4월 25일 |
| 출생지 | 요크셔, 잉글랜드 |
| 사망일 | 1753년 12월 4일 |
| 사망지 | 치즈윅 하우스, 런던 |
| 배우자 | 레이디 도로시 사빌 |
| 부모 | 찰스 보일, 제2대 벌링턴 백작 줄리아나 노엘 |
| 자녀 | 도로시 피츠로이, 유스턴 백작부인 레이디 줄리아나 보일 샬럿 캐번디시, 제6대 클리퍼드 여남작 |
| 공직 | |
| 직책 | 아일랜드 대법관 |
| 임기 시작 | 1715년 8월 25일 |
| 임기 종료 | 1753년 12월 3일 |
| 이전 | The Lord Carleton |
| 이후 | 하팅턴 후작 |
2. 생애
리처드 보일은 요크셔에서 부유한 영국-아일랜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찰스 보일, 제2대 벌링턴 백작이며 어머니는 줄리아나 보일(결혼 전 성씨 노엘, 1672–1750)이다. 1704년 2월, 아버지가 사망하자 9세의 나이로 백작 작위와 함께 요크셔 및 아일랜드에 있는 광대한 영지를 상속받았다. 그가 성년이 되는 1715년까지 어머니 줄리아나가 후견인으로서 그의 영국 및 아일랜드 영지와 정치적 관심사, 후원 활동 등을 관리했다.[2]
벌링턴 백작은 어린 시절부터 예술, 특히 음악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보였으며,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과 프란체스코 바르산티 같은 당대 유명 음악가들을 후원했다.[3] 또한, 바로크 오페라를 공연했던 로열 아카데미 오브 뮤직의 주요 후원자이기도 했다.[5][6]
1714년부터 1719년까지 세 차례에 걸친 유럽 그랜드 투어와 1726년의 파리 방문은 그가 건축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특히 이탈리아 베네토 지역을 여행하며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건축에 큰 영향을 받았고[4], 이는 이후 영국 건축계에 팔라디안 건축 양식을 부흥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건축가로서 직접 활동하며 영국 귀족 사회에서는 보기 드문 전문성을 보였다.
그는 건축 활동 외에도 자선 활동에 참여하여 1739년 파운들링 병원 설립을 후원하는 등 사회적으로도 기여했다.
2. 1. 건축 활동

벌링턴 백작은 "건축가 백작"으로 알려졌고, 영국과 아일랜드 양국에서 팔라디안 양식 건축의 부흥을 이끌었다. 그의 건축가로서의 전문적인 기술은 당시 영국 귀족 중에서는 매우 이례적인 것이었으며, 실제 작업은 늘 석공-계약업자의 지원을 받았다.[11]
1714년부터 1719년까지 세 차례에 걸친 해외 그랜드 투어와 1726년의 파리 여행은 벌링턴이 자신의 건축적 취향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특히 1719년 베네토 지역을 여행할 때는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저서 ''건축 사서''(I quattro libri dell'architetturaita) 사본을 직접 가지고 다니며 탐독했다. 당시 베네토 지역은 침수되어 많은 빌라에 접근하기 어려웠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책의 빈 페이지에 여러 메모를 남기는 등 팔라디오 건축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였다.[4] 이 여행을 통해 그는 팔라디안 건축에 대한 열정을 다지게 되었다.
벌링턴의 첫 번째 건축 프로젝트는 그의 런던 저택 중 하나인 벌링턴 하우스였다. 1719년 유럽 대륙에서 돌아온 그는 기존 건축가인 바로크 양식의 제임스 깁스를 해고하고, 스코틀랜드 출신 건축가 콜렌 캠벨을 고용했다. 또한, 역사가이자 화가였던 윌리엄 켄트를 실내 장식가로 참여시켰다. 피카딜리에 위치한 벌링턴 하우스의 안뜰 정면은 영국에서 신-팔라디안 건축 양식을 본격적으로 보여준 첫 주요 사례로 평가받는다.
벌링턴은 고대 로마 건축의 유적을 직접 상세히 조사하거나 현장에서 도면을 그리기보다는, 고전 건축 전통의 해석자로서 팔라디오와 그의 후계자 빈첸초 스카모치에게 크게 의존했다. 그는 팔라디오가 비트루비우스의 설명을 바탕으로 복원한 로마 건물 그림들을 다수 소장했으며, 이를 출판할 계획도 가지고 있었다. 그의 또 다른 중요한 영감의 원천은 직접 수집한 건축 도면들이었는데, 여기에는 팔라디오 자신의 원본 그림뿐만 아니라, 영국 건축가 이리고 존스가 소유했던 팔라디오 그림들과 존스의 제자 존 웹의 그림들도 포함되었다. 벌링턴은 웹의 상속자로부터 이 그림들을 사들였다.[11] 윌리엄 켄트는 1727년(일반적으로 1736년으로 알려짐) 벌링턴과 자신의 설계를 추가하여 "Some Designs of Mr Inigo Jones... with Some Additional Designseng"라는 제목으로 이 도면 모음을 출판했다. 이 출판물은 이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팔라디오의 설계를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팔라디안 및 신-팔라디안 건축 유산을 전하는 데 있어 존 웹의 중요한 역할은 20세기가 되어서야 제대로 평가받았다.
1723년, 벌링턴은 자신이 소장한 팔라디오의 궁전 정면 설계를 올드 벌링턴 스트리트에 있는 조지 웨이드 장군의 런던 저택 건축에 적용했고, 이 설계는 콜렌 캠벨의 저서 ''비트루비우스 브리타니쿠스'' 제3권(1725년 출판)에 실렸다.
1720년대에 벌링턴은 캠벨과 결별하고, 젊은 건축가 헨리 플리트크로프트(별명 "벌링턴 해리")를 비롯하여 다니엘 가렛 같은 신-팔라디안 2세대 건축가들을 지원했다. 1730년대 초에는 팔라디안 스타일이 영국의 컨트리 하우스나 공공건물 건축에 널리 받아들여지는 양식이 되었다. 남은 생애 동안 벌링턴은 호레이스 월폴이 묘사했듯 "예술의 아폴로"와 같은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고, 윌리엄 켄트는 그의 가장 중요한 협력자였다.
1739년, 벌링턴 백작은 런던 최초의 고아원인 파운들링 병원(Foundling Hospital) 설립에 참여하여 이 자선 단체의 운영 위원을 맡았다. 그러나 1742년 블룸즈버리에 완공된 이 대규모 아동 보호 시설의 건축 설계에는 공식적으로 관여하지 않았고, 건물 설계는 자선 활동의 일환으로 건축가 테오도르 야콥센이 맡았다.
벌링턴 백작이 참여한 많은 건축 프로젝트는 이후 개축되거나 증축되었고, 화재나 도시 팽창으로 인해 사라지기도 했다. 그의 구상이 비공식적으로 영향을 미친 경우도 많았다. 예를 들어, 홀컴 홀의 건축가 매튜 브레팅햄은 "건물의 전반적인 구상은 벌링턴 백작과 레스터 백작이 윌리엄 켄트 씨의 도움을 받아 처음 제시했다"고 기록했다. 브레팅햄이 출판한 홀컴 홀의 판화에는 현관과 북쪽 드레스룸의 천장 설계가 구체적으로 벌링턴의 공으로 명시되어 있다.[14]
벌링턴 백작의 건축 도면들은 그의 사위인 윌리엄 캐번디시, 제4대 데본셔 공작에게 상속되어 채츠워스 하우스에 보존되어 있고, 이를 통해 그의 건축 활동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751년, 그는 비트루비우스 관련 서적과 함께 자신의 건축 도면 일부를 베네치아 출신의 박식가 프란체스코 알가로티에게 포츠담으로 보내기도 했다.[7][15]
2. 2. 사회 활동
벌링턴 백작은 당대 예술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음악에 대한 깊은 애정을 보였으며, 헨델은 벌링턴의 런던 거주지인 벌링턴 하우스에 머무는 동안 그에게 오페라 테세오와 아마디지 디 가울라를 헌정했다. 또한 프란체스코 바르산티는 그의 리코더 소나타 작품집(Op. 1)을 벌링턴 백작에게 헌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1719년에는 무대에서 바로크 오페라를 제작하는 로열 아카데미 오브 뮤직의 주요 후원자 중 한 명이 되었다.[5][6]건축 분야에서도 그의 영향력은 상당했다. 1714년부터 1719년까지 이어진 세 차례의 그랜드 투어와 1726년의 파리 여행은 그의 건축적 안목을 형성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특히 1719년 베네토 지역 여행 중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건축에 깊은 감명을 받아 영국 신-팔라디안 건축 부흥의 핵심 인물이 되었다.[4] 그는 콜렌 캠벨, 윌리엄 켄트, 헨리 플리크로프트, 다니엘 가렛 등 여러 건축가 및 디자이너를 후원하고 함께 작업하며 팔라디안 양식을 영국 건축의 주류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그의 건축에 대한 열정과 전문성은 당대 영국 귀족 사회에서 매우 이례적인 것이었다.
문학계와의 교류도 활발했다. 1715년경부터 친구였던 시인 알렉산더 포프는 1731년, 벌링턴에게 자신의 도덕적 에세이 중 첫 번째 에세이인 '잘못된 취향에 대하여'를 헌정하며 건축, 정원 등 벌링턴의 관심사를 다루었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벌링턴 백작은 호레이스 월폴로부터 "예술의 아폴로"라는 찬사를 받으며 당대 예술계의 중심인물로 인정받았다.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했는데, 1739년에는 런던 최초의 고아원인 파운들링 병원(Foundling Hospital) 설립에 주요 후원자로 참여했다. 그는 이 자선 단체의 운영진(governor) 중 한 명이었으나, 1742년 완공된 병원 건물의 설계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주요 작품

벌링턴 백작은 직접 설계하거나 건축 과정에 깊이 관여하며 영국 건축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의 주요 작품들은 팔라디안 건축 양식을 영국에 도입하고 확산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벌링턴 하우스 (Burlington House): 런던 피카딜리에 위치한 그의 저택으로, 초기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1719년 유럽 여행에서 돌아온 후 기존의 바로크 건축가 제임스 기브스 대신 콜렌 캠벨과 윌리엄 켄트를 기용하여 개축했다. 특히 건물의 정면 외관은 영국 신-팔라디안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벌링턴 백작이 직접 관여한 부분은 1868년에 철거된 열주랑, 피카딜리로 향하는 정문, 그리고 팔라디안 양식으로 재단장된 주요 내부 공간 등으로 추정된다.
- 토트넘 하우스 (Tottenham House): 윌트셔에 위치하며, 매형인 에일즈버리 제3대 백작 찰스 브루스를 위해 1721년부터 건설되었다. 벌링턴 백작의 제자인 헨리 플리트크로프트가 공사를 감독했다. 이 건물은 이니고 존스가 설계한 윌턴 하우스의 영향을 받아 높은 모서리 파빌리온과 팔라디안 창 양식을 특징으로 한다. 벌링턴은 건물뿐 아니라 정원 디자인에도 관여하여 장식용 건물을 설계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 웨스트민스터 스쿨 (Westminster School) 기숙사: 1722년에서 1730년 사이에 건설된 벌링턴 백작의 첫 공공 건축물이다. 당대 최고의 건축가로 꼽히던 크리스토퍼 렌 경의 설계안 대신 벌링턴의 디자인이 채택되었다는 점에서, 당시 영국 건축계에서 팔라디안 양식의 부상과 변화하는 미적 취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여겨진다. 건물은 이후 개조와 전쟁 피해 복원을 거쳤다.
- 올드 벌링턴 스트리트 (Old Burlington Street) 주택: 1723년 런던에 지어진 주택들로, 특히 조지 웨이드 장군의 저택(현재 철거됨)이 유명하다. 이 저택의 파사드는 벌링턴 백작이 소장하고 있던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실제 드로잉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 왈더셔 파크 (Waldershare Park), 벨베데레 타워: 켄트에 위치한 정원 내 전망용 건축물로, 1725년에서 1727년 사이에 지어졌다. 그의 건축 도면이 채츠워스 하우스에 보존되어 있어 벌링턴 백작의 작품임이 확인되었다.
- 치즈윅 하우스 (Chiswick House): 런던 근교 미들섹스에 위치한 별장으로, 벌링턴 백작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1717년 정원에 작은 건물(카시나)를 지은 것을 시작으로, 1727년에서 1729년 사이에 본격적인 빌라를 건설했다. 이 빌라는 영국 신고전주의 팔라디안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걸작이자 18세기 유럽 건축의 중요한 예시로 평가받는다.[8] 벌링턴은 고대 로마의 빌라와 정원을 재현하고자 했으며, 자신이 수집한 미술품[9]과 가구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했다.
- 세븐오크스 스쿨 (Sevenoaks School) 스쿨 하우스: 1730년에 지어진 학교 건물로, 벌링턴 백작의 친구였던 엘리야 펜턴의 의뢰로 설계되었다. 고전적인 팔라디안 양식을 잘 보여준다.
- 요크 어셈블리 룸스 (York Assembly Rooms): 요크에 위치한 공공 집회 공간으로, 1731년에서 1732년 사이에 건설되었다(파사드는 이후 개조됨). 벌링턴은 비트루비우스가 묘사하고 팔라디오가 해석한 고대 이집트의 홀 양식을 재현하려 시도했으며, 그 결과 웅장한 팔라디안 양식의 공공 공간 중 하나가 탄생했다.
이 외에도 벌링턴 백작은 홀컴 홀(Holkham Hall)의 주랑과 천장 디자인 등 여러 건축 프로젝트에 아이디어를 제공하거나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 그의 건축적 영향력은 데번셔의 캐슬 힐(Castle Hill), 글로스터셔의 노스윅 파크(Northwick Park), 요크셔의 커비 홀(Kirby Hall) 등 여러 건축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의 건축 도면들은 사위인 윌리엄 캐번디시, 제4대 데본셔 공작에게 상속되어 채츠워스 하우스에 보존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그의 작업을 연구하고 귀속시키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4. 가문
제3대 벌링턴 백작 리처드 보일은 요크셔의 부유한 앵글로아일랜드인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1704년 2월, 9세의 어린 나이에 아버지가 사망하면서 작위와 함께 요크셔 및 아일랜드에 있는 광대한 부동산을 상속받았다. 1715년 성인이 될 때까지 그의 영국과 아일랜드 토지 및 정치적 권한은 어머니이자 후견인이었던 줄리아나 미망인이 관리했다.[11]
4. 1. 결혼과 자녀

벌링턴 백작은 1720년 3월 21일, 레이디 도로시 사빌(Lady Dorothy Savile, 1699–1758)과 결혼했다.[16] 그녀는 제2대 핼리팩스 후작 윌리엄 사빌과 그의 두 번째 부인 메리 핀치(Mary Finch)의 딸이었다. 메리 핀치는 제2대 노팅엄 백작 대니얼 핀치, 제2대 노팅엄 백작과 에식스 리치 부인(Lady Essex Rich, 1684년 사망)의 딸이었다.[17][18]

벌링턴 백작 부부는 세 딸을 두었다.
- 레이디 도로시 보일 (Lady Dorothy Boyle, 1724년 5월 14일 – 1742년 5월 2일): 1741년, 유스턴 백작 조지 피츠로이와 결혼했으나, 남편의 잔혹함으로 결혼 생활은 불행했다. 도로시는 결혼 이듬해 18세 생일을 앞두고 천연두로 사망했다.[19][17] 그녀의 어머니는 딸이 "극심한 비참함"(extremest misery)에서 벗어났다고 언급하기도 했다.[20] 도로시에게는 자녀가 없었다.
- 레이디 줄리아나 보일 (Lady Juliana Boyle, 1727–1730):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 레이디 샬럿 엘리자베스 보일(Lady Charlotte Elizabeth Boyle, 1731년 10월 27일 – 1754년 12월 8일): 1748년 3월 28일, 하팅턴 후작 윌리엄 캐번디시, 제4대 데본셔 공작과 결혼했다. 남편은 샬럿 사후 데본셔 공작이 되었다.[22] 샬럿은 23세의 나이로 사망하기 전까지 네 명의 자녀를 낳았다.[21]
- * 윌리엄 캐번디시, 제5대 데본셔 공작 (1748–1811): 후일 제5대 데본셔 공작이 됨.
- * 도로시 벤팅크 (1750–1794): 포틀랜드 공작 부인.
- * 리처드 캐번디시 경 (1752–1781).
- * 조지 캐번디시, 제1대 벌링턴 백작 (1754–1834): 후일 초대 벌링턴 백작(제2기)이 됨.
샬럿은 여계 상속이 가능한 클리포드 남작위를 상속받았다.[24] 그녀의 자녀들은 외할머니 도로시 사빌의 예술 작품과 서한 등을 상속받았다.[18]
장바티스트 방 로는 1739년에 벌링턴 백작 부부와 두 딸 도로시, 샬럿의 가족 초상화를 그렸으며, 이 그림은 현재 리모어 성의 데본셔 공작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18]
벌링턴 백작은 1753년 12월 3일, 그의 부인 도로시 사빌은 1758년 9월 21일에 치즈윅 하우스에서 사망했다.[22][18]
4. 2. 작위 상속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5. 가계도
리처드 보일은 요크셔의 부유한 앵글로-아일랜드 귀족 가문인 보일 가문 출신이다. 보일 가문은 코크 백작, 벌링턴 백작, 오럴리 백작, 댕거번 자작 등 여러 작위를 보유했으며, 제1대 벌링턴 백작 리처드 보일과 엘리자베스 클리퍼드의 혼인을 통해 클리퍼드 남작 작위와도 연결되었다.[11] 리처드 보일은 아버지 찰스 보일로부터 제3대 벌링턴 백작, 제4대 코크 백작, 제5대 댕거번 자작위를 상속받았으며, 어머니로부터 유래한 제5대 클리퍼드 남작위도 계승했다.
그의 딸 샬롯 보일은 제6대 클리퍼드 여남작위를 상속받았고, 제4대 데본셔 공작 윌리엄 캐번디시와 결혼하면서 클리퍼드 남작위는 캐번디시 가문으로 이어졌다. 리처드 보일이 수집한 방대한 건축 도면 역시 사위인 데본셔 공작에게 상속되어 채츠워스 하우스에 보관되었다.
5. 1. 제1대 - 제3대 벌링턴 백작, 제1대 - 제7대 코크 백작, 제1대 - 제7대 오럴리 백작, 제1대 - 제8대 댕거번 자작 계보도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의 해당 섹션 내용이 제거 대상인 템플릿으로만 구성되어 있어 표시할 내용이 없습니다.)5. 2. 클리퍼드 남작 (1628년 창설, 제1대 - 제8대) 계보도
| 대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 제1대 | 헨리 클리퍼드 | 1591-1643 | 제5대 컴벌랜드 백작 |
| 제2대 | 엘리자베스 클리퍼드 | 제1대 남작의 딸, 리처드 보일과 결혼 | |
| 제3대 | 찰스 보일 | 1639-1694 | 제2대 여남작의 아들, 제3대 댕거번 자작 |
| 제4대 | 찰스 보일 | 1660-1704 | 제3대 남작의 아들, 제2대 벌링턴 백작 |
| 제5대 | 리처드 보일 | 1694-1753 | 제4대 남작의 아들, 제3대 벌링턴 백작 |
| 제6대 | 샬롯 보일 | 1731-1754 | 제5대 남작의 딸, 윌리엄 캐번디시와 결혼 |
| 제7대 | 윌리엄 캐번디시 | 1748-1811 | 제6대 여남작의 아들, 제5대 데본셔 공작 |
| 제8대 | 윌리엄 캐번디시 | 1790-1858 | 제7대 남작의 아들, 제6대 데본셔 공작 |
6. 평가
제3대 벌링턴 백작 리처드 보일은 "건축가 백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18세기 영국 건축계에 팔라디오 양식의 부흥을 이끌고 신고전주의 건축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1] 그는 부유한 영국-아일랜드 귀족 가문 출신으로 요크셔와 아일랜드에 광대한 영지를 소유했지만[2], 상속받은 지위에 안주하지 않고 건축 분야에서 전문적인 활동을 펼쳤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어린 시절부터 예술에 관심을 보였던 벌링턴은 1714년부터 1719년까지 이어진 세 차례의 그랜드 투어를 통해 건축적 안목을 키웠다. 특히 1719년 베네토 지역 여행 중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저서 ''건축의 네 권''을 탐독하고 팔라디안 건축에 깊은 영감을 받았다.[4] 그는 고대 로마 건축을 직접 연구하기보다는 팔라디오와 빈첸초 스카모치의 해석을 통해 고전주의 건축을 이해했으며, 이리고 존스와 그의 제자 존 웹의 도면을 수집하고 연구하며 자신만의 건축 철학을 발전시켰다.
벌링턴 백작의 건축 활동은 주로 콜렌 캠벨, 윌리엄 켄트, 헨리 플리크로프트 등 당대의 주요 건축가 및 디자이너들과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의 첫 주요 프로젝트인 런던의 벌링턴 하우스 개조는 영국 신-팔라디안 건축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작업으로 평가된다. 그는 바로크 양식을 선호했던 제임스 기브스를 해고하고 캠벨과 켄트를 기용하여 팔라디안 원칙에 입각한 새로운 디자인을 구현했다. 이후 그는 여러 건축가들을 후원하며 팔라디안 스타일의 확산에 기여했다.
1730년대에 이르면 벌링턴 백작이 주도한 팔라디안 스타일은 영국에서 전원 주택과 공공 건물의 주된 양식으로 자리 잡게 된다. 동시대의 문인 알렉산더 포프는 벌링턴 백작에게 헌정한 시 ''도덕적 에세이''에서 건축과 조경에 대한 그의 뛰어난 안목을 칭송했으며, 호레이스 월폴은 그를 "예술의 아폴로"라고 부르며 그의 영향력을 인정했다.
벌링턴 백작은 건축 설계뿐만 아니라 이론적인 연구에도 힘썼으며, 팔라디오와 이리고 존스의 건축 도면을 출판하여 후대에 전하는 데 기여했다. 그가 수집하고 연구한 건축 도면들은 사후 사위인 윌리엄 캐번디시, 제4대 데본셔 공작에게 상속되어 채츠워스 하우스에 보존되었으며, 이는 그의 건축 활동과 영향력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7][15] 또한 그는 1739년 파운들링 병원(Foundling Hospital) 설립에 참여하는 등 사회 활동에도 관심을 보였다.
벌링턴 백작의 건축 프로젝트 중 일부는 후대에 변경되거나 소실되었지만, 그가 영국 건축사에 남긴 영향은 지대하다. 그는 귀족이라는 신분을 넘어 건축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열정을 바탕으로 팔라디오 양식의 부활을 이끌었으며, 이는 영국 건축이 독자적인 신고전주의 양식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1730년에는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가터 훈장을 수여받았다.
7. 갤러리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the County of Middlesex
http://www.british-h[...]
Victoria County History
1982
[2]
서적
"Elite Women in Ascendancy Ireland, 1690–1745: Imitation and Innovation"
Boydell and Brewer
2015
[3]
서적
A General History of the Science and Practice of Music
T. Payne & Sons
1776
[4]
문서
Burlington to Sir Andrew Fountaine, 6 November 1719
Clark, J., in Barnard & Clark (eds) 'Lord Burlington, Architecture, Art and Life', 1995
[5]
서적
Handel. A documentary biography
1955
[6]
웹사이트
Handel Reference Database (in progress)
http://ichriss.ccarh[...]
1719
[7]
서적
Frederick the Great
1999
[8]
간행물
"Chiswick House and Gardens: Appearance and Meaning"
Toby Barnard and Jane Clark (eds) ''Lord Burlington. Architecture, Art and Life'' (London, Hambledon Press, 1995)
[9]
서적
"London's Country House Collections. Kenwood, Chiswick, Marble Hill, Ranger's House"
Scala Publications for English Heritage
[10]
서적
The Peerage of Ireland
1789
[11]
서적
Elite Women in Ascendancy Ireland, 1690-1745: Imitation and Innovation
Boydell and Brewer
2015
[12]
서적
Handel. A documentary biography
1955
[13]
웹사이트
HANDEL REFERENCE DATABASE
http://ichriss.ccarh[...]
2015-12-24
[14]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English Architects, 1660-1840"
Harvard University Press
1954
[15]
서적
Frederick the Great
1999
[16]
서적
The Palladian Revival: Lord Burlington, His Villa and Garden at Chiswick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4-01-01
[17]
서적
A General and Heraldic Dictionary of the Peerage of England, Ireland and Scotland
https://archive.org/[...]
Henry Colburn and Richard Bentley
1831
[18]
웹사이트
Dorothy Boyle, Countess of Burlington
http://www.britishmu[...]
British Museum
[19]
서적
The Alexander Pop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4
[20]
웹사이트
FitzRoy, George, Lord Euston (1715-47)
https://www.historyo[...]
[21]
웹사이트
William Cavendish, 4th Duke of Devonshire
http://www.thepeerag[...]
[22]
간행물
Journal of the Derbyshire Archaeological and Natural History Society
https://books.google[...]
The Society
1901
[23]
서적
A General and Heraldic Dictionary of the Peerage of England, Ireland and Scotland
https://archive.org/[...]
Henry Colburn and Richard Bentley
1831
[24]
간행물
Cavendish, William, fourth duke of Devonshire (bap. 1720, d. 1764)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