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어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어권(Sinophone)은 중국어 사용자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2000년대 초반 학계에서 만들어졌으며, 중국어를 사용하는 개인과 공동체를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중국어권은 지리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대만), 싱가포르, 홍콩, 마카오 등 5개 국가 및 지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전 세계 화교 공동체와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학습 현황과도 관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어권 - 홍콩
    홍콩은 중국 남부 해안에 위치한 특별행정구로서,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중국에 반환된 후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며 서구와 동양 문화가 융합된 경제, 금융, 항구 도시이지만, 중국 정부의 개입으로 사회정치적 갈등과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 중국어권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중국어권
지도
개요
정의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거나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중국 문화권에 속한 사람들을 지칭
분포
주요 거주 지역중국
중화민국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그 외 화교 사회
언어
사용 언어중국어 (표준중국어, 광둥어, 민어, 우어, 샹어, 간어, 객가어 등)
문화
문화적 특징유교
도교
불교
중국 신화
한자 사용
젓가락 사용
인구
추정 인구13억 명 이상 (2023년 기준)
관련 용어
관련 용어화인
화교
중화권
반화 감정(Sinophobia)
친중 성향(Sinophile)

2. 어원

어원은 Sinophone에서 유래되었으며, "중국; 중국의"를 뜻하는 ''Sino-'' (cf. 중국학)와 "특정 언어 사용자"를 뜻하는 ''-phone'' (예: 영어권, 프랑스어권)에서 파생되었다.[3]

2000년대 초반,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의 제러미 바메와 UCLA의 쉬 슈메이에 의해 "태평양 양쪽에서 별도로 그리고 동시에 만들어진 것 같다"고 에드워드 맥도날드는 주장했다.[3] 바메는 "중국어권"을 "말하기, 읽기, 쓰기 또는 다양한 전자 매체와의 관계를 통해 세상의 의미를 만들고 만들어내는 데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중국 기원 언어와 방언을 사용하는 개인과 공동체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했다.[3] 쉬는 "'중국어권 문학'은 중국에서 나온 문학인 '중국 문학'과 구별되는, 중국 외 세계 각지에서 중국어를 사용하는 작가들이 중국어로 쓴 문학을 의미한다"라고 언급했다.[3]

이보다 이른 시기의 ''sinophone'' 사용례도 존재한다. 루스 킨(1988)은 중국 문학에서 "중국어권 공동체"를 "중국 본토, 대만, 홍콩,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및 미국"으로 정의했다.[3] 콜롬베와 로버츠(2001)는 ''sinophones''를 "광동어/만다린어 사용자"로 정의했다.[3]

3. 정의

초기에는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현재 학계에서는 중국어가 소수 언어로 사용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중국어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언어, 문화, 정체성 간의 복잡한 관계를 반영하며, 특히 중국 본토 외 지역의 중국어 사용 공동체를 지칭하는 데 유용하다.

4. 지리적 분포

다양한 중국어가 공용어인 국가 및 영토.


중국어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대만), 싱가포르, 홍콩, 마카오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만다린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의 유일한 공용어이며, 싱가포르의 4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 광둥어는 홍콩과 마카오에서 영어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용어이다.

또한, 동남아시아, 북미, 유럽 등 전 세계 각지에 화교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서도 중국어가 활발하게 사용된다. 동남아시아에서는 광둥어와 민남어가, 서방 국가에서는 오래된 중국인 공동체가 광둥어를 사용하는 반면, 새로 이주해 온 사람들은 만다린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4. 1. 중국어가 공용어인 국가 및 지역



만다린중화인민공화국중화민국(대만)의 유일한 공용어이며, 싱가포르의 4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5] 유엔의 공식 언어 6개 중 하나이기도 하다.

광둥어홍콩마카오에서 영어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용어이며, 이들 지역에서는 만다린보다 광둥어가 주로 사용된다.

4. 2. 해외 화교 공동체

중국계 해외 거주자와 중국어 사용 공동체는 전 세계에서 발견되며, 대부분 동남아시아와 서방 세계, 특히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프랑스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인 디아스포라 사이의 중국어 사용 및 변종은 주로 지배적인 중국인 집단의 조상 지역과 거주 국가의 공식 언어 정책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동남아시아에서는 광둥어와 민남어가 지배적인 중국어 방언이며, 광둥어는 전통적으로 이 지역의 대부분의 중국계 민족 사이에서 공통어 역할을 한다.[6] 중국계 인구가 많은 서방 국가에서는 더 오래된 중국인 공동체는 광둥어를 사용하지만, 새로 이주해 온 사람들은 점점 더 만다린어를 사용한다.[6]

말레이시아는 중국어 사용 국가 외 지역에서 유일하게 중국어를 교육 매체로 허용하는 국가이다.[7] 이는 말레이시아 화교가 국가 인구의 거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전통적으로 국가 경제 부문에 큰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는 사실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표준중국어는 중국어 학교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이지만, 민남어 사용자가 중국계 인구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광둥어는 특히 상업과 미디어에서 공통어로 사용된다.

4. 3. 외국어로서의 중국어

1980년대부터 중국을 중심으로 한 중화권의 경제적, 정치적 부상과 함께, 중국어는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인기 있는 외국어가 되었다.[8]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또는 독일어만큼 널리 사용되는 표준 외국어는 아니지만, 동아시아동남아시아, 그리고 서구 국가에서 중국어 학습 학생 수와 강좌는 빠르게 증가했다.[9] 표준 중국어 외에, 광둥어홍콩의 세계적인 경제적 중요성과 주요 화교 커뮤니티의 광범위한 존재로 인해 외국어로 널리 가르쳐지는 유일한 다른 중국어이다.[10]

5. 한국의 중국어권

한국 내 화교 인구는 감소 추세지만, 중국인 노동자, 유학생 등의 유입으로 인해 중국어 사용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중국어 교육, 미디어, 경제 등 여러 방면에서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The '中国通' or the 'Sinophone'? Towards a political economy of Chinese language teaching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Auckland, School of Asian Studies 2010
[2] 웹사이트 Summary by language size https://www.ethnolog[...] 2018-10-03
[3] 웹사이트 On the Phone {{!}} Printculture https://printculture[...] 2012-11-30
[4] 서적 Sinophone Studies: A Critical Reader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3-01-22
[5] 법률 Republic of Singapore Independence Act 1985
[6]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Facts on File 2009
[7] 잡지 National Identity and Minority Languages http://www.un.org/wc[...] 2013-09-04
[8] 논문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hinese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s https://www.research[...] Frontiers of Education in China 2020-03
[9] 잡지 Chinese Progresses as a World Language https://www.language[...] 2021-01-06
[10] 서적 Cantonese as a Second Language: Issues, Experiences, and Sugges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Routledge 2019
[11] 웹사이트 Summary by language size https://www.ethnolog[...] 2018-10-03
[12] 웹사이트 Population by language, sex and urban/rural residence http://data.un.org/D[...] UNdata 2015-10-13
[13] 문서 Sum of 'Cantonese' and 'Mandarin'.
[14] 문서 Figures for Cantonese.
[15] 문서 Sum of 'Chinese' and 'Chinese and English'.
[16] 웹사이트 IPUMS USA https://usa.ipums.or[...] 2019-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