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바티스트 드 라 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바티스트 드 라 살은 1651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1719년 사망한 프랑스의 사제이자 교육자이다. 그는 파리 생 술피스 신학교와 소르본 대학교를 졸업하고, 근대 교육의 선구자로서 평민 아이들을 위한 혁신적인 교육 방법을 실천했다. 그는 1684년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를 설립하여 교육 활동을 펼쳤으며, 1900년 성인으로 시성되었고, 1950년 모든 교육자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라 살의 교육 철학은 평신도 교사 양성, 학년별 교육 과정, 체벌 금지, 무상 교육 등을 포함하며, 그의 원칙을 따르는 라살 학교들은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라살 교육 기관에서 아동 성적 학대 및 신체적 학대 사례가 보고되어 조사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교육자 - 펠릭스 라베송
펠릭스 라베송은 빅토르 쿠쟁의 영향을 받아 의식 행위와 의지를 중시하는 독자적인 철학관을 확립하고 습관을 인간 존재의 본질로 분석한 《습관론》으로 앙리 베르그송과 마르틴 하이데거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고고학자로서 《밀로의 비너스》에 관한 모노그래프를 출판하기도 한 프랑스의 철학자이다. - 18세기 기독교 성인 - 루이마리 그리그뇽 드 몽포르
루이마리 그리뇽 드 몽포르는 프랑스의 로마 가톨릭 사제로서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을 강조한 저술가, 선교사, 수도자이며, 가난한 이들을 위한 봉사에 헌신하고 묵주 기도를 장려하며 마리아 자매회와 지혜의 딸 수녀회를 창설했고, 성모 마리아를 통해 예수께 헌신하는 특별한 길을 제시하여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 교황 레오 13세가 시복한 복자 - 교황 우르바노 2세
교황 우르바노 2세는 1088년부터 1099년까지 재위하며 제1차 십자군 파병을 호소하여 십자군 운동을 촉발하고, 개혁을 추진하며 교황권을 강화하다가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하기 직전에 사망한 인물이다. - 교황 레오 13세가 시복한 복자 - 교황 빅토르 3세
교황 빅토르 3세는 1086년부터 1087년까지 재임한 제158대 교황으로, 란고바르드족 출신 몬테카시노 수도원장이었으며, 그레고리오 개혁의 정신을 이어가고자 노력했다.
장 바티스트 드 라 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사제, 수도자, 창립자 및 고해 신부 |
출생일 | 1651년 4월 30일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샹파뉴 랭스 |
사망일 | 1719년 4월 7일 |
사망지 | 프랑스 왕국 노르망디 루앙 |
축일 | 교회: 4월 7일 5월 15일 (일반 로마력 1904-1969, 및 라살회 기관) |
시복일 | 1888년 2월 19일 |
시복 장소 | 성 베드로 대성당 |
시복자 | 교황 레오 13세 |
시성일 | 1900년 5월 24일 |
시성 장소 | 성 베드로 대성당 |
시성자 | 교황 레오 13세 |
주요 성지 | 성 요한 세례자 드 라 살 성지, 카사 제네랄리치아, 로마, 이탈리아 |
상징물 | 책, 그리스도교 형제들의 수도복 |
수호 | 청소년 교사 (1950년 5월 15일, 비오 12세) 그리스도 학교 형제회 라살회 교육 기관 교육자 학교 교장 교사 |
공경 대상 | 로마 가톨릭 교회 |
존칭 접미사 | FSC |
이름 | |
프랑스어 | Jean-Baptiste de La Salle |
라틴어 | Sanctus Iohannes Baptiste De La Salle |
정보 | |
기타 이름 | 장 바티스트 드 라 살 |
발음 | |
영어 (IPA) | /ləˈsæl/ |
프랑스어 (IPA) | /ʒɑ̃ batist də la sal/ |
수도회 | |
소속 | 그리스도 학교 수도회 |
2. 생애
라 살은 랭스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좋은 교육을 받고 사제가 되었다. 그는 가난한 아이들의 교육에 헌신하기로 결심하고, 1679년 예수 성심 수녀회와 함께 일하면서 아드리앵 뉘엘을 만나 학교를 설립하였다. 이후 교사 양성과 학교 설립에 힘쓰면서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를 창설하였다.
그는 당시 사회, 경제적으로 어려운 아이들에게 무상 교육을 제공하고, 교사들에게는 식사 예절을 가르치고 함께 생활하며 교육 방법을 개선하는 등 혁신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그의 활동은 교회 당국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9]
라살은 자신의 사제직을 내려놓고, 상속받은 재산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면서까지 교육 사업에 헌신했다. 그는 1685년 랭스에 최초의 사범학교를 설립하여 교사 양성에 힘썼다.[12]
금욕과 힘든 노동으로 지친 라살은 1719년 성금요일 루앙 근처 생용에서 사망했다.[13] 그는 죽음의 침상에 누웠을 때조차 사제직을 박탈당하는 불명예를 안았으나, 사람들은 그의 죽음에 대해 “성인이 죽었다”고 소문을 냈다.
그의 업적은 사후 19세기에 들어서야 교회에서도 이해되기 시작하여,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또한 20세기 중반, 모든 교육자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되었다.
그의 생애를 연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1651년 | 프랑스 북부 랭스에서 태어남. |
1678년 | 가톨릭 사제가 됨. |
1684년 | 12명의 교사와 함께 청소년 교육을 목적으로 라 살레 수도회를 설립. |
1685년 | 프랑스 랭스에 세계 최초의 사범학교를 설립. |
1699년 | 공예학교 설립. |
1719년 | 루앙에서 사망. |
1888년 | 복자품에 올림(교황 레오 13세). |
1900년 | 성인품에 올림(교황 레오 13세). |
1950년 | 모든 교육자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됨(교황 비오 12세). |
2. 1. 초기 생애
라 살은 1651년 4월 30일 프랑스 랭스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루이 드 라 살과 니콜 모에 드 브뤼예의 장남이었다. 니콜의 가족은 귀족 가문이었고 성공적인 와이너리 사업을 운영했으며, 모엣 샹동의 창립자 클로드 모엣의 친척이었다.[1]라 살은 1662년 3월 11일 열한 살 때 삭발식을 치렀다.[2][6] 이는 소년의 의도와 부모가 어린 아들을 하나님의 봉사에 바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공식적인 의식이었다.[3] 그는 열여섯 살 때 랭스 대성당의 대성당 참사회원이 되었고,[4] 열일곱 살 때에는 하급 성품을 받았다.[2] 그는 콜레주 데 봉 앙팡으로 보내져 고등 교육을 받았고, 1669년 7월 10일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라 살이 고전, 문학, 철학 과정을 마치자 1670년 10월 18일 파리의 생 술피스 신학교에 들어갔다. 그의 어머니는 1671년 7월 19일에, 아버지는 1672년 4월 9일에 돌아가셨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그는 1672년 4월 19일 생 술피스를 떠나야 했다. 그는 이제 스물한 살의 가장이었고, 네 명의 남동생과 두 명의 여동생을 교육할 책임을 져야 했다. 1672년 그는 부제의 하급 성품을 받았고, 1676년에는 부제로 서품되었으며, 마침내 신학 연구를 마치고 1678년 4월 9일 26세의 나이로 사제 서품을 받았다.[5] 2년 후 그는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6]
2. 2. 교육 활동
1679년, 예수 성심 수녀회와 함께 일하면서 아드리앵 뉘엘(Adrian Nyel)을 만났다. 드 라 살의 도움으로 곧 학교가 개교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랭스(Reims)의 부유한 여성이 뉘엘에게 드 라 살이 도와준다면 자신도 학교를 설립하겠다고 말했다. 드 라 살의 고향에서 아드리앵 뉘엘이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설립하는 것을 돕는 것으로 시작된 일은 점차 그의 평생의 업이 되었다.[7]파리 근교의 생쉴피스 교회 신학교(Séminaire Saint-Sulpice)와 파리대학교(소르본느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제가 된 그는 근대 교육의 선구자였다. 당시 서구에서는 상류 계급 자녀만이 가정교사에게 라틴어 교육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데 반해, 평민 아이들을 한데 모아 학급으로 나누고, 일상 용어(프랑스어)로 교육하는, 현대 학교 교육 시스템에 통하는 혁신적인 교육 방법을 실천했다. 또한 청소년 교육에 헌신했다.
그의 교육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서당식 개인 지도를 폐지하고, 학년(연령)별 교육과정을 설정했다.
- 교사에 의한 체벌을 금지했다.
- 가난한 가정의 수업료를 면제했다.
이에 따라 라 살은 현대 의무 교육의 기초를 만들었다고도 말해진다.
당시 박해는 혹독했다. 성직자이자 귀족이기도 한 라 살이 거리의 아이들에게 평민 교사와 함께 교육을 베푸는 광경은 교회나 친척들 눈에는 거리 아이들이나 행실이 나쁜 형제들과 어울리는 것처럼 보였던 것 같다.
라 살은 그 일로 라 살 가문을 나와야만 했다. 라 살에게 공감한 귀족 자제 아베 클레망(Abbe' Clement)이 학교를 짓는다는 이유로 자금을 대준 일에 있어서는, 상환도 받지 못하고 오히려 그의 아버지에게 미성년자를 속였다는 이유로 고소당해 패소했기 때문에, 파리에서 도망쳐 오랫동안 은거해야 했다.
2. 3.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 설립
당시 대부분의 아이들은 사회적 및 경제적 발전에 대한 희망이 거의 없었다. 라살은 이 세상이나 저 세상에서 모두 "구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듯한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에 감동하여 자신의 재능과 고등 교육을 "종종 방치되고 잘못 길러진" 아이들을 위해 헌신하기로 결심했다.[4]라살은 랭스의 교사들이 리더십, 목표, 훈련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고 있었고, 이 소규모 남성 그룹을 돕기 위해 점점 더 의도적인 조치를 취했다. 1680년 라살은 교사들을 자신의 집에서 식사하도록 초대했는데, 이는 식사 예절을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그들의 일에 영감을 주고 가르치기 위한 것이었다. 1681년, 라살은 교사들을 자신의 집으로 데려와 함께 살게 했다. 1년 후, 가족 소송으로 인해 그의 가족 집이 경매에서 팔리자, 라살은 자신과 교사들이 이사할 집을 임대했다.[8]
라살은 학교 설립과 교사 훈련에 전념하기 위해 사제직을 사임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상당한 재산을 상속받았는데, 파리의 바르 신부의 조언에 따라 소유물을 팔고 그 돈을 기근으로 큰 고통을 겪고 있는 샹파뉴 지방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보냈다.[9]
그리하여 라살은 회원 중에 사제가 전혀 없는 최초의 수도회인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를 시작했다.[4] (유럽, 오세아니아, 아시아에서는 드 라살 형제회, 미국에서는 기독교 형제회로도 알려짐)
라살의 사업은 새로운 형태의 수도 생활, 즉 무료 학교를 "함께 그리고 연합하여" 운영하는 봉헌된 평신도 공동체의 창설에 저항하는 교회 당국으로부터 반대에 직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살과 그의 소규모 무료 교사들은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를 설립했는데, 이는 가톨릭 수도자의 삶과 가까운 삶 속에서 "장인과 가난한 사람들의 자녀들"의 그리스도교 교육에 전적으로 헌신하고 있다.[11]
1685년 라살은 랭스에 최초의 사범학교(교사를 양성하는 학교)를 설립했다.[12]
2. 4. 말년과 죽음
라 살은 1719년 루앙에서 사망하였다.[1] 1888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1] 1900년 성인품에 올랐다.[1] 1950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모든 교육자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1]3. 교육 철학 및 업적
라살은 당시 대부분의 아이들이 사회, 경제적으로 발전할 희망이 거의 없었던 현실에 주목하고,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에 감동하여 자신의 재능과 고등 교육을 "종종 방치되고 잘못 길러진" 아이들을 위해 헌신하기로 결심했다.[4]
라살은 랭스의 교사들이 리더십, 목표, 훈련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고, 그들을 돕기 위해 노력했다. 1680년에는 교사들을 자신의 집에 초대하여 식사를 함께하며 식사 예절을 가르치고 그들의 일에 영감을 주었으며, 1681년에는 교사들을 자신의 집으로 데려와 함께 살게 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그의 친척과 사회적 동료들의 반발을 샀다.[8]
그는 학교 설립과 교사 훈련에 전념하기 위해 사제직을 사임하고, 상속받은 재산을 팔아 샹파뉴 지방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보냈다.[9] 그는 새로운 수도회인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4]를 시작했는데, 이는 회원 중에 사제가 전혀 없는 최초의 수도회였다.
라살의 사업은 교회 당국의 반대에 직면했지만, 라살과 그의 교사들은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를 설립하여 가톨릭 수도자의 삶과 가까운 삶 속에서 "장인과 가난한 사람들의 자녀들"의 그리스도교 교육에 전념했다.[11]
1685년, 라살은 프랑스 랭스에 최초의 사범학교(교사를 양성하는 학교)를 설립했다.[12] 그는 평신도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선구자였으며, 그의 교육 혁신에는 근로 청년을 위한 일요일 강좌, 프랑스 최초의 비행 청소년 보호 시설 중 하나, 기술학교, 현대 언어, 예술 및 과학을 위한 중등 학교가 포함된다.[14]
라살 학교들은 라살의 원칙을 따르는 300년 역사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15] 2021년, 국제 라살 선교 웹사이트는 라살 수도회가 약 3,000명의 형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80개국 이상의 1,100개 이상의 교육 센터에서 100만 명이 넘는 학생들과 9만 명의 교사 및 평신도 협력자들과 함께 운영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19]
소행성 3002 Delasalle은 1982년에 발견되었으며 드 라 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
금욕과 힘든 노동으로 지친 라살은 1719년 성금요일 루앙 근처 생용에서 사망했다.[13]
3. 1. 혁신적인 교육 방법
라살은 당시 사회적, 경제적 발전의 희망이 거의 없던 대부분의 아이들을 위해 자신의 재능과 고등 교육을 헌신하기로 결심했다.[4] 그는 랭스의 교사들이 리더십, 목표, 훈련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고, 1680년 자신의 집에 초대하여 식사를 함께하며 식사 예절을 가르치고 그들의 일에 영감을 주었다. 1681년에는 교사들을 자신의 집으로 데려와 함께 살게 했다. 이러한 행동은 그의 친척과 사회적 동료들의 반발을 샀다. 1년 후, 가족 소송으로 인해 그의 집이 경매에 팔리자, 그는 교사들과 함께 이사할 집을 임대했다.[8]라살은 학교 설립과 교사 훈련에 전념하기 위해 사제직을 사임하고, 상속받은 재산을 팔아 샹파뉴 지방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보냈다.[9] 그는 새로운 수도회인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를 시작했는데, 이는 회원 중에 사제가 전혀 없는 최초의 수도회였다.[4]
라살의 사업은 교회 당국의 반대에 직면했는데, 이들은 봉헌된 평신도 공동체가 무료 학교를 운영하는 새로운 형태의 수도 생활에 반대했다. 교육 기관은 그의 혁신적인 방법에 반감을 가졌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살과 그의 교사들은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를 설립하여, "장인과 가난한 사람들의 자녀들"의 그리스도교 교육에 전념했다.[11]
1685년 라살은 랭스에 최초의 사범학교를 설립했다.[12]
라살은 근대 교육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당시 서구에서는 상류 계급 자녀만이 가정교사에게 라틴어 교육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라살은 평민 아이들을 모아 학급으로 나누고, 일상 용어(프랑스어)로 교육하는 현대 학교 교육 시스템에 통하는 혁신적인 교육 방법을 실천했다. 또한, 다음과 같은 교육 개혁을 실시했다.
- 서당식 개인 지도를 폐지하고, 학년별 교육과정을 설정했다.
- 교사에 의한 체벌을 금지했다.
- 가난한 가정의 수업료를 면제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라살은 현대 의무 교육의 기초를 만들었다고 평가받는다.
하지만 당시 라살에 대한 박해는 혹독했다. 성직자이자 귀족이었던 라살이 거리의 아이들에게 평민 교사와 함께 교육을 베푸는 것은 교회나 친척들에게 큰 반발을 샀다. 그는 라살 가문에서 나와야 했고, 그에게 공감한 귀족 자제 아베 클레망이 학교 건립 자금을 대준 일로 소송을 당해 파리에서 도망쳐야 했다. 심지어 죽음의 침상에 누웠을 때조차 사제직을 박탈당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그러나 사람들은 라살의 죽음에 대해 “성인이 죽었다”고 소문을 냈다고 한다.
3. 2. 사회적 영향
라살은 당시 대부분의 아이들이 사회적 및 경제적 발전에 대한 희망이 거의 없었던 현실에 주목했다. 그는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에 감동하여 자신의 재능과 고등 교육을 "종종 방치되고 잘못 길러진" 아이들을 위해 헌신하기로 결심했다.[4]라살은 학교 설립과 교사 훈련에 전념하기 위해 사제직을 사임하고, 상속받은 재산을 팔아 샹파뉴 지방의 가난한 사람들에게 보냈다.[9] 그는 새로운 수도회인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4]를 시작했는데, 이는 회원 중에 사제가 전혀 없는 최초의 수도회였다.
라살의 사업은 교회 당국의 반대에 직면했지만, 라살과 그의 교사들은 그리스도교 학교 형제회를 설립하여 가톨릭 수도자의 삶과 가까운 삶 속에서 "장인과 가난한 사람들의 자녀들"의 그리스도교 교육에 전념했다.[11]
1685년, 라살은 프랑스 랭스에 최초의 사범학교(교사를 양성하는 학교)를 설립했다.[12] 그는 평신도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선구자였으며, 그의 교육 혁신에는 근로 청년을 위한 일요일 강좌, 프랑스 최초의 비행 청소년 보호 시설 중 하나, 기술학교, 현대 언어, 예술 및 과학을 위한 중등 학교가 포함된다.[14]
라살 학교들은 라살의 원칙을 따르는 300년 역사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15] 2021년, 국제 라살 선교 웹사이트는 라살 수도회가 약 3,000명의 형제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80개국 이상의 1,100개 이상의 교육 센터에서 100만 명이 넘는 학생들과 9만 명의 교사 및 평신도 협력자들과 함께 운영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19]
소행성 3002 Delasalle은 1982년에 발견되었으며 드 라 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
라살은 근대 교육의 선구자로서, 평민 아이들을 한데 모아 학급으로 나누고, 일상 용어(프랑스어)로 교육하는 등 현대 학교 교육 시스템에 통하는 혁신적인 교육 방법을 실천했다. 또한 청소년 교육에 헌신하여 다음과 같은 업적을 이루었다.
- 서당식 개인 지도를 폐지하고, 학년(연령)별 교육과정을 설정했다.
- 교사에 의한 체벌을 금지했다.
- 가난한 가정의 수업료를 면제했다.
이러한 라살의 업적은 현대 의무 교육의 기초를 만들었다고 평가받는다.
4. 시성 및 기념
레오 13세는 1900년 5월 24일 라살을 시성했고, 비오 10세는 1904년 그의 축일을 5월 15일로 정하여 로마 일반 달력에 추가했다.[13] 비오 12세는 1950년 5월 15일 그의 삶과 영감을 주는 저술들을 근거로 그를 모든 청소년 교육자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했다.[13] 바오로 6세는 교회력의 1969년 개정판에서 그의 축일을 4월 7일, 즉 그의 죽음 또는 "천국으로의 탄생"인 그의 ''dies natalis''로 옮겼다.
5. 라살회와 한국
장 바티스트 드 라 살의 뒤를 잇는 라살회는 전 세계에서 1,081개의 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약 6,000명의 수사(브라더)가 있다(교육을 위한 수도회 중에서는 최대 규모).
5. 1. 한국 진출
라살회는 일본에서 하코다테시에 하코다테 라살 학원, 가고시마시에 라살 학원, 센다이시에 라살 홈을 운영하고 있다. 과거에는 우에하라(시부야 구)와 히노시에 라살 하우스라는 기숙사가 있었지만, 현재는 폐쇄되어 일본 내 라살회 관련 시설은 하코다테, 가고시마, 센다이에 집중되어 있다.5. 2. 라살 학원
일본에서는 하코다테시에 하코다테 라살 학원, 가고시마시에 라살 학원, 센다이시에 라살 홈을 운영하고 있다. 예전에는 라살 하우스라는 기숙사가 우에하라(시부야 구), 히노시에 있었지만 폐쇄되었고, 일본 국내 라살회 관련 시설은 하코다테, 가고시마, 센다이에 집중되어 있다.연도 | 사건 |
---|---|
1932년 | 라살회 수도사들이 캐나다 관구 몬트리올에서 하코다테시에 도착 (일본에서의 라살회 기원) |
1936년 | 센다이시로 이전하여 외국어 학교 운영 |
1948년 | 센다이시에서 아동 보호 시설인 히카리가오카텐시엔(光ケ丘天使園)(후의 라살 홈) 설립 |
1950년 | 라살 고등학교를 가고시마시에 설립 |
1956년 | 라살 중학교를 가고시마시에 설립 |
1960년 | 하코다테 라살 고등학교를 하코다테시에 설립 |
1999년 | 하코다테 라살 중학교를 하코다테시에 설립 |
6. 비판 및 논란
라살 학교들은 라살의 원칙을 따르는 300년 역사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15] 많은 학교들이 라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 라살 학교 근처에는 그의 이름을 딴 여러 거리가 있다. 1980년대 이후, 라살 교육 기관에서 발생한 아동 성적 학대 및 신체적 학대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은폐된 가톨릭교회 기관[16] 및 기타 기관[17]에서 보고되고 있다.
6. 1. 성추문 사건
라살 교육 기관에서 발생한 아동 신체적 학대 및 성추문 사건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고, 인정되었으며,[18][17] 사과했다. 1980년대 이후로 당국이 은폐한 아동 성적 학대 및 신체적 학대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은폐된 가톨릭교회 기관[16] 및 기타 기관[17]에서 보고되고 있다.참조
[1]
논문
To Touch Hearts - Pedagogical Spirituality and St. John Baptist de La Salle
Boston College
1995
[2]
웹사이트
In the Footsteps of De La Salle
https://www.dlsfoots[...]
[3]
서적
CATHOLIC ENCYCLOPEDIA
https://www.newadven[...]
2020-01-01
[4]
웹사이트
St. John Baptist de La Salle
http://www.lasalle.o[...]
La Salle.org
[5]
웹사이트
La Salle, Ireland, Great Britain, and Malta
https://www.lasallei[...]
[6]
간행물
St. John Baptist de la Salle
[7]
서적
Claude Fleury (1640-1723) as an Educational Historiographer
1975
[8]
웹사이트
John Baptist de La Salle: His Life and Times
http://delasalle.org[...]
De La Salle Institute
2000
[9]
웹사이트
St. John Baptist de La Salle
http://www.ewtn.com/[...]
Lives of Saints, John J. Crawley & Co., Inc.
[10]
서적
Praying with John Baptist de La Salle
https://books.google[...]
Saint Mary's Press
1990
[11]
웹사이트
Saint Jean-Baptiste de La Salle
https://lasallefranc[...]
2016-01-01
[12]
웹사이트
Discover the Priesthood
http://www.discovert[...]
Diocese of Jefferson City, Missouri
[13]
웹사이트
Saint Jean-Baptiste de La Salle
http://nominis.cef.f[...]
[14]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La Salle University
[15]
웹사이트
De La Salle: Institutions and Activities
http://www.lasalle.o[...]
lasalle.org
[16]
뉴스
Hundreds of priests shuffled worldwide, despite abuse allegations
https://www.usatoday[...]
2004-06-20
[17]
서적
Report Chapters
https://www.hiainqui[...]
Historical Institutional Abuse Inquiry
2017-01-20
[18]
뉴스
Latham man says he was sexually abused by teacher
http://www.troyrecor[...]
2021-07-21
[19]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Lasallian Mission
https://www.lasalle.[...]
[20]
웹사이트
(3002) Delasalle
https://minorplanetc[...]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