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영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영관은 고대 로마의 정무관으로, 평민 조영관과 귀족 조영관으로 구분된다. 기원전 494년, 평민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호민관의 보좌관으로 시작되었으며, 도시 행정, 식량 관리, 축제 운영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했다. 임기는 1년이었으며, 도시 관리, 식량 관리, 경기 관리의 세 가지 기능을 수행했다. 조영관직은 정치적 야망을 가진 젊은이들이 거쳐가는 관직으로 활용되었으나, 아우구스투스 시대 이후 권한이 약화되어 3세기에는 사라졌다. 오늘날에는 포르투갈, 브라질, 루마니아 등에서 시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시의회 의원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관직과 칭호 - 트리부누스
트리부누스는 고대 로마에서 시작된 직책으로, 부족 지도자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시대와 상황에 따라 여러 유형과 권한을 가진 관직을 의미한다. - 고대 로마의 관직과 칭호 - 켄투리오
켄투리오는 로마군의 백인대를 지휘하는 중·하급 장교로, 마리아누스 개혁 이후 약 80명의 병사를 지휘했으며, 경력에 따라 승진하여 높은 권위를 누리기도 했고, 신약성서에도 등장한다. - 고대 로마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고대 로마 - 삼두정치
삼두정치는 세 사람이 공동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정치 체제를 의미하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서 나타났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조영관 | |
---|---|
조영관 정보 | |
로마자 표기 | Aedilis |
라틴어 | Aedīlis |
IPA (라틴어) | /ae̯ˈdiːlɪs/ |
개요 | |
역할 | 고대 로마 공화정의 관직 |
임무 | 공공 건물 및 사원 관리 (aedes) 도시 기반 시설 유지 보수 공공 질서 유지 시장 감독 공공 행사 개최 |
구분 | |
종류 | 평민 조영관 귀족 조영관 |
선출 | 평민 조영관: 평민회에서 선출 귀족 조영관: 원로원에서 선출 (기원전 367년 이후) |
정원 | 평민 조영관: 2명 귀족 조영관: 2명 (기원전 44년 카이사르에 의해 4명으로 증원) |
권한 및 책임 | |
사원 관리 | 사원의 유지 및 관리 감독 (aedes) |
공공 시설 | 도로, 하수도, 상수도 관리 공공 건물 관리 및 유지 보수 |
시장 감독 | 도량형 감독 식품 품질 관리 부정행위 단속 |
공공 질서 | 공공 행사 감독 화재 예방 불법 건축 단속 |
공공 행사 개최 | 경기 대회 (ludi) 및 축제 조직 및 재정 지원 시민들에게 즐거움 제공 |
곡물 공급 | 곡물 가격 감시 필요시 곡물 수입 및 배급 |
역사 | |
기원 | 평민의 권익 보호를 위해 기원전 494년 창설 |
귀족 조영관 추가 | 기원전 367년 리키니우스-섹스티우스 법에 따라 귀족에게도 개방 |
곡물 조영관 | 기원전 4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신설 (곡물 수급 담당) |
중요성 | |
정치 경력 | 조영관은 퀘스토르 직위 다음의 정치 경력 단계 조영관 직책 수행은 더 높은 관직(아이딜리스, 집정관)으로 나아가기 위한 발판 대중의 지지를 얻고 명성을 쌓는 기회 |
2. 기원
조영관은 기원전 494년 호민관과 같은 시기에 설치되었다. 원래 아벤티누스 언덕에 있는 케레스 신전의 관리인이었는데, 케레스 신전은 장터이자 무역 전초지였을 뿐 아니라 초기 평민들의 정치 유세 중심지였다. 조영관은 평민들의 기금과 문서보관소의 관리인이었고, 리비우스(책 3:55)에 따르면 기원전 449년부터는 원로원의 결의들을 관리했다.[16]
조영관은 크게 평민 조영관(aediles plebi)과 귀족 조영관(aediles curules)의 두 종류로 나뉘었다.[1] 평민 조영관은 기원전 494년 호민관과 같은 해에 창설되었으며, 원래 호민관의 보좌관으로 의도되었다. 이들은 케레스 신전과 관련하여 평민의 권리를 보호하고, 도시 건물 유지 관리 책임을 맡았다.[1] 귀족 조영관은 티투스 리비우스에 따르면 기원전 367년 리키니아 법안 통과 후 로마의 축제에 하루가 더해졌을 때, 평민 조영관이 추가 비용 부담을 거부하자 귀족들이 이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조영관직을 수락하면서 설치되었다.
키케로의 저서 ''법률''(De legibus) 3.3.7에 따르면, 조영관은 선출된 후 1년의 임기 동안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졌다.[16]
처음에 조영관은 호민관의 보좌관으로서, 본부인 케레스 신전과 관련하여 평민의 권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했다.[1] 초기에는 단순한 사무적인 임무를 수행했고, 호민관이 위임하는 문제에 대해 보좌관 역할을 했지만, 위임받은 대부분의 문제는 중요성이 미미했다.
3. 종류와 성격
두 종류의 조영관은 역할 분담과 협력을 통해 도시 행정, 식량 공급, 축제 운영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했다. 초기에는 평민 조영관이 평민회의 법령인 "평민 결의"를, 귀족 조영관은 원로원의 법령 관리를 담당했다.[2] 시간이 지나면서 이들의 권한은 증가했지만, 감찰관의 권한과 명확히 구별하기는 어려웠다. 때로는 감찰관이 임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조영관이 대신하기도 했다.[4]
공공 축제와 관련해서는 두 종류의 조영관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일부 축제는 평민적인 성격을 띠었기에 평민 조영관이 감독했고,[5] 다른 축제는 귀족 조영관의 전적인 감독을 받았다.[6] 케레스제(ludi Ceriales)는 평민 조영관이, 유피테르제(ludi Romani, 로마제)는 처음에는 평민 조영관이 담당했지만 귀족 조영관이 증원된 후에는 귀족 조영관이 담당했다. 플로라제(ludi Florales)는 기원전 240년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담당에 대한 여러 설이 있다. 조영관들은 종종 축제에 많은 돈을 썼는데, 이는 미래 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다.[7]
키케로에 따르면, 조영관은 원로원에서 우선적인 발언권을 가졌으며, 토가 프라에텍스타 착용, 안전 의자(sella curulis) 사용, 데스마스크(imago, 이마고)를 남길 권리(ius imaginis) 등 명예로운 특권을 누렸다. 이마고의 권리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있는데, 공공 장소에 상을 세울 권리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확대 해석하는 설도 있다.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술라의 독재 이후, 귀족 조영관과 평민 조영관의 차이는 없어졌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학자도 있다.
4. 임기와 권한
조영관의 권한과 의무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권한 및 의무 |
---|
도시 기능 관리 |
유통 기능 관리 |
제의 관리 |
공공 건축물 관리 및 보수 |
치안 및 도시 기능 감시, 법 위반자에 대한 벌금 부과 권한 |
물가 안정 감시 및 불안정 시 개입 권한 |
신에게 바치는 축제(ludi) 및 정치인 개인의 행사(검투사 시합 등) 관리 조정 |
기원전 367년 리키니우스 섹스티우스 법 제정 당시 마르쿠스 푸리우스 카밀루스의 중재로 집정관의 한 명을 플레브스에서, 프라에토르의 한 명을 파트리키에서 선출하기로 결정되었다. 이때, 로마제 연장 축하에 플레브스가 거부하자, 파트리키의 젊은이들이 파트리키의 조영관을 선출하는 것을 민회에 자문하면서 파트리키만이 취임하는 '''아에디리스 쿠룰리스'''가 증설되었다.[15] 이들은 신성성을 나타내고 권위의 상징인 상아 의자(셀라 쿠룰리스)의 사용이 허가되었다. 반면, 플레브스만이 취임할 수 있었던 기존의 조영관은 '''아에디리스 플레비스'''라고 불렸다.
5. 역사적 변천
기원전 494년 호민관과 같은 시기에 설치된 아에디리스(조영관)는 원래 호민관을 보좌하는 공직이었다. 그러나 후에는 주로 정치적 야망을 가진 젊은이들이 취임하여 로마인들이 명예롭게 여기는 경력(쿠르수스 호노룸)의 시작점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아에디리스 쿠룰리스는 장래에 집정관에 취임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공직으로 여겨졌다.[1]
기원전 44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로마로의 곡물 유통을 관리하는 전문 아에디리스 직책을 설치했다.
아우구스투스 통치 시기에 조영관(아에디리스) 직책은 그 중요성이 크게 줄었다. 사법 기능과 경기 관리는 프라에토르에게 이관되었고, 도시 관련 책임은 도시 지사의 임명으로 제한되었다. 아우구스투스는 다양한 종교 의식에 대한 권한을 스스로 가졌고, 사원 관련 권한을 빼앗아 본래 기능을 없앰으로써 사실상 직책을 폐지했다. 권한이 없는 직책을 기피하는 사람이 많아 아우구스투스는 개인에게 이 직책을 강제로 맡기기도 했다. 그는 이전의 호민관과 퀘스토르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이 직책을 맡겼다. 이후 황제들은 새로 만들어진 직책으로 권한을 이양하여 이 직책의 권력을 계속 약화시켰다. 3세기에는 완전히 사라졌다.[11]
6. 현대의 조영관
오늘날 포르투갈에서는 군(郡)의 시장을 여전히 '에딜(edil)'이라고 부를 수 있다(예: 'O edil de Coimbra'는 '코임브라의 시장'을 의미). 이 호칭은 브라질과 루마니아에서도 모든 시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예: 'Edil al Bucureștiului'는 '부쿠레슈티 시장'을 의미). 스페인(및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시의회 의원을 '콘세할레스(concejales)' 또는 '에딜레스(ediles)'라고 부른다.
셰익스피어는 그의 희곡 ''코리올라누스''에서 애딜(aediles)을 언급한다. 그러나 그들은 조연이고, 그들의 주요 역할은 경찰관 역할을 하는 것이다.[14]
참조
[1]
문서
McCullough, 938
[2]
문서
Liv. III.55
[3]
문서
Cic. Verr. V.14
[4]
문서
"[[Tabula Heracleensis]]"
Alessio Simmacho Mazzocchi
[5]
문서
Liv. XXXI.56
[6]
문서
Liv. XXXI.50
[7]
문서
Plut. Caesar, 5
[8]
웹사이트
Ancient Rome - Roman Senate, Republic, and Law of Twelve Tables
https://www.britanni[...]
2023-06-27
[9]
문서
Livy, XL.44
[10]
논문
Did the Romans like Young Men? A Study of the Lex Villia Annalis: Causes and Effects
https://www.jstor.or[...]
1992
[11]
문서
Dio Cassius LV.24
[12]
문서
Tacitus Annales
[13]
문서
De Aedil. Col, &c
Otto. Lips.
1732
[14]
서적
The Tragedies of William Shakespeare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Inc.
[15]
문서
リウィウス『ローマ建国史』6.42
[16]
서적
로마사(A History of the roman peop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