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이분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젠더 이분법은 사회가 개인을 두 가지 성 역할과 성 정체성 중 하나로 분류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 시스템은 주로 생물학적 성(염색체, 생식기)에 기반하며, 간성의 경우 이분법의 한계를 드러낸다. 젠더 이분법은 언어, 교육, 종교 등 다양한 사회 시스템에서 나타나며, 미디어에서도 묘사된다. LGBTQ+ 커뮤니티는 젠더 이분법에 반대하며,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 등 다양한 정체성을 통해 이를 거부한다. 젠더 이분법은 젠더 고정관념, 시스젠더 중심주의, 차별, 의료 서비스의 제한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며, 페미니즘, 섹슈얼리티, 젠더 고정관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비판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성소수자 감정 - 동성애 혐오
동성애 혐오는 성 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 감정, 편견, 차별을 의미하며, 심리적 혐오에서 비롯된 공포, 혐오, 증오 등으로 나타나 제도적 차별, 종교적 태도, 국가 주도 혐오, 내면화된 혐오, 사회적 혐오 등으로 구체화되는 사회 문제이다. - 반성소수자 감정 - 트랜스포비아
트랜스포비아는 트랜스젠더에 대한 혐오, 차별, 편견, 공포를 포괄하는 용어로, 차별적 언어 사용, 폭력, 배제 등의 형태로 나타나 트랜스젠더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트랜스포비아 - 소년은 울지 않는다 (1999년 영화)
킴벌리 피어스 감독의 영화 《소년은 울지 않는다》는 트랜스젠더 남성 브랜든 티나의 삶과 비극적인 죽음을 다룬 실화를 바탕으로, 힐러리 스왱크와 클로에 세비니의 열연과 함께 성 정체성, 사랑, 혐오, 사회적 소외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큰 반향을 일으키고 힐러리 스왱크에게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안겨주었다. - 트랜스포비아 - 젠더리즘
- 성 차별 - 성노예
성노예는 한 인간에 대한 소유권 행사로서 강간, 성적 학대, 강제 성행위 등 지속적인 인권 침해 행위를 의미하며, 국제형사재판소 로마 규정은 성적 예속을 범죄로 규정하고 인신매매, 강제 결혼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며, 역사적으로 전쟁, 빈곤 등과 연관되어 발생해왔고 국제사회가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성 차별 - 히잡
히잡은 무슬림 여성들이 머리와 목을 가리는 천 조각으로, 이슬람 율법에서 여성의 신체 가림을 권장하지만 착용 의무와 형태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며, 종교적 신념, 문화적 정체성, 여성 억압의 상징 등 복합적인 의미를 지닌다.
| 젠더 이분법 | |
|---|---|
| 개념 | |
| 정의 | 성별을 남성과 여성, 두 가지 상호 배타적인 범주로 나누는 분류 체계이다. |
| 특징 | 사회적으로 구성된 이분법적 성별 규범 생물학적 성, 젠더 정체성, 성별 표현을 이분법적으로 규정 사회적 역할, 기대, 규범 형성에 영향 |
| 반대 개념 | 젠더 다양성, 젠더 비이분법 |
| 사회적 영향 | |
| 사회적 규범 | 성별에 따른 역할 부여 사회적 기대 형성 남성과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 강화 |
| 젠더 불평등 | 성차별과 불평등의 근원 여성에 대한 차별과 억압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배제 |
| 문화적 영향 | 문화적 다양성 억제 개인의 성별 표현 자유 제한 사회적 낙인과 편견 강화 |
| 비판 | |
| 젠더 다양성 무시 | 성별이 이분법적으로 나뉘지 않는 사람들의 존재를 부정 젠더퀴어, 트랜스젠더, 간성 등 다양한 젠더 정체성 무시 |
| 사회적 불평등 심화 | 성차별, 호모포비아, 트랜스포비아 등 차별의 근본 원인 소수자에 대한 억압과 배제 강화 |
| 개인의 자유 제한 | 개인의 성별 정체성과 표현의 자유 침해 사회적 규범에 대한 순응 강요 자기 결정권 부정 |
| 관련 용어 | |
| 젠더리즘 | 젠더 이분법을 기반으로 한 차별과 편견 |
| 이성애 규범성 | 이성애를 정상적이고 우월한 것으로 간주하는 관념 |
| 트랜스포비아 | 트랜스젠더에 대한 차별과 편견 |
| 젠더 비이분법 | 성별을 남성 또는 여성으로만 구분하지 않는 젠더 정체성 |
| 젠더 다양성 | 다양한 젠더 정체성과 표현을 포괄하는 개념 |
| 참고 문헌 | |
| 서적 | Vested Interests: Cross-dressing and Cultural Anxiety (Marjorie Garber) Adventures in Lesbian Philosophy (Claudia Card) Life-Span Human Development (Carol K. Sigelman, Elizabeth A. Rider) Psychopathology: Foundations for a Contemporary Understanding (James E. Maddux, Barbara A. Winstead) |
| 저널 | 'Trapped' in Sing-Sing: Transgendered Prisoners Caught in the Gender Binarism (Darren Rosenblum) |
| ISBN | 978-1-4833-8427-6 |
2. 젠더 이분법의 일반적 특징
젠더 이분법은 사회 구성원을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가지 범주로 나누고, 각 범주에 특정한 성역할, 성 정체성, 성적 지향을 기대하는 사회적 규범이다.[12] 이는 생물학적 성(염색체와 생식기)을 기반으로 특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2]
간성인의 경우, 젠더 이분법은 한계를 드러낸다. 간성인은 희귀한 유전적 차이로 인해 남녀 양쪽의 성기를 가지거나 규범적이지 않은 생식기를 가질 수 있어, 이 시스템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3]
비판적 인종 이론과 교차적 페미니즘 관점에서 젠더 이분법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북미와 남미의 유럽 식민화 과정에서 젠더 이분법 시스템이 가부장적 규범을 유지하고 유럽 국가주의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강요되었다고 주장한다.[14][15]
생물학적 성과 젠더는 서로 다르다는 주장과 함께 이분법 시스템에 대한 비판도 제기된다. 생물학적 성은 남성, 여성, 간성인 사이의 생물학적 및 염색체적 차이와 관련이 있는 반면, 젠더는 사회문화적 사회화의 결과이다.[16] 전통적인 성 역할은 미디어, 종교, 주류 교육, 정치 시스템, 문화 시스템 및 사회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유지된다.[17]
성별 개념은 생식 기능이나 생식기와 관련되어 있지만, 성염색체, 성선, 내성기, 외성기 등 다양한 성적 특징 수준에서 성의 구분은 연속적이다.[53][54]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생활에서 사람들은 여러 상황에서 남자 또는 여자 중 한쪽으로 분류되며, 이는 단순한 생물학적 사실이 아니라 사회 규범(사회적 의미 부여)이라고 할 수 있다.[55]
2. 1. 언어
영어에서 일부 명사(예: boy), 존칭(예: Miss), 직업 명칭(예: actress), 그리고 인칭 대명사(예: she, his)는 성별이 있으며 남성/여성 이분법에 속한다.[18] 영어의 인칭 대명사는 일반적으로 남성(he/him) 또는 여성(she/her)과 관련되어 있으며, 남성 또는 여성으로 자신을 식별하지 않는 사람들을 배제한다.[19] 그러나 성별 중립 대명사인 단수 ''they'' 대명사(they/them)는 비이성애자 및 성 정체성 비확정자뿐만 아니라 성별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에도 때때로 사용된다.[19][20] 2019년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 5명 중 거의 1명은 'he' 또는 'she' 대신 'they'와 같은 성별 중립 대명사를 사용하는 사람을 개인적으로 알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41][21] 또한 사람들은 다른 인칭 대명사 대신 신대명사를 사용할 수 있다.[20] 신대명사의 예로는 xe/xem, ze/zim, 그리고 sie/hir이 있다.[20]하이드와 동료들의 연구에 따르면 영어권(및 기타 성별 언어) 환경에서 자란 어린이는 성별을 이분법적 범주로 인식하게 된다.[22] 이들은 미국에서 영어를 모국어로 배우는 어린이의 경우, 성별 이분법을 사용하여 개인을 명시적으로 분류하는 성인의 사용(즉, "남자"와 "여자" 화장실 및 스포츠팀)과 성별 표식의 존재 자체가 아닌 것이 성별 편향을 유발한다고 말한다.[22] 이러한 편견은 정보 처리에 나타날 수 있으며, 성별 이분법 언어 시스템 내부 및 외부의 사람들에게 향하는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3] 예를 들어 채용 설명서와 광고에서 성별 언어를 사용하면, 사용된 언어에 의해 배제된 사람들은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분리된 직업 분야가 생길 수 있다.[23] 새로운 일자리 공고에 "he"라는 대명사만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직장이나 직업에서는 여성이 체계적으로 배제될 수 있으며, "she"와 "he"(이분법적 대명사)의 독점적 사용은 성별 이분법에 맞지 않고 성별 중립적 언어를 선호하는 사람들을 체계적으로 배제할 수도 있다.[23]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성별 이분법과 관련된 언어는 더욱 그렇다. 예를 들어, 스웨덴에서는 전국 신문에 ''hon''(그녀)과 ''han''(그)의 인칭 대명사를 ''hen''을 포함하도록 확장하는 제안이 발표되었다.[24] 이 기사는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켰는데, 많은 사람들이 ''hen''이 그것을 선호하는 비이성애자를 위한 대명사로 사용될 수 있으며, 언어를 더욱 성평등하게 만들고 직장 광고와 같은 것에 부과되는 이분법적 라벨을 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4] 다른 사람들은 ''hen''의 사용이 스웨덴의 성평등 진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어린이들에게 혼란을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24] ''hen''의 포함은 성별과 언어가 함께 의미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기존의 통념에 도전하고, 이분법적 시스템 외부에서 성별이 어떻게 정의되는지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24]
프랑스어나 스페인어와 같이 일부 언어는 단어에 성별을 부여한다.[25]
2. 2. 교육
교육 환경은 젠더 이분법을 무의식적으로 주입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자아이는 감정적이고 애정이 많으며, 주변 환경과 외모에 까다로운 것으로 기대되는 반면, 남자아이는 잔인하고 지배적이며 집단 환경에서 리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대된다.[26] 여자아이는 주로 영어 수업에서 뛰어나기를 기대하는 반면, 남자아이는 체육과 STEM 과정에서 성공하기를 기대한다.[26] 남자아이가 여자아이보다 수학을 더 잘한다는 고정관념은 수학 관련 직업을 추구하는 여성의 수가 적고, 교육에서 수학 관련 과목에 대한 참여가 전반적으로 저조한 것과 관련이 있다.[27] 여성의 STEM 분야 참여를 장려하고 대중 매체가 어린이에게 가르치는 성별 고정관념을 해체하기 위해 여자아이를 대상으로 한 아동 도서 출판이 증가하고 있다.[27]2. 3. 종교
많은 기독교인들은 창세기의 창조 이야기에 나타나는 성별 이분법을 들어 성별 이분법이 선하고 정상적이라고 가르치며, "하나님이 자기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셨다"고 선포되어 있다고 주장한다.[28][29][30] 캐롤 S. 위머(Carol S. Wimmer)는 창세기 창조 서술이 "성적 기능이나 성적 활동"이 아닌 "형태, 본질, 또는 역할의 목적"에 대한 언어적 성별 이분법을 암시한다고 제안한다.[31]3. LGBTQ+ 커뮤니티와 젠더 이분법
젠더 이분법은 제도화된 권력 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전통적인 젠더 이분법 밖에서 자신을 정체화하는 개인들은 차별과 괴롭힘을 경험할 수 있다. 많은 LGBTQ+ 사람들, 특히 젊은 활동가 단체들은 젠더 이분법에 반대한다.[32] LGBTQ+ 공동체 내 많은 개인들은 내부적인 권력 서열을 보고하며, 이분법적 시스템 내에서 자신을 정체화하지 않는 일부 사람들은 서열의 맨 아래에 있다고 느낀다. 인종, 민족, 나이, 성별 등의 다양한 변수는 개인의 인식된 권력을 낮추거나 높일 수 있다.[32]
현대 서구에서 논바이너리 또는 젠더퀴어 사람들은 "남성"과 "여성"과 같은 용어를 거부함으로써 젠더 이분법을 따르지 않는데, 그들은 어느 쪽으로도 자신을 정체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트랜스젠더 사람들은 젠더 이분법과 관련하여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경우에 따라 사회적 기대에 맞추기 위해 트랜스젠더 개인은 수술, 호르몬 또는 둘 다를 선택할 수 있다.[34]
볼룸 문화는 LGBT 공동체가 젠더 이분법을 어떻게 해석하고 거부하는지 보여주는 예이다. 제니 리빙스턴(Jennie Livingston)이 감독한 영화 ''파리스 이즈 버닝''은 1980년대 후반 뉴욕의 볼룸 신을 묘사한다.[35] 볼에서 경쟁하기 위해 남성, 여성, 그리고 그 사이의 모든 사람들은 의상을 만들고 각자의 부문에서 워킹을 한다. 여기에는 버치 퀸, 트랜스 남성 리얼니스, 그리고 페미닌 퀸 등이 있다.[35] 볼이 진행되는 동안 젠더 이분법은 무시되고 경쟁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해석하는 방식대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35] 다양한 부문에서 경쟁하는 사람들의 장면 안에는 뉴욕에서 젠더 이분법 밖의 삶을 묘사하는 이야기가 있다. 영화가 개봉된 이후 미디어의 부상과 드랙 문화의 수용으로 볼룸 신은 쇠퇴해왔다.[36]
4. 젠더 이분법에 대한 비판
젠더 이분법은 사회 구성원을 두 가지 성역할과 성 정체성으로 분류하고, 생물학적 성(염색체와 생식기)을 기반으로 특성을 부여하는 시스템이다.[12] 그러나 이러한 이분법적 시스템은 간성인과 같이 남녀 양쪽의 성기를 가지거나 규범적이지 않은 생식기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한계를 드러낸다.[13]
교차 페미니즘과 비판적 인종 이론 학자들은 북미와 남미의 유럽 식민화 과정에서 젠더 이분법이 가부장적 규범을 유지하고 유럽 국가주의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강요되었다고 주장한다.[14][15] 또한, 생물학적 성은 남성, 여성, 간성인 사이의 생물학적 및 염색체적 차이를 의미하는 반면, 성은 사회문화적 사회화의 결과라는 점에서 이분법 시스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된다.[16] 전통적인 성 역할은 미디어, 종교, 주류 교육, 정치 시스템, 문화 시스템 및 사회 시스템의 영향을 받아 유지된다.[17]
일부 학자들은 명확한 젠더 이분법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한다. 주디스 러버(Judith Lorber)는 "그룹 내 차이보다 그룹 간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분법적 분류가 이루어진다고 지적하며, 이는 젠더 이분법이 임의적이며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잘못된 기대를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한다. "누가 누구와 유사한지에 대한 사전 가정" 없이 사람들을 비교하는 추가 범주를 활용해야 한다는 지지가 커지고 있다.[37] 성을 이분법으로 보는 관점은 차별적인 권력 역학을 반영하는 억압적인 수단으로 여겨진다.[38]
4. 1. 섹슈얼리티
성별은 생식 기능이나 생식기와 관련되어 있지만, 성염색체, 성선, 내성기, 외성기 등 다양한 성적 특징의 수준에서 연속적이다.[53][54] 성별은 생물학적인 동시에 사회적인 것이며, 생물학적 측면에서도 여러 요소가 존재한다.인터섹스 당사자인 하시모토 히데오(橋本秀雄)는 성을 10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설명한다.[57]
1. 성염색체의 구성과 성의 유전 정보 (X염색체와 Y염색체의 조합)
2. 성선의 발생 (난소, 고환, 난고환, 선상성선으로 분화하는지 여부)
3. 내성기의 발생 (자궁으로 분화하는가? 전립선으로 분화하는가?)
4. 외성기의 발생 (음순과 클리토리스로 분화하는가? 음낭과 페니스로 분화하는가?)
5. 요도구의 발생
6. 의사가 판정하는 성 (여성인가, 인터섹스인가, 남성인가)
7. 호적의 성별
8. 이차성징 (월경이 나타나는가? 발기하여 사정하는가? 둘 다 아닌가?)
9. 사회 규범으로서의 아이덴티티 (성정체성, 사회적 지위, 남성성/여성성 등)
10. 성적 지향
현실적으로는 이러한 10가지 차원이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성별 이원론이라는 규범 아래서는 이것들이 모두 일치하는 것이 당연시되며, 성별 이원론 하에서는 이러한 차원들이 일치하지 않는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배제되거나 보이지 않게 된다. 이처럼 '''성별 이원론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연결되어 있다.'''[58] 주디스 버틀러는 성별 이원론은 이성애 중심주의가 요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59]
4. 2. 페미니즘
페미니즘은 성별 관계의 권력적 비대칭성을 비판하며,[60] 페미니즘에서도 젠더 이분법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61]1990년대 전후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이라는 범주가 하나의 덩어리가 아니며,[62][63] 고정적이고 "자연스러운" 범주도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64] 이러한 점에서 "여성"이라는 범주를 당연하게 전제하는 듯한 페미니즘에 대해서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어원적으로 "여성(페미나)"의 "이즘"이라고 해서, 젠더 이분법에 대한 비판 때문에 "페미니즘"이라는 틀 자체가 버려지는 것은 아니다. 먼저 현실적인 문제로서, 여성 차별은 여전히 뿌리 깊게 남아 있다.[65] 또한 최근에는 "남성 문제"에 대해서도 성별의 관점에서 논의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여성들 사이, 남성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도 논의 대상이 되고 있다.[66] 이처럼 "여성"과 "남성"이라는 범주는 현재 사회에서 실제로 기능하고 있다. 그러므로 '''성별 이분법에 근원적인 의문을 제기하면서 동시에 성별 이분법이 어떤 형태로 사회에 나타나는지를 기술·분석하는 활동으로서, "페미니즘"이라는 틀은 현대에도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67]
4. 3. 젠더 고정관념
젠더 고정관념은 젠더 이분법과 그 안의 권력 시스템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39] 젠더 비순응적인 사람들도 유해한 고정관념을 경험하며, 시스젠더에 대한 고정관념과 트랜스젠더 또는 젠더 비순응적인 것에 대한 편견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예를 들어, "정신 질환자"와 "혼란스러운"이라는 꼬리표는 시스젠더 사람들이 트랜스젠더 개인에게만 특별히 부여하는 고정관념이다.[40]시스젠더 개인이 트랜스젠더와 젠더 비순응적인 사람들에게 적용하는 고정관념은 생물학적 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트랜스젠더 정체성에 대한 광범위한 고정관념이 결합된 것이다. 이는 상반되고 잘못된 이미지를 만들어내어 트랜스젠더 사람들에게 직접적이고 폭력적으로 해를 끼친다. 이러한 트랜스젠더혐오적 고정관념은 트랜스젠더와 젠더 비순응 공동체에 대한 폭력으로 이어진다. 트랜스젠더 개인은 신체적으로 폭행당하거나 살해당하고, 잘못된 성별로 불리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공간에 대한 접근이 거부되고, 정부 및 기타 공식 문서에 자신의 신분을 변경하는 것이 법적으로 차단된다.[40] 차별과 폭행률은 백인보다 유색인종 트랜스젠더와 젠더 비순응 사람들에게 훨씬 더 높다.[39]
4. 4. 시스젠더 중심주의
시스젠더 중심주의는 성별 이분법의 산물로, 사람들이 시스젠더(출생 시 지정된 성과 성 정체성이 일치하는 사람)라고 가정하는 것을 말한다.[41] 이러한 이데올로기는 이분법적 성별과 비이분법적 성별을 가진 트랜스젠더 모두를 배제하며,[41] 이로 인해 성별 이분법 밖에 있는 사람들은 비정상적인 지위 때문에 개인, 대인 관계, 제도적 차원에서 건강 및 폭력과 관련된 불균형을 경험하게 된다.[42]4. 5. 차별
젠더 이분법, 특히 이분법에 대한 확고한 믿음은 성에 순응하지 않는 사람들, 트랜스젠더, 논바이너리 등을 병리화하고 비정상적이며 "현상 유지"를 방해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차별과 피해를 입힐 수 있는 계층적 시스템을 만든다.[16]4. 6. 의료
젠더 이분법은 젠더 비순응 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의료 서비스의 적절성에 제한을 가한다.[43] 비이분법적 성 정체성에 대한 의료 제공자들의 문화적 역량 부족은 비이분법적 트랜스젠더 개인들이 이분법적 트랜스젠더 및 시스젠더 개인보다 더 큰 건강 불평등에 직면하게 만든다.[44]5. 미디어와 젠더 이분법
많은 유명인들이 자신이 인식되는 성별이나 성 정체성과 일반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옷을 입음으로써 젠더 이분법에 반대해 왔다.[45][46][47] 프린스, 데이비드 보위, 커트 코베인, 제이든 스미스, 루비 로즈, 레인 더브, 빌리 포터, 해리 스타일스 등이 그 예이다. 비이성적 성별을 자칭하는 유명인으로는 샘 스미스, 인디아 무어, 브리짓 런디-페인, 킹 프린세스, 조나단 반 네스, 벡 테일러-클라우스, 아만들라 스텐버그, 데미 로바토 등이 있으며, 더 많은 유명인들의 목록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48][49][50]
음악 업계의 유명 인사인 해리 스타일스는 2020년 미국 《보그》지 표지에 등장하여 성별 의복 규범을 거부한 것으로 인기를 얻었다.[51] 해리 스타일스는 여성과 관련된 의류인 드레스와 남성과 관련된 의류인 블레이저를 모두 착용함으로써 여성적이고 남성적인 것의 암묵적인 분리를 거부했다.[51][52] 여성과 남성 모두와 관련된 의류를 받아들인 그의 행위는 젠더 이분법을 거부하는 것이다.[52]
참조
[1]
서적
Vested Interests: Cross-dressing and Cultural Anxiet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7-11-25
[2]
서적
Adventures in Lesbian Philosophy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3]
학술지
'Trapped' in Sing-Sing: Transgendered Prisoners Caught in the Gender Binarism
[4]
서적
The SAGE Encyclopedia of Psychology and Gender
2017
[5]
서적
Life-Span Human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7-03-14
[6]
서적
Psychopathology: Foundations for a Contemporary Understand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7-11
[7]
웹사이트
glbtq >> literature >> Gender
http://www.glbtq.com[...]
glbtq: An Encyclopedia of Gay, Lesbian, Bisexual, Transgender, and Queer Culture
[8]
학술지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derism and Transphobia Scale
2015-10
[9]
서적
The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n Femicide and Feminicide
2023
[10]
학술지
Race, Gender and Class Intersectionality
https://www.jstor.or[...]
2017-03
[11]
학술지
On Intersectionality: Essential Writings
https://scholarship.[...]
2017-03-01
[12]
서적
Gendered bodies : feminist perspectives
Roxbury Pub. Co
2007
[13]
학술지
The Five Sexes, Revisited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4]
학술지
INTERSECTIONALITY
2013
[15]
학술지
Intersectionality, nationalisms, biocoloniality
https://eprints.bbk.[...]
2018-10-02
[16]
학술지
Living on the Margins Beyond Gender Binaries: What Are the Challenges to Securing Rights
2021-11
[17]
학술지
Sex and Gender: Beyond the Binaries
http://www.sagepub.c[...]
2002
[18]
학술지
Introducing a gender-neutral pronoun in a natural gender language: the influence of time on attitudes and behavior
2015
[19]
웹사이트
Gendered Pronouns & Singular "They" // Purdue Writing Lab
https://owl.purdue.e[...]
[20]
웹사이트
Gender-Neutral Pronouns 101: Everything You've Always Wanted to Know
https://www.them.us/[...]
2020-05-22
[21]
뉴스
Should your email say if you're he, she or they?
https://www.bbc.com/[...]
2020-02-19
[22]
학술지
The future of sex and gender in psychology: Five challenges to the gender binary
2019-02
[23]
학술지
Beyond He and She: Does the Singular Use of 'They, Them, Their' Function Generically as Inclusive Pronouns for Cisgender Men and Women?
2023-03
[24]
학술지
Breaking the Binary: Attitudes towards and Cognitive Effects of Gender-Neutral Pronouns
search.ebscohost.com[...]
2021-01
[25]
서적
Gender: Ideas, Interactions, Institutions, Second Edition
[26]
학술지
Endorsement of Gender Stereotypes in Gender Diverse and Cisgender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2022-06
[27]
학술지
Exposure to Stereotype-Relevant Stories Shapes Children's Implicit Gender Stereotypes
2022-08
[28]
웹사이트
Sexual Madness and the Image of God
https://erlc.com/res[...]
Ethics & Religious Liberty Commission
2016-05-31
[29]
웹사이트
He Made Them Male and Female: Sex, Gender, and the Image of God
https://www.desiring[...]
2019-12-14
[30]
웹사이트
What does the Bible mean by "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Genesis 1:27)?
https://www.gotquest[...]
2021-02-16
[31]
웹사이트
Male and Female in Genesis 1
https://carolwimmer.[...]
2021-06-10
[32]
학술지
Genderism in the LGBTQQIA Community: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2015
[33]
학술지
Heterosexualism and the Colonial / Modern Gender System
2017-12-12
[34]
서적
Transmen and FTMs: Identities, Bodies, Genders, and Sexualities
University of Illinois
[35]
영상매체
Paris Is Burning
[36]
뉴스
Paris Has Burned
https://www.nytimes.[...]
2022-04-21
[37]
서적
Believing is Seeing: Biology as Id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38]
저널
Gender as a Question of Historical Analysis
2008-11-00
[39]
저널
Perceptions of Nonbinary Identifying Individuals: Through the Lens of Gender and Race
[40]
저널
(Trans)Gender Stereotypes and the Self: Content and Consequences of Gender Identity Stereotypes
[41]
저널
Why Can't You Just Pick One? The Stigmatization of Non-binary/Genderqueer People by Cis and Trans Men and Women: An Empirical Test of Norm-Centered Stigma Theory
https://doi.org/10.1[...]
2021-09-01
[42]
저널
Unlearning the Violence of the Normative
https://www.jstor.or[...]
2017
[43]
저널
Opportunities and Gaps in Primary Care Preventative Health Services for Transgender Patients: A Systemic Review
2016
[44]
저널
Transgender health in medical education
http://www.who.int/e[...]
2021-04-01
[45]
웹사이트
Gender-fluid dressing could lead to renaissance in fashion, says advocate
https://www.cbc.ca/r[...]
2022-04-28
[46]
웹사이트
Jaden Smith Opens Up About Being A Gender Neutral Style Icon To 'GQ' & It's Truly Inspiring
https://www.bustle.c[...]
2022-04-29
[47]
서적
Glitter Up the Dark : How Pop Music Broke the Binary
University of Texas Press
[48]
웹사이트
14 celebrities who don't identify as either male or female
https://www.insider.[...]
2022-05-01
[49]
웹사이트
King Princess Is a Genderqueer Pop Ic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Queer Youth
https://www.them.us/[...]
2022-05-01
[50]
웹사이트
King Princess and Mj Rodriguez on the self-actualizing power of inventing a new persona
https://www.document[...]
2022-05-01
[51]
저널
Forum Introduction: Addressing Gender, Gendering Dress
2021-07-00
[52]
웹사이트
Harry Styles: Breaking The Gender Binary
https://pfhstheroar.[...]
2022-04-29
[53]
웹사이트
Visualizing Sex as a Spectrum
https://blogs.scient[...]
2021-05-12
[54]
저널
Sex redefined
http://www.nature.co[...]
2015-02-19
[55]
서적
ジェンダー
弘文堂
[56]
문서
[57]
서적
性のグラデーション――半陰陽児を語る
青弓社
[58]
문서
ジェンダー・トラブル
青土社
[59]
문서
ジェンダー・トラブル
青土社
[60]
서적
新版 差異の政治学
岩波書店
[61]
서적
フェミニズム
岩波書店
[62]
서적
ベル・フックスの「フェミニズム理論」――周辺から中心へ
あけび書房
[63]
문서
ジェンダー・トラブル
青土社
[64]
문서
ジェンダー・トラブル
青土社
[65]
서적
はじめてのジェンダー論
有斐閣
[66]
서적
ジェンダー学の最前線
世界思想社
[67]
서적
フェミニズム
岩波書店
[68]
서적
Vested Interests: Cross-dressing and Cultural Anxiety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2-09-18
[69]
서적
Adventures in Lesbian Philosophy
https://archive.org/[...]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09-18
[70]
저널
'Trapped' in Sing-Sing: Transgendered Prisoners Caught in the Gender Binarism
[71]
서적
The SAGE Encyclopedia of Psychology and Gender
2017
[72]
서적
Life-Span Human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21-08-04
[73]
서적
Psychopathology: Foundations for a Contemporary Understand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