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좁은띠몽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좁은띠몽구스는 마다가스카르식육과에 속하는 몽구스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25~35cm, 꼬리 길이는 20~27cm이며, 몸 전체는 털로 덮여 있고 등과 옆구리에는 흰색 털이 섞여 있다. 마다가스카르 서해안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2개의 아종으로 나뉜다. 좁은띠몽구스는 사바나와 관목림에 서식하며, 주행성이며, 곤충, 육상 달팽이, 소형 포유류 등을 먹는다. 좁은띠몽구스는 사회적인 동물로, 모계 사회의 가족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며, 현재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다가스카르식육과 - 마다가스카르몽구스아과
    마다가스카르몽구스아과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식육목 동물로, 4개의 속과 6종의 몽구스를 포함하며, 민첩한 몸과 긴 꼬리를 특징으로 하며, 숲과 열린 서식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 마다가스카르식육과 - 포사 (동물)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가장 큰 고유 육상 포유류인 포사는 고양이와 비슷한 외모에 날씬하고 근육질의 몸을 가졌으며 여우원숭이의 주요 포식자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마다가스카르의 고유종 동물 - 마다가스카르몽구스아과
    마다가스카르몽구스아과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식육목 동물로, 4개의 속과 6종의 몽구스를 포함하며, 민첩한 몸과 긴 꼬리를 특징으로 하며, 숲과 열린 서식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 마다가스카르의 고유종 동물 - 마다가스카르흡반발박쥐
  • 1867년 기재된 포유류 - 남극밍크고래
    남극밍크고래는 남극해를 중심으로 남반구에 서식하는 수염고래로, 북방쇠정어리고래와는 다른 종이며, 일반 밍크고래와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크릴을 주식으로 하며, 범고래가 주요 천적이고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1867년 기재된 포유류 - 산양
    산양은 험준한 산악 지형에 서식하며 2~5마리씩 무리 생활을 하는 우제목/경우제목 소과의 포유류로, 한반도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좁은띠몽구스 - [생물]에 관한 문서
좁은띠몽구스 정보
좁은띠몽구스
멸종 위기 등급EN (위기)
학명Mungotictis decemlineata
명명자(A. Grandidier, 1867)
이명Mungotictis substriatus Pocock, 1915
호소스지마 연구스 속 (Mungotictis)
속 명명자Pocock, 1915
영명Malagasy narrow-striped mongoose (말라가시 좁은띠몽구스)
영명Narrow-striped mongoose (좁은띠몽구스)
좁은띠몽구스 분포 지역
참고 자료Razafimanantsoa, L.
몸길이125m

2. 계통 분류

좁은띠몽구스의 학명은 1867년 알프레드 그란디디에르가 마다가스카르 서해안에서 수집한 표본을 바탕으로 ''Galidia decemlineata''로 처음 명명되었다.[4] 1915년 레지날드 인네스 포코크는 이 종을 별도의 인 ''Mungotictis''로 재분류하였다.[5] 현재는 유전적 분석 등을 통해 본시라속(Salanoia)에 포함시키는 분류가 일반적이다.[17]

2. 1. 계통도

좁은띠몽구스는 마다가스카르식육과(Eupleridae)의 유프레리과(Euplerinae)에 속하는 포유류이다.[6] 마다가스카르식육과는 단일계통군을 형성하며, 식육목 고양이아목(Feliformia) 내 다른 과들과 자매군 관계를 가진다.[6]

마다가스카르식육과 내에서의 계통 관계는 다음과 같다.[17]

2. 2. 아종

좁은띠몽구스는 다음의 2개 아종으로 나뉜다.

  • ''M. d. decemlineata''

마다가스카르 서부[11][12][13] 고유 아종

  • ''M. d. lineata''

마다가스카르 남서부[12][13] 고유 아종

3. 형태

몸길이 25cm에서 35cm[12][13], 꼬리 길이는 20cm에서 27cm[13], 체중은 0.6kg에서 0.9kg[12][13]이다. 온몸은 털로 빽빽하게 덮여 있으며, 꼬리에서는 털이 뭉쳐서 뻗어 있다[12][13]. 발바닥에는 털이 없고, 피부가 드러나 있다[11][12][13]. 등과 옆구리에는 흰색 털이 섞여 있다[11][13]. 뒷머리에서 꼬리 기부, 넓적다리에는 갈색의 가느다란 8-12개의 세로 줄무늬가 있다[11][12][13].

귓바퀴는 둥글다[13]. 발가락 사이에는 부분적으로 물갈퀴가 있으며[12], 발가락에는 긴 발톱이 돋아 있다[13]. 뺨과 목 옆면[13], 항문 주변(항문선)과 생식기 주변(회음선)에는 냄새샘이 있다[12].

출산 직후의 어린 개체의 몸길이는 12cm에서 13cm[12]이며, 출산 직후에도 눈을 뜨고 있다[11][12]. 젖꼭지는 서혜부에 2개가 있다[12][13].

3. 1. 아종별 형태 차이


  • ''M. d. decemlineata''

등과 꼬리의 털은 옅은 갈색[12]이다. 세로 줄무늬는 적갈색이며 8-10개이다[12].

  • ''M. d. lineata''

등의 털은 회갈색이며, 복부와 꼬리의 털은 회백색이다[12]. 세로 줄무늬는 갈색이며 8개이다[12].

4. 생태

좁은띠몽구스는 주로 바오바브로 이루어진 사바나나 디디에레아과 및 대극과 식물로 이루어진 관목림과 같은 특정 환경에 서식한다.[13] 이들은 지표면과 수목 위 모두에서 활동하며, 주행성이다.[11][12][13]

4. 1. 사회 행동

1848년 좁은띠몽구스 삽화


좁은띠몽구스는 주행성 동물이며, 어린 새끼를 협력하여 양육하는 모계 사회의 가족 집단으로 생활한다. 일반적으로 우두머리 암컷의 새끼가 가장 많은 보살핌을 받으며, 낮은 순위의 암컷 새끼는 방치되는 경우도 있다.

좁은띠몽구스는 두 가지 독특한 사회적 행동을 보인다. 암컷은 서식지 내에 생활 영역을 형성하며, 1~3마리의 암컷이 그들의 새끼와 함께 안정적인 사회적 집단을 이룬다. 수컷 또한 2~4마리의 성체 수컷과 함께 그들만의 사회적 집단을 형성한다. 수컷 집단은 넓은 생활 영역을 가지며, 이는 최소 3개의 암컷 사회적 집단과 겹치기도 하며, 여기서 짝을 찾는다.[7]

좁은띠몽구스는 나무와 덤불 속에 작은 둥지를 만들며, 서로 상호작용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이는 ''Lepilemur'' 종과 나무를 공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행성으로,[11] 야간에는 5월~10월 (건기)에는 땅에 판 굴, 우기(11월~다음 해 4월)에는 수목 구멍 등에서 쉰다.[12][13] 건기에는 단독 또는 짝, 3~4마리의 소규모 무리를 이루고, 우기에는 짝과 어린 개체로 이루어진 6~10마리의 무리를 형성하여 생활한다.[11][12][13] 여러 개체가 협력하여 소형 포유류를 잡기도 한다.[13]

4. 2. 먹이 습성

좁은띠몽구스의 식성은 동물성이며, 주로 곤충, 육상 달팽이, 지렁이, 조류의 알, 작은 포유류 등을 먹는다.[12][13] 키린디 숲에서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의 주된 먹이는 무척추동물이며, 특히 절지동물, 곤충 유충, 복족류를 많이 섭취한다. 수집된 배설물에서는 파충류 알 껍질, 뼈, 깃털의 잔해도 발견되었다.[9] 또한 설치류, 조류, , 심지어 회색쥐여우원숭이와 같은 작은 여우원숭이 종류를 포함한 다양한 작은 동물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먹이는 주로 땅 표면, 지면의 낙엽 속, 그리고 쓰러진 나무의 썩은 부분에서 찾는다. 특히 건기(5월~8월)에는 썩은 나무 속에 있는 곤충을 주로 먹으며,[13] 우기(1월~3월)에는 복족류가 주요 먹이원이 된다.[9] 건조된 배설물 분석 결과, 무척추동물은 건기와 우기 모두 주요 식량원이었으며, 특히 곤충 유충이 식단의 큰 부분을 차지했다.[9] 자카드 지수를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좁은띠몽구스는 특정 먹이를 가리지 않고 이용 가능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경향을 보인다.[9]

좁은띠몽구스는 독특한 먹이 처리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알이나 조개류처럼 단단한 껍질로 덮인 먹이는 옆으로 누워 자신의 다리 사이로 던져 바위나 나무 같은 단단한 표면에 부딪혀 깨뜨려 먹는다.[12][13] 또한, 여러 마리가 협력하여 작은 포유류를 사냥하기도 한다.[13]

4. 3. 번식

일부다처제로 간주되며, 수컷은 한 마리 이상의 암컷과 짝짓기를 하고 암컷 또한 한 마리 이상의 수컷과 짝짓기를 할 수 있다.[7] 교미는 12월에서 다음 해 4월 사이에 이루어지며, 주로 2~3월에 집중된다.[12][13]

번식 형태는 태생이다.[12][13] 임신 기간은 보고에 따라 74~106일[8] 또는 90~105일[12][13]이다. 암컷은 계절 당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7] 출산 시기는 주로 건기가 끝나는 10월과 12월 사이[7]이거나, 2월에서 7월 사이이다.[12][13]

수유 기간은 2개월이다.[12][13] 새끼의 생존율은 약 28%로 낮은 편이며, 주로 서열이 높은 암컷의 새끼가 살아남는 경향이 있다.[7] 만약 새끼가 죽으면, 암컷은 2월이나 3월까지 다시 새끼를 낳을 수도 있다.[7] 생후 2년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12]

인접한 무리의 좁은띠몽구스는 서로 근연 관계에 있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더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 이는 암컷이 더 좁은 지역으로 분산되기 때문일 수 있다.[7]

5. 보존 상태

좁은띠몽구스는 심각하게 서식지 단편화된 지역에 서식하고 있으며, 벌목과 농지 전환으로 인한 서식지 손실의 위협을 받고 있기 때문에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다.[1]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13]

참조

[1] 간행물 "''Mungotictis decemlineata''" 2015
[2] 서적 MSW3 Carnivora
[3]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Madagasca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 저널 Mammifères et oiseaux nouveaux découverts à Madagascar et décrits https://archive.org/[...]
[5] 저널 On the Species of the Mascarene Viverrid ''Galidictis'', with a description of a new Genus, and a note on ''Galidia elegans'' https://archive.org/[...]
[6] 저널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2005
[7] 저널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and relatedness in the narrow-striped mongoose (''Mungotictis decemlineata''), a social Malagasy carnivore with sexual segregation 2016
[8] 저널 Population status,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needs of the narrow-striped mongoose ''Mungotictis decemlineata'' of Madagascar https://www.research[...] 2006
[9] 저널 Feeding ecology of bokiboky, ''Mungotictis decemlineata'' (Family Eupleridae) http://www.vahatra.m[...] 2019
[10]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11] 서적 動物大百科1 食肉類 平凡社
[12]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2 (食肉目) 東京動物園協会
[13]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8 太平洋、インド洋 講談社
[14] 간행물 Mungotictis decemlineata
[15] 서적 MSW3 Carnivora
[16]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Madagasca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저널 Single origin of Malagasy Carnivora from an African ancestor http://www.biology.d[...] 2010-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