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안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안향은 대만 화롄현 북동부에 위치한 향으로, 화롄시 다음으로 인구가 많다. 과거 아미족의 거주지였으며, 일본 통치 시기에는 일본인 이민자들이 정착하여 요시노 촌(吉野村)으로 불리다가, 1948년 현재의 지안향으로 개칭되었다. 지리적으로는 화동 계곡에 위치하며 아열대 몬순 기후를 보인다. 주요 관광지로는 아메이 문명 마을, 칭슈 사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롄현의 행정 구역 - 화롄시
    화롄시는 타이완 화롄현의 현할시로, 스페인 금광 개발 이후 한족 농민들이 정착하여 발전했으며, 1945년 중화민국 국민당 정부에 반환된 후 화롄 시로 개칭되었고, 타이완 원주민 인구가 가장 많은 도시이며, 철도, 공항, 항만을 통해 교통이 이루어지고, 타로코 협곡 등 관광 명소가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화롄현의 행정 구역 - 완룽향
    완룽향은 화롄현 서부에 위치하며 타로코족을 비롯한 원주민이 다수 거주하고 홍엽 온천, 린톈산 임업 센터 등 관광 명소가 있는 곳으로, 과거 일본 통치 시대 지명에서 유래하여 1958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지안향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화롄 지안 평원의 푸른 풍경
화롄 지안 평원의 푸른 풍경
공식 명칭지안 향
다른 이름요시노
본래 이름吉安鄉 (지안 향)
별칭없음
국가타이완
구역동부 타이완
정부 유형
시장없음
설치없음
면적없음
총 면적 (km2)65.2582
인구 (2023년 2월)82840
시간대CST
UTC 오프셋+8
우편 번호 유형우편 번호
우편 번호973
지역 번호없음
하위 구역18개 마을
웹사이트www.ji-an.gov.tw
좌표23°57′0″N 121°34′20″E
아미어Cikasuan
일본어 (가타카나)ジーアン
민남어Kiat-an
객가어Kit-ôn
행정 구역
게이슈 사원
게이슈 사원
종류
상징없음
소속화롄 현
하위 행정 구역18개 촌 528개 린
향장황신
주소없음
웹사이트지안 향 정부 웹사이트
인구 (2015년 1월)82589
가구31098
우편 번호973
전화 번호03
나무없음
없음
없음
다른 이름지카슈안, 치자오촨, 요시노

2. 지리

화롄현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화롄시, 서쪽으로는 슈린향, 남쪽으로는 서우펑향과 각각 접하고, 동쪽으로는 태평양에 접하고 있다. 인구는 현내 2위로, 화롄시 다음으로 많다. 산지 및 해안 지대를 제외하고는 충적 평원에 위치하고 있어 지세는 평탄하다.

화동 계곡에 위치해 있다. 아열대 몬순 기후로 습하며, 여름 평균 기온은 27.3°C, 겨울 평균 기온은 17.3°C이다.

3. 역사

지안향은 과거 원주민인 아미족의 거주지였으며, 옛 이름은 치카소완(Tsikasowan)이었다. 이는 아미족 언어로 '땔나무가 많은 곳'을 의미한다. 한족들은 대만어로 거의 같은 소리인 칠각천(七腳川)으로 표기했다.[1]

1911년, 대만총독부화롄 지역에 일본인 이민촌 건설을 추진하여 이곳을 요시노촌(吉野村)으로 개칭했다.[1] 이는 시코쿠 도쿠시마현 요시노강 유역 출신 이민자들이 정착한 것에서 유래했다.[2] 1937년에는 요시노 장(吉野庄)으로 개편되어 화련현의 관할이 되었다.[1]

1948년, 중화민국 국민당 정부는 일본식 지명인 '요시노'를 '지안'(吉安)으로 변경했다.[1]

3. 1. 초기 역사와 원주민

지안향은 과거 원주민인 아미족의 거주지였으며, 옛 이름은 치카소완(Tsikasowan)이었다. 이는 아미족 언어로 '땔나무가 많은 곳'을 의미한다. 한족들은 대만어로 거의 같은 소리인 칠각천(七腳川)으로 표기했다.[1]

1850년대에 한족 정착민들이 이 지역에 도착했다.[1] 청나라의 대만 지배 시기인 1878년에는 타코보완 사건(加禮宛事件)이 일어났는데, 이때 원래의 아미족 거주민들은 사키자야족과 카발란족에 대항하여 청나라와 동맹을 맺었다.[1] 일본 통치하의 대만 시기, 아미족은 타이루코족에 대항하여 일본 당국을 위해 이 지역을 지켰다. 그러나 아미족은 그들의 서비스에 대해 저임금을 받았고, 이후 일본인들이 그들을 이 지역에서 몰아내기 위해 七腳川事件|치자오촨 사건중국어을 조직했다.[1] 1908년에는 현지 아미족이 일본 관헌에 대항하여 봉기한 치카소완 사건이 발생했고, 이 사건으로 치카소완 사는 해산되었다.[2]

3. 2. 청나라 시기

청나라 시기 지안향은 원주민인 아미족이 정착한 곳으로, 아미어로 "땔나무가 많은 곳"을 의미하는 "치카수안(Cikasuan)"이라 불렸다. 한족 정착민들은 1850년대에 이 지역에 도착하여 "칠각천(七腳川)"이라 불렀다.[1] 1878년에는 타코보완 사건(加禮宛事件)이 일어났는데, 이때 아미족 거주민들은 청나라와 동맹하여 사키자야족과 카발란족에 대항했다.[1]

3. 3.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지안향은 '요시노'로 불렸다. 원래 아미족이 거주하던 곳으로, 아미어로는 '치카소완(Tsikasowan)' 또는 '치카수안(Cikasuan)'이라 불렸으며, 이는 '땔나무가 많은 곳'이라는 의미였다. 한족들은 이곳을 '칠각천(七腳川)' 또는 '치자오촨(七脚川)'으로 불렀다.[1]

1878년, 청나라 통치 시기, 원주민 아미족은 사키자야족과 카발란족에 대항하여 타코보완 사건(加禮宛事件)에서 청나라와 동맹을 맺었다. 일본 통치 시기에는 아미족이 타이루코족에 대항하여 일본 당국을 위해 이 지역을 지켰으나, 저임금에 불만을 품고 七腳川事件|치자오촨 사건중국어을 일으켰다.[1]

1908년, 아미족이 일본 관헌에 대항하여 봉기한 치카소완 사건이 발생했고, 이후 치카소완 사는 해산되었다. 대만총독부화롄 지역에 일본인 이민촌 건설을 추진하면서, 시코쿠 도쿠시마현 요시노 강 유역 출신 이민자들을 초청했다. 1911년, 이 지역은 "요시노 촌(吉野村)"으로 개칭되었는데, "요시노"라는 지명은 도쿠시마 현의 요시노 강에서 따온 것이며, "그 글자 뜻도 훌륭하여 모국인의 귀에 익숙한 것"이라는 이유였다.[2] 1937년에는 요시노 장(吉野庄)으로 개편되어 화련현의 관할이 되었다.[1]

3. 4. 현대

지안향은 원래 원주민인 아미족의 거주지였으며, 아미어로는 '땔나무가 많은 곳'을 의미하는 치카소완(Tsikasowan)이라고 불렸다. 한족들은 이 지역을 대만어와 비슷한 발음인 칠각천(七腳川)으로 표기했다.[1]

1911년, 대만총독부는 화롄 지역에 일본인 이민촌 건설을 추진하여 이곳을 요시노촌(吉野村)으로 개칭했다.[1] 이는 시코쿠 도쿠시마현 요시노강 유역 출신 이민자들이 정착한 것에서 유래했다.[2] 1937년에는 요시노 장(吉野庄)으로 개편되어 화련현의 관할이 되었다.[1]

1908년에는 현지 아미족이 일본 관헌에 대항하여 봉기한 치카소완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2]

1948년, 중화민국 국민당 정부는 일본식 지명인 '요시노'를 '지안'(吉安)으로 변경했다.[1]

4. 행정 구역

마을
광화촌, 간청촌, 영흥촌, 남화촌, 도향촌, 인화촌, 인리촌, 의창촌, 남창촌, 복흥촌, 길안촌, 동창촌, 경풍촌, 태창촌, 북창촌, 인안촌, 승안촌, 영안촌


5. 교육

지안향에는 화롄현립 지안 국민중학교, 화롄현립 화런 국민중학교, 화롄현립 이창 국민중학교, 국립화롄쥔즈학교, 사립 중화 고급 상공 직업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있다. 초등학교는 하위 문단을 참고.

5. 1. 중학교


  • 화롄현립 지안 국민중학교
  • 화롄현립 화런 국민중학교
  • 화롄현립 이창 국민중학교

5. 2. 초등학교

학교
화롄 현립 지안 국민소학교
화롄 현립 광화 국민소학교
화롄 현립 화인 국민소학교
화롄 현립 이창 국민소학교
화롄 현립 태창 국민소학교
화롄 현립 남화 국민소학교
화롄 현립 북창 국민소학교
화롄 현립 도향 국민소학교


5. 3. 특수학교

국립화롄쥔즈학교

5. 4. 직업학교

사립 중화 고급 상공 직업학교

6. 교통

지안역


지안향은 타이완 철로 관리국 타이둥 선이 지나며, 지안역이 있다.

타이9선, 타이11선 등 여러 도로가 지난다.

6. 1. 철도

타이완 철로 관리국 타이둥 선 지안역이 있다.

종류노선명기타
철도타이둥 선지안 역


6. 2. 도로

종류노선명기타
성도타이9선화둥 공로
성도타이9병선
성도타이11선
성도타이11갑선
현도현도193호


  • 성도 제9호선
  • 성도 제11호선
  • 성도 제11C호선
  • 현도 제193호선

7. 관광

칭슈 사원


화롄 해안

무과계대교의 수풍향 측에서 바라본 타이둥 선무과계교량(무과계철교)과 초영산. 건너편은 지안향이다.

  • 아미족 풍년제
  • 지카쉔 삼림공원
  • 승안궁
  • 경수원
  • 지야촌 개촌 기념비
  • 지야 신사 진좌 기념비
  • 횡단 도로 개착 기념비
  • 화롄 연엽 공장
  • 자혜당
  • 남화 관광 화원
  • 복원만석아당
  • 풍림보도
  • 자강 야시장
  • 초영산
  • 지안 쭝

참조

[1] 뉴스 Relics of Hualien’s Japanese immigrants https://www.taipeiti[...] Taipei Times 2021-10-06
[2] 서적 官營移民事業報告 臺灣總督府 大正八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