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형 행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구형 행성은 내부의 철 핵과 규산염 맨틀로 이루어진 암석 행성으로, 협곡, 충돌구, 산, 화산 등의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차 대기를 가지고 있다. 태양계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 4개의 지구형 행성이 있으며,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외계 행성 중 다수는 가스 행성이지만, 지구형 행성으로 추정되는 천체들도 발견되고 있으며, 한국천문연구원은 외계 지구형 행성 탐색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성의 종류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 행성의 종류 - 목성형 행성
목성형 행성은 크고 무거우며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대기를 가진 행성으로, 태양계의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 속하며, 내부는 유체 상태이고 많은 위성과 고리를 가지며, 혜성 침입을 막아 지구 생명체 진화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지구형 행성 - 금성
금성은 지구와 유사한 크기와 질량을 가진 지구형 행성이지만, 짙은 이산화탄소 대기와 높은 표면 온도, 강력한 표면 압력, 그리고 활발한 화산 활동으로 특징지어지며, 지구의 미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 지구형 행성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지구형 행성 | |
---|---|
지구형 행성 | |
![]() | |
명칭 | |
다른 이름 | 암석 행성 고체 행성 |
영어 | Terrestrial planet |
특징 | |
구성 성분 | 규산염 암석 또는 금속 |
주요 구성 요소 | 맨틀 핵 |
대기 | 있을 수 있음 |
자기장 | 있을 수 있음 |
위성 | 있을 수 있음 |
태양계 지구형 행성 | |
행성 | 수성 금성 지구 화성 |
기타 천체 후보 | |
행성 | 세레스 |
위성 | 이오 유로파 |
설명 | |
정의 | 주로 규산염 암석이나 금속으로 구성된 행성 |
2. 구조
지구형 행성은 주로 철로 이루어진 핵과 규산염 성분의 맨틀로 구성된다. 달과 목성의 위성 이오, 유로파도 비슷한 구조를 가지지만, 달은 철로 된 핵이 작고 유로파는 표면에 얼음층이 존재한다. 지구형 행성 표면에는 계곡, 충돌구, 산, 화산 등이 존재하며, 이는 물과 지각 활동에 따라 달라진다. 지구형 행성의 대기는 미행성과의 충돌, 화산 활동으로 생긴 부대기로, 목성형 행성의 원대기와는 다르다. 이론적으로 규산염 행성과 탄소질 행성(다이아몬드 행성)으로 나눌 수 있다.[4][5]
2. 1. 내부 구조
지구형 행성은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핵을 규산염 성분의 맨틀이 감싸고 있는 구조이다. 달 역시 비슷한 구조이나 철로 된 핵은 없다. 목성의 위성 이오와 유로파 또한 지구형 행성과 유사한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4] 태양계의 모든 지구형 행성은 중앙의 금속 핵(주로 철)과 그 주위를 둘러싼 규산염 맨틀과 같이 기본적인 구조가 동일하다. 지구의 달과 목성의 위성 이오는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지구의 달은 철 핵이 훨씬 작다. 또 다른 목성의 위성 유로파는 밀도가 비슷하지만 표면에 상당한 얼음층이 있어 얼음 행성으로 간주되기도 한다.[5]2. 2. 표면 지형
지구형 행성은 협곡, 충돌구, 산, 화산 등의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침식성 액체나 판구조 활동 등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4]2. 3. 대기
지구형 행성의 대기는 초기 생성 과정에서 미행성과의 충돌 및 내부 화산활동으로 인하여 생겨났는데, 이를 부대기(secondary atmosphere)로 일컫는다. 이는 원시태양계에 충만하던 가스구름으로부터 대기 성분을 확보한 목성형 행성과는 구별된다. 후자를 원대기(primary atmosphere)로 일컫는다.2. 4. 종류
이론적으로 지구형 행성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34]- 규산염 행성: 금성, 지구, 화성과 같은 고체 행성으로, 주로 규소 기반의 암석 맨틀과 금속(철) 코어로 구성되어 있다.
- 탄소 행성 (다이아몬드 행성): 금속 코어가 주로 탄소 기반 광물로 둘러싸인 이론적인 행성 종류이다. 금속 함량이 지배적인 경우 지구형 행성의 한 유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태양계에는 탄소 행성이 없지만 세레스와 히기아와 같은 탄소질 소행성이 있다. 세레스가 암석질 코어인지 금속질 코어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35]
3. 태양계의 지구형 행성
태양계에는 수성, 금성, 지구, 화성의 네 개의 지구형 행성이 있다. 이들은 모두 고체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 지구만이 유일하게 액체 상태의 물(수권)을 가지고 있다.
지구의 달, 목성의 위성 이오와 유로파도 지구물리학적으로 지구형 행성에 포함될 수 있다. 팔라스와 베스타는 과거 왜행성이었지만 충돌로 인해 형태가 변형되었다.
3. 1. 형성 과정
태양계 초기, 수많은 미행성들이 충돌하고 합쳐져 현재의 수성, 금성, 지구, 화성 4개의 지구형 행성이 형성되었다. 생성 과정에서 살아남은 네 행성 중 지구만이 유일하게 액체 상태의 물(수권)을 가지고 있다.[4] 세레스는 암석질 왜행성으로, 명왕성은 얼음 왜행성으로 분류된다.[4]태양계 형성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구형 미행성과 원시행성은 네 개의 지구형 행성과 합쳐지거나 튕겨져 나갔다. 팔라스와 베스타만이 거의 손상되지 않고 살아남았는데, 이들은 과거 왜행성이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충돌로 인해 평형 모양이 깨졌다.[4] 다른 원시행성들은 성장하고 분화하기 시작했지만, 파괴적인 충돌을 겪어 16 프시케[4] 또는 8 플로라[6]처럼 금속 또는 암석 핵만 남았다. 많은 S형[6] 및 M형 소행성이 그러한 파편일 수 있다.[7]
소행성대 바깥쪽의 다른 둥근 천체는 지구물리학적으로 ''얼음 행성''이다. 이들은 단단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는 지구형 행성과 유사하지만, 암석과 금속이 아닌 얼음과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세레스, 명왕성, 에리스와 같은 왜행성이 포함된다.[4]
태양계의 기원은 우주 공간에 떠도는 성간운에 있다. 성간운은 수소가 주성분이며, 헬륨과 (천문학에서 말하는) 중원소가 섞여 있다. 근처에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면 성간운 내부 가스가 압축되어 밀도 차이가 생기고, 밀도가 높은 부분은 자체 중력에 의해 수축하여 고밀도화된다. 여기서 항성이 탄생한다.
성간운은 원래 약간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수축한 부분은 중심(원시별) 주위를 회전하는 원시행성계 원반을 형성한다. 원반 내에서 고체를 형성하는 성분이 적도면에 침전되어 미행성이 탄생한다. 이 미행성이 충돌, 합체(집적)를 반복하여 성장한 것이 행성이다. 암석질, 금속질 미행성이 집적하여 만들어진 행성은 고체 행성 또는 지구형 행성이라고 불린다.[4]
3. 2. 밀도와 거리
태양계의 수성, 금성, 지구, 화성과 같은 지구형 행성들은 태양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원시 태양계 성운 내에 존재했을 온도 기울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1]행성의 평균 밀도는 행성 크기, 온도 분포, 재료 강성, 조성 등에 따라 달라진다. 비압축 밀도는 압력이 0일 때 물질이 가질 평균 밀도로, 비압축 밀도가 더 크다는 것은 금속 함량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구형 행성의 비압축 밀도를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행성 구조 모델이 필요하며, 착륙선이나 궤도 위성의 지진 데이터 및 관성 모멘트 데이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불확실성이 높아진다.[10]
목성의 갈릴레오 위성들도 목성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토성이나 천왕성의 얼음 위성에서는 그러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는다.[11]
4. 외계 지구형 행성
외계 행성 탐색 초기에는 질량이 큰 가스 행성이 주로 발견되었으나, 관측 기술의 발달로 지구형 행성 발견이 증가하고 있다.
2005년 이후로 수백 개의 지구형 외계 행성 후보가 발견되었고, 그중 몇몇은 지구형 행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슈퍼지구 즉, 질량이 지구와 해왕성 사이인 행성이다. 슈퍼지구는 질량과 다른 매개변수에 따라 가스 행성이거나 지구형일 수 있다.
주계열성 주위를 공전하며 지구형 행성일 가능성을 보이는 최초의 행성들(글리제 876 d, OGLE-2005-BLG-390Lb)이 2005년에 발견되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글리제 581 행성계 내부에서 3개(아마 4개)의 잠재적 지구형 행성이 발견되었다. 가장 작은 행성인 글리제 581e는 지구 질량의 약 1.9배에 불과하지만[16] 별에 매우 가깝게 공전한다.[17] 다른 두 행성인 글리제 581c와 글리제 581d는 더 질량이 큰 슈퍼지구이며, 별의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내 또는 그 근처에서 공전하므로 지구와 같은 온도를 가지고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2011년에 또 다른 지구형 행성일 가능성이 있는 HD 85512 b가 발견되었는데, 지구 질량의 최소 3.6배이다.[18] 이러한 행성들의 반지름과 구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2013년 천문학자들은 케플러 우주 임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명체 거주가능 영역에 있는 태양과 같은 별과 적색 왜성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 크기 및 슈퍼지구 크기의 외계 행성이 은하수에 최대 400억 개나 존재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28][29][30] 이 추정치 중 110억 개의 행성은 태양과 같은 별 주위를 공전할 수 있다.[31] 과학자들에 따르면, 가장 가까운 그러한 행성은 12광년 떨어져 있을 수 있다.[28][29] 그러나 지구만큼 작은 행성 중에서도 가스 행성으로 밝혀진 행성이 있기 때문에(케플러-138d 참조), 이는 지구형 외계 행성의 수에 대한 추정치를 제공하지 않는다.[32]
유럽 남방 천문대(ESO)는 원시행성계 원반의 내부 영역에서 지구형 행성의 재료가 되는 암석질 미행성의 형성이 진행되고 있다는 관측 결과를 발표하였고, 시뮬레이션(수치 계산 실험) 기술의 발달로 많은 항성에 지구형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이 강해지고 있다.
4. 1. 발견의 어려움

가스 행성에 비해 지구형 행성은 질량과 크기가 작아 발견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발견된 외계행성들 중 여럿은 지구형 행성으로 추측된다.[13][14][15]
- 알렉산더 볼시찬은 펄서 PSR B1257+12 주위에서 지구 질량의 0.02배, 4.3배, 3.9배인 행성들을 발견했다. 이는 펄서의 맥동 변화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펄서 행성이 아니었다면 발견되지 않았을 것이다.
- 주계열성 주위를 도는 행성 중 최초로 발견된 페가수스자리 51b는 항성에 매우 가까워(0.052AU) 거대한 지구형 행성으로 추측되었으나, HD 209458 b와 마찬가지로 가스 행성으로 밝혀졌다.
- 2005년 6월 13일, 지구에서 15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글리제 876 주위에서 지구 질량의 5~7배, 공전주기 2일의 글리제 876d가 발견되었다.
- 2005년 8월 10일, PLANET/RoboNet과 OGLE은 중력렌즈 관측법을 통해 지구 질량의 5.5배인 OGLE-2005-BLG-390Lb를 발견했다. 이 행성은 약 21,000광년 떨어진 전갈자리의 항성 주위를 돌며, 모항성과의 거리는 태양~소행성대 정도이다.
- 2007년 4월 4일, 11명의 유럽 과학자들은 칠레 라 실라의 유럽 남방 천문대 망원경으로 지구와 비슷한 온도를 가진 글리제 581c를 발견했다. 이 행성은 적색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돌며, 질량은 지구의 약 5배이다. 규산염질 행성일 경우 지름은 지구의 1.5배로 추측된다.
- 2007년 4월 24일, 스위스 제네바 연구소의 스테판 우드리 팀은 글리제 581d가 생물권 내에 존재하여 액체 물이 존재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2009년 4월 21일 추가 연구를 통해 d가 생물권 내를 공전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2009년, 유럽 남방 천문대는 CoRoT-7b가 외계 지구형 행성일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CoRoT-7b는 질량과 반지름이 모두 밝혀져 밀도 계산이 가능했으며, 이를 통해 지구형 행성으로 추정된 최초의 사례이다.[39]
- 2011년, 케플러 우주 망원경은 통과 방법을 사용하여 최초로 확인된 지구형 외계행성인 케플러-10b를 발견했다.[19]
- 2020년 9월, 천문학자들은 마이크로렌징 기법을 사용하여 은하수에서 자유롭게 떠돌아다니는 지구 질량의 떠돌이 행성(OGLE-2016-BLG-1928)을 최초로 탐지했다.[25][26][27]
4. 2. 주요 발견 사례
알렉산더 볼시찬은 펄사 PSR B1257+12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 질량의 0.02, 4.3, 3.9배인 천체를 발견했다. 펄사의 맥동 관측에서 약간의 변화를 감지했는데, 여기서 행성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이 행성들이 펄사의 주위를 돌지 않았다면 그 존재는 밝혀지지 않았을 것이다.[41]2005년 6월 13일, 지구에서 15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글리제 876 주위에서 지구형 행성으로 추측되는 글리제 876d가 발견되었다. 이 행성의 공전주기는 2일에 불과하며, 질량은 지구의 5~7배였다.[42]
2005년 8월 10일, PLANET/RoboNet과 OGLE은 OGLE-2005-BLG-390Lb를 발견했다. 이 행성은 지구 질량의 5.5배로, 약 21,000광년 떨어진 전갈자리의 한 항성 주위를 공전하고 있었다. 이 행성과 모항성의 거리는 대략 태양~소행성대 정도였다. 이 행성은 중력렌즈 관측법을 이용하여 발견되었으며, 이 방법을 통해 모항성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지구 정도의 질량을 지닌 행성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4월 4일, 11명의 유럽 과학자들로 구성된 관측팀은 태양계 밖에서 지구 정도의 온도를 지닐 것으로 추측되는 글리제 581c를 발견했다. 이 행성은 칠레 라 실라 소재 유럽 남방 천문대의 망원경을 통해 발견되었으며, 적색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돌고 있었다. 질량은 지구의 약 5배였다.
2007년 4월 24일 스위스 제네바 연구소의 천문학자 스테판 우드리 팀은 글리제 581d를 발견했다. 이 행성은 생물권 내에 자리잡고 있어 액체 물이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보였다. 이 행성은 칠레 라 실라 소재 유럽 남방 천문대의 망원경을 통해 발견되었으며, 적색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돌고 있었다. 종전 이론으로는 글리제 581d가 생물권 바깥을 돌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2009년 4월 21일 발표된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르면 d는 생물권 내를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9년, 유럽 남방 천문대는 CoRoT-7b가 외계 지구형 행성일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2009년 이전에도 외계 지구형 행성으로 여겨지는 천체가 여러 개 관측되었지만, 이들은 질량과 공전 궤도를 통해 지구형 행성으로 추정된 것들이었다. CoRoT-7b의 경우 질량뿐 아니라 행성의 반지름까지 밝혀졌기 때문에 평균 밀도를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구체적인 천체의 밀도를 기반으로 지구형 행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것은 이것이 처음이다.[39]
최초로 확인된 지구형 외계행성인 케플러-10b는 2011년에 다른 별 주위의 지구 크기의 행성을 발견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케플러 우주 망원경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통과 방법을 사용했다.[19]
같은 해에 케플러 우주 망원경 임무팀은 1235개의 외계 행성 후보 목록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지구 크기" 또는 "슈퍼지구 크기"(즉, 지구 반지름의 2배 미만)[20]이고 별의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에 있는 6개의 행성이 포함되어 있다.[21] 그 이후로 케플러는 달 크기부터 슈퍼지구까지 수백 개의 행성을 발견했으며, 이 크기 범위의 후보가 훨씬 더 많다.

4. 3. 유형 I, 유형 II
지구형 행성에는 항성과의 거리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이 있다.항성에서 멀리 형성된 행성은 표면의 마그마 오션이 수백만 년 이내에 굳어 초기 바다 형성에 성공하는 "유형 I"이다. 반면, 항성에서 가까이 형성된 행성은 고화에 1억 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려 그동안 물 대부분을 잃고 초기 바다 형성에 실패하는 "유형 II"이다.[40]
이러한 차이는 항성과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며, 태양계의 경우 그 경계는 태양에서 지구까지 거리(1au)의 0.6~0.8배 부근으로 추정된다. 지구는 유형 I, 0.72au 거리에 있는 금성은 유형 II일 가능성이 높다.[40]
참조
[1]
비디오
Types of Planets
https://interstellar[...]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Applied Physics Laboratory LLC
2023-08-01
[2]
웹사이트
What Is A Planet?
https://www.planetar[...]
2020-04-21
[3]
보고서
Geophysical Classification of Planets, Dwarf Planets, and Moons
[4]
논문
Mercury and other iron-rich planetary bodies as relics of inefficient accretion
[5]
웹사이트
Lecture 14 Terrestrial planet atmospheres (primary atmospheres)
http://abyss.uoregon[...]
University of Oregon
2009-12-22
[6]
논문
Rotational spectral variations of asteroid (8) Flora: Implications for the nature of the S-type asteroids and for the parent bodies of the ordinary chondrites
1984
[7]
논문
Near-IR spectral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iron-poor orthopyroxenes on the surfaces of six M-type asteroid
[8]
논문
The NASA Roadmap to Ocean Worlds
[9]
논문
A recently formed ocean inside Saturn's moon Mimas
https://www.nature.c[...]
2024-02-07
[10]
웹사이트
Course materials on "mass-radius relationships" in planetary formation.
http://web.gps.calte[...]
2018-05-02
[11]
서적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Solar System
Academic Press
2004
[12]
학회발표
Uncompressed density of the Moon, lunar mantle and core
https://www.hou.usra[...]
[13]
서적
Transiting Exoplane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7-29
[14]
서적
The Exoplanet Handboo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5-26
[15]
서적
Exoplanets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11-01-15
[16]
웹사이트
Lightest exoplanet yet discovered
http://www.eso.org/p[...]
ESO (ESO 15/09 – Science Release)
2009-07-15
[17]
논문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VIII. An Earth-mass planet in the GJ 581 planetary system
http://obswww.unige.[...]
[18]
뉴스
New Planet May Be Among Most Earthlike – Weather Permitting, Alien world could host liquid water if it has 50 percent cloud cover, study says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11-09-05
[19]
뉴스
Thousand-year wait for Titan rain
https://www.bbc.com/[...]
2012-03-22
[20]
웹사이트
Exclusive: "Most Earth-Like" Exoplanet Gets Major Demotion—It Isn't Habitable
http://blogs.discove[...]
Discover Magazine
2011-03-09
[21]
논문
Characteristics of planetary candidates observed by Kepler, II: Analysis of the first four months of data
[22]
논문
Probabilistic Forecasting of the Masses and Radii of Other Worlds
2016
[23]
웹사이트
It's Time To Retire The Super-Earth, The Most Unsupported Idea In Exoplanets
https://www.forbes.c[...]
2021-07-27
[24]
논문
The mass–radius relation of exoplanets revisited
2024-06
[25]
뉴스
A Rogue Earth-Mass Planet Has Been Discovered Freely Floating in the Milky Way Without a Star
https://www.universe[...]
2020-10-02
[26]
논문
A terrestrial-mass rogue planet candidate detected in the shortest-timescale microlensing event
2020-09-29
[27]
뉴스
Rogue Rocky Planet Found Adrift in the Milky Way - The diminutive world and others like it could help astronomers probe the mysteries of planet formation
https://www.scientif[...]
2020-10-19
[28]
뉴스
Far-Off Planets Like the Earth Dot the Galaxy
https://www.nytimes.[...]
2013-11-05
[29]
논문
Prevalence of Earth-size planets orbiting Sun-like stars
2013-10-31
[30]
웹사이트
17 Billion Earth-Size Alien Planets Inhabit Milky Way
http://www.space.com[...]
Space.com
2013-01-08
[31]
뉴스
Milky Way may host billions of Earth-size planets
https://www.latimes.[...]
2013-11-05
[32]
웹사이트
Newfound Planet is Earth-mass But Gassy
http://www.cfa.harva[...]
2018-05-02
[33]
웹사이트
'Pale blue dots' like Earth may be rare among habitable worlds
https://www.space.co[...]
[34]
웹사이트
Scientists Model a Cornucopia of Earth-sized Planets
http://www.nasa.gov/[...]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13-10-23
[35]
웹사이트
Dawn at Ceres: What Have We Learned?
http://sites.nationa[...]
2021-07-19
[36]
논문
Mercury: Inside the Iron Planet
2019
[37]
논문
The violent collisional history of aqueously evolved (2) Palla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0-02-10
[38]
웹사이트
地球型惑星(固体) - 東京大学 地球惑星科学専攻 宇宙惑星科学講座
http://www-space.eps[...]
2014-07-17
[39]
뉴스
最小系外惑星は、地球に似た岩石惑星か
https://www.astroart[...]
AstroArts
2009-09-28
[40]
논문
Emergence of two types of terrestrial planet on solidification of magma ocean
[41]
논문
[42]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