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지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지세는 문서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1624년 네덜란드에서 80년 전쟁의 전비 조달을 위해 처음 도입되었다. 이후 여러 국가에서 도입되었으며, 한국에서는 인지세법에 따라 과세 대상 문서와 비과세 대상이 규정되어 있다. 과세 주체는 국가이며, 납세 의무자는 과세 문서를 작성한 자이다. 과세 표준 및 세액은 문서 종류에 따라 다르며, 납세 방법은 수입인지 부착, 세무서 납부, 인지세납부계기 사용 등 다양하다. 과태료 부과 및 과오납 처리 규정도 존재한다. 오스트레일리아, 덴마크, 홍콩, 인도, 인도네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도 인지세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국가별로 과세 대상 및 세율 등이 상이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세 - 소득세
    소득세는 납세자의 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다양한 세율 구조를 가지며, 원천징수와 자가 신고 방식으로 징수되며, 각국의 경제 상황과 사회 정책을 반영한다.
  • 국세 - 법인세 (대한민국)
    대한민국 법인세는 법인의 소득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으로, 익금에서 손금을 차감하여 소득금액을 계산하고, 이월결손금 공제 등을 적용하여 과세표준을 산출한 후 세율을 곱하여 결정되며, 법인 종류에 따라 세율이 차등 적용되고 중간예납 및 연결납세제도를 운영한다.
  • 조세 - 지방세
    지방세는 대한민국과 일본의 지방 자치 단체가 부과하는 세금으로, 일반 경비 충당을 위한 보통세와 특정 목적 사용을 위한 목적세로 구분되며, 한국은 취득세, 재산세, 지방소득세 등이 있고, 일본은 도도부현세와 시정촌세로 나뉜다.
  • 조세 - 연말정산
    연말정산은 납세자가 1년간의 소득에 대해 세금을 정산하는 절차로,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를 통해 환급 또는 추가 납부할 수 있으며, 국세청 홈택스 또는 일본의 신고납세제도 등을 통해 진행된다.
  • 금융에 관한 - 2023년 미국 은행 위기
    2023년 미국 은행 위기는 금리 인상, 채권 가격 하락, 암호화폐 시장 붕괴를 주요 원인으로, 실리콘밸리 은행 등 여러 은행의 파산으로 이어졌으며 미국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금융 규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금융에 관한 - 원천징수
    원천징수란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소득자(납세의무자)를 대신하여 소득세를 징수하여 국세청에 납부하는 제도로, 소득세법에 따라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에 적용되며 세금 납부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시행된다.
인지세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소비세
대상부동산 구매
문서
관할 지역다양함
영국 명칭Stamp duty
로마자 표기Injise
일본어 명칭印紙税 (인시제이)
목적 및 기능
주요 기능정부 수입 창출
부가 기능특정 거래에 대한 법적 효력 부여
국가별 정보
국가별 특징국가에 따라 세율, 대상, 면제 조건 등이 다름
대한민국인지세법에 따라 규정됨
일본印紙税法에 따라 규정됨
영국인지세 및 인지세 토지세 등으로 나뉨
법적 측면
법적 근거각 국가별 관련 법률에 근거함
법적 효력세금 납부 증거로 사용되어 계약 또는 문서의 유효성을 입증
기타
부과 방법인지 부착 또는 현금 납부 등
역사인지세의 기원은 1694년 영국으로 거슬러 올라감
관련 용어세금
과세
인지
문서세
재산세

2. 역사

1624년 네덜란드에서 80년 전쟁의 전비 조달을 위해 세무 공무원 요하네스 판덴브룩(Johannes van den Broeck)이 인지세를 발명하였다. 이후 인지세는 여러 국가로 확산되었다.


2. 1. 기원

1624년 네덜란드에서 80년 전쟁의 전비 조달을 위해 세무 공무원 요하네스 판덴브룩(Johannes van den Broeck)이 발명하였다.[1] 이후 1660년 덴마크, 1673년 프랑스, 1694년 영국에 도입되었고,[1] 1765년에는 영국에서 인지세법이 제정되어 미국 식민지에도 도입되었다.[1] 1873년에는 일본에 도입되었다.[1]

2. 2. 세계 각국의 도입

3. 한국의 인지세 제도

한국의 인지세는 부동산, 주식, 금융 거래 등과 관련된 문서에 부과되는 세금이다. 인지세법에 따라 과세 대상 문서의 작성자는 인지세를 납부할 의무가 있다. 과세 주체는 국가이며, 여러 명이 공동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연대하여 납세 의무를 부담한다.[1]

과세 대상 문서는 다음과 같다.



영수증의 경우, 기재된 금액이 5만 원 미만이면 인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23] 신용카드 매출전표는 영수증으로 보지만, 금전 수령이 없으므로 과세 대상이 아니다.[24]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하는 문서는 비과세 대상이다.[1]

3. 1. 과세 대상 문서 (일본 문서 기반)

3. 2. 비과세 대상 (일본 문서 기반)

영수증 중 5만 원 미만(2014년 3월 31일 이전에는 3만 원 미만)의 문서는 인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단, 금액에서 세금을 제외한 금액을 기재하거나 소비세액이 명확하게 명시되어 있는 경우 '''이외'''에는 포함된 금액으로 판단된다. 소비세 및 지방소비세 면세 사업자는 거래에 부과될 소비세 및 지방소비세가 없으므로, 영수증 등에 소비세액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기재해도 해당 금액은 기재 금액에 포함된다.[23]

다음은 영업과 관련 없는 영수증으로서 비과세되는 주요 사례이다.

신용카드로 구입한 고객의 요청에 따라 판매점이 발행하는 영수증(신용카드 이용의 뜻이 기재된 것에 한정)은, 표제가 「영수증」이어도 금전 수령이 없으므로 과세 문서에 해당하지 않는다.[24]

3. 3. 과세 주체 및 납세 의무자 (일본 문서 기반)

과세 주체는 '''국가'''이다.

납세 의무자는 과세 문서의 '''작성자'''이다. 예를 들어, 2명 이상이 공동으로 작성한 계약서와 같은 과세 문서에 대한 인지세는, 그 2명 이상이 연대납세 의무를 부담하는 것으로 한다.[1] 대리인이 대리인 명의로 작성한 문서의 경우, 납세 의무자는 본인이 아닌 대리인이 된다.[1] 또한, 문서 작성마다 과세되므로, 예를 들어 예비 계약과 본 계약처럼 두 번 문서를 작성하면 각각 과세된다.[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하는 문서는 비과세이다.[1]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와 사인이 공동으로 작성한 문서의 경우, 사인이 작성하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보관하는 것은 과세되지만,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하고 사인이 보관하는 문서는 비과세이다.[1] 대략 2통을 작성하여 각각 1통씩 보유하는 경우,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측이 인지세의 소인이 찍힌 것을 보유한다.[1]

3. 4. 과세 표준 및 세액 (일본 문서 기반)

과세표준 및 세액은 인지세법 별표 제1에 기재된 각 호별로 세분화되어 있다. 세액이 가장 저렴한 것은 200원이다. 일본의 토지 증여계약서일본어는 시가나 기재금액에 관계없이 계약금액이 기재되지 않은 문서로 취급된다. 계약금액을 변경하는 계약서의 경우, 변경 전 계약금액을 증명하는 계약서가 작성된 것이 명확한 경우, 계약금액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그 증가액을 기재금액으로 하고, 계약금액을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계약금액이 기재되지 않은 문서로 취급한다.

부동산의 양도에 관한 계약서에 2개 이상의 기재금액이 있는 경우(한꺼번에 여러 개의 물건을 양도하는 경우 등), 이 금액의 합계액이 부동산의 양도에 관한 계약서의 기재금액이 된다. 부동산의 교환 계약의 경우, 교환 대상물의 양쪽 가격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교환 차액의 금액에 관계없이 어느 쪽이든 높은 금액이 기재금액이 된다. 교환 차액의 금액만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교환 차액의 금액이 기재금액이 된다.

매출대금의 영수증(영수필증)에 관한 세액은 다음과 같다.[25]

기재된 영수금액세액
50000KRW 미만의 것, 영업과 관련 없는 것비과세
50000KRW 이상1000000KRW 이하의 것200KRW
1000000KRW 초과2000000KRW 이하의 것400KRW
2000000KRW 초과3000000KRW 이하의 것600KRW
3000000KRW 초과5000000KRW 이하의 것1000KRW
5000000KRW 초과10000000KRW 이하의 것2000KRW
10000000KRW 초과의 것4000KRW ~ (상한 200000KRW)


3. 5. 납세 방법 (일본 문서 기반)

인지세의 납세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신고 납부를 하는 경우에는 관할 세무서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과세 문서에 수입인지(우표와 매우 흡사한 액면이 인쇄된 유가증권으로, 우체국 우편 창구나 우표 판매소 등에서 판매된다. 단, 우편에는 사용할 수 없다)를 붙이고 '''소인'''을 찍는다. 소인은 인장 또는 서명으로 해야 한다. 단, 작성자 본인의 것이어야 할 필요는 없으며, 대리인이나 사용인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 세무서에 과세 문서를 가지고 가서 세액을 납부하고 세표를 받는다.
  • 인지세납부계기(우편에서 말하는 미터 스탬프에 해당)의 설치 허가를 받고, 세액을 납부하여 납부인을 찍는다.
  • 매월 지속적으로 작성되거나 특정일에 대량으로 작성되는 정형적인 과세 문서에 대해, 서식 표시를 하고 매월 작성 수량을 신고하는 동시에 세액을 납부한다.
  • 예금·적금통장 등에 대해, 4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1년 동안 작성된 것에 대한 세액을 현금으로 납부한다.

3. 6. 과오납 처리 (일본 문서 기반)

과세문서가 어떤 이유(서손 등)로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 또는 과세문서에 정확한 금액을 초과하여 수입인지를 붙인 경우에는, 인지세법 제14조 제1항·제2항, 인지세법 시행령 제14조 제1항·제4항 규정에 따라 「인지세 과오납[확인신청·충당청구]절차」를 관할 세무서에서 진행함으로써 인지세의 환급 또는 충당을 받을 수 있다.[1] 이 경우, 확인신청서 또는 충당청구서와 함께 과오납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해당 문서를 제시해야 한다. 세무서에서 확인 후, 약 1개월 이내에 확인신청서 또는 충당청구서에 지정된 방법으로 인지세가 환급 또는 충당된다. 인지 부분에는 확인 날인이 찍혀 반환된다. 다음과 같은 경우 과오납이 된다.

; 서손 등

: 과세문서 용지가 용지의 서손, 손상, 오염 등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 경우.

; 납부액 초과

: 인지세 금액이 인지세법에 규정하는 정확한 세액을 초과하는 경우.

; 기타 사유

:* 과부 판정 오류: 인지세 납부가 필요 없는 문서에 잘못하여 수입인지를 붙이거나 납부 인을 찍은 경우(예: 5만 미만의 영수증에 인지를 붙인 경우 등).

:* 이중 납부

:* 인지세 납부 등의 특례를 받은 과세문서에 대해 특례 방법 이외의 방법으로 상당 금액의 인지세를 납부한 경우.

:* 세표의 취소 등

:* 세표에 의한 납부의 특례를 받기 위해 인지세를 납부했지만, 세표의 압날을 청구하지 않았거나 청구했지만 기각된 경우.

:* 교부 문서

:* 인지세 납부 계기 설치자가 교부 문서에 대한 납부 인 압날을 승인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교부받은 과세문서에 납부 인을 찍은 경우.

:* 납부 계기의 폐지 등

:* 인지세 납부 계기에 의한 납부의 특례를 받기 위해 인지세를 납부했지만, 인지세 납부 계기의 설치 폐지 등으로 해당 납부 계기를 사용하지 않게 된 경우.

3. 7. 과태료 (일본 문서 기반)

인지세를 해당 과세 문서 작성 시까지 납부하지 않았을 경우, 인지세법 제20조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된다.

과태료 금액은 원칙적으로 납부하지 않은 인지세액의 3배(최저 금액은 1000JPY)이다. 다만, 자진 신고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미납액의 1.1배로 감경된다.[26]

또한, 인지를 적절한 방법으로 소인하지 않았을 경우, 소인되지 않은 인지 금액에 상당하는 금액의 과태료가 징수된다.

과태료는 소득세의 필요경비 또는 법인세손금에 산입할 수 없다.

4. 외국의 인지세 제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는 인지세를 부과하지 않지만, 오스트레일리아 주에서 다양한 증서(서면 문서)와 거래에 대해 인지세를 부과한다. 인지세율은 관할 구역에 따라 다르며(일반적으로 최대 5.5%), 인지세가 부과되는 증서와 거래의 성격도 다르다.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거래세'''"를 부과하기 위해 더 이상 물리적 문서가 필요하지 않다.[1] 주요 세금 형태에는 토지, 건물, 고정 설비, 공장 및 장비, 무형 사업 자산(예: 기업가치 및 지적 재산권) 채무 및 기타 유형의 과세 대상 자산 구매에 대한 양도세가 포함된다.[1]

덴마크에서는 1657년 스웨덴과의 전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임시 인지세가 도입되었고, 1660년에 영구적으로 제정되었다. 현재는 보험 증권에 대한 인지세만 규정하고 있다. 토지등기 인지세는 명칭이 변경되어 별도의 법률로 이관되었지만, 본질적으로는 동일하게 유지되어 증서에 대해 0.6%, 부동산 담보 대출에 대해 1.5%가 부과된다.

유럽 연합(EU)의 인지세는 1969년 7월 17일 자본 조달에 대한 간접세에 관한 이사회 지침(69/335/EEC)에 따라 그 범위가 제한된다.[2] 이 지침은 자본세 적용 거래는 해당 거래가 발생할 당시 자본 회사의 실질적 경영 중심지가 위치한 회원국의 영토 내에서만 과세될 수 있다고 명시한다. 2008년 2월 12일 자본 조달에 대한 간접세에 관한 이사회 지침(2008/7/EC)은 유가증권 발행(양도와는 대조적으로)에 대한 자본세를 전면 금지한다.[2]

그리스에서는 1930년 인지세가 도입되었으며, 1931년 인지세법으로 대체되었다.[1] 이 법은 모든 대출 계약에 3.6%의 수수료를 부과하도록 규정했다.[1] 2024년 8월 9일, 국가경제·재정부는 600건이 넘는 거래에 대한 인지세를 폐지하고 거래에 대한 디지털 거래 수수료를 도입하는 법안을 공개적으로 검토에 부쳤다.[1]

홍콩에서는 인지세 조례 제117장(SDO) 부칙 1에 따라, 부동산 매매 또는 임대 거래, 홍콩 주식 양도, 홍콩 지참증권, 그리고 상기 문서의 모든 사본 및 등본과 같은 4가지 유형의 문서에 인지세가 부과된다.[3] 토지 매매 계약에 대한 인지세는 고려 대가의 1.5%에서 8.5%까지의 누진세율로 부과되며, 최고 세율 8.5%는 고려 대가가 21,739,130HKD를 초과하는 경우에 적용된다.[3]

홍콩 부동산 매매 계약 인지세율[3]
고려 대가세율
21,739,130HKD 이하1.5% ~ 7.5% (누진세율)
21,739,130HKD 초과8.5%



1905년 홍콩 인지세 수입인지와 압인틀. 현재는 전자 인지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인도 법률은 제한적인 범주의 거래 문서에 인지세 납부를 요구한다. 대체로 부동산에 대한 권리와 소유권에 영향을 미치는 문서에는 인지세를 납부해야 한다.[5] 중앙 정부는 1899년 인도 인지세법에 따라, 주로 유가증권에 중점을 둔 여러 종류의 거래 문서에 대한 인지세 납부를 요구한다.[5]

인도네시아에서는 다양한 법적 문서에 인지세(''meterai'')가 사용된다. 2020년 인지세법(''UU No. 10 Tahun 2020 Tentang Bea Meterai'')에 따라 민사 사건을 설명하거나 법정에서 증거로 사용되는 문서에는 계속해서 인지세를 붙여야 한다. 2021년 10월 1일, 인도네시아 정부는 재무부를 통해 전자 인지세(''e-meterai'')를 출시했다.

인도네시아의 전자 인지세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현금자동입출금기 카드, 수표, 부동산 이전, 특정 법원 서류 등 다양한 품목에 인지세가 부과된다.[7] 주택의 경우 2011년 이후 100만 유로까지는 1%, 그 이상은 2%의 인지세가 부과된다.

싱가포르의 인지세는 부동산, 주식 및 채권 관련 서류에만 적용된다. 싱가포르 부동산 매입이나 싱가포르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식 매입에는 인지세가 부과된다.

스웨덴 법률은 부동산 등기부에 대해 취득가액의 1.5%에 해당하는 인지세를 부과한다.[1] 또한, 부동산에 대한 새로운 저당권 증서("pantbrev")에는 2.0%의 인지세가 부과된다.[1]

영국에서는 1986년 특정 주식 및 기타 증권 양도 계약에 대해 "주식 인지세(Stamp Duty Reserve Tax, SDRT)"가 도입되었다.[14] 2003년 12월 1일부터 토지 및 부동산 거래에 "주택 인지세(Stamp Duty Land Tax, SDLT)"가 도입되었다. 2017년 예산안에서는 30만파운드 이하의 주택을 구매하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첫 주택 구매자에 대한 인지세가 폐지되었다.

미국에서는 주 정부에서만 인지세를 부과한다. 부동산이 이전되거나 매각될 때 일반적으로 부동산 등록세가 공개 기록부에 증서가 등록될 때 징수된다.[21]

4. 1.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는 인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지세는 다양한 증서(서면 문서)와 거래에 대해 오스트레일리아 주에서 부과된다. 인지세법은 8개 관할 구역 모두에서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인지세율 또한 관할 구역에 따라 다르며(일반적으로 최대 5.5%), 인지세가 부과되는 증서와 거래의 성격도 다르다.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이제 종종 "'''거래세'''"라고 하는 것을 부과하기 위해 더 이상 물리적 문서가 필요하지 않다.

주요 세금 형태에는 토지(자유 소유권 및 임차권 모두), 건물, 고정 설비, 공장 및 장비, 무형 사업 자산(예: 기업가치 및 지적 재산권) 채무 및 기타 유형의 과세 대상 자산 구매에 대한 양도세가 포함된다. 또 다른 주요 세금 유형은 토지 소유자 세금으로, 특정 가치 임계값 이상의 토지를 보유하는 회사의 주식 또는 신탁의 단위 취득에 부과된다.[1]

4. 2. 덴마크

1657년 스웨덴과의 전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임시 인지세가 도입되었다. 1660년에 영구적으로 제정되었으며, 이후 상당한 변경을 거쳤지만 여전히 법전에 남아 있다. 대부분의 인지세는 2000년 1월 1일부터 폐지되었고, 현재 법률은 보험 증권에 대한 인지세만 규정하고 있다. 토지등기 인지세는 명칭이 변경되어 별도의 법률로 이관되었지만, 본질적으로는 동일하게 유지되어 증서에 대해 0.6%, 부동산 담보 대출에 대해 1.5%가 부과된다.

4. 3. 유럽 연합 (EU)

EU의 인지세는 1969년 7월 17일 자본 조달에 대한 간접세에 관한 이사회 지침(69/335/EEC)에 따라 그 범위가 제한된다.[2] 이 지침은 자본세 적용 거래는 해당 거래가 발생할 당시 자본 회사의 실질적 경영 중심지가 위치한 회원국의 영토 내에서만 과세될 수 있다고 명시한다. 자본 회사의 실질적 경영 중심지가 제3국에 위치하고 등기상 주소가 회원국에 위치한 경우, 자본세 적용 거래는 등기상 주소가 위치한 회원국에서 과세된다. 자본 회사의 등기상 주소와 실질적 경영 중심지가 모두 제3국에 위치한 경우, 회원국에 위치한 지점에 고정 자본 또는 운전 자본을 공급하는 행위는 해당 지점이 위치한 회원국에서 과세될 수 있다.[2]

2008년 2월 12일 자본 조달에 대한 간접세에 관한 이사회 지침(2008/7/EC)은 자본세가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하며, 유가증권 발행(양도와는 대조적으로)에 대한 자본세를 전면 금지한다. 이 지침은 세금을 폐지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2006년 1월 1일 현재 자본세를 부과했던 회원국은 엄격한 조건하에 계속해서 세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이 인지세 지침에 따라 회원국은 다음과 같은 경우 자본 회사의 자본 조달에 대한 간접세를 부과할 수 없다.[2]

  • 자본 출자
  • 자본 출자의 일부로 제공되는 대출 또는 용역
  • 회사의 법적 형태로 인해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등록 또는 기타 절차
  • 회사를 구성하는 서류의 변경 (다른 유형의 회사로의 전환, 실질적 경영 중심지 또는 등기상 주소의 회원국 간 이전, 회사 목적의 변경 또는 존속 기간의 연장 등)
  • 구조조정


또한 특정 유가증권 및 사채 발행에 대한 간접세는 전면 금지된다.[2]

4. 4. 그리스

그리스에서는 1930년 5월 15일 관보 Α΄164/15.5.1930호에 의해 입법령 4755호로 인지세가 도입되었으며, 곧 닥칠 파산을 고려하여 1931년 7월 28일 대통령령(P.D. 28.7.1931/1931), 즉 인지세법으로 대체되었다.[1] 이 법은 모든 대출 계약에 3.6%의 수수료를 부과하도록 규정했다.[1] 2024년 8월 9일, 국가경제·재정부는 600건이 넘는 거래에 대한 인지세를 폐지하고 거래에 대한 디지털 거래 수수료를 도입하는 법안을 공개적으로 검토에 부쳤으며, 이 수수료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1]

4. 5. 홍콩

홍콩에서는 인지세 조례 제117장(SDO) 부칙 1에 따라, 다음과 같은 4가지 유형의 문서에 인지세가 부과된다.[3]

  • 제1항: 홍콩 내 부동산 매매 또는 임대 거래
  • 제2항: 홍콩 주식 양도
  • 제3항: 모든 홍콩 지참증권
  • 제4항: 상기 문서의 모든 사본 및 등본


일례로, 홍콩에 설립되었거나 홍콩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회사의 주식이 있다. 홍콩 주식은 주식 및 유통 가능 증권, 유닛 트러스트의 유닛, 주식 청약 또는 배정 권리로 정의된다. 토지 매매 계약에 대한 인지세는 고려 대가의 1.5%에서 8.5%까지의 누진세율로 부과된다. 최고 세율 8.5%는 고려 대가가 21739130HKD을 초과하는 경우 적용된다.[3]

홍콩 부동산 매매 계약 인지세율[3]
고려 대가세율
21739130HKD 이하1.5% ~ 7.5% (누진세율)
21739130HKD 초과8.5%



또한,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2010년과 2012년에 두 가지 유형의 인지세가 추가되었다.[3]


  • 제1AA항 / 제1B항: 특별 인지세 (매수 후 3년 이내에 재판매되는 주거용 부동산에 적용)
  • 제1AAB항 / 제1C항: 구매자 인지세 (비홍콩 영주권자 또는 회사가 매입하는 주거용 부동산에 적용)


특별 인지세는 2011년 6월 29일 홍콩 입법회에서 제정되어 2010년 11월 20일부터 시행되었다. 특별 인지세와 구매자 인지세의 강화된 세율은 2014년 2월 27일 입법회에서 제정되었지만, 2012년 10월 27일부터 소급 적용되었다.[3]

홍콩 정부는 인지세법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며,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한 여러 개정안을 발표하고 있다.[3]

홍콩 정부는 국세청을 통해 기존 인지와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진 전자 인지도 제공한다.[4]

4. 6. 인도

인도 법률은 제한적인 범주의 거래 문서에 인지세 납부를 요구한다. 대체로 부동산에 대한 권리와 소유권에 영향을 미치는 문서에는 인지세를 납부해야 한다.[5] 중앙 정부는 1899년 인도 인지세법에 따라, 주로 유가증권에 중점을 둔 여러 종류의 거래 문서에 대한 인지세 납부를 요구한다.[5] 또한, 주 정부는 주별 법률에 따라 다른 거래에 대해 인지세를 부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하라슈트라주의 인지세법은 1958년 마하라슈트라 인지세법(1958년 봄베이법 LX)에 따라 규율된다.[6]

4. 7. 인도네시아

인지세(''meterai'')는 인도네시아에서 다양한 법적 문서에 사용된다. 2020년 인지세법(''UU No. 10 Tahun 2020 Tentang Bea Meterai'')에 따라 민사 사건을 설명하거나 법정에서 증거로 사용되는 문서에는 계속해서 인지세를 붙여야 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재무부를 통해 2021년 10월 1일 전자 인지세(''e-meterai'')를 출시했다. 이러한 형태의 인지세는 PDF 파일과 같은 디지털 문서에 Perum Peruri가 개발한 특수 보안 QR 코드 형태로 부착된다. 2008년 정보 및 전자 거래법(''UU No. 11 Tahun 2008 Tentang Informasi dan Transaksi Elektronik'')에 따라 디지털 문서 및 그 인쇄물은 유효한 법적 증거로 간주된다.[1]

4. 8. 아일랜드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신용카드, 직불카드, 현금자동입출금기 카드, 수표, 부동산 이전, 특정 법원 서류 등 다양한 품목에 인지세가 부과된다.[7] 주택의 경우 2011년 이후 100만 유로까지는 1%, 그 이상은 2%의 인지세가 부과된다. 비주거용 부동산, 건물, 보험증권, 무형의 사업용 자산인 영업권에는 2%의 세금이 부과된다.

부동산 임대차 계약은 임대 기간에 따라 세금이 부과되는데, 35년 이하인 경우 평균 연간 임대료 또는 시장 가격 중 더 높은 금액의 1%, 100년 미만인 경우 6%, 100년 초과인 경우 12%가 부과된다. 문서 사본(복사본)에는 12.5유로 또는 원본 문서의 인지세 중 더 적은 금액이 부과된다. 인지세 계산 시 부동산 가치에는 부가가치세(VAT)가 포함되지 않으며, 증여는 시장 가격으로 과세된다.[8]

주식 및 유가증권 이전은 1000EUR를 초과하거나 증여인 경우 1%의 세금이 부과된다. 지참식 주식 매입증서는 주식 가치의 3%가 과세되며, (새로운) 지참식 매입증서 발행은 2015년 6월 1일부터 금지되었다.[10]

4. 9. 싱가포르

1998년부터 싱가포르의 인지세는 부동산, 주식 및 채권 관련 서류에만 적용된다. 싱가포르 부동산 매입이나 싱가포르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주식 매입에는 인지세가 부과된다. 싱가포르 국세청은 서류에 서명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싱가포르 내 서명 시) 또는 해외 서명 시 30일 이내에 인지세 납부를 의무화하고 있다. 기한 내 납부하지 않을 경우에는 높은 벌금이 부과된다.[11]

적용 세율 및 자세한 정보는 싱가포르 국세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싱가포르 인지세에 관한 법률은 인지세법(Stamp Duties Act)에 명시되어 있다.[12]

4. 10. 스웨덴

스웨덴 법률은 부동산 등기부에 대해 취득가액의 1.5%에 해당하는 인지세를 부과한다.[1] 또한, 부동산에 대한 새로운 저당권 증서("pantbrev")에는 2.0%의 인지세가 부과된다.[1]

4. 11. 영국

1986년에는 특정 주식 및 기타 증권 양도 계약에 대해 "주식 인지세(Stamp Duty Reserve Tax, SDRT)"가 도입되었지만, 적격 거래소 회원인 시장 조성자 및 대형 은행과 같은 중개인에 대한 감면이 있었다.[14] 2003년 12월 1일부터 토지 및 부동산 거래에 "주택 인지세(Stamp Duty Land Tax, SDLT)"가 도입되었다. SDLT는 인지세가 아니며 "토지 거래"에 부과되는 자가 신고식 이전세의 한 형태이다.

2010년 3월 24일, 재무장관 알리스터 달링은 영국 주택 인지세에 두 가지 중요한 변화를 도입했다. 100만파운드가 넘는 주택에 대한 주택 인지세는 4%에서 5%로 인상되었고, 25만 파운드 미만의 주택을 구매하는 첫 주택 구매자의 경우 향후 2년 동안 주택 인지세가 폐지되었다.[15]

2014년 12월에 추가 개혁이 발표되어 현재는 각 세율 구간 내의 주택 가격 부분에 대해서만 세율이 부과된다.[16]

2015년 가을 예산안에서 재무장관은 2016년 4월부터 주택 임대 또는 휴가용 주택을 구매하는 두 번째 주택 구매자는 3%를 추가로 납부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2017년 예산안에서는 30만파운드 이하의 주택을 구매하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첫 주택 구매자에 대한 인지세가 폐지되어 첫 주택 구매자는 최대 5000GBP를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50만파운드 이하를 지출하는 첫 주택 구매자는 30만파운드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5%의 인지세를 납부한다. 50만파운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지세를 전액 납부한다.[17]

정부는 첫 주택 구매자를 "...영국 또는 세계 어느 곳에서도 주택에 대한 권리를 소유한 적이 없는 개인 또는 개인으로, 해당 주택을 주거지로 사용할 의향이 있는 자"로 정의한다.

주택 인지세는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 전역에만 적용된다. 스코틀랜드에서는 2015년 4월 1일 SDLT가 토지 및 건물 거래세로 대체되었으며,[18] 웨일스에서는 2018년 5월 토지 거래세가 도입되었다.[19][20]

4. 12. 미국

현대에는 주 정부에서만 인지세를 부과한다. 부동산이 이전되거나 매각될 때 일반적으로 부동산 등록세가 공개 기록부에 증서가 등록될 때 징수된다.[21] 또한 많은 주에서 부동산에 대한 담보 대출을 확보하는 담보대출 또는 기타 증서에 대한 세금을 부과한다. 이 세금은 "담보대출세", "무형 자산세" 또는 "유가증권 인지세" 등으로 불리며, 일반적으로 담보대출 또는 신탁 증서가 기록 당국에 등록될 때 징수된다.

참조

[1] 서적 Creating a Good Impression: three hundred years of The Stamp Office and stamp duties HMSO
[2] 서적 Capital Duty Directive Text, Cases and Materials
[3] 웹사이트 Hong Kong e-Legislation https://www.elegisla[...]
[4] 웹사이트 Inland Revenue Department: e-Stamping of Document https://www.ird.gov.[...]
[5] 웹사이트 The Indian Stamp Act, 1899 https://legislative.[...] Legislative Department, Ministry of Law and Justice, Government of India 2022-06-15
[6] 웹사이트 The Maharashtra Stamp Act, 1958 http://igrmaharashtr[...] 2019-04-14
[7] 웹사이트 Former Rates of Stamp Duty http://www.revenue.i[...] 2016-01-22
[8] 웹사이트 Property other than stocks and marketable securities and policies of (life and non-life) insurance http://www.revenue.i[...] 2016-01-22
[9] 웹사이트 Exemptions and Reliefs from the charge to Stamp Duty http://www.revenue.i[...]
[10] 웹사이트 Shares, Stocks and Marketable Securities http://www.revenue.i[...] 2016-01-23
[11] 웹사이트 Stamp duty payment duration and related penalty in case of failure https://www.3ecpa.co[...] 2015-02-27
[12] 간행물 Stamp Duties Act
[13] 웹사이트 Taxes and stamp duty http://www.chequeand[...] Cheque and Credit Clearing Company 2013-06-26
[14] 웹사이트 HMRC Stamp Taxes Manual http://www.hmrc.gov.[...]
[15] 웹사이트 Budget 2010: stamp duty boost for first-time buyers https://www.theguard[...] 2011-08-25
[16] 웹사이트 Stamp Duty Land Tax https://www.gov.uk/s[...]
[17] 웹사이트 Stamp Duty Land Tax: relief for first time buyers https://www.gov.uk/g[...] 2021-12-24
[18] 웹사이트 Land and Buildings Transaction Tax | Revenue Scotland https://www.revenue.[...]
[19] 웹사이트 Land Transaction Tax https://gov.wales/fu[...] 2023-07-03
[20] 웹사이트 Land Transaction Tax – What is Land Transaction Tax? https://debitoor.com[...]
[21] 뉴스 Insurance stamp tax https://archive.org/[...] 2012-07-24
[22] 웹사이트 領収証やレシートに係る印紙税について|国税広報参考資料|国税庁 http://www.nta.go.jp[...]
[23] 웹사이트 消消費税及び地方消費税の免税事業者が作成する受取書書 https://www.nta.go.j[...]
[24] 웹사이트 クレジット販売の場合の領収書 https://www.nta.go.j[...]
[25] 웹사이트 No.7105 金銭又は有価証券の受取書、領収書 https://www.nta.go.j[...] 国税庁 2022-02-28
[26] 웹사이트 印紙税の過怠税について(税務調査対策専門チーム) https://www.tax-supp[...]
[27] 웹사이트 登記統計 https://www.e-stat.g[...]
[28] 웹사이트 租税及び印紙収入決算額調一覧 財務省 https://www.mof.go.j[...]
[29] 서적 Creating a Good Impression: three hundred years of The Stamp Office and stamp duties HM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