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석산 칼륨 나트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석산 칼륨 나트륨은 1675년 프랑스에서 처음 합성된 화합물로, 압전 효과를 최초로 증명하는데 사용되었고, 오디오 관련 발명품 개발에도 기여했다. 무색 또는 청백색의 사방정계 결정으로, 물에 잘 녹고 킬레이트 작용을 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과거에는 압전 소자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다른 재료로 대체되었다. 식품 첨가물로도 사용되며, 킬레이트제, 환원제, 분석 시약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도 조절제 - 인산
    인산은 화학식 H₃PO₄를 가지며, 인광석을 이용한 습식 또는 건식 공정으로 생산되어 비료, 식품 첨가물, 세제, 의약품, 금속 처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인 화합물이다.
  • 산도 조절제 - 아디프산
    아디프산은 화학식 (CH₂)₄(COOH)₂를 갖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하나로, 나일론 66 제조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며 폴리우레탄 생산, 가소제, 의약품 및 식품 첨가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생산 과정에서 아산화 질소 배출 문제가 발생한다.
  • 식품 산화 방지제 - 인산
    인산은 화학식 H₃PO₄를 가지며, 인광석을 이용한 습식 또는 건식 공정으로 생산되어 비료, 식품 첨가물, 세제, 의약품, 금속 처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인 화합물이다.
  • 식품 산화 방지제 - 비타민 E
    비타민 E는 지용성 항산화제로서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에놀 형태로 존재하며 세포막 손상 보호, 질병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나, 고용량 섭취 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한 적절한 섭취가 중요하다.
  • 유기산 나트륨염 -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트산 나트륨은 아세트산의 나트륨염으로, 세균 배양, DNA 추출, 섬유 산업, 콘크리트 실런트, 식품 첨가물, 핫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아세트산과 함께 완충 용액으로 사용되어 pH 수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화학 물질이다.
  • 유기산 나트륨염 - 메틸 오렌지
    메틸 오렌지는 pH에 따라 색이 변하는 산 염기 지시약으로, 산성 용액에서는 붉은색, 염기성 용액에서는 노란색을 띠며, 중화 적정 시 지시약으로 사용되고, 자일렌 시아놀 용액에서는 다른 색을 나타내며, 돌연변이 유발 가능성이 있고, 특정 파장에서 최대 흡수도를 보인다.
주석산 칼륨 나트륨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타타르산 칼륨 나트륨 골격식
타타르산 칼륨 나트륨의 골격식
타타르산 칼륨 나트륨 결정 구조의 공간 채우기 모형 일부
타타르산 칼륨 나트륨 결정 구조의 공간 채우기 모형 일부
타타르산 칼륨 나트륨 4수화물의 결정
타타르산 칼륨 나트륨 4수화물의 결정
IUPAC 명칭타타르산 칼륨 나트륨 4수화물
다른 이름E337
자이네트염
로셸염
식별 정보
화학 스파이더 ID8031536
펍켐 CID9855836
UNIIP49F8NV7ES
QH257BPV3J (4수화물)
InChI1/C4H6O6.K.Na/c5-1(3(7)8)2(6)4(9)10;;/h1-2,5-6H,(H,7,8)(H,9,10);;/q;2*+1/p-2
InChIKeyLJCNRYVRMXRIQR-NUQVWONBAG
표준 InChI1S/C4H6O6.K.Na/c5-1(3(7)8)2(6)4(9)10;;/h1-2,5-6H,(H,7,8)(H,9,10);;/q;2*+1/p-2
표준 InChIKeyLJCNRYVRMXRIQR-UHFFFAOYSA-L
CAS 등록번호304-59-6
6381-59-5 (4수화물)
EINECS 번호206-156-8
SMILES[K+].[Na+].O=C([O-])C(O)C(O)C([O-])=O
니카지 번호J2.573I
성질
화학식KNaC₄H₄O₆·4H₂O
몰 질량282.22 g/mol (4수화물)
용해도26 g / 100 mL (0 °C)
66 g / 100 mL (26 °C)
다른 용매에 대한 용해도에탄올에 불용
녹는점75 °C
끓는점220 °C (130 °C에서 무수물 생성, 220 °C에서 분해)
외관큰 무색 단사정계 결정
냄새무취
밀도1.79 g/cm³
구조
결정 구조사방정계
관련 화합물
기타 화합물타타르산 수소 칼륨
타타르산 알루미늄
타타르산 암모늄
타타르산 칼슘
메타타타르산
타타르산 안티모닐 칼륨
타타르산 칼륨
타타르산 나트륨 암모늄
타타르산 나트륨

2. 역사

1824년, 데이비드 브루스터 경은 로셸 염을 사용하여 압전 효과를 증명했으며,[8] 이 효과를 열전기(pyroelectricity)라고 명명했다.[9]

1919년, 알렉산더 맥린 니콜슨은 벨 연구소에서 로셸 염을 이용해 마이크와 스피커 같은 오디오 관련 발명품을 개발했다.[10] 로셸 염은 1921년에 강유전체임이 보고되었으며,[15] 이후 압전 소자로서 크리스털 이어폰이나 크리스털 마이크 등에 널리 이용되었다.[16] 로셸 염 단결정은 비유전율이 약 4,000 정도로 매우 높지만, 하한 큐리 온도를 가져 -18°C에서 24°C 사이의 온도 범위에서만 강유전성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14]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그 특성 때문에 나치 독일에서 군수 물자로서 대잠수함수중 청음기 등에 이용되었다. 대일본 제국에서도 미드웨이 해전 이후 독일로부터 로셸염 응용 기술을 전수받아, 대일본 제국 해군의 요청으로 대장성이 원료 확보를 위해 와인 제조를 장려하기도 했다. 또한 리온의 전신인 고바야시 이화학 연구소에서는 로셸염을 배양하여 생산하기도 했다.[17][18][19]

현재는 인산이수소칼륨(KDP)이나 티탄산 바륨(BT)과 같은 다른 재료들이 발견되어, 습기에 약한 로셸염은 압전 소자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성질

무색 또는 청백색을 띠는 사방정계 결정으로, 일반적으로 4분자의 결정수를 포함하며 화학식은 KNaC₄H₄O₆·4H₂O이다. 에 매우 잘 녹지만 (1111 g/L), 알코올에는 녹기 어렵다.

주석산 칼륨 나트륨 결정은 상대 습도가 약 30% 이하가 되면 탈수되고, 상대 습도가 약 84% 이상에서는 용해된다.

약간 짠맛과 청량감이 있는 풍미를 가지며, EU에서는 식품 첨가물로 인정받고 있다 ('''E337'''). 약학 분야에서는 하제이뇨제로 사용된다.

온화한 환원 작용을 가지므로, 의 무전해 도금을 수행할 때 환원제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판유리로부터 거울을 제작할 때 이용되었다.

3. 1. 압전 효과

1824년, 데이비드 브루스터 경은 로셸 염(주석산 칼륨 나트륨)을 사용하여 압전 효과를 처음으로 증명했다.[8] 그는 이 효과를 열전기라고 명명했다.[9] 압전 효과란 특정 결정 물질에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발생하고, 반대로 전압을 가하면 기계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로셸 염은 강유전체로, 4,000 정도의 높은 비유전율을 가지지만, 특정 온도 범위에서만 강유전성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이 온도 범위는 하한 큐리 온도를 가지며, 대략 -18°C에서 24°C 사이이다.[14]

1919년, 알렉산더 맥린 니콜슨은 벨 연구소에서 로셸 염을 이용하여 마이크와 스피커 같은 오디오 관련 발명품을 개발했다.[10] 1921년에 로셸 염이 강유전체임이 보고된 이후,[15] 그 압전 특성을 이용하여 크리스털 이어폰이나 크리스털 마이크 등 다양한 압전 소자로서 널리 사용되었다.[16]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수 물자로도 활용되었다. 나치 독일에서는 대잠수함수중 청음기 등에 로셸 염을 이용했다. 대일본 제국 역시 미드웨이 해전 이후 독일로부터 로셸 염 응용 기술을 전수받았다. 대일본 제국 해군의 요청에 따라 대장성은 원료 확보를 위해 와인 제조를 장려하기도 했으며, 리온의 전신인 고바야시 이화학 연구소에서는 로셸 염을 인공적으로 배양하여 생산하기도 했다.[17][18][19]

그러나 로셸 염은 습기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는 인산이수소칼륨(KDP)이나 티탄산 바륨(BT)과 같이 더 안정적인 압전 재료들이 개발되어, 로셸 염은 압전 소자로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2. 킬레이트 작용

주석산 칼륨 나트륨은 물에 잘 녹으며, 수용액 상태에서 전리하여 주석산 이온을 생성한다. 이 주석산 이온은 킬레이트 작용을 하는데, 이는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안정한 화합물을 형성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약염기성 킬레이트 제제로 널리 이용된다.

주요 용도는 다음과 같다.

  • 공업 분야: 도금액의 성분으로 사용된다.
  • 화학 분석: 펠링 시험, 베르트랑 시약, 뷰렛 반응, 네슬러 시험[20] 등 다양한 분석 시약의 일부로 첨가된다. 또한 카드뮴의 정량[21] 분석에도 시약 중 하나로 활용된다.
  • 유기 합성: 분액 조작 과정에서 에멀젼이나 침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LAH이나 DIBAL-H과 같은 수소화 알루미늄 계열 시약을 사용한 반응의 후처리 과정에서 유용하게 쓰인다[22].

4. 제조

주석산 칼륨 나트륨은 주로 68% 이상의 주석산을 함유한 주석산 수소 칼륨을 원료로 사용하여 만든다. 먼저 이 원료를 물이나 이전 공정에서 남은 모액에 녹인다. 그 다음, 뜨거운 포화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이용해 용액의 pH를 8로 맞추어 염기성으로 만든다. 이후 활성탄으로 색을 제거하고 화학적으로 정제한 뒤 여과 과정을 거친다. 걸러낸 여과액은 100°C에서 42 °Bé 농도가 될 때까지 증발시킨다. 농축된 용액은 서서히 냉각시키면서 주석산 칼륨 나트륨 결정을 얻는 과립기로 보내진다. 생성된 결정은 원심 분리를 통해 모액과 분리하고, 세척한 후 회전식 건조기에서 건조한다. 마지막으로 체로 쳐서 입자 크기별로 분류하여 포장한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입자 크기는 2000 μm에서 250 μm 미만(분말 형태)까지 다양하다.[2]

다른 방법으로는 1 몰의 주석산 수소 칼륨(KHC4H4O6)이 포함된 뜨거운 용액에 0.5 몰의 탄산 나트륨을 첨가하여 만들 수도 있다. 이 용액을 뜨거울 때 여과한 후 건조시키면 고체 상태의 주석산 칼륨 나트륨(NaKC4H4O6)이 미세 결정 형태로 석출된다.

스카이랩에서 성장시킨 로셸염의 큰 결정


스카이랩에서는 중력과 대류 현상이 줄어든 환경에서 주석산 칼륨 나트륨의 큰 결정을 성장시키는 실험이 수행되었다.[6][23]

5. 용도

주석산 칼륨 나트륨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왔다.

1824년 데이비드 브루스터 경이 압전 효과를 발견하고 이를 열전기라고 명명한 이후,[8][9] 1919년 알렉산더 맥린 니콜슨은 벨 연구소에서 주석산 칼륨 나트륨을 이용하여 마이크와 스피커 같은 오디오 관련 발명품을 개발했다.[10] 1921년에는 강유전체임이 보고되었고,[15] 높은 비유전율(약 4,000)과 특정 온도 범위(255 K ~ 297 K)에서 나타나는 강유전성[14]을 활용하여 압전 소자로서 크리스털 이어폰이나 크리스털 마이크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16]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이나 대일본 제국 등에서 군수 물자로 분류되어 대잠수함수중 청음기 등에 이용되기도 했다.[17][18][19] 그러나 습기에 약한 단점이 있어, 현재는 인산이수소칼륨(KDP)이나 티탄산 바륨(BT) 등 다른 재료가 개발됨에 따라 압전 소자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식품 분야에서는 약간 짠맛과 청량감이 있는 풍미를 가져 EU에서 식품 첨가물(E337)로 인정받고 있다.[13] 약학 분야에서는 하제이뇨제로 사용된다.

온화한 환원 작용을 가지고 있어 의 무전해 도금 시 환원제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판유리로부터 거울을 제작하는 데 이용되기도 했다.

또한 에 잘 녹고 수용액 상태에서 전리하여 킬레이트 작용을 하는 주석산 이온을 생성하기 때문에, 약염기성 킬레이트제로도 널리 사용된다. 공업적으로는 도금액의 성분으로 활용되며, 화학 분석에서는 펠링 시험, 베르트랑 시약, 뷰렛 반응, 네슬러 시험[20], 카드뮴의 정량[21] 등 다양한 분석 시약의 일부로 첨가된다. 유기 합성에서는 킬레이트 작용을 이용하여 분액 조작 시 에멀젼이나 침전의 형성을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데, 특히 LAH이나 DIBAL-H과 같은 수소화 알루미늄계 시약을 사용한 반응의 후처리에 유용하게 활용된다[22].

참조

[1]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
[3] 논문 Ferroelectricity: The Foundation of a Field from Form to Function 2005-11
[4] 서적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Wiley
[5] 웹사이트 Rochelle Salt applications http://tartaric.com/[...]
[6] 웹사이트 SP-401 Skylab, Classroom in Space https://history.nasa[...] NASA 1977-01
[7] 간행물 Electronic Engineering 1951-03
[8]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Ferroelectricity http://groups.ist.ut[...] groups.ist.utl.pt 2009-12-04
[9] 논문 Observations of the pyro-electricity of minerals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https://sites.google[...]
[11] 웹사이트 Potassium sodium tartrate tetrahydrate http://www.chemblink[...] chemBlink
[12] 서적 Electronic Engineering 1951-03
[13] 웹사이트 Current EU approved additives and their E Numbers http://www.food.gov.[...]
[14] 서적 理科年表 平成18年版 丸善
[15] 논문 Piezo-Electric and Allied Phenomena in Rochelle Salt
[16] 논문 Ferroelectricity: The Foundation of a Field from Form to Function http://theeestory.co[...]
[17] 웹사이트 河合平司先生を偲ぶ http://www.kobayasi-[...]
[18] 웹사이트 戦時中のワイン造りの奨励(答え) https://www.nta.go.j[...] 国税庁
[19] 웹사이트 ロッシェル塩、ワイナリー「サドヤ」(甲府市)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5-08-12
[20] 웹사이트 「国税庁所定分析法」の全部改正について http://www.nta.go.jp[...] 국세청 1991-06-07
[21] 웹사이트 農用地土壌汚染対策地域の指定要件に係るカドミウムの量の検定の方法を定める省令(昭和四十六年農林省令第四十七号) https://laws.e-gov.g[...] 총무성행정관리국 2010-06-16
[22] 서적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Wiley
[23] 웹사이트 SP-401 Skylab, Classroom in Space http://history.nasa.[...] NASA
[24]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CRC Press
[25]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i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