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세페 비앙카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세페 비앙카니는 1566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태어난 예수회 사제이자 학자이다. 그는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에게 수학을 배우고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친분을 맺었으며, 파르마에서 수학을 가르쳤다. 비앙카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 관련 내용을 정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관》과 천문학 지식을 종합한 《천구론》을 저술했다. 그는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비판하고, 달 표면 지도를 통해 갈릴레오의 관측에 동의하지 않는 등 천문학 연구를 수행했으며, 메아리와 해시계 등 자연 현상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6년 출생 - 제임스 1세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국왕 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와 아일랜드 왕위를 계승하여 영국-스코틀랜드 동군연합을 이뤘으나, 의회와의 갈등, 재정 문제, 종교 문제 등 여러 난관에 직면했고 왕권신수설을 주장했으며, 문학과 예술을 후원하고 《킹 제임스 성경》 번역을 주도하는 등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 1566년 출생 - 사나다 노부유키
    사나다 노부유키는 센고쿠 시대 말기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아버지와 함께 우에다 성을 지키고 도쿠가와 가문의 중신이 되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후 가족을 구하고 영지를 계승하여 마쓰시로 번주로 번영을 이끌었다.
  •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이탈리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변분법, 라그랑주 역학 등을 개발하고 미터법 제정에 참여하며 18~19세기 수학과 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에펠탑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 이론을 반박하고 망원경을 개량하여 천문학적 업적을 남겼으며 지동설을 옹호하다 종교재판에 회부되었지만 근대 과학 발전에 기여하여 "과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 예수회 과학자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예수회 과학자 - 조아킴 부베
    조아킴 부베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 청나라에서 활동하며 강희제의 총애를 받은 프랑스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수학과 천문학을 가르치고 외교 사절 역할을 수행하며 동서양 문화 교류에 기여했고, 라이프니츠에게 이진법 연구에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례 논쟁에 참여하고 『강희제전』을 저술했다.
주세페 비앙카니
기본 정보
비앙카니의 손으로 그린 달 지도
비앙카니의 손으로 그린 달 지도 (나안으로 관측, 15개의 양식화된 분화구를 보여줌)
원어 이름Josephus Blancanus
출생일1566년 3월 8일
출생지볼로냐, 교황령
사망일1624년 6월 7일
사망지파르마, 파르마 공국
국적이탈리아
직업예수회 사제
수학자
천문학자
소속 학파아리스토텔레스주의
영향을 준 인물아리스토텔레스
프톨레마이오스
티코 브라헤
갈릴레오 갈릴레이
영향을 받은 인물크리스토포로 보리
베른하르두스 바레니우스
학문
출신 대학로마 대학
박사 지도교수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
주목할 만한 제자마리오 베티누스
니콜로 카베오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
업적
알려진 업적달의 지도 제작

2. 생애

주세페 비앙카니는 갈릴레오의 혁명적인 새로운 사상과 자신이 속한 예수회의 견해 사이에서 난처한 입장에 처하기도 했다. 수련 기간이 끝나고 파르마에 있는 예수회 대학에서 수학을 가르쳤으며, 리치올리, 니콜로 카베오, 니콜로 주키, 마리오 베티누스 등을 가르쳤다.[5]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주세페 비앙카니는 1566년 볼로냐에서 태어났다.[3] 1592년 10월 4일 예수회에 입회하였다.[13] 로마 대학교에서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에게서 수학을 배웠다.[3][4] 1596년부터 1599년까지 파도바에 있는 예수회 대학에서 공부하였다.[13]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1592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공립 대학인 파도바 대학교의 수학 교수로 임명되었는데, 비앙카니는 파도바에서 지내는 동안 그와 친분을 쌓았다.[13] 비앙카니는 1611년 6월 14일 자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갈릴레오와의 우정을 언급했다.

나는 갈릴레오의 진귀한 학식과 발명뿐만 아니라 파도바에서 그와 나눈 옛 우정으로 인해 그를 좋아하고 존경한다, 그의 예의와 애정에 압도되었고 매료되었다.[13]

2. 2. 예수회 사제이자 학자

1592년 10월 4일 예수회에 입회하였다. 로마 대학교에서 당시 유명한 수학자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에게서 수학을 배웠고,[4] 마르코 안토니오 데 도미니스와 함께 브레시아 대학에서 공부했다.[3] 1596년에서 1599년 사이에 파도바에 있는 예수회 대학에서 공부하였다. 갈릴레오는 1592년 베네치아 공화국의 공립 대학인 파도바 대학의 수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비앙카니는 파도바에서 지내는 동안 그와 친해졌다. 1606년 예수회가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추방되었을 때 비앙카니는 파르마 대학으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1624년 사망할 때까지 예수회 대학에서 수학을 가르쳤다.[5]

이러한 우정은 비앙카니에게는 중요한 것이었는데, 나중에 자신이 속한 예수회의 견해와 갈릴레오의 혁명적인 새로운 사상 사이에서 난처한 입장에 처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1611년 6월 14일 그가 쓴 편지에서 그는 갈릴레오와의 우정을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나는 갈릴레오의 진귀한 학식과 발명뿐만 아니라 파도바에서 그와 나눈 옛 우정으로 인해 그를 좋아하고 존경한다, 그의 예의와 애정에 압도되었고 매료되었다.[13]

수련 기간이 끝나자 나머지 인생을 파르마에 있는 예수회 대학에서 수학을 가르쳤다. 이 기간 동안 리치올리, 니콜로 카베오, 니콜로 주키, 마리오 베티누스와 같이 과학적 기여로 두각을 나타낸 예수회 과학자들을 가르쳤다.[5]

3. 학술 업적

비앙카니는 수학, 천문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수학과 자연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으며, 당시 논쟁의 중심에 있던 코페르니쿠스지동설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면서도 새로운 과학적 발견들을 수용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비앙카니는 해시계 제작에 관한 연구도 하여, 완벽한 해시계를 만드는 방법을 도면과 함께 제시하였다. 그의 지리적 연구는 베르나르두스 바레니우스에게 영향을 주기도 했다.

3. 1. 아리스토텔레스 연구

1615년 볼로냐에서 출판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관(數學館)》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서 수학에 관련된 부분을 모은 것이다. 비앙카니는 이 책을 쓴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나 역시 아리스토텔레스의 작품에 몰두하기 시작했으므로 그의 전체 작품에 흩어져 있는 수학에 관련된 구절들을 모아 설명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수학에 대한 지식도 없이 고대의 관습을 버리고 자신의 공부를 해치며 철학과 학생들에게 유용할 것이다.[13]

이 책은 예수회의 일반적인 관행에 따라 동료들의 검열을 받았다. 심사위원 조반니 카메로타는 "우리 회원들이 지은 책으로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와 반대되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사상이 담기는 것은 적절하거나 유용하지 않은 것 같다."라고 썼다.[12]

3. 2. 천문학 연구: 《천구론》

Sphaera Mundi, seu Cosmographia Demonstrativa, ac facili Methodo traditala에서 비앙카니는 신이 지구를 완벽하게 대칭적으로 만들었다는 신념을 자세히 설명한다. 그는 육지에서 가장 높은 산은 바다의 가장 깊은 곳에 대응되는 곳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비앙카니는 원래 지구는 창세기 창조 신화의 3일째 되는 날 완벽하게 매끄러운 구의 모양이었다고 추론했다. 신의 손이 아니라면 "자연법"이 지구를 그런 형태로 유지하도록 했을 것이다. 그러나 비앙카니는 신이 바다의 깊은 곳들을 창조하고 지구의 산들을 만들었다고 믿었다.

또한, "자연법"에 맡겨진다면 지구의 창조 과정을 본따 지구는 물에 잠기게 될 것이지만, 지구는 물이 아니라 불에 의해 완전하게 파괴되어야 하므로 신의 손이 개입할 것이라고 보았다.

책의 내용은 라틴어로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Sphaera Mundi seu Cosmographia. Demonstrativa, ac facili Methodo tradita: In qua totius Mundi fabrica, una cum novis, Tychonis, Kepleri, Galilaei, aliorumque; Astronomorum adinventis continetur. Accessere I. Brevis introductio ad Geographiam. II. Apparatus ad Mathematicarum studium. III. Echometria, idest Geometrica tractatio de Echo. IV. Novum.'' (번역: 천구론 또는 천지학, 방법을 풍부하고 쉽게 보여줌. 새 이론, 티코, 케플러, 갈릴레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전 세계 구조; 목차 1. 지리학, 2. 수학 학습 도구, 3. 반향학, 반향의 기하학적 처리, 4. 새로운 이론.)

목차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튀코 브라헤, 요하네스 케플러, 갈릴레오, 코페르니쿠스 등 여러 학자들이 망원경으로 발견한 것을 요약해서 보여준다. 비앙카니의 이전 작품에 대한 검열은 《천구론》을 쓰는 방식에 영향을 주었다. 비앙카니는 코페르니쿠스 이론과 케플러 이론에 대한 논의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이러한 [태양중심설에 대한] 고대의 믿음은 예리한 이성을 지니고 있으며 천문학의 위대한 복원자였던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에 의해 지난 세기에 되살아났다. 그는 심지어 그것을 다른 사람들의 반론에 대해 반박하기도 하였으므로, 오늘날에는 요하네스 케플러, 윌리엄 길버트(《자석에 관하여》의 저자)와 같은 평판이 높은 수학자들을 비롯하여 몇몇 사람들은 이 불행한 관점을 지지한다. 다른 수학자들은 이 관점이 터무니없다고 거부한다. 코페르니쿠스는 실제로 지구가 타원으로 움직일 뿐만 아니라 달 아래에 있는 땅, 물, 공기가 지구가 함께 같은 비율로 움직인다고 추가하였는데, 이 가정에 의해 코페르니쿠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모양을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반대론자의 주장도 쉽게 빠져나간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의견은 거짓이며 (더 나은 증거와 논증에 의해 성립되었더라도) 이전에 주어진 많은 논증과 권위자들의 많은 의견들에 의해 명백하게 입증된 바와 같이 거부되어야 한다. 게다가 근래에 교회 당국자에 의해 성서와 맞지 않는다고 비난받았으므로 이것은 더욱 확실해졌다."[13] (Sphaera, IV, 37).

이 작품에는 메아리해시계와 관련된 자연 현상 연구뿐만 아니라 달의 도면도 포함되어 있었다. 비앙카니의 지도는 코페르니쿠스의 새로운 사상을 지지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지구중심 우주론과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을 지지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비앙카니는 달에 산이 존재한다는 갈릴레오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았다. 1611년 크리스토프 그리엔베르거(그의 이름을 따서 Gruemberger 분화구가 있다)에게 보낸 편지에서 비앙카니는 달에는 어떤 산도 있을 수 없다는 확신에 대하여 썼다.

비앙카니는 코페르니쿠스 체계가 잘못되었고 거부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세이도니오스와 클레오메데스 등 옛 사람들의 의견을 논의하면서 달 표면에 대한 갈릴레오의 의견을 인용했기 때문에 과학 혁명 와중에도 양면성을 유지했다.

비앙카니는 하늘이 고체 구체가 아닌 유체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것 역시 반(反) 아리스토텔레스적 견해였다.[11]

3. 3. 기타 연구

비앙카니는 메아리, 해시계 등 자연 현상에 대한 연구도 진행했다.[7] 그의 저서 《해시계를 위한 기구의 제작》은 제자인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에 의해 1635년에 사후 출판되었는데, 이 책에서 비앙카니는 완벽한 해시계를 만드는 방법과 함께 삽화를 제공했다.[10]

그의 연구는 베르나르두스 바레니우스의 지리학 연구에도 영향을 주었다.[10]

4. 저술


  • 아리스토텔레스 수학관 (Aristotelis loca mathematica ex universis ipsius operibus collecta et explicata)
  • 천구론 ''Sphaera mundi, seu cosmographia demonstrativa, ac facili methodo tradita''
  • 해시계의 제작 ''Constructio instrumenti ad horologia solaria''
  • Aristotelis loca mathematica ex universis ipsius operibus collecta et explicata. Accessit brevis elucidatio, & manuductio ad Logisticen speciosam. Dissertatio de natura Mathematicarum scientiarum; cui addita est chronologia clarorum Mathematicorum.|아리스토텔레스의 수학적 장소, 그의 모든 작품에서 수집 및 설명. 아리스토텔레스적 설명의 보충, 지금까지 필요했다. 수학적 과학의 본성에 대한 논문; 그리고 유명한 수학자들의 연대기가 추가됨la
  • De mathematicarum natura dissertatio|수학의 본성에 관하여la
  • Sphaera mundi, seu cosmographia demonstrativa, ac facili methodo tradita|세계의 구체 또는 우주론, 시연적이며 쉬운 방법으로 전달됨la
  • Sphaera mundi, seu Cosmographia demonstrativa|세계의 구체, 또는 시연적 우주론la


참조

[1] 논문 Cristoforo Borri and the epistemological status of mathematics in seventeenth-century Portugal
[2] 웹사이트 USGS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https://planetarynam[...]
[3] 서적 Legem impone subactis: studi su filosofia e scienza dei Gesuiti in Italia, 1540-1632 Bulzoni
[4] 간행물
[5] 문서 Galileo's Jesuit connections and their influence on his science
[6] 간행물
[7] 웹사이트 Galileo and the Bible http://www.galilean-[...]
[8] 간행물
[9] 서적 Le Opere di Galileo Galilei Olschki
[10] 논문 Tycho Brahe cosmologist. An overview on the genesis, development and fortune of the geo-heliocentric world system Leo S. Olschki Editore
[11] 서적 Galileo, Bellarmine, and the Bibl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2] 문서 USGS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13] 웹사이트 http://maths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