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흥은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흥은행은 1897년 한성은행으로 설립되어 1943년 동일은행과 합병하여 출범한 대한민국의 은행이다. 1900년대 초 여러 차례 본점 소재지를 변경했으며, 1956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 1963년 본점 화재, 1979년 국내 최초 ATM 도입, 1982년 은행 신용카드 업무 개시 등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1990년대 후반 외환 위기를 거치며 충북은행, 강원은행을 흡수합병하고 신한금융지주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2006년 신한은행과 합병하여 통합 신한은행으로 출범하면서 존속 법인으로 남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없어진 은행 - 하나은행 (1971년~2002년)
1971년 한국투자금융으로 설립된 하나은행은 상호 변경 후 은행업을 시작하여 충청은행, 보람은행, 서울은행과의 합병을 통해 성장했으며, 2005년 하나금융그룹 자회사 편입 후 한국외환은행과 통합되어 KEB하나은행으로 출범하기 전까지 존속한 대한민국의 은행이다. - 한국의 없어진 은행 - 한국주택은행
- 1897년 설립된 기업 - 동화약품
동화약품은 1897년 설립되어 활명수를 개발, 판매한 대한민국 제약 회사로, 까스활명수, 판콜 등의 주요 제품을 발매하고 의약품 외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며 부채표 가송재단을 통해 사회공헌 활동도 진행한다. - 1897년 설립된 기업 - 도부 철도
도부 철도는 1897년 설립되어 간토 지방 최대 규모의 민간 철도 회사로 성장했으며, 다양한 노선망과 특급 열차 및 통근형 차량을 운영하고 여러 철도 회사와 상호 직통 운행을 한다.
조흥은행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조흥은행 |
영문 이름 | Chohung Bank Co., Ltd. |
한글 이름 | 주식회사 조흥은행 |
한자 이름 | 株式會社 朝興銀行 |
로마자 표기 | Jusikhoesa Joheung Eunhaeng |
창립 | 1897년 2월 1일 |
해체 | 2006년 4월 1일 |
후신 | 신한은행 |
창립자 | 김종한 |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54 (삼각동) |
이전 명칭 | |
이전 명칭 | 한성은행 |
이전 명칭 | 동일은행 |
이전 명칭 | 한일은행 |
산업 정보 | |
산업 | 은행업 |
제품 | 금융 서비스 |
2. 연혁
- 1897년 2월: 한성은행 설립[3]
- 1943년: 한성은행과 동일은행 합병, 조흥은행 출범[3]
- 1956년: 증권거래소 상장[7]
- 1963년 4월 16일: 본점 화재[8]
- * 12월 23일: 본점 새 건물 착공[8]
- 1966년 12월 19일: 서울특별시 중구 삼각동 본점 완공[8]
- 1979년 12월 1일: 국내 최초 ATM 도입[8]
- 1982년 6월 21일: 은행신용카드 업무 개시[8]
- 1985년 7월 1일: 조흥은행 CIP 도입[8]
- 1988년 9월 10일: 본점 외부 중수공사 완료[8]
- 1995년: 한국기네스협회 선정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8]
- 1997년: 조흥금융박물관 개관[8]
- 1999년 4월: 충북은행 흡수합병
- 1999년 5월: CHB조흥은행으로 변경
- 1999년 9월: 강원은행 흡수합병
- 2003년 9월: 신한금융지주 자회사 편입
- 2004년 7월: 증권거래소 상장폐지[14]
- 2006년 4월: CHB조흥은행과 신한은행 합병, 통합 신한은행 출범[14]
2. 1. 한성은행 설립과 초기 역사 (1897년 ~ 1943년)
1897년 2월,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상업은행인 한성은행이 설립되었다.[3] 한성은행은 당시 한국에서는 보기 드물게 낮은 금리로 대출을 제공하여 성공적으로 운영되었다. 당시 흔치 않았던 당나귀를 담보로 대출을 해준 일화가 있는데, 은행 직원들은 대출 기간 동안 당나귀를 먹이고 돌봐야 하는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4]한성은행은 1903년 본점을 종로구 안국동으로 이전하였고, 1905년에는 중구 다동으로, 1912년에는 다시 중구 삼각동으로 이전하였다.
1943년, 한성은행은 동일은행과 합병하여 조흥은행으로 출범하였다.[3]
2. 2. 동일은행과의 합병, 조흥은행 출범 (1943년 ~ 1956년)
1906년 한국인 주주들에 의해 "한국-일본 은행"의 줄임말인 한일은행이 설립되었다. 일제강점기 동안 한일은행은 여러 차례 구조조정을 거쳤다.[5] 1931년 1월 호서은행을 흡수하고 동일은행으로 이름을 변경했지만, 이후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어 결국 일본 자본에 인수되었다.1943년 10월 1일, 한성은행과 동일은행이 합병하여 조흥은행이 출범하였다.[3] 1945년 조흥은행은 야스다 은행의 한국 자산을 인수했는데, 여기에는 1892년 일본 제58국립은행을 위해 인천에 세워진 지점도 포함되었다.

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조흥은행 (1956년 ~ 1999년)
1956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7] 196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군사 정부는 대주주들의 재산을 몰수하면서 조흥은행을 다시 국유화했다.[7]1963년 4월 16일 본점에 화재가 발생하여 약 500평이 전소되었다.[8] 같은 해 12월 23일, 조흥은행 영선부 유영근의 설계로 새 본점 건물 착공에 들어갔다.[8] 1966년 12월 19일 서울특별시 중구 삼각동에 지하 2층, 지상 18층, 높이 66.7m 규모의 본점 건물이 완공되었다.[8] 이 건물은 현재 신한은행 광교영업부로 사용되고 있다.
1979년 12월 1일 국내 최초로 ATM을 도입하였다.[8] 1982년 6월 21일 은행신용카드 업무를 개시하였다.[8]
1983년 전두환 정부의 금융 자유화 정책에 따라 조흥은행은 다시 민영화되었다.[9] 1985년 7월 1일 태양을 형상화한 세 개의 원으로 디자인된 조흥은행 CIP를 도입하였다.[8] 1988년 9월 10일 본점 외벽을 커튼월 방식으로 리모델링하는 중수공사를 완료하였다.[8]
1995년 한국기네스협회로부터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으로 인증받았다.[8] 1997년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조흥금융박물관을 개관하였다.[8]
2. 4. 외환 위기와 구조조정 (1997년 ~ 2006년)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로 조흥은행은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11] 1998년 12월, 조흥은행은 강원은행(1970년 설립) 및 현대상선과 합병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동시에 공적 자본 확충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가 합병 법인의 지분 90%를 소유하게 되었다.[12] 1999년 4월에는 충북은행을, 9월에는 강원은행을 흡수 합병하였다. 1999년 5월, CHB조흥은행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2002년 말까지 정부는 조흥은행 지분의 80%를 보유하고 있었다.[13] 2003년 9월, 신한금융지주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2004년 7월에는 증권거래소에서 상장이 폐지되었다.[14]
2006년 4월, CHB조흥은행과 신한은행이 합병하여 통합 신한은행이 출범하였다.[14] 존속 법인은 조흥은행으로 지정되어, 신한은행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은행으로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게 되었다.
3. 역대 은행장
한성은행 및 조흥은행의 역대 은행장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임 기간 |
---|---|
김종한 | 1897년 ~ 1903년 |
완순군 이재완 | 1903년 ~ 1909년 |
이윤용 | 1909년 ~ 1923년 |
한상룡 | 1923년 ~ 1928년 |
츠츠미 나가이치 | 1928년 ~ 1936년 |
이가 세이이치 | 1936년 ~ 1937년 |
하야시 시게키 | 1937년 ~ 1938년 |
노다 신고 | 1938년 ~ 1943년 |
구보 히게카즈 | 1943년 |
岩坪 友幸|이와쓰보 도모유키일본어 | 1943년 ~ 1945년 |
정운용 | 1945년 ~ 1947년 |
김한규 | 1947년 ~ 1949년 |
김교철 | 1949년 ~ 1956년 |
정종원 | 1956년 ~ 1961년 |
장용태 | 1961년 |
이호상 | 1961년 |
서병찬 | 1961년 ~ 1965년 |
문종건 | 1965년 ~ 1969년 |
박대진 | 1969년 ~ 1970년 |
문상철 | 1970년 ~ 1972년 |
고태진 | 1972년 ~ 1976년 |
심원택 | 1976년 |
이동수 | 1976년 ~ 1979년 |
김용운 | 1979년 ~ 1980년 |
임재수 | 1980년 ~ 1982년 |
이헌승 | 1982년 ~ 1983년 |
송기태 | 1983년 ~ 1986년 |
김영석 | 1986년 ~ 1991년 |
이종연 | 1991년 ~ 1995년 |
우찬목 | 1995년 ~ 1997년 |
장철훈 | 1997년 ~ 1998년 |
위성복 | 1998년 / 1999년 ~ 2002년 |
이강륭 (직무대행) | 1998년 |
홍석주 | 2002년 ~ 2003년 |
최동수 | 2003년 ~ 2006년 |
3. 1. 한성은행장
이름 | 재임 기간 |
---|---|
김종한 | 1897년 ~ 1903년 |
완순군 이재완 | 1903년 ~ 1909년 |
이윤용 | 1909년 ~ 1923년 |
한상룡 | 1923년 ~ 1928년 |
츠츠미 나가이치 | 1928년 ~ 1936년 |
이가 세이이치 | 1936년 ~ 1937년 |
하야시 시게키 | 1937년 ~ 1938년 |
노다 신고 | 1938년 ~ 1943년 |
3. 2. 조흥은행장
이름 | 재임 기간 |
---|---|
구보 히게카즈 | 1943년 |
岩坪 友幸|이와쓰보 도모유키일본어 | 1943년 ~ 1945년 |
정운용 | 1945년 ~ 1947년 |
김한규 | 1947년 ~ 1949년 |
김교철 | 1949년 ~ 1956년 |
정종원 | 1956년 ~ 1961년 |
장용태 | 1961년 |
이호상 | 1961년 |
서병찬 | 1961년 ~ 1965년 |
문종건 | 1965년 ~ 1969년 |
박대진 | 1969년 ~ 1970년 |
문상철 | 1970년 ~ 1972년 |
고태진 | 1972년 ~ 1976년 |
심원택 | 1976년 |
이동수 | 1976년 ~ 1979년 |
김용운 | 1979년 ~ 1980년 |
임재수 | 1980년 ~ 1982년 |
이헌승 | 1982년 ~ 1983년 |
송기태 | 1983년 ~ 1986년 |
김영석 | 1986년 ~ 1991년 |
이종연 | 1991년 ~ 1995년 |
우찬목 | 1995년 ~ 1997년 |
장철훈 | 1997년 ~ 1998년 |
위성복 | 1998년 / 1999년 ~ 2002년 |
이강륭 (직무대행) | 1998년 |
홍석주 | 2002년 ~ 2003년 |
최동수 | 2003년 ~ 2006년 |
4. 슬로건
조흥은행한국어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슬로건을 사용하였다.
4. 1. 시대별 슬로건
5. 북한 지역
한반도 분단과 함께, 조흥은행은 이전에 일본의 영향력 아래 있던 다른 은행들과 마찬가지로 38선 양측의 공공 당국에 의해 인수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곧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으로 통합되어 해당 국가의 단일 은행 제도 내에 편입되었다.[6]
참조
[1]
웹사이트
Profit vs. public obligations
https://koreajoongan[...]
2023-02-21
[2]
웹사이트
Former Hanil Bank, Ganggyeong Branch
https://english.cha.[...]
[3]
웹사이트
Form 20-F: Shinhan Financial Group Co., Ltd.
https://www.sec.gov/[...]
2005-06-30
[4]
서적
The Dawn of Modern Korea
EunHaeng NaMu
2007
[5]
간행물
Colonial Finance: Daiichi Bank and the Bank of Chosen in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Korea, Japan, and Manchuria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012
[6]
웹사이트
Banks in N. Korea
https://world.kbs.co[...]
2019-10-03
[7]
간행물
The Politics of Financial Control and Reform in Korea
https://jps.scholast[...]
1991
[8]
웹사이트
最古 은행건물 우리銀 종로점
https://m.khan.co.kr[...]
2005-08-14
[9]
간행물
Privatization of South Korea's Public Enterprises
https://www.jstor.or[...]
1994-01
[10]
간행물
Financial Repression, Liberalization, Crisis and Restructuring: Lessons of Korea's Financial Sector Policies
https://www.adb.org/[...]
ADB Institute
2002-11
[11]
간행물
Chapter 15 Korea’s Financial Sector Reforms
https://www.elibrary[...]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01-01-16
[12]
간행물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A Strategy of Financial Sector Reform
https://www.imf.org/[...]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
1999-03-01
[13]
웹사이트
IMF Supports South Korea's Bid To Sell Stake in Chohung Bank
https://www.wsj.com/[...]
2002-11-21
[14]
웹사이트
MERGER AGREEMENT BY AND BETWEEN SHINHAN BANK CO., LTD. AND CHOHUNG BANK CO., LTD.
https://www.sec.gov/[...]
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2005-12-30
[15]
문서
외래어 표기법 개정 이전에는 '''서어비스'''라는 표현하였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