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는 1947년 박세영이 작사하고 김원균이 작곡한 노래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식 국가이다. 4/4박자, 내림 나장조로 연주되며, 김일성의 제안에 따라 1절과 2절 후반부를 두 번 반복하여 부른다. 2024년에는 가사 중 '삼천리 아름다운 내 조국' 부분이 '이 세상 아름다운 내 조국'으로 변경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국가보안법에 따라 악보 판매 등이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국제 스포츠 경기 등에서 연주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원균의 작품 - 김일성 장군의 노래
김일성 장군의 노래는 1946년 북한에서 창작되어 김일성을 항일 영웅이자 국가 건설의 지도자로 칭송하며, 가사 변화를 통해 김일성 개인 숭배 및 권력 공고화에 기여하고 북한 사회와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은 군가풍의 노래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징 - 참매
참매는 전 세계 숲에 서식하며 조류와 포유류를 사냥하는 중대형 수리매로, 아종에 따라 크기와 깃털 색깔이 다르고, 매사냥에 이용되어 왔으며, 도시 지역으로 서식지를 확장하는 추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래 - 내 나라 제일로 좋아
조국에 대한 애정을 노래하는 "내 나라 제일로 좋아"는 이국에서의 경험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통해 자신이 사는 나라가 제일 좋다는 애국심을 강조하는 곡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래 - 김일성 장군의 노래
김일성 장군의 노래는 1946년 북한에서 창작되어 김일성을 항일 영웅이자 국가 건설의 지도자로 칭송하며, 가사 변화를 통해 김일성 개인 숭배 및 권력 공고화에 기여하고 북한 사회와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은 군가풍의 노래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애국가 |
영어 제목 | Patriotic Song (애국가) |
다른 영어 제목 | Song of a Devotion to a Country (나라에 대한 헌신의 노래) |
국가 정보 | |
국가 | 북한 |
작사가 | 박세영 |
작사일 | 1946년, 2024년 (수정됨) |
작곡가 | 김원균 |
작곡일 | 1945년 |
채택일 | 1947년 |
이전 국가 | (정보 없음) |
음원 정보 | |
악보 정보 | |
![]() |
2. 역사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안익태가 작곡한 애국가가 한반도에 널리 퍼졌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1947년 6월 29일에 자신들의 체제에 맞는 국가를 따로 제정하였다.[24]
작사가 박세영은 일제강점기에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KAPF, 카프)에서 활동한 저항 시인으로, 광복 후 북한으로 건너가 국가를 비롯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찬양하는 시를 여러 편 썼다. 작곡가 김원균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작곡한 북한의 대표적인 음악가이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2006년 평양음악대학의 이름을 김원균평양음악대학으로 개칭하였다.
원래 국가는 4/4박자, 내림 나장조로 ‘약간 느리고 장중하게’ 부르도록 되어 있으며, 1절과 2절 후반부는 한 번만 부르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김일성이 이 노래를 듣고 "우리 나라는 찬란한 문화로 자라난 유구한 역사를 가진 나라인데 어떻게 한 번만 부를 수 있겠는가?"라고 하면서 두 번 반복해 부를 것을 제안하여 지금과 같은 형태로 수정되었다.[25] 2002년 아시안 게임 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공식 국가 자격으로 참가하면서 국기 게양식 때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공식 연주되었다.
1980년대 초, 김정일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위해 이 노래의 중요성을 줄이려 했다.[7]
2007년 5월 30일, 조선중앙통신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당국이 국가를 재편곡하여 새로운 악보와 관련 문서를 세계 각국에 전송하였다고 밝혔다.[26][27]
"애국가"는 대부분의 북한 애국가와 달리 조선로동당이나 김씨 일가(북한)를 찬양하지 않고, 오히려 한국 전체를 찬양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11] "애국가"는 조선중앙텔레비전의 방송 시작 시 재생된다.[12][13]
2. 1. 가사 변경 (2024년)
2024년 2월 15일, 가사 중 '삼천리 아름다운 내 조국' 부분이 '이 세상 아름다운 내 조국'으로 변경되었다.[28] 이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2024년 1월 15일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에 대한민국을 "제1의 적대적 교전 국가이자 불변의 주적"으로 규정하고, '삼천리 금수강산', '8천만 겨레'와 같이 남북한을 같은 민족으로 오인할 수 있는 단어들을 사용하지 말 것을 지시한 데 따른 것이다.[29] 또한 대한민국을 무력으로 편입하라는 지시를 내렸다.[29]조선중앙텔레비죤은 2024년 4월 18일 평양 화성지구 2단계 준공식 행사 재방송에서 '애국가' 자막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로 수정하여 표기했다.[30]
변경된 가사는 다음과 같다.
조선글 | 한자 및 조선글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는 공식적으로 애국가로 지정되어 있으며, 올림픽 등 국제 스포츠 경기에서 연주된다.[31] 그러나 대내 행사에서는 김일성 장군의 노래나 김정일 장군의 노래가 주로 사용되었고, 애국가는 명목상의 국가로 취급되었다. 김정일 사망 이후 김정은 체제에서는 애국가가 대내 행사에서도 비교적 자주 사용되고 있다.[31]
대한민국의 국가보안법은 북한 국가의 악보를 '이적 표현물'로 규정하여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에서 판매하는 행위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다.[32][33]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참가한 2002년 아시안 게임,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4년 아시안 게임, 2018년 동계 올림픽과 같이 국가가 주관하는 행사에서는 예외적으로 연주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는 1947년에 제정된 이후 현재까지 가사에 약간의 수정이 있었다. 특히 가사 중 '삼천리'라는 표현이 '이 강산'으로 변경되었다.
3. 노래에 대한 지위
김일성 장군의 노래와 김정일 장군의 노래는 사실상 북한 내에서 국가의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애국가는 주로 북한을 국제적으로 대표할 때 사용된다.[10] 외국 귀빈 방문이나 국제 스포츠 대회에 북한 선수단이 참가할 때 애국가가 연주된다.[10] 애국가는 대부분의 북한 노래와 달리 조선로동당이나 김씨 일가(북한)를 찬양하지 않고 한국 전체를 찬양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11]
4. 대한민국과의 관계
5. 가사
5. 1. 2024년~현재
문화어 | 국한문혼용 |
---|---|
5. 2. 1947년~2024년
문화어 | 국한문혼용 |
---|---|
6. 명칭
"애국가"(愛國歌)는 문자 그대로 "나라를 사랑하는 노래"라는 뜻으로, 애국가와 구별된다. 흔히 첫 소절을 따서 '''아침은 빛나라'''로도 불린다.[2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애국가"를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일깨우는 노래"로 정의하며, 국가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설명한다.[4] 즉, 국가는 공식적인 상징인 반면, 애국가는 헝가리의 "소자트"나 미국의 "별이 빛나는 깃발 영원히"처럼 국가에 대한 애국심을 담은 노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국가로 지정된 "애국가"는 국가를 상징하는 역할을 한다.[4][5]
1980년대 초, 김정일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위해 이 노래의 중요성을 줄이려 했다.[7] "김일성 장군의 노래"와 "김정일 장군의 노래"는 그 이후 국내에서 사실상 국가의 자리를 차지했고, "애국가"는 북한을 국제적으로 대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외국 귀빈이 북한을 방문하거나 북한 선수들이 국제 스포츠 대회에 참가할 때 사용된다.[10]
헌법 제171조에서는 여전히 국가가 '애국가'라고 언급하고 있지만,[16] 조선중앙텔레비죤은 2024년 4월 18일, 평양 화성지구 2단계 준공식 행사 재방송에서 '애국가' 자막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로 수정해 표기했다.[30][15] 이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24년 1월 15일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남북 평화 통일 노력을 포기하고 대한민국을 주적으로 규정하면서, 남북한을 같은 민족으로 오인할 수 있는 표현을 쓰지 않도록 지시한 데 따른 조치로 보인다.[29]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7-04-10
[2]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f the DPRK
http://www.dprktoday[...]
[3]
서적
The World Factbook
https://books.google[...]
Masterlab
2015-01-01
[4]
웹사이트
애국가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5]
웹사이트
애국가[愛國歌]
http://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6]
웹사이트
애국-가愛國歌
http://krdic.naver.c[...]
NAVER Corp.
[7]
서적
Three Days in the Hermit Kingdom: An American Visits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0-05-26
[8]
웹사이트
North Korean National Anthem – "Aegukka" (KO/EN)
https://www.youtube.[...]
2011-10-27
[9]
웹사이트
Military Music – North Korean National Anthem – "Aegukka"
https://www.youtube.[...]
2015-09-04
[10]
서적
North of the DMZ: Essays on Daily Life in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7-04-24
[11]
뉴스
North Korea's national anthem drops unification reference amid ongoing purge
https://www.nknews.o[...]
2024-02-16
[12]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f North Korea – Hymne National de la Corée du Nord [New HD Broadcast – Dec. 2017]
https://www.youtube.[...]
[13]
웹사이트
KCTV startup 23-04-2020
https://www.youtube.[...]
[14]
웹사이트
North Korea celebrates building 10,000 modern homes in Pyongyang
https://www.reuters.[...]
[15]
웹사이트
北, '애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로 표기
https://www.kmib.co.[...]
2024-04-18
[16]
뉴스
North Korea adopts new law on anthem as unification symbol purge continues
https://www.nknews.o[...]
2024-10-25
[17]
웹사이트
National Name, Coat of arms, Flag, National Anthem: DPRK MFA
http://mfa.gov.kp/ar[...]
[18]
웹사이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징
https://dprktoday.co[...]
[19]
웹사이트
Kim Il Sung University
http://www.ryongnams[...]
[2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2-07-13
[21]
웹사이트
National Anthem of the DPRK
http://www.dprktoday[...]
[22]
웹사이트
常識>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国章、国旗、国歌
http://www.naenara.c[...]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外国文出版社
[23]
뉴스
北朝鮮が国歌の歌詞変更 「三千里の美しいわが祖国」→「この世界の美しいわが祖国」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4-02-15
[24]
뉴스인용
인천에 울려퍼진 북한 애국가, 누가 언제 작곡?
https://www.nocutnew[...]
[25]
뉴스인용
北국가 ‘애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http://www.tongilnew[...]
[26]
뉴스인용
북한, 자체 '애국가' 새롭게 편곡
https://n.news.naver[...]
[27]
뉴스인용
조선, 국가 재 작곡
http://korean.cri.cn[...]
[28]
뉴스인용
NHK "북한, 애국가에서 한반도 지칭 '삼천리' 단어 삭제"
https://www.yna.co.k[...]
[29]
뉴스인용
김정은 "헌법에 '대한민국 제1적대국·불변의 주적' 명기해야"(종합)
https://www.yna.co.k[...]
[30]
뉴스인용
北, ‘애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로 표기(종합)
https://m.kmib.co.kr[...]
[31]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사전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
https://terms.naver.[...]
[32]
뉴스인용
북한국가 악보 대형서점서 판매..검찰 내사
https://n.news.naver[...]
[33]
뉴스인용
북한國歌 악보집 서점서 판매 불법성 여부 논란
https://www.dong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