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젠도는 선종 사찰에서 수행자들이 좌선 수행을 하는 건물 또는 수행 공간을 의미한다. 인도 불교에서 유래하여 중국 당나라 시대 백장회해에 의해 청규와 함께 창시되었으며, 일본 조동종의 개조 도겐에 의해 흥성사에 처음 세워졌다. 젠도는 좌선당, 운당, 총림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칠당가람 중 하나로 산문, 불전, 법당과 함께 배치된다. 내부에는 성승의 좌상과 수행자들의 좌선 공간인 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사(師家)와 운수(수행자)로 구성되어 운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젠도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선종 사찰 |
위치 | 일본 |
건축 목적 | 참선 수행 |
다른 이름 | 승당 (Sōdō, 僧堂) 선불장 (Senbutsu-jō, 選仏場) |
상세 정보 | |
역사적 의미 | 수행자들이 함께 생활하며 좌선하는 장소 |
주요 기능 | 좌선 식사 수면 |
내부 규칙 | 엄격한 규칙 준수 |
현대적 의미 | 서양의 참선 센터 |
건축 양식 | 간결하고 기능적인 디자인 |
공간 구성 | 좌선 공간 식당 욕실 화장실 |
중요성 | 선 수행의 핵심 장소 |
규칙 준수 | 공동체 생활의 중요한 부분 |
위치 | 본당의 동쪽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 |
역할 | 승려들이 좌선, 식사, 수면을 함께 하는 장소 |
규율 | 승당 안에서의 행동은 엄격한 규칙에 따라 통제됨 |
용어 | |
로마자 표기 | Zendō |
한자 표기 | 禅堂 |
중국어 표기 | Chántáng |
일본어 다른 표기 | 선불장 (Senbutsu-jō, 選仏場) |
2. 역사
인도 시대의 불교에서 승려들이 집단생활을 하는 건물을 승당(僧堂)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사찰이나 승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현재로 이어지는 승당은 당나라 시대의 중국에서 백장회해에 의해 청규(승려의 집단생활을 위한 규칙)와 함께 창시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설봉숭성사, 경산만수사, 천동산 등 여러 사찰에서 제도가 정비되어 송나라 시대에 일본에 전해졌다.
일본 최초의 승당은 일본 조동종의 개조 도겐에 의한 흥성사 승당으로 여겨진다. 이후 선종의 지방 전개와 함께 각지에 설립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영평사나 건장사 등에서 수행 도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2. 1. 인도와 중국
2. 2. 한국
2. 3. 일본
인도 시대의 불교에서 승려들이 집단생활을 하는 건물을 승당(僧堂)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사찰이나 승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현재로 이어지는 승당은 당나라 시대의 중국에서 백장회해에 의해 청규(승려의 집단생활을 위한 규칙)와 함께 창시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설봉숭성사, 경산만수사, 천동산 등 여러 사찰에서 제도가 정비되어 송나라 시대에 일본에 전해졌다.일본 최초의 승당은 일본 조동종의 개조 도겐에 의한 흥성사 승당으로 여겨진다. 이후 선종의 지방 전개와 함께 각지에 설립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영평사나 건장사 등에서 수행 도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3. 명칭
젠도(선당)는 좌선당을 줄인 말이다. 조동종에서는 좌선당 중앙에 안치된 성승의 이름을 빌려 성승당이라고 부른다. 그 외에도 젠도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 운당: 사방에서 승려들이 모여 수행하는 도장이라는 의미이다.
- 총림: 많은 수행승이 한 곳에 거주하는 것을 나무가 무성하게 숲을 이루는 모습에 비유한 것이다.
- 선불장: 수행자 중에서 불조를 선출하는 도장이라는 의미이다.
- 고목당: 고목과 같이 마음을 움직이지 않고 좌선이 행해지는 장소라는 의미이다.
- 대철당: 불조의 도에 크게 깨달아 통달하는 도장이라는 의미이다.
- 좌선당: 중생들이 좌선을 하는 당, 또는 선을 닦는 당을 의미한다.
- 좌당: 좌선당을 줄인 또 다른 표현이다.
단순히 좌선당 건물을 가리키는 것뿐만 아니라, 수행 도장으로서의 선원 자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4. 구조
4. 1. 가람 배치
승당(僧堂)은 선종(禪宗)에서 칠당가람 중 하나로 꼽히며, 직선으로 늘어선 산문・불전・법당을 사이에 두고 회랑의 반대편, 산문에서 불전을 향해 왼쪽 측면에 설치된다.4. 2. 외관
일반적으로 승당은 사각형으로 설계되며, 한 변의 중앙에 입구가 설치된다. 입구는 한 곳만 있는 것이 아니라, 두 곳이 설치되기도 하며, 그럴 경우 한 곳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입구에는 문이 달리는 일은 없으며, 보통 열어둔 채로 사용한다. 여름이나 겨울에는 발이나 장막을 설치하기도 한다.4. 3. 내부
일반적으로 입구 정면에 해당하는 중앙에는 "성승"의 좌상이 안치되어 있다(조동종). 성승으로는 석가의 지혜의 화신인 문수보살이나 마하가섭이 선택된다. 성승 앞을 가로지르는 것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그리고 성승을 둘러싸듯이 건물의 벽을 따라 승려 개인의 좌선·생활의 장소인 "단(単)"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단의 크기는 1인 1첩이다.내부 공간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성승 양옆의 중앙 공간에 단이 설치된다.
단 중에서 입구에 가장 가까운 장소를 "단두(単頭)"라고 하며, 사승(승당사)이 앉는 위치가 된다.
또한, 건물의 외부 벽을 따라 단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것을 '''외단(外単)'''이라고 하여 내부의 '''내단(内単)'''과 구별한다.
5. 승당 생활
승당은 지도자인 사(師家)와 수행자인 운수로 구성된다. 운수는 나의 스승으로 삼을 만하다고 생각하는 사가를 찾아 모여든다.
- '''평석'''(ひょうせき) - 운수 중 상위의 자로, 지객, 부사, 직일, 성시 등의 여러 역할을 담당한다. '''역위'''라고도 불린다. 평석의 평의에 의해 승당의 운영이 협의되고, 구수(아래 참조) 중에서 선발된 보좌원과 상담하여 마지막으로 사에게 상달 재가를 얻는다.
- '''회하'''(えか) - 이미 승당을 떠난 사람들까지 포함한 자.
- '''구수'''(きゅうずい) - 회하 중 현역 중에 평석을 했던 자. 구수 중에서 보좌원이 선정된다.
승당의 내부는, '''상주'''와 '''당내'''로 크게 나뉜다.
상주는 지객, 부사, 전좌, 전사, 은지의 여러 역할로 나뉘어져 있다. 각 역할의 방을 료사라고 하며, '료'자를 붙여 '지객료', '부사료' 등으로 부른다.
5. 1. 일과
5. 2. 식사 (공양)
세신 기간 동안 일부 사찰에서는 선방에서 식사를 한다.[1] 하루 세 끼의 식사가 제공되는데, 동이 트기 전 이른 아침에 제공되는 아침 식사는 일반적으로 쌀죽과 절인 채소로 구성된다.[1] 점심과 늦은 오후에 두 끼의 식사가 제공된다.[1] 점심은 주요 식사로, 보통 밥, 채소 수프, 절인 채소로 구성된다.[1] 오후 식사는 점심 식사에서 남은 음식으로 구성된다.[1] 아침과 점심 식사 전에는 반야심경과 "다섯 가지 명상"을 낭송한다.[1] 점심 식사 동안 승려들은 식사의 일부를 아귀에게 바친다.[1] 승려들은 식사 시간 동안 침묵을 지키며 손과 팔 제스처로 소통한다.[1]5. 3. 구성원
승당은 지도자인 사(師家)(しけ)와 수행자인 운수(うんすい)로 구성된다. 운수는 나의 스승으로 삼을 만하다고 생각하는 사가를 찾아 모여든다.운수 중 상위자는 평석(ひょうせき)이라고 불리며, 지객(しか), 부사(ふうす), 직일(じきじつ), 성시(しょうじ) 등의 여러 역할을 담당한다. 역위라고도 불린다. 평석의 평의에 의해 승당의 운영이 협의되고, 구수(아래 참조) 중에서 선발된 보좌원과 상담하여 마지막으로 사에게 상달 재가를 얻는다.
이미 승당을 떠난 사람들까지 포함한 자는 회하(えか)라고 불린다. 회하 중 현역 중에 평석을 했던 자는 구수(きゅうずい)라고 불린다. 구수 중에서 보좌원이 선정된다.
승당의 내부는 상주와 당내로 크게 나뉜다. 상주는 지객, 부사, 전좌(てんぞ), 전사(でんす), 은지(いんじ)의 여러 역할로 나뉘어져 있다. 각 역할의 방을 료사라고 하며, '료'자를 붙여 '지객료', '부사료' 등으로 부른다.
6. 현대 한국 불교와 승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