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주외젠 오스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르주외젠 오스만은 1809년 파리에서 태어나 법학을 공부하고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1853년 센 주지사로 임명된 후 나폴레옹 3세의 지시 아래 파리 개조 사업을 주도했다. 그는 낡은 건물을 철거하고 넓은 대로를 건설했으며, 위생 시설 개선, 공원 조성 등 대규모 도시 계획을 추진했다. 이 사업은 "오스만화"로 불리며, 파리의 도시 경관과 사회·경제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1870년 나폴레옹 3세의 실각과 함께 해임되었으며, 1891년 사망했다. 그의 파리 개조 계획은 세계 여러 도시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된 인물 - 샤를프랑수아 도비니
샤를프랑수아 도비니는 19세기 프랑스의 풍경화가이자 판화가로, 바르비종파 화가들과 교류하며 야외 사생을 통해 자신만의 스타일을 확립하고 인상주의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봄》, 《달빛》 등이 있다. -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된 인물 - 피에르앙리 드 발랑시엔
피에르앙리 드 발랑시엔은 프랑스 화가로, 로마에서 자연을 관찰하고 야외 사생 이론을 제시하며 풍경 초상화 개념을 개발했으며, 빛과 날씨에 따른 풍경 변화를 포착하고자 했다. - 프랑스의 개신교도 - 폴 리쾨르
폴 리쾨르는 프랑스의 철학자로서 현상학과 해석학을 융합한 해석학적 현상학을 발전시켰으며, 철학, 윤리학, 언어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깊이 있는 사상을 제시하고 2005년에 사망했다. - 프랑스의 개신교도 - 앙드레 지드
앙드레 지드는 20세기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평론가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실존주의 문학에 영향을 미쳤고,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는 과정을 작품에 투영했으며, 동성애 옹호, 식민주의 비판, 소련의 실상 폭로 등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공로로 1947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1809년 출생 - 찰스 다윈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론을 제시하여 현대 진화생물학의 기초를 세운 영국의 자연과학자이다. - 1809년 출생 - 펠릭스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바흐의 음악 부활에 기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했다.
조르주외젠 오스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남작 |
훈장 |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크루아 |
출생일 | 1809년 3월 27일 |
출생지 | 파리, 프랑스 |
사망일 | 1891년 1월 11일 (81세)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안장 장소 | 페르 라셰즈 묘지, 파리 |
국적 | 프랑스 |
정당 | 보나파르티스트 |
모교 | 파리 음악원 |
교육 | 리세 콘도르세 |
직업 | 공무원, 지사 |
배우자 | Octavie de Laharpe (1838년 결혼, 1890년 사망) |
자녀 | 마리 앙리에트, 발렌틴, 외제니 (사생아) |
공직 경력 | |
직책 | 대의원 (오트코르스주) |
임기 시작 | 1877년 10월 14일 |
임기 종료 | 1882년 10월 27일 |
직책 2 | 상원 의원 |
군주 2 | 나폴레옹 3세 |
임기 시작 2 | 1857년 6월 9일 |
임기 종료 2 | 1870년 9월 4일 |
직책 3 | 센주 지사 |
군주 3 | 나폴레옹 3세 |
임기 시작 3 | 1853년 6월 23일 |
임기 종료 3 | 1870년 1월 5일 |
전임자 3 | 장자크 베르제 |
후임자 3 | 앙리 셰브로 |
2. 생애와 시대
조르주외젠 오스만은 1809년 프랑스 제1 제정 시대 파리의 알자스 출신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나폴레옹 1세를 섬기며 파리 금융계와 인맥을 쌓았다. 1815년 나폴레옹 실각 후 복고 왕정에 불만을 품은 금융계와 반정부 세력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기도 했다.
1830년 7월 혁명으로 샤를 10세가 물러나고 루이 필리프가 즉위하자, 오스만은 20대에 비엔 주 현청 부장에 취임하며 출세 가도를 달렸다.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으로 제2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정치적 혼란 속에 1852년 나폴레옹의 조카 루이 나폴레옹이 나폴레옹 3세로 즉위했다. 오스만은 루이 나폴레옹을 지지했고, 1853년 파리를 포함하는 센 현 지사로 임명되어 파리 개조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1870년 보불전쟁에서 나폴레옹 3세가 스당 전투에서 패배하여 실각하고, 프랑스 제3공화국이 수립된 후, 오스만은 잠시 보르도 근처로 이주했다. 그 후, 코르시카섬에서 잠시 공직에 있었지만, 만년에는 회고록 집필에 힘썼다. 1891년 1월, 파리에서 사망하여 페르 라셰즈 묘지에 묻혔다.[25]
2. 1. 초기 생애 (1809년 ~ 1831년)
오스만은 1809년 3월 27일 파리 파브르-드-루엘 가의 53번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모두 독일계 가문 출신이었다. 그의 부계 조부 니콜라 오스만|니콜라 오스만프랑스어은 입법 의회와 국민 공회의 대표였으며, 외조부 조르주 프레데릭 덴젤|조르주 프레데릭 덴젤프랑스어은 나폴레옹 제1 제정의 남작이었다.[2]그는 앙리 4세 고등학교와 콩도르세 고등학교에서 수학한 후, 법학을 공부했다. 동시에 파리 음악원에서 음악을 공부했다.[2]
1809년 제1 제정 시대 파리에서 알자스 출신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나폴레옹 1세를 섬겼으며, 주로 정권의 재정을 담당했기 때문에 파리의 금융계에 안면이 있는 인물이었다. 이때 쌓아 올린 아버지의 인맥은 조르주 오스만이 입신출세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1815년 나폴레옹 실각 후에 성립된 부르봉 왕가(복고 왕정)에 불만을 품고 있던 금융계는 배후에서 반정부 활동을 하는 세력에 자금을 제공했다. 오스만은 금융계와 반정부 세력 사이에서 중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1830년 7월 혁명이 성공하여 국왕 샤를 10세가 망명하자, 오를레앙 왕가의 루이 필리프가 왕위에 올랐다.
2. 2. 공직 생활 (1831년 ~ 1853년)
오스만은 1831년 5월 21일 푸아티에의 비엔 지역 현청 사무총장으로 임명되며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4] 1832년 6월 15일 이생조 부현감이 되었고,[4] 1832년 10월 9일 네라크 로-에-가론 지역 부현감,[4] 1840년 2월 19일 생-지롱 아리에주 지역 부현감,[4] 1841년 11월 23일 블라이 지롱드 지역 부현감[4]을 역임했다. 그는 열심히 일하고 정부를 대표하는 유능한 인물임을 증명했지만, 오만하고 독선적인 태도로 상관의 업무를 방해한다는 평을 받으며 주지사 승진에 어려움을 겪었다.[4]1848년 혁명으로 제2 공화국이 수립된 후, 오스만은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나폴레옹 3세)의 신임을 얻어 바르 지역 드라귀냥 주지사로 승진했다.[5] 1850년 욘 지역 주지사,[5] 1851년 보르도 지롱드 주지사[5]로 임명되었다.
1851년 12월,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쿠데타''를 일으켜 1852년 나폴레옹 3세로 즉위했다.[7] 오스만은 루이 나폴레옹의 쿠데타와 제정 수립을 지지했으며, 이는 그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2. 3. 파리 개조 (1853년 ~ 1870년)
1809년 프랑스 제1 제정 당시 알자스 출신 가정에서 태어난 오스만은 나폴레옹 1세를 섬긴 아버지 덕분에 파리 금융계와 인맥을 쌓았다. 1815년 나폴레옹 실각 후 복고 왕정에 불만을 품은 금융계와 반정부 세력 사이에서 중개 역할을 했다.1830년 프랑스 7월 혁명으로 샤를 10세가 물러나고 루이 필리프가 즉위하자, 오스만은 20대에 비엔 주 현청 부장에 취임하며 출세 가도를 달렸다.
1848년 프랑스 2월 혁명으로 제2 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정치적 혼란 속에 1852년 나폴레옹의 조카 루이 나폴레옹이 나폴레옹 3세로 즉위했다. 오스만은 루이 나폴레옹을 지지했고, 1853년 파리를 포함하는 센 현 지사로 임명되었다.


나폴레옹 3세는 오스만을 센 주지사로 임명하여 파리 개조 사업을 총괄하게 했다. 이들은 파리의 위생, 교통,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도시 미관을 향상시키는 대규모 도시 계획을 추진했다.[10]
나폴레옹 3세는 1857년 오스만에게 프랑스 상원의원 직과 남작 작위를 수여하려 했으나, 남작 작위는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았다.[18][19][20]
2. 3. 1. 파리 개조의 특징
나폴레옹 3세와 오스만은 파리의 위생, 급수, 교통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대규모 토목 공사를 시작했다. 나폴레옹 3세는 사무실에 파리 지도를 설치하고 새로운 대로를 표시했으며, 오스만과 매일 만나 프로젝트를 논의했다.[10][11]1815년 이후 파리 인구는 두 배로 증가했지만 면적은 그대로였다. 나폴레옹 3세는 인구 증가와 새로운 대로 건설로 인해 쫓겨날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해 주변 11개 코뮌을 병합하고 구의 수를 12개에서 20개로 늘렸다.
파리의 깨끗한 물 공급을 위해 수력 엔지니어 외젠 벨그랑은 샹파뉴 반느 강에서 물을 가져오는 새로운 수로와 몽수리 공원 근처에 거대한 저수지를 건설했다. 이로써 파리의 상수도 공급량은 하루 87,000㎥에서 400,000㎥로 증가했다.[12] 그는 도시 전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수백 킬로미터의 파이프를 설치하고, 오르크 강과 센 강에서 나오는 덜 깨끗한 물을 사용해 거리를 씻고 공원에 물을 주는 두 번째 네트워크를 건설했다. 또한 파리의 하수도를 완전히 재건하고, 가로등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를 설치했다.[13]
1854년부터 오스만의 노동자들은 도시 중심부의 낡은 건물 수백 채를 허물고 80km의 새로운 대로를 건설하여 도시 중심점을 연결했다. 이 대로변 건물들은 같은 높이와 유사한 스타일을 갖추고 크림색 돌로 마감해야 했으며, 이는 파리 대로의 균일한 모습을 만들어냈다. 빅토르 위고는 건물이 극장인지, 상점인지, 도서관인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언급했다. 오스만은 17년 만에 도시를 재건했으며, 새로운 대로와 넓은 공간으로 35만 명이 이주했고, 1870년까지 파리 중심부 거리의 5분의 1이 그의 창조물이었으며, 을 지출했고, 파리 노동자 5명 중 1명이 건설업에 종사했다.[14]

나폴레옹 3세는 리옹역(1855)과 파리 북역(1864)을 건설하고, 거대한 철골 및 유리 농산물 시장인 레알을 완공했으며, 오텔-디외를 건설했다. 파리 오페라는 샤를 가르니에가 설계한 세계 최대 극장으로, 나폴레옹 3세의 새로운 파리의 중심부를 장식했다. 외제니 드 몽티호 황후가 스타일을 묻자 가르니에는 "나폴레옹 3세"라고 답했다.[15]

나폴레옹 3세는 런던의 하이드 파크에서 영감을 받아 더 큰 규모의 공원을 조성하고자 했다. 오스만, 아돌프 알팡과 협력하여 도시 주변 사방에 4개의 주요 공원 계획을 세웠다. 불로뉴 숲(1852–58), 뱅센 숲(1860–65), 부트 쇼몽 공원(1865–67), 몽수리 공원(1865–78)이 조성되었다.[16]
몽소 공원과 뤽상부르 공원을 개조하고, 20개의 작은 공원을 조성했다. 알팡은 이 작은 공원을 "녹색과 꽃이 만발한 살롱"이라 불렀다. 나폴레옹의 계획은 파리의 80개 지역 각각에 하나의 공원을 두어, 아무도 공원에서 10분 이상 걸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 공원은 모든 계층의 파리 시민들에게 즉각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7]



오스만은 파리 개조를 통해 얽힌 뒷골목을 철거하고 넓은 대로를 건설했다.[41] 개선문에서 방사형으로 뻗어 나가는 대로를 건설하여 교통망을 정비하고 파리 시내 물류 기능을 개선했다. 센 강의 시테 섬은 빈민굴에서 벗어나 다리 건설, 도로 건설 등을 통해 분위기를 일신했다. 루브르 궁전, 신 오페라 극장 건설도 진행되었다. 이러한 수도 개조는 각국 정치가들을 경탄하게 했으며, 나폴레옹 3세의 위광을 높였다. 건물 높이는 일정 수준으로 제한되었고, 상하수도 정비로 위생이 개선되어 콜레라 발생을 억제했다. 가로등 수도 늘어나 일본인들도 감탄했다. 이러한 개조 계획은 "오스만화"로 불리며, 프랑스 국내뿐만 아니라 각 지역 도시 건설의 모범이 되었다.
인프라 정비가 진행된 파리 중심부와 주변부의 주거 환경 차이로 부유층은 중심부에, 빈곤층은 주변부로 밀려나는 "주거 분리"가 진행되었다. 프랭탕 등 대규모 백화점이 개점하여 귀부인이 쇼핑을 즐기는 습관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도시 개발 사업은 철도 부설과 함께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고용 창출에도 기여했다.
19세기 전반까지 파리는 악취로 가득했지만, 오스만은 "미화"뿐만 아니라 "정화와 위생화"를 위한 도시 개조를 실시했다. 원격지에서 수원수를 끌어와 각 가정에 급수하고, 암거식 하수도망을 수도 지하에 뻗어 회랑식 하수도를 완성했다.[42]
2. 3. 2. 파리 개조에 대한 비판
나폴레옹 3세의 파리 개조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비판을 받았다. 우선, 막대한 예산 투입과 강제적인 토지 수용이 문제가 되었다. 특히 1858년 국무원의 판결로 수용 비용이 크게 증가했고, 토지 소유주들이 보상금을 더 받기 위해 가짜 상점과 사업체를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21] 이로 인해 첫 번째 프로젝트에는 7천만 프랑, 두 번째 프로젝트에는 2억 3천만 프랑으로 비용이 급증했다.[21]쥘 페리를 비롯한 공화주의자들은 오스만의 재정 운영 방식과 의회에 대한 독선적인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2] 쥘 페리는 1867년 오스만의 회계 관행을 ''Les Comptes fantastiques de Haussmann''(오스만의 환상적인 회계)이라고 조롱하며 비판했다.[2] 1869년 선거에서 공화당 야당은 많은 의석을 얻었고, 오스만에 대한 비판은 더욱 거세졌다.[2]
일부 비평가들은 오스만의 대로가 군사적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민중 봉기를 억압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20세기 일부 비평가들과 역사가들, 특히 루이스 멈퍼드는 오스만의 대로가 군대의 기동성을 높이고, 대포의 사거리를 넓히며, 바리케이드를 이용한 거리 봉쇄를 어렵게 만들어 민중 봉기를 진압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36][37]
하지만 다른 역사가들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반박한다. 그들은 오스만이 대로의 군사적 이점을 언급하긴 했지만, 그것이 주요 목적은 아니었다고 지적한다. 나폴레옹 3세와 오스만의 주요 목적은 교통 흐름 개선, 도시 랜드마크 조망 공간 및 빛 제공, 파리의 미관 개선이었다.[38] 오스만 자신도 ''회고록''에서 새로운 세바스토폴 대로가 "폭동과 바리케이드의 구역인 낡은 파리의 내장을 긁어내는" 결과를 낳았다고 썼지만,[39] "원래 프로젝트에 이러한 추가 사항을 추가한 저 자신은, 그것들을 추가할 때 그들의 크고 작은 전략적 가치에 대해 전혀 생각하지 않았다고 선언합니다."라고 밝혔다.[39]
파리 도시 역사가 파트리스 드 몽칸은 "오스만과 나폴레옹 3세가 창조한 작품을 단지 전략적 가치라는 관점에서만 보는 것은 매우 축소적인 것입니다... 파리를 상류층뿐만 아니라 노동자들에게도 더 개방적이고 더 건강한 도시로 만들고자 하는 그의 열망은... 주요 동기로 인정해야 합니다."라고 주장했다.[39]
실제로 1871년 파리 코뮌 진압 과정에서 새로 건설된 대로가 코뮌의 패배에 주요 요인이 되지는 않았다. 코뮌은 수적 열세, 무기 부족, 훈련 부족, 도시 방어 계획 부재, 경험 있는 장교 부족, 단일 지휘관 부재, 외부 지원 부재 등의 이유로 패배했다.[40]
2. 4. 제3공화정 시대와 몰락 (1870년 ~ 1891년)
1870년, 오스만은 당시 내각과의 대립으로 인해 지사 직에서 물러났다. 그해 말, 나폴레옹 3세는 스당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에게 포로로 잡혀 실각하고, 프랑스 제3공화국으로 이행했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패배로 인한 혼란 속에서, 일시적으로 파리에서 노동자들에 의한 사회주의 정권(파리 코뮌)이 성립했지만, 불과 2개월 정도 만에 군사적으로 진압되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2월 혁명에서 반정부 세력을 도왔던 뒷골목이 오스만의 도시 개조로 인해 사라졌기 때문에[43], 코뮌 측 병사들이 시가전에서 바리케이드를 만들 수 없었다는 점이 지적된다.[44]현 지사 사임 후, 잠시 보르도 근처로 이주했다. 그 후, 코르시카섬에서 잠시 공직에 있었지만, 만년에는 회고록 집필에 힘썼다. 1891년 1월, 파리에서 사망했다. 오스만은 1891년 1월 11일 파리에서 81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페르 라셰즈 묘지에 묻혔다. 그의 아내 루이즈-옥타비 드 라 아르프는 불과 18일 전에 사망했다. 사망 당시 그들은 콩코르드 광장 근처의 12 rue Boissy d'Anglas에 있는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었다. 유언에 따라 그들의 재산은 유일하게 생존한 딸 발렌틴 오스만의 가족에게 이전되었다.[25]
3. 유산
오스만의 파리 개조는 오늘날 파리의 모습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근대 도시 계획의 선구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그의 이름은 오스만 대로에 남아있다. 그의 업적은 카이로, 부에노스아이레스, 브뤼셀, 로마, 빈, 스톡홀름,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등 세계 여러 도시의 도시 계획에 영감을 주었다.[26] 특히 미국의 미려한 도시 운동에 영향을 주었는데, 프레데릭 로우 올름스테드는 1859년 유럽 유학 중 불로뉴 숲을 8번 방문하고 Buttes Chaumont 공원의 혁신에 영향을 받아 뉴욕 센트럴 파크를 설계하였다. 미국의 건축가 다니엘 번햄은 오스만의 계획에서 많은 것을 차용하여 1909년 시카고 계획에 대각선 거리 설계를 통합했다.[26]
파리 개조는 "오스만화"라고도 칭해지며, 이 시기의 도시 계획은 프랑스 국내뿐만 아니라 각 지역의 도시 건설의 모범이 되었다. 프로이센 국왕 빌헬름 1세는 1867년 파리 만국 박람회 이후 오스만의 프로젝트를 보여주는 대형 지도를 베를린으로 가져가 도시의 미래 계획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26]
참조
[1]
웹사이트
Joconde – visites guidées – zooms – baron Haussmann
http://www.culture.g[...]
2012-03-05
[2]
EB1911
Haussmann, Georges Eugène, Baron
[3]
서적
Kirkland
[4]
서적
Kirkland
[5]
서적
Kirkland
[6]
서적
Paris Impérial
[7]
서적
Paris Impérial
[8]
서적
Memoires
[9]
서적
Haussmann: His Life & Times and the Making of Modern Paris
[10]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11]
서적
Les jardins du Baron Haussmann
[12]
서적
Les jardins du Baron Haussmann
[13]
서적
Napoleon III
Editions Perrin
[14]
서적
The Painting of Modern Life: Paris in the Art of Monet and his Followe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Architecture of Paris
Edition Axel Menges
[16]
서적
Grammaire des jardins parisiens
Parigramme
[17]
서적
Grammmaire des jardins Parisiens
Parigramme
[18]
서적
Le Paris d'Haussmann
[19]
서적
Mémoires
[20]
웹사이트
Le Baron Georges-Eugène Haussmann (Biographie)
http://nagram.chez-a[...]
[21]
서적
Le paris d'Haussmann
[22]
서적
Le paris d'Haussmann
[23]
서적
Le paris d'Haussmann
[24]
서적
Mémoires
[25]
서적
Transforming Paris: the life and labors of Baron Haussman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
서적
Paris Impérial
[27]
서적
Paris Impérial
[28]
서적
Paris Impérial
[29]
서적
Le Paris d'Haussmann
[30]
서적
Memoirs of Haussmann
[31]
서적
Paris Impérial
[32]
서적
Pinckney
[33]
서적
Les Fleurs du Mal: The Complete Text of The Flowers of Evil
[34]
서적
Les jardins d'Haussmann
[35]
서적
Les jardins d'Haussmann
[36]
웹사이트
Haussmann's Architectural Paris – The Art History Archive
http://www.arthistor[...]
2007-10-21
[37]
서적
The City in History: Its Origins, Its Transformations, Its Prospects
1961
[38]
서적
Napoleon III
2007
[39]
서적
Le Paris d'Haussmann
[40]
서적
La Commune de 1871
2014
[41]
서적
バルセロナ 地中海都市の歴史と文化
中央公論新社
2010
[42]
문서
[43]
서적
わが懐かしき街
図書出版社
1992
[44]
서적
パサージュ論 第1巻
岩波現代文庫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