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기차공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기차공업은 1969년 설립된 대만의 자동차 제조 회사이다. 미쓰비시 자동차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상업용 차량 생산을 시작했으며, 이후 승용차 및 전기 오토바이, 전기 스쿠터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1991년 대만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현재는 CMC, 미쓰비시, MG 브랜드의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자동차 제조 기업 - SYM (기업)
    SYM(삼양모터)은 1954년 설립된 대만의 오토바이, 자동차, ATV, 소형 트럭 및 밴 제조업체이며, 혼다와의 기술 제휴를 거쳐 자체 모델을 생산하고 현대자동차와 협력하여 대만 시장용 차량을 제조한다.
  • 대만의 자동차 제조 기업 - 혼다 자동차 (대만)
    혼다 자동차 (대만)은 신주시에 생산 시설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핑둥현 핑둥시에서 혼다 CR-V, 혼다 HR-V, 혼다 피트 모델을 생산하며, 2020년에는 약 4만 2천 대의 차량을 생산했다.
  • 대만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 - 디링크
    디링크는 1986년 대만에서 설립된 네트워크 장비 회사로, 공유기, 네트워크 어댑터 등을 생산하며, 보안 문제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 대만 증권거래소 상장 기업 - 트랜센드
    트랜센드는 1988년 타이완에서 설립되어 컴퓨터 주변기기 및 저장장치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USB 메모리 분야에서 세계적인 점유율을 기록하며 전 세계 지사를 통해 제품을 자체적으로 생산, 판매한다.
  • 대만의 브랜드 - TSMC
    TSMC는 대만 정부 지원으로 설립된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으로, 첨단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기업들을 고객으로 확보하며 성장했지만, 지정학적 갈등, 비용 증가, 경쟁사 추격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 대만의 브랜드 - 유니 항공
    유니 항공은 1988년 마궁 항공으로 설립되어 1996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에바 항공의 자회사로, 대만 국내선과 중국 노선을 주로 운항하며 일부 국제선 정기편도 운영하고, ATR 72-600 기종을 운영하며 과거 다양한 기종을 운영했으나 현재는 퇴역했고, 유니 항공 873편 화재 사고를 비롯한 여러 사건·사고를 경험했으며, 여러 항공사와 코드쉐어 협정을 맺고 있다.
중화기차공업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명중화기차공업고분유한공사 (中華汽車工業股份有限公司)
영문 회사명China Motor Corporation
2015년부터 사용된 로고
종류상장 회사
설립일1969년 6월 13일
본사타이베이 다안구 둔화남로 2단 2호 11층
사업 지역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카리브해, 중앙 아메리카
산업자동차 제조업
제품자동차
레크리에이션 차량
경 상용차
트럭
모기업위룽 자동차
매출액NT$ 55,669.4백만
순이익NT$ 5,397.8백만
직원 수3,407명
홈페이지공식 웹사이트
경영진
전 명예 회장비비안 슌원 우
회장케네스 옌
사장차오원 천
중국어 정보
중국어 (정체)中華汽車工業股份有限公司
한어 병음Zhōnghuá Qìchē Gōngyè Gǔfèn Yǒuxiàn Gōngsī
하카어Chûng-fà Hi-chhâ Kûng-ngia̍p Kú-fún Yû-hān Kûng-sṳ̂
민난어Tiong-hoa Khì-chhia Kang-gia̍p Kó͘-hūn Iú-hān Kong-si
일본어 정보
일본어 회사명中華汽車工業股份有限公司
로마자Chūka Jidōsha Kōgyō Kabushiki-gaisha
한국어 정보
한국어 회사명중화기차공업주식회사
주요 주주
주주위룽 기업 집단
미쓰비시 자동차 공업
미쓰비시 상사

2. 역사

1969년 6월 13일 위룽 자동차 창업자 옌칭링에 의해 설립되었으며,[5] 이듬해 미쓰비시 자동차와 기술 제휴 계약을 맺었다.[1] 1973년 12월 12일 타오위안시 양메이에 첫 공장을 열고 상용차 생산을 시작했으며,[1] 초기 월 300대 수준이던 생산량은 1983년 누적 10만 대를 돌파할 정도로 빠르게 성장했다.[1]

1988년 자체 개발 모델인 경상용차 바리카(Varica)를 출시하며 기술 자립의 기반을 마련했고,[5] 1991년 3월 대만 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1] 1993년에는 대만 국가 품질상을 수상하며 품질 경영 능력을 인정받았다.[1]

1995년부터 중국 둥난 자동차 투자를 시작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했으며,[1] 2005년에는 다임러크라이슬러와 협력하여 중국 내 미니밴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1] 2007년에는 푸젠 다임러 합작 사업에도 참여했다.[1]

2000년대 이후 자체 개발 모델인 베리카(Veryca, 2000년), 서브린(Savrin, 2001년), 징거(Zinger, 2005년) 등을 출시하며 제품 라인업을 다양화했다.[5] 2010년에는 전기 스쿠터 브랜드 "e-moving"을 출시하며 친환경차 시장에도 진출했다.[9] 2013년에는 자체 개발 소형 트럭 신다(Leadca)를 선보였다.[3]

2019년 창립 50주년을 맞이했으며,[5] 2021년 중국 상하이 자동차(SAIC) 산하의 MG 브랜드를 대만에 도입하고,[11] 2022년 MG HS를 출시하는 등[4]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현재 타오위안시 양메이에 2곳, 신주시에 1곳의 생산 공장을 운영 중이며,[1] 연간 생산 능력은 10만 대 이상이다.[1] 2019년 기준 유론 모터 그룹이 지분 40% 이상을 보유한 최대 주주이며,[2] 미쓰비시 자동차도 약 14%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2]

2. 1. 설립 초기 (1969년 ~ 1980년대)

위룽 자동차 창업자 옌칭링에 의해 1969년 6월 13일 자본금 1억신 대만 달러으로 설립되었다. 1970년 10월, 미쓰비시 자동차와 기술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

1973년 12월 12일 타오위안시 양메이에 첫 번째 제조 공장을 열고 중형 트럭 FUSO(부흥)와 소형 상용차 델리카(득리카) 생산을 시작했다.[1] 초기 생산량은 월 300대 수준이었으나, 빠른 성장을 통해 1983년에는 공장에서 100,000번째 차량을 생산했다.[1]

초기에는 상업용 차량만 생산했지만, 점차 사업 영역을 확장해 나갔다. 1986년 6월에는 미쓰비시 자동차와 미쓰비시 상사가 자본 참여하여 각각 19%와 6%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다. 1988년 12월에는 자체 개발한 경상용차 바리카(Varica, 위리) 생산을 시작했다.

2. 2. 성장 및 발전 (1990년대 ~ 2000년대)

1991년 3월 대만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다.[1] 1993년에는 대만 국가 품질상을 수상하며 품질을 인정받았고,[1] 같은 해 4월에는 총 생산 대수 50만 대를 돌파했다. 인재 양성을 위해 1994년 6월 중화 인재 배양 중심(China-Motor Training Center; CMTC)을 설립했다.

1995년 11월, 중국 푸젠성 자동차 공업 집단과 합작하여 둥난 자동차를 설립하고 투자하며 중국 시장 진출을 모색했다.[1] 1997년 9월에는 프리카를 출시했으며, 1998년 6월에는 총 생산 대수가 100만 대를 넘어섰다. 기술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1999년 12월 중화기차 아시아 기술 연구 개발 중심(China-Motor Asia Research and Technology Center; CARTEC)을 설립했다.

2000년대 들어서도 성장을 지속했다. 2000년과 2001년 연속으로 J.D. Power 아시아 태평양의 판매 만족도 지수에서 1위를 차지하며 고객 만족도를 입증했다.[1] 또한, 2000년 9월에는 자체 개발 모델인 베리카(Veryca)를, 2001년 10월에는 서브린(Savrin)을 출시하며 제품 라인업을 확장했다. 2004년 12월에는 그랜더를 선보였다.

2005년에는 중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 다임러크라이슬러와 중국 본토 시장용 미니밴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1] 같은 해 12월에는 징거를 출시했다. 2006년 4월에는 보유하고 있던 둥난 자동차 지분 절반을 미쓰비시 자동차에 양도했으며,[7] 다임러크라이슬러(현 다임러)로부터 라이선스를 받아 크라이슬러 타운앤컨트리 생산을 시작했다.

2007년 1월, 다임러크라이슬러, 푸젠성 자동차 공업 집단과의 합작 회사 설립 계획이 중국 당국으로부터 승인되었고, 중화기차는 이 합작 회사에 17%를 출자했다.[8] 같은 해 6월부터 푸젠 다임러 합작 사업에 참여했으며,[1] 7월에는 크라이슬러를 위해 대만에서 생산한 델리카멕시코로 수출하기 시작했다. 9월 15일에는 랜서 포르티스를 출시했고, 10월에는 푸젠 다임러 자동차 공업 유한공사(현 푸젠 벤츠 자동차 공업 유한공사)가 푸젠 성 푸저우 시에서 공장 기공식을 가졌다. 2008년 9월에는 2세대 징거를 출시했다.

2. 3. 최근 동향 (2010년대 ~ 현재)

2010년 3월, 타이베이 국제 자전거 쇼에서 전기 자전거 및 전기 스쿠터 신규 브랜드 "GreenTrans"를 발표했으며,[9] 같은 해 6월에는 GreenTrans 브랜드의 전기 스쿠터 "e-moving"을 출시했다.

2012년 9월 6일, 미쓰비시 자동차의 동의를 얻어 독자적으로 외관을 디자인한 랜서 포티스를 중동 걸프 협력 회의(GCC) 국가에 수출하기 시작했다.[10]

2013년 10월 30일, 자체 기술로 개발한 GVW 3.49ton급 소형 트럭 "신다(Leadca)"를 발표했다.[3] 같은 해, eMoving 브랜드로 첫 전기 자전거 모델인 Bobe를 출시했다.

2015년 9월, 징거 다기능 상용차를 독자적으로 리모델링하여 출시했다. 이 모델은 중화자동차가 자체 개발한 외관 디자인을 적용했을 뿐 아니라 엔진과 변속기 성능도 개선했다.

2017년 4월 6일, 중형 RV 모델인 그랜드 랜서를 독자적인 대규모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새롭게 출시했다. 또한 같은 해 7월, 전기 자전거 "EM 25 Shine"을 발표했다.

2019년 5월, 회사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새로운 기업 비전과 3세대 기업 아이덴티티(CI)를 공개했다.

2021년 7월, 중국 상하이 자동차(SAIC Motor) 산하의 영국 자동차 브랜드 MG를 대만 시장에 도입하기로 결정했으며,[11] 8월에는 경형 전기 스쿠터 eMOVING-EZ1을 출시했다. 이 모델은 고고로 네트워크의 스마트 배터리 교환 시스템을 채택한 중화자동차 최초의 전기 스쿠터이다.

2022년 7월, MG 브랜드의 중형 SUV 모델인 MG HS를 대만 시장에 공식 출시했으며,[4] 같은 해 10월에는 3.5ton급 소형 트럭 "젠빙"(堅兵)을 선보였다.[5][6]

2023년 10월에는 4세대 징거를 발표했다.

3. 파트너십

중화기차공업은 여러 기업과 다양한 형태의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1970년 미쓰비시 자동차와 기술 제휴 계약을 체결하며 오랜 협력 관계를 시작했으며, 현재 미쓰비시 자동차는 중화기차공업의 주요 주주 중 하나이다. 중화기차공업이 생산하는 모델 대부분은 미쓰비시 자동차의 차량을 기반으로 한다.

대만의 주요 자동차 기업인 위론기차그룹은 2019년 기준으로 중화기차공업의 지분 40% 이상을 보유한 최대 주주이며, 중화기차공업은 위론기차그룹의 일부로 간주된다.

또한,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1995년부터 중국의 둥난기차공업에 투자를 시작했다. 2005년에는 당시 다임러크라이슬러와 중국 본토 시장용 미니밴 생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2007년부터는 푸젠 다임러 합작 투자에도 참여하고 있다.

3. 1. 미쓰비시 자동차

중화기차공업은 1969년 설립 이듬해인 1970년 미쓰비시 자동차와 기술 제휴 계약을 체결하며 오랜 협력 관계를 시작했다. 현재 미쓰비시 자동차는 중화기차공업의 지분 13.97%를 소유하고 있다.[2]

중화기차공업이 생산하는 모든 모델은 미쓰비시 자동차의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이를 대만 현지 시장의 특성과 요구에 맞게 조정하여 생산 및 판매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운영한다. 예를 들어, 2012년 9월에는 미쓰비시 자동차의 동의를 얻어 독자적으로 외관을 디자인한 랜서 포티스를 중동 걸프 협력 회의 (GCC) 국가에 수출했으며, 2015년 9월에는 징거 다목적 상용차를, 2017년 4월에는 그랜드 랜서를 독자적으로 디자인을 변경하여 출시하는 등, 미쓰비시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자체적인 개발 역량도 보여주고 있다.

3. 2. 다임러 크라이슬러 (현 다임러)

2005년, 중국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아 당시 다임러크라이슬러와 중국 본토 시장용 미니밴 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이후 2007년 6월부터는 푸젠 다임러(Fujian Daimler) 합작 투자에 참여했다.

4. 생산 모델

중화기차공업은 자체 브랜드인 CMC를 비롯하여, 기술 제휴 관계인 미쓰비시 자동차 및 MG 자동차 브랜드의 차량을 생산하거나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다. 생산 차종은 승용차, 상용차, SUV 등 다양하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여러 모델을 선보여 왔다. 현재 생산 중인 차량과 과거 단종된 차량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브랜드별로 확인할 수 있다.

4. 1. 현재 생산 모델

중화기차공업은 자체 브랜드인 CMC를 비롯하여, 미쓰비시 자동차 및 MG 자동차 브랜드의 차량을 생산하거나 수입하여 판매하고 있다. 현재 판매 중인 주요 모델에 대한 상세 정보는 아래 브랜드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1. CMC 브랜드


  • CMC 베리카 (中華菱利zho, 2000년–현재): 6세대 미니캐브를 기반으로 독자적으로 개량한 모델이다. 밴 모델(A180)과 트럭 모델(A190)이 있다. 2023년부터는 기존의 전기차 모델인 e-Veryca의 이름을 변경한 E300(菱利電動車 E300zho) 트럭/밴 모델도 판매하고 있다.
  • CMC 징거 (中華雙贏zho, 2005년–현재): 초기에는 미쓰비시 브랜드(미쓰비시 징거/Z7)로도 판매되었으며, 2020년부터는 픽업 트럭 버전도 생산하고 있다.
  • CMC P350 하이브리드 (中華堅兵zho, 2022년–현재): 3세대 미쓰비시 델리카 트럭을 기반으로 개발된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이다.
  • CMC D260/D270 (2020년–현재): 미쓰비시 델리카를 기반으로 한 수출 전용 모델이다.
  • CMC J 스페이스 (2024년–현재)
  • CMC ET35 (2025년 출시 예정)

4. 1. 2. 미쓰비시 브랜드


  • 콜트 플러스 (2007년–현재)
  • 델리카 (中華得利卡|중화더리카중국어, 1973년–현재). 현재 3세대 모델 판매 중.
  • 이클립스 크로스 / 이클립스 크로스 PHEV (2018년–현재). 일본에서 수입.
  • 아웃랜더 / 아웃랜더 PHEV (2001년–현재). PHEV 모델은 일본에서 수입.


'''단종 모델'''

  • 란서. 4세대 - 6세대 (1991년–2006년)
  • 스페이스 기어 (1997년–2007년)
  • 그랜더[12] (1997년–2004년)
  • 프리카 (1998년–2008년)
  • 서브린. 샤리오 그란디스 기반 (2001년–2014년)
  • 파제로 (2007년–2020년). 일본에서 수입.
  • 란서 포르티스. 7세대 란서 (갤랑 포르티스) (2007년–2017년)
  • 란서 스포츠백. 갤랑 포르티스 스포츠백. 일본에서 수입 (2011년–2017년)
  • ASX. RVR. 일본에서 수입 (2011년–2014년)
  • 그랜드 란서. 갤랑 포르티스 대폭 개선판. 8세대 란서 (2017년–2024년)

4. 1. 3. MG 브랜드


  • MG HS (2022년–현재)
  • MG ZS (2023년–현재)
  • MG4 EV (2024년–현재)


4. 2. 과거 생산 모델

중화기차공업은 과거 자체 브랜드인 CMC와 기술 제휴 관계인 미쓰비시 브랜드로 다양한 차종을 생산 및 판매하였다. 주요 생산 모델로는 승용차, 상용차 등이 있으며, 일부 모델은 일본에서 완성차 형태로 수입하여 판매하기도 했다. 자세한 과거 생산 모델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4. 2. 1. CMC 브랜드


  • CMC 미니캡 (1978년–1985년)
  • CMC 타우니 (中華多利|중화다리중국어, 1985년–1992년)
  • CMC 바리카 (1985년–2000년)
  • CMC 리드카 (中華新達|중화신다중국어, 2013년–2020년)


4. 2. 2. 미쓰비시 브랜드

중화기차공업에서 생산/판매한 미쓰비시 브랜드 차량
차량명생산/판매 기간비고
미쓰비시 랜서1991년–2024년4~6세대 (1991년~2006년)
7세대 (란서 포르티스, 2007년~2017년)
8세대 (그랜드 랜서, 2017년~2024년)
미쓰비시 갤랑1997년–2004년
미쓰비시 스페이스 기어1997년–2007년
미쓰비시 프리카1998년–2008년
미쓰비시 사브린2001년–2014년샤리오 그란디스 기반
미쓰비시 그룬더2004년–2012년갤랑 기반[12]
미쓰비시 파제로2007년–2020년일본에서 수입
미쓰비시 ASX2011년–2014년RVR, 일본에서 수입
미쓰비시 랜서 스포츠백2011년–2017년갤랑 포르티스 스포츠백, 일본에서 수입
크라이슬러 타운 & 컨트리2005년–2007년



'''주요 차종 이미지'''

참조

[1] 웹사이트 About CMC http://www.china-mot[...] 2007-01-09
[2] 웹사이트 MMC and CMC of Taiwan sign MOU on future joint business in Mainland China http://media.mitsubi[...] Mitsubishi Motors Corporation 2004-12-28
[3] 웹사이트 中華車自主品牌新達 上市 http://www.chinatime[...] 工商時報 2014-05-17
[4] 웹사이트 百年品牌MG登台 百萬有找中型休旅HS正式亮相 https://autos.udn.co[...] 2022-07-30
[5] 웹사이트 公司沿革 http://www.china-mot[...] 2011-05-22
[6] 웹사이트 About CMC http://www.cmc-motor[...]
[7] 웹사이트 三菱自動車、中国 東南汽車へ出資 http://www.mitsubish[...] 三菱自動車工業プレスリリース 2013-08-07
[8] 웹사이트 Taiwan's CMC Joins DaimlerChrysler JV http://wardsauto.com[...] WardsAuto 2013-08-07
[9] 웹사이트 新創GreenTrans外銷品牌,中華汽車高調參加台北自行車展 http://news.u-car.co[...] U-Car 2013-08-07
[10] 웹사이트 中華汽車、三菱完成車を初輸出 http://www.ys-consul[...] ワイズコンサルティング 2013-08-07
[11] 웹사이트 百年品牌MG登台 百萬有找中型休旅HS正式亮相 https://autos.udn.co[...] 發燒車訊 2024-09-04
[12] 웹사이트 國產中大型轎車掀退場潮 Accord、Mondeo改進口,Grunder不玩了 http://want-car.chin[...] 中国時報 2013-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