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관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기관총은 탄약 구경과 냉각 방식에 따라 분류되는 기관총으로, 소총탄을 사용하는 중기관총과 대구경 중기관총으로 나뉜다. 냉각 방식에 따라서는 수랭식과 공랭식으로 구분되며, 수랭식은 지속 사격에 유리하지만 무겁고, 공랭식은 가볍고 운용이 간편하다. 19세기 후반에 등장하여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발전했으며, 현대에는 공랭식 중기관총이 널리 사용된다. 현재는 보병 화력 지원, 차량 및 헬기 탑재, 함정 방어 등 다양한 군사적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개틀링 방식의 기관총도 헬리콥터 등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관총 - 다목적 기관총
다목적 기관총은 다양한 전장에서 여러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기관총으로, MG34 개발을 통해 개념이 등장한 이후 각국에서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현대에도 기술 발전이 지속되고 있다. - 기관총 - 경기관총
경기관총은 소총탄을 사용하며 중기관총보다 작고 가벼운 기관총으로, 보병 부대의 화력 보강을 위해 등장하여 분대 지원 화기로서 중요성이 재인식되어 발전해왔다. - 중기관총 - DShK
DShK는 바실리 데그탸료프가 개발하고 게오르기 슈파긴이 개량한 12.7×108mm 탄을 사용하는 벨트 급탄식 기관총으로, 제2차 세계 대전부터 현재까지 보병 지원, 대공전, 차량 탑재 등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 중기관총 - K6 기관총
K6 기관총은 M2 브라우닝 기관총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신속한 총열 교환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대한민국에서 기존 M2를 대체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관총이다.
중기관총 | |
---|---|
개요 | |
![]() | |
![]() | |
영어 명칭 | Heavy Machine Gun (HMG) |
정의 | |
정의 | 지속적인 사격이 가능한 중기관총 |
2. 분류
중기관총은 크게 탄약의 구경과 냉각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구경에 따른 분류중기관총은 구경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소총탄 사용 중기관총: 19세기 말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널리 사용된 중기관총으로, 7.92mm, 7.7×56mmR(.303 브리티시)탄, 7.62×54mmR탄 등 일반적인 소총탄을 사용하며, 무거운 구조, 정교한 장착물 및 수냉식 냉각 방식을 채택하여 뛰어난 명중률로 장시간 연속 자동 사격이 가능했다.[2] 그러나 무겁고 이동이 불편하며, 여러 명의 병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2] 대표적인 예로는 하이럼 맥심이 발명한 맥심 기관총과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독일의 MG 08, 영국의 빅커스, 러시아의 PM M1910 등이 있다.[2]
- 대구경 중기관총: 탄환 직경 최소 12mm, 탄약 탄피 길이 최소 80mm 및 최소 500그레인의 탄환 무게를 가진 "대구경" 탄약을 사용하는 기관총이다.[3] 20mm의 탄환 직경은 자동 기관포의 "중구경" 탄약으로 간주되어 제외된다.[3]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MG 18 TuF(13.2mm)에 의해 개척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부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3] 이들은 표준 소총탄을 사용하는 중기관총이나 경기관총보다 더 긴 사거리, 더 강력한 관통력과 파괴력을 가지도록 설계되었으며, 차량, 건물, 항공기 및 경량 요새 공격에 사용되었다.[3] 미국의 M2와 소련의 DShK(12.7×108mm)가 대표적이다.[3]
냉각 방식에 따른 분류


중기관총은 냉각 방식에 따라 수랭식과 공랭식으로 나뉜다.
수랭식 중기관총은 총열의 과열을 막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냉각 방식을 채택했다. 하이럼 맥심이 발명한 맥심 기관총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 기관총이었다.[2] 독일의 MG 08, 영국의 빅커스, 러시아의 PM M1910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기관총들은 7.92×57mm 마우저탄, 7.7×56mmR(.303 브리티시)탄 또는 7.62×54mmR탄과 같은 표준 소총탄을 사용했으며,[2] 무거운 구조와 수냉식 메커니즘 덕분에 장거리에서 지속적인 사격이 가능했다.
공랭식 중기관총은 총열의 과열을 공기로 식히는 냉각 방식을 채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15kg 미만의 더 가볍고 휴대성이 좋은 공랭식 설계들이 개발되어, 공격하는 보병을 지원하고 항공기 및 여러 유형의 차량에 사용되었다.
수랭식은 지속 사격 능력은 뛰어나지만, 무겁고 냉각수를 보충해야 하는 등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공랭식은 수랭식에 비해 지속 사격 능력은 떨어지지만, 가볍고 운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2. 1. 구경에 따른 분류
중기관총은 구경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소총탄 사용 중기관총: 19세기 말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널리 사용된 중기관총으로, 7.92mm, 7.7×56mmR(.303 브리티시)탄, 7.62×54mmR탄 등 일반적인 소총탄을 사용하며, 무거운 구조, 정교한 장착물 및 수냉식 냉각 방식을 채택하여 뛰어난 명중률로 장시간 연속 자동 사격이 가능했다.[2] 그러나 무겁고 이동이 불편하며, 여러 명의 병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2] 대표적인 예로는 하이럼 맥심이 발명한 맥심 기관총과 이를 기반으로 제작된 독일의 MG 08, 영국의 빅커스, 러시아의 PM M1910 등이 있다.[2]
- 대구경 중기관총: 탄환 직경 최소 12mm, 탄약 탄피 길이 최소 80mm 및 최소 500그레인의 탄환 무게를 가진 "대구경" 탄약을 사용하는 기관총이다.[3] 20mm의 탄환 직경은 자동 기관포의 "중구경" 탄약으로 간주되어 제외된다.[3]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의 MG 18 TuF(13.2mm)에 의해 개척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부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3] 이들은 표준 소총탄을 사용하는 중기관총이나 경기관총보다 더 긴 사거리, 더 강력한 관통력과 파괴력을 가지도록 설계되었으며, 차량, 건물, 항공기 및 경량 요새 공격에 사용되었다.[3] 미국의 M2와 소련의 DShK(12.7×108mm)가 대표적이다.[3]
2. 2. 냉각 방식에 따른 분류
중기관총은 냉각 방식에 따라 수랭식과 공랭식으로 나뉜다.
수랭식 중기관총은 총열의 과열을 막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냉각 방식을 채택했다. 하이럼 맥심이 발명한 맥심 기관총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 기관총이었다.[2] 독일의 MG 08, 영국의 빅커스, 러시아의 PM M1910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기관총들은 7.92×57mm 마우저탄, 7.7×56mmR(.303 브리티시)탄 또는 7.62×54mmR탄과 같은 표준 소총탄을 사용했으며,[2] 무거운 구조와 수냉식 메커니즘 덕분에 장거리에서 지속적인 사격이 가능했다. 예를 들어, .303 빅커스는 15kg의 무게였고, 삼각대를 장착하면 총 무게는 23kg에 달했다. 무거운 설계의 기관총은 고정된 방어진지에서 보병 공격을 격퇴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으며, 숙련된 운용팀은 충분한 탄약, 교체용 총열, 냉각수가 있다면 몇 시간 동안 끊임없이 사격할 수 있었다.
공랭식 중기관총은 총열의 과열을 공기로 식히는 냉각 방식을 채택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15kg 미만의 더 가볍고 휴대성이 좋은 공랭식 설계들이 개발되어, 공격하는 보병을 지원하고 항공기 및 여러 유형의 차량에 사용되었다.
수랭식은 지속 사격 능력은 뛰어나지만, 무겁고 냉각수를 보충해야 하는 등 운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공랭식은 수랭식에 비해 지속 사격 능력은 떨어지지만, 가볍고 운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3. 역사
19세기 후반, 개틀링 건과 노르덴펠트 건, 가드너 건과 같은 다른 외부 동력 방식의 기관총이 0.5인치, 1인치 등 다양한 구경으로 제작되었다. 다수의 총열을 사용했기 때문에 과열 문제는 그다지 심각하지 않았지만, 무게가 상당히 무거웠다. 하이럼 맥심이 단일 총열을 사용하는 반동식 맥심 기관총을 개발했을 때, 그의 최초 주요 설계는 11.8kg에 불과했으며, 24인치 총열에서 .45인치 소총탄을 발사했다. 하지만, 과열로 인해 장시간 발사할 수 없었다. 그 결과, 맥심은 장시간 발사가 가능하도록 수냉식 냉각 시스템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는 더 강력한 소총탄으로의 변경과 마찬가지로 무게를 상당히 증가시켰다.
19세기 말에는 콜트-브라우닝 M1895 기관총, 핫치키스 M1897 기관총과 같은 많은 새로운 설계가 가스 작동 방식이나 반동 작동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무거운 수냉 방식 대신 새로운 설계에서는 총열 교체, 금속 핀, 방열판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른 유형의 총열 냉각 방식을 도입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참호전에서 중기관총은 진지 방어에 매우 효과적인 무기로 입증되었다. 한 정의 중기관총이 여단 규모의 돌격을 저지할 수 있을 정도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공격하는 보병과 함께 이동하며 화력을 지원할 수 있는 경기관총이 등장하면서, 기존의 무거운 수랭식 기관총은 중기관총으로 분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대전차, 대공 목적으로 개발된 대구경 중기관총이 등장하였다. 전간기에는 전차와 항공기의 발달로 대전차 무기로서의 위력은 부족해졌지만, 대공 무기나 장갑차량, 군함의 자위용 무장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더 무거운 설계의 중기관총은 제2차 세계 대전 내내 그리고 1960년대까지 사용되었지만, 점차 공랭식 설계로 대체되었다. 중기관총은 삼각대에 장착된 중기관총과 이족대에 장착된 경기관총으로 모두 사용되었다. 차량 중심의 전투에서는 무겁고 고정된 기관총 사격 위치가 효과적이지 않은 전술이었고, 훨씬 가벼운 공랭식 설계가 수랭식 버전의 성능에 거의 근접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했다.
현대에는 공랭식 중기관총이 널리 사용되며, 대인, 대물, 대공 등 다양한 임무에 투입된다. 개틀링 방식의 기관총, 예를 들어 미니건과 GShG-7.62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시 등장했다. 이들은 매우 높은 발사 속도 때문에 무게와 많은 탄약 요구량 때문에 일반적으로 함선과 헬리콥터에 장착된다. 그러나 지상에서 지속적인 자동 사격의 필요성은 이제 거의 전적으로 공랭식 중기관총으로 충족된다.
3. 1. 한국전쟁과 중기관총
19세기 후반, 개틀링 건, 노르덴펠트 건, 가드너 건 등 외부 동력 방식의 기관총이 다양한 구경으로 제작되었다. 다총열을 사용하여 과열 문제는 덜했지만 무게가 무거웠다. 맥심이 개발한 단일 총열 반동식 맥심 건은 11.8kg으로 가벼웠지만, 과열로 장시간 발사할 수 없어 수냉식 냉각 시스템을 도입하여 무게가 증가했다.19세기 말에는 가스 작동 방식이나 반동 작동 방식을 사용하는 콜트-브라우닝 M1895 기관총, 핫치키스 M1897 기관총 등 새로운 설계가 등장했다. 이들은 총열 교체, 금속 핀, 방열판 등 새로운 총열 냉각 방식을 도입했다.
3. 2. 베트남 전쟁과 중기관총
19세기 후반에는 개틀링 건, 노르덴펠트 건, 가드너 건과 같은 다양한 구경의 외부 동력 방식 기관총이 제작되었다. 다총열을 사용하여 과열 문제는 덜했지만 무게가 무거웠다. 맥심이 개발한 단일 총열 반동식 맥심 건은 11.8kg으로 가벼웠고 .45인치 소총탄을 발사했다. 하지만 과열로 인해 장시간 발사가 어려워 수냉식 냉각 시스템을 추가하면서 무게가 증가했다.19세기 말에는 가스 작동 방식이나 반동 작동 방식의 콜트-브라우닝 M1895 기관총, 핫치키스 M1897 기관총 등 새로운 설계가 등장했다. 이들은 총열 교체, 금속 핀, 방열판 등 새로운 총열 냉각 방식을 도입했다.
4. 현대적 응용
현대에는 차량 중심의 전투로 인해 무겁고 고정된 기관총 사격 위치가 효과적이지 않은 전술이 되었고, 공랭식 설계가 수랭식 버전의 성능에 거의 근접할 수 있게 되면서 제2차 세계 대전과 1960년대까지 사용되던 중기관총은 점차 공랭식 설계로 대체되었다. 중기관총은 삼각대에 장착되거나 이족대에 장착된 경기관총으로 모두 사용되었다.
개틀링 방식의 기관총은 미니건과 GShG-7.62 등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시 등장했다. 이들은 매우 높은 발사 속도로 인해 무게와 탄약 요구량이 많아 일반적으로 함선과 헬리콥터에 장착된다. 그러나 지상에서 지속적인 자동 사격의 필요성은 거의 전적으로 공랭식 중기관총으로 충족된다.
4. 1. 대테러 작전
4. 2. 분쟁 지역
4. 3. 군사적 응용
현대 군대에서 중기관총은 보병 화력 지원, 차량 및 헬기 탑재, 함정 방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원격 무장 체계(RCWS)에 통합되어 운용되기도 한다.제2차 세계 대전 내내 그리고 1960년대까지 무거운 설계의 중기관총이 사용되었지만, 점차 공랭식 설계로 대체되었다. 중기관총은 삼각대에 장착되거나 이족대에 장착된 경기관총으로 사용되었다. 차량 중심의 전투에서는 무겁고 고정된 기관총 사격 위치가 효과적이지 않은 전술이었고, 훨씬 가벼운 공랭식 설계가 수랭식 버전의 성능에 거의 근접할 수 있었기 때문에 공랭식 설계로 대체가 가능했다.
개틀링 방식의 기관총(미니건, GShG-7.62 등)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다시 등장했다. 이들은 매우 높은 발사 속도 때문에 무게와 많은 탄약 요구량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함선과 헬리콥터에 장착된다. 그러나 지상에서 지속적인 자동 사격의 필요성은 이제 거의 전적으로 공랭식 중기관총으로 충족된다.
5. 중기관총 목록
5. 1. 소총탄 사용 중기관총 (현대의 중기관총/다목적 기관총)
미국의 브라우닝 M1917, 브라우닝 M1919, 영국의 빅커스 중기관총이 대표적이다. 이탈리아 왕국은 피아트 레베리 M1914, 피아트 레베리 M1935, 브레다 M37을 사용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슈바르츠로제 중기관총을 사용했다.소비에트 연방은 PM1910, SG-43을 사용했다. 일본 제국과 일본은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1식 중기관총, 74식 기관총(삼각대 운용 시)을 사용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브루노 Vz.37을, 독일 제국은 MG08을, 프랑스는 호치키스 Mle 1914를 사용했다.
5. 2. 대구경 중기관총
미국의 브라우닝 M2, M85, XM312, XM806, 영국의 빅커스, 싱가포르의 STK 50MG, 러시아/소비에트 연방의 DShK 38, KPV, NSV, 코르드, 독일 제국의 MG18, 벨기에의 FN BRG-15, 일본 제국의 93식 13mm 기관총 (육군 3각대 운용시,해군 단장 운용시), 중화인민공화국의 85식 12.7mm 중기관총, 88식 차재 중기관총 등이 있다.5. 3. 자동유탄발사기
미국의 M75, Mk.19, Mk.47, 우크라이나의 UAG-40, 대한민국의 K4 자동유탄발사기, 싱가포르의 STK 40, 스페인의 LAG 40, 소비에트 연방/러시아의 AGS-17, AGS-30, AGS-40, 중화인민공화국의 87식, 11식, 독일의 H&K GMW, 일본의 96식,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데넬 Y3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Machine Gun
https://www.britanni[...]
[2]
웹사이트
How The Machine Gun Changed Combat During World War I
https://online.norwi[...]
[3]
웹사이트
Medium Caliber Ammunition (MCA) - USAASC
https://asc.army.mil[...]
[4]
웹사이트
MCWP 3-15.1 Machine Guns and Machine Gun Gunnery
https://www.marines.[...]
U.S. Marine Corps
2021-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