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흥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즉흥곡은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유행한 음악 형식으로, 작곡가의 즉흥적인 영감으로 창작되는 것이 특징이다. 얀 바츨라프 보르지셰크가 1822년 처음으로 '즉흥곡'이라는 제목의 작품을 출판한 이후, 슈베르트, 쇼팽, 리스트 등 많은 작곡가들이 이 형식을 사용하여 작품을 발표했다. 20세기 이후에도 포레, 시벨리우스, 풀랑크 등 다양한 작곡가들이 즉흥곡을 작곡했으며, 현재까지도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즉흥곡 - 즉흥곡 (슈베르트)
프란츠 슈베르트가 작곡한 피아노 독주곡인 즉흥곡은 두 개의 세트(D. 899, D. 935)와 세 개의 피아노 작품(D. 94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즉흥곡 - 즉흥곡 3번 (쇼팽)
- 즉흥 연주 - 블루스
블루스는 19세기 후반 미국 남부 흑인들의 노동요에서 기원한 음악 장르로, 슬픔과 우울함을 표현하며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하여 여러 장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그 기원과 초기 역사는 불분명하다. - 즉흥 연주 - 잼 밴드
잼 밴드는 그레이트풀 데드에서 시작되어 즉흥 연주와 다양한 장르 혼합을 특징으로 하며 라이브 공연 녹음 및 배포를 허용하는 문화를 공유하지만, 정의가 모호하여 일부 아티스트는 이 분류를 꺼리기도 하는 밴드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 악곡의 형식 - 돌림노래
돌림노래는 동일 멜로디를 여러 성부가 시간차를 두고 부르는 형식으로, 중세부터 존재했으며 "Sumer is icumen in" 같은 초기 영어 노래와 노트르담 악파의 라틴어 노래가 있고, 멜로디 블록 구조와 화음으로 가능하며, 클래식 작곡가도 사용했고, 한국의 "개구리 합창" 등도 있다. - 악곡의 형식 - 코랄
코랄은 독일 종교 개혁에서 유래한 독일어 찬미가를 지칭하며, 마르틴 루터의 예배 운동으로 촉발되어 다성부 형태로 발전, 바흐 등의 작곡가들에 의해 다양한 음악 형식으로 창작되었고 현재까지 프로테스탄트 교회에서 널리 사용된다.
즉흥곡 |
---|
2. 주요 작곡가 및 작품
즉흥곡은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특히 유행했으며, 많은 작곡가들이 이 형식으로 작품을 남겼다.
20세기에도 작곡가들이 자신의 작품에 "즉흥곡"이라는 이름을 붙인 몇 가지 예가 있다.
2. 1. 19세기
낭만주의 작곡가 1세대들은 계획 없이 즉흥적으로, 순간적인 영감으로 창작하는 낭만주의 예술 이론을 금방 받아들였다. 19세기의 즉흥곡 장르는 낭만주의 시대 전반에 걸쳐 두드러졌다. 다음은 19세기에 즉흥곡을 작곡한 주요 작곡가들이다.- 얀 바츨라프 보르지셰크는 1822년에 즉흥곡이라는 제목으로 작품을 출판한 최초의 작곡가이다.[1] 1821년에 6개의 즉흥곡 작품 7을 출판했다.
- 프란츠 슈베르트는 1827년에 두 세트의 4개의 피아노 즉흥곡(작품 90, 작품 142)을 출판했다.[1]
- 프레데리크 쇼팽은 환상 즉흥곡을 포함한 4개의 즉흥곡을 작곡했다.[1]
- 로베르트 슈만은 1833년에 클라라 비크의 주제에 의한 즉흥곡 다장조 작품 5를 출판했다.[1]
- 프란츠 리스트는 즉흥곡 (야상곡) 올림 F장조(1872년)와 즉흥 왈츠 내림 A장조(1842~52년)를 작곡했다.[1]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는 11개의 즉흥곡을 남겼다.[1]
- 카미유 생상스는 1916~17년에 7개의 즉흥곡 작품 150, R. 100을 작곡했다.[1]
- 체자르 큐이는 1886년에 3개의 즉흥곡 작품 35를 작곡했다.[1]
- 조르주 비제는 1871년에 『어린이의 놀이』작품 22, GB 142 중 제2곡 "팽이 (즉흥곡)"을 작곡했다.[1]
- 표트르 차이콥스키는 3개의 즉흥곡을 작곡했다.[1]
- 에마뉘엘 샤브리에는 1860년경에 즉흥곡 다장조를 작곡했다.[1]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은 그의 초기 시절에 적어도 9개의 피아노 즉흥곡을 썼다.[1]
- 장 시벨리우스는 1890~93년에 6개의 즉흥곡 작품 5를 작곡했다.[1]
작곡가 | 작품 수 | 작품 목록 |
---|---|---|
요한 네포무크 후멜 | 1 | 즉흥곡 다장조 S. 205 (1836년경) |
얀 바츨라프 보지셰크 | 1 | 6개의 즉흥곡 작품7 (작곡년도 미상, 1821년 출판) |
프란츠 슈베르트 | 8 | 4개의 즉흥곡 작품 90, D 899(1827년) 4개의 즉흥곡 작품 142, D 935(1827년) |
프레데리크 쇼팽 | 4 | 즉흥곡 제1번 내림 A장조 작품 29(1837년) 즉흥곡 제2번 올림 F장조 작품 36(1839년) 즉흥곡 제3번 내림 G장조 작품 51(1842년) 즉흥곡 제4번 올림 다단조 작품 66 『환상 즉흥곡』(1834~35년) |
로베르트 슈만 | 1 | 클라라 비크의 주제에 의한 즉흥곡 다장조 작품 5 (1833년) |
프란츠 리스트 | 2 | 즉흥곡 (야상곡) 올림 F장조 S. 191(1872년) 즉흥 왈츠 내림 A장조 S. 213(1842~52년) |
베드르지흐 스메타나 | 11 | 즉흥곡 내림 마장조 JB 1:4, B. 22, T. 6 (1841년) 즉흥곡 나단조 JB 1:5, B. 23, T. 7 (1841년) 즉흥곡 내림 가장조 JB 1:6, B. 24, T. 11 (1842년) 바가텔과 즉흥곡 JB 1:19, B. 40, T. 27 (총 8곡, 1844년) |
체자르 큐이 | 3 | 3개의 즉흥곡 작품 35 (1886년) |
카미유 생상스 | 7 | 7개의 즉흥곡 작품 150, R. 100 (1916~17년) |
조르주 비제 | 1 | 『어린이의 놀이』작품 22, GB 142 중 제2곡 "팽이 (즉흥곡)" (1871년) |
표트르 차이콥스키 | 3 | 즉흥곡=카프리스 사장조 TH 144 (1884년) 즉흥곡 내림 A장조 TH 147 (1889년) 즉흥곡 『서정적인 때』 내림 A장조 TH 149 (1892~93년) |
에마뉘엘 샤브리에 | 1 | 즉흥곡 다장조 (1860년경)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9 | 마주르카풍 즉흥곡 다장조 작품 2-3 (1889년) 2개의 마주르카풍 즉흥곡 작품 7 (1892년) 2개의 즉흥곡 작품 10 (1894년) 2개의 즉흥곡 작품 12 (1895년) 2개의 즉흥곡 작품 14 (1895년) |
장 시벨리우스 | 10 | 6개의 즉흥곡 작품 5 (1890~93년) 즉흥곡 『누가 별을 인도했는가』 작품 19 (1902년) 즉흥곡 사단조 작품 24-1 (1894~1903년) 즉흥곡 가단조 작품 78-1 (1915~19년) 즉흥곡 다장조 작품 99-4 (1922년) |
2. 2. 20세기 이후
가브리엘 포레는 1881년에서 1913년 사이에 6개의 즉흥곡을 작곡했다.[1] 장 시벨리우스는 6개의 즉흥곡 작품 5 (1890~93년)를 포함하여 총 10개의 즉흥곡을 남겼다.[2]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은 초기 시절에 9개의 피아노 즉흥곡을 작곡했다.[3] 프란시스 풀랑크는 15개의 즉흥곡(1920~59년)을 포함하여 총 20곡의 즉흥곡을 작곡했다.[4] 니콜라이 카푸스틴은 1991년에서 1997년 사이에 4개의 즉흥곡을 작곡했다.[5] 로웰 리버만은 2000년에 ''세 개의 즉흥곡 작품 68''을, 2016년에 ''두 개의 즉흥곡 작품 131''을 작곡하는 등 21세기에도 즉흥곡을 작곡하며 이 형식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작곡가 | 작품 수 | 작품 번호 및 제목 |
---|---|---|
가브리엘 포레 | 6 | 즉흥곡 제1번~6번 |
장 시벨리우스 | 10 | 6개의 즉흥곡 작품 5 등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9 | 마주르카풍 즉흥곡 다장조 작품 2-3 등 |
프란시스 풀랑크 | 20 | 15개의 즉흥곡 등 |
니콜라이 카푸스틴 | 4 | 3개의 즉흥곡 작품 66 등 |
로웰 리버만 | 2 | 세 개의 즉흥곡 작품 68 등 |
참조
[1]
웹사이트
Journeau's works
http://www.journeau.[...]
[2]
웹사이트
即興曲 第1番 変イ長調 Op.29/Impromptu no.1 As-Dur Op.29 - ショパン
https://enc.piano.or[...]
[3]
웹사이트
アンプロンプチュ(即興曲)の由来や特徴、おすすめの曲【音楽のジャンルを分かりやすく解説!】
https://meryteacher.[...]
2023-08-16
[4]
웹사이트
アンプロンプチュ:日本語では「即興曲」、語源のラテン語はもともとどういう意味?|音楽っていいなぁ、を毎日に。
https://ontomo-mag.c[...]
2023-08-16
[5]
웹사이트
アンプロンプチュ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