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미어는 타이완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방언 연속체를 이루고 있다. 아미어는 크게 남부, 타발롱-바탄, 중부, 청궁-광산, 북부 방언으로 나뉜다. 음운론적으로는 세 개의 모음 /i, a, u/를 가지며, 자음은 순음, 치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두개음, 성문음 등으로 구성된다. 문법적으로는 동사 활용, 격표지, 어순 등이 존재하며, 어순은 VSO 어순을 따른다. 아미어의 어휘는 숫자, 동물, 신체 부위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단어로 구성되며,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 유사한 어휘를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 제어 - 부눈어
    부눈어는 부눈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이스부쿤, 타크바누아즈, 타키바탄, 타키바카, 타키투두의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대만 중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교착어적 특징을 가진 언어이다.
  • 대만 제어 - 파이완어
    파이완어는 타이완 원주민인 파이완족의 언어로,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음운론적 특징에 차이가 있고,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음소를 잘 보존하여 언어학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쿨랄라우 방언 기준으로 23~24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을 가지고, 다양한 접사를 활용하며 VSO형 어순을 갖는 굴절어이다.
아미어
지도 정보
아미어 분포 (보라색)
아미어 분포 (보라색)
아미어는 유네스코에서 취약 언어로 분류됨
아미어는 유네스코 세계 언어 위험 지도에서 취약 언어로 분류됨
기본 정보
언어 이름아미어
다른 이름아메어
パンツァ語 (판차어)
邦査語 (방사어)
자기 이름또는
사용 국가타이완
사용 지역타이완 동부 해안
민족아미족
사용자 수108,000명 (2015년) 또는 137,651명 (2002년 중화민국 행정원) 또는 181,000명(모어 화자)
언어 분류오스트로네시아어족
동포르모사어군
아미스-사키자야어
문자라틴 문자
국가(타이완 원주민 지역의 국가어)
언어 관리 기관원주민족위원회
ISO 639-3ami
Glottologamis1246
Glottolog 이름Amis
언어 상태
언어 활력취약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법Pangcah

2. 방언

아미어는 방언연속체이다. 남부 방언, 타발롱-바탄 방언, 중부 방언, 청궁-광산 방언, 북부 방언의 다섯 가지 방언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사키자야어는 아미족 중 가장 북쪽에 거주하는 사키자야족이 사용하는 사멸 직전의 언어인데, 북부 아미 방언과는 서로 의사소통할 수 없다.

3. 음운론

다음 내용은 중부 방언을 기준으로 한다.

==== 자음 ====

아미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아미스어 자음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후두개음성문음
비음mn̪ ⟨n⟩ŋ (ng)
파열음
파찰음
pt̪ ⟨t⟩t͡s (c)kʡ ~ ʢ (ʼ)ʔ (^}}
마찰음v (f)ð ~ ɮ̪ (d)s (s)(ɣ) (g)ʜ (h)
전동음r (r)
설측 탄음ɺ̠ (l)
접근음w (w)j (y)



무성 파열음 /p t k ʡ/ 및 파찰음 /t͡s/는 자음군 내에서 개방된다. 예를 들어 ''cecay'' "one"는 [t͡sᵊt͡saj]로 소리난다. /s/도 마찬가지로, ''sepat'' "four"는 [sᵊpatʰ]로 소리난다. 성문 파열음은 예외로, 어말에서 개방이 없는 경우가 많다. 유성 마찰음 /v ɮ ɣ/ (이 중 /ɣ/는 차용어에만 나타난다)는 발화말에서, 또 어떤 경우 발화초에서 무성음 [f ɬ x]으로 소리난다. /ɮ/ 치간음 또는 후치음으로 소리날 수 있다. 치찰음 /t͡s s/은 /i/ 앞에서 ([t͡ɕ ɕ])로 구개음화될 수 있다. /j/ 는 어두에 오지 않는다. /ɺ/는 종종 후치경음이며, [ʡuʡuɺ̠ᵊ] "fog"의 예처럼 어말에서 개방된다.

/ɮ/는 방언마다 발음 차이가 크다. 아미족 영역의 한가운데 있는 마을인 펑빈향에서는 치 마찰음 [ð̪]으로 소리나고, 그로부터 겨우 15km 떨어진 캉코 마을에서는 설측음 [ɮ̪]로 소리난다. 북부 방언에서는 파열음 [d̪]이며 모음 사이에서 [ð̪]로 약화되기도 한다. 북부에서는 후두개음의 발음도 다르다는 보고가 있지만 출처마다 상충되는 주장을 한다. 중부 방언에서 /ʜ/는 항상 무성음이며 /ʡ/는 가끔 진동을 수반하는데, 이는 후두개 전동음 ʢ일 가능성이 있다. Edmondson, Esling, Huang (2005)에 따르면 이 음소들은 어두와 어중에서는 순수한 후두개음이지만, 발화말에서는 후두개인두음이라고 한다.

실용 표기법에서 다음 음소들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ts/ ⟨c⟩, /j/ ⟨y⟩, /ʡ/ ⟨'⟩, /ʔ/ ⟨^⟩, /ɮ/ ⟨d⟩, /ŋ/ ⟨ng⟩, /ʜ/ ⟨x⟩.

==== 모음 ====

아미어에는 /i a u/ 3개의 모음이 있다. 모음의 수가 적어 넓은 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미어 모음은 기본 모음에 가까운 위치에 머무른다. 다만 /a/와 /u/가 서로를 향해 ([o] 영역 쪽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전설에서의 그것보다 ([e] 영역 쪽으로) 크기는 하다.

무성 슈와가 삽입되어 자음군을 끊어 놓기도 한다. 그러나 짧은 슈와(''e''로 표기)가 음소적으로 존재할지도 모르는 몇몇 단어가 있다. 그러나 슈와가 관련된 최소대립쌍은 알려진 바가 없다. 만약 이 역시 음소적인 것이 아니라 삽입되는 것이라면, 아미어에는 음소적으로 모음이 없는 단어들이 존재하는 셈이 된다. 이런 슈와 ''e''의 예로는 ''malmes'' "sad" [maɺə̆mːə̆s], ''’nem'' "six" [ʡnə̆m] 또는 [ʡə̆nə̆m] 등이 있다.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u
중모음(ə̆)
저모음a



==== 강세 ====

강세는 일반적으로 마지막 음절에 떨어진다.[3]

3. 1. 자음

아미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무성 파열음 및 파찰음 는 자음군 내에서 개방된다. 예를 들어 ''cecay'' "one"는 로 소리난다. 도 마찬가지로, ''sepat'' "four"는 로 소리난다. 성문 파열음은 예외로, 어말에서 개방이 없는 경우가 많다. 유성 마찰음 (이 중 는 차용어에만 나타난다)는 발화말에서, 또 어떤 경우 발화초에서 무성음 으로 소리난다. 치간음 또는 후치음으로 소리날 수 있다. 치찰음 은 앞에서 ()로 구개음화될 수 있다. 는 어두에 오지 않는다. 는 종종 후치경음이며, "fog"의 예처럼 어말에서 개방된다.

는 방언마다 발음 차이가 크다. 아미족 영역의 한가운데 있는 마을인 펑빈향에서는 치 마찰음 으로 소리나고, 그로부터 겨우 15km 떨어진 캉코 마을에서는 설측음 로 소리난다. 북부 방언에서는 파열음 이며 모음 사이에서 로 약화되기도 한다. 북부에서는 후두개음의 발음도 다르다는 보고가 있지만 출처마다 상충되는 주장을 한다. 중부 방언에서 는 항상 무성음이며 는 가끔 진동을 수반하는데, 이는 후두개 전동음 일 가능성이 있다. 에 따르면 이 음소들은 어두와 어중에서는 순수한 후두개음이지만, 발화말에서는 후두개인두음이라고 한다.

실용 표기법에서 다음 음소들은 다음과 같이 적는다. , , , , , , .

3. 2. 모음

아미어에는 /i a u/ 3개의 모음이 있다. 모음의 수가 적어 넓은 공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미어 모음은 기본 모음에 가까운 위치에 머무른다. 다만 /a/와 /u/가 서로를 향해 ([o] 영역 쪽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전설에서의 그것보다 ([e] 영역 쪽으로) 크기는 하다.

무성 슈와가 삽입되어 자음군을 끊어 놓기도 한다. 그러나 짧은 슈와(''e''로 표기)가 음소적으로 존재할지도 모르는 몇몇 단어가 있다. 그러나 슈와가 관련된 최소대립쌍은 알려진 바가 없다. 만약 이 역시 음소적인 것이 아니라 삽입되는 것이라면, 아미어에는 음소적으로 모음이 없는 단어들이 존재하는 셈이 된다. 이런 슈와 ''e''의 예로는 ''malmes'' "sad" [maɺə̆mːə̆s], ''’nem'' "six" [ʡnə̆m] 또는 [ʡə̆nə̆m] 등이 있다.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u
중모음(ə̆)
저모음a


3. 3. 강세

강세는 일반적으로 마지막 음절에 떨어진다.[3]

4. 문법

아미스어 동사는 존재 구문, 능동태, 수동태, 처분 문장, 명령법, 희망법, 금지법 등의 여러 활용형을 가지고 있다.

=== 격표지 ===

아미어의 조사는 조사 입자로 표시된다.

중립주격목적격소유격
공통o/ukotono
인칭(단수)cicici ... anni
인칭(복수)cacaca ... anna



=== 어순 ===

아미스어에는 '''일반 어순'''과 '''특수 어순'''이라는 두 가지 어순이 있다.

동사주어
동사, 형용사 등주어 전치사 + 명사



동사주어목적어
동사, 형용사 등주어를 위한 전치사 + 명사목적어를 위한 전치사 + 명사



아미스어의 어순은 VSO어순으로, 일본어 화자에게는 어려운 부분이 많다. 같은 VSO어순의 언어로는 웨일스어나 같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인 필리핀 제어 등이 있다.

4. 1. 격표지

아미어의 조사는 조사 입자로 표시된다.

중립주격목적격소유격
공통o/ukotono
인칭(단수)cicici ... anni
인칭(복수)cacaca ... anna


4. 2. 어순

아미스어에는 '''일반 어순'''과 '''특수 어순'''이라는 두 가지 어순이 있다.

동사주어
동사, 형용사 등주어 전치사 + 명사



동사주어목적어
동사, 형용사 등주어를 위한 전치사 + 명사목적어를 위한 전치사 + 명사



아미스어의 어순은 VSO어순으로, 일본어 화자에게는 어려운 부분이 많다. 같은 VSO어순의 언어로는 웨일스어나 같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인 필리핀 제어 등이 있다.

5. 어휘

아미어의 기본 어휘는 숫자, 동물 이름, 신체 부위, 일상 생활과 관련된 단어 등으로 구성된다.

숫자
한국어아미어한국어아미어
1cecay셋째saka tolo
2tosa넷째saka sepat
3tolo다섯째saka lima
4sepat여섯째saka enem
5lima일곱번째saka pito
6enem여덟번째saka falo
7pito아홉번째saka siwa
8falo열번째saka mo^tep
9siwa1차kina cecay
10polo' / mo^tep2차kina tosa
11safaw cecay3차kina tolo
12safaw tosa4차kina sepat
13safaw tolo5차kina lima
14safaw sepat6차kina enem
15safaw lima7차kina pito
16safaw enem8차kina falo
17safaw pito9차kina siwa
18safaw falo10차kina mo^tep
19safaw siwa
20tosa polo'
30tolo polo'
40sepat polo'
50lima polo'
60enem polo'
70pito polo'
80falo polo'
90siwa polo'
100so'ot / noli'
1000patek / lfot
10000ofad
첫째saka cecay
둘째saka tosa



아미어의 기본 어휘는 다음과 같다.


  • lotong: 원숭이/유인원
  • fafoy: 돼지
  • wacu: 개


아미어는 타갈로그어, 깜팡간어, 일로카노어, 자바어, 순다어, 말레이어 등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 유사한 어휘를 공유한다. 예를 들어, 숫자 1부터 10까지를 나타내는 단어는 다음과 같이 비교할 수 있다.

아미스어와 영어 및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 비교
아미스어영어타갈로그어팡가시난어깜팡간어일로카노어자바어순다어말레이어
cecay하나isasakeyisamaysasijihijisatu
tosadalawaduaadwadualoroduadua
tolotatlotaloatlotallotelutilutiga
sepatapatapatapatuppatpapatopatempat
lima다섯limalimalimalimalimalimalima
'enem여섯animanemanaminemenemgenepenam
pito일곱pitopitopitu/pitopitopitutujuhtujuh
falo여덟walowalowalu/walowalowoludalapandelapan
siwa아홉siyamsiyamsiamsiamsangasalapansembilan
polo'sampusamploapulu/apulosangapulosepuluhsapuluhsepuluh



이 외에도 아미어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어휘가 있다.


  • 알라리우 - 노래
  • 이셉 - 빈랑
  • 이솔 - 고래
  • 이나 - 어머니
  • 이리신 - 풍년제
  • 오라드 - 비
  • 카키타안 - 마을 지도자
  • 카시 - 땔나무
  • 카파 - 청년
  • 카와스 - 신
  • 키란 - 나무
  • 시카와사이 - 무녀
  • 타루안 - 회관
  • 타온 - 존경하다
  • 치달 - 태양
  • 티렌 - 몸
  • 토론 - 신에게 바치는
  • 데와스 - 신주를 담는 그릇
  • 나노무 - 물
  • 니야로 - 마을
  • 하쿠하쿠 - 밥
  • 파카로가이 - 소년
  • 파타로마 - 결혼
  • 파나이 - 쌀
  • 하파이 - 기장
  • 바부이 - 돼지
  • 바이나얀 - 남자
  • 바바히얀 - 여자
  • 파리 - 바람
  • 부누스 - 칼
  • 플라드 - 달
  • 폴롤 - 바구니
  • 마가야우 - 인두겁
  • 마토아사이 - 노인
  • 마파타이 - 죽다
  • 마루넨 - 사슴
  • 마마 - 아버지
  • 마마노카파 - 청년단장
  • 말리쿠다 - 춤
  • 미프티 - 자다
  • 라마르 - 불
  • 리야이 - 바닷가
  • 와와 - 유아


세계인권선언 제1조를 팡차어(아미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 Chiyu mahufuchay tu tamlaw, maemin pingdeng ichunyan a kngli. Iraay chaira lishing a naay a naay a harateng, pimaulahsha u harateng nu kaka shafa.*


이는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라는 뜻이다.

5. 1. 기본 어휘

아미어의 기본 어휘는 숫자, 동물 이름, 신체 부위, 일상 생활과 관련된 단어 등으로 구성된다.

숫자를 나타내는 아미어 단어는 다음과 같다.

숫자
한국어아미어한국어아미어
1cecay셋째saka tolo
2tosa넷째saka sepat
3tolo다섯째saka lima
4sepat여섯째saka enem
5lima일곱번째saka pito
6enem여덟번째saka falo
7pito아홉번째saka siwa
8falo열번째saka mo^tep
9siwa1차kina cecay
10polo' / mo^tep2차kina tosa
11safaw cecay3차kina tolo
12safaw tosa4차kina sepat
13safaw tolo5차kina lima
14safaw sepat6차kina enem
15safaw lima7차kina pito
16safaw enem8차kina falo
17safaw pito9차kina siwa
18safaw falo10차kina mo^tep
19safaw siwa
20tosa polo'
30tolo polo'
40sepat polo'
50lima polo'
60enem polo'
70pito polo'
80falo polo'
90siwa polo'
100so'ot / noli'
1000patek / lfot
10000ofad
첫째saka cecay
둘째saka tosa



아미어의 기본 어휘는 다음과 같다.


  • lotong: 원숭이/유인원
  • fafoy: 돼지
  • wacu: 개


아미어는 타갈로그어, 깜팡간어, 일로카노어, 자바어, 순다어, 말레이어 등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과 유사한 어휘를 공유한다. 예를 들어, 숫자 1부터 10까지를 나타내는 단어는 다음과 같이 비교할 수 있다.

아미스어와 영어 및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 비교
아미스어영어타갈로그어팡가시난어깜팡간어일로카노어자바어순다어말레이어
cecay하나isasakeyisamaysasijihijisatu
tosadalawaduaadwadualoroduadua
tolotatlotaloatlotallotelutilutiga
sepatapatapatapatuppatpapatopatempat
lima다섯limalimalimalimalimalimalima
'enem여섯animanemanaminemenemgenepenam
pito일곱pitopitopitu/pitopitopitutujuhtujuh
falo여덟walowalowalu/walowalowoludalapandelapan
siwa아홉siyamsiyamsiamsiamsangasalapansembilan
polo'sampusamploapulu/apulosangapulosepuluhsapuluhsepuluh



이 외에도 아미어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어휘가 있다.


  • 알라리우 - 노래
  • 이셉 - 빈랑
  • 이솔 - 고래
  • 이나 - 어머니
  • 이리신 - 풍년제
  • 오라드 - 비
  • 카키타안 - 마을 지도자
  • 카시 - 땔나무
  • 카파 - 청년
  • 카와스 - 신
  • 키란 - 나무
  • 시카와사이 - 무녀
  • 타루안 - 회관
  • 타온 - 존경하다
  • 치달 - 태양
  • 티렌 - 몸
  • 토론 - 신에게 바치는
  • 데와스 - 신주를 담는 그릇
  • 나노무 - 물
  • 니야로 - 마을
  • 하쿠하쿠 - 밥
  • 파카로가이 - 소년
  • 파타로마 - 결혼
  • 파나이 - 쌀
  • 하파이 - 기장
  • 바부이 - 돼지
  • 바이나얀 - 남자
  • 바바히얀 - 여자
  • 파리 - 바람
  • 부누스 - 칼
  • 플라드 - 달
  • 폴롤 - 바구니
  • 마가야우 - 인두겁
  • 마토아사이 - 노인
  • 마파타이 - 죽다
  • 마루넨 - 사슴
  • 마마 - 아버지
  • 마마노카파 - 청년단장
  • 말리쿠다 - 춤
  • 미프티 - 자다
  • 라마르 - 불
  • 리야이 - 바닷가
  • 와와 - 유아


세계인권선언 제1조를 팡차어(아미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 Chiyu mahufuchay tu tamlaw, maemin pingdeng ichunyan a kngli. Iraay chaira lishing a naay a naay a harateng, pimaulahsha u harateng nu kaka shafa.*


이는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라는 뜻이다.

5. 2.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와의 비교

아미스어는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와 여러 면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아미스어와 영어 및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 비교
아미스어영어타갈로그어팡가시난어깜팡간어일로카노어자바어순다어말레이어
cecay하나isasakeyisamaysasijihijisatu
tosadalawaduaadwadualoroduadua
tolotatlotaloatlotallotelutilutiga
sepatapatapatapatuppatpapatopatempat
lima다섯limalimalimalimalimalimalima
'enem여섯animanemanaminemenemgenepenam
pito일곱pitopitopitu/pitopitopitutujuhtujuh
falo여덟walowalowalu/walowalowoludalapandelapan
siwa아홉siyamsiyamsiamsiamsangasalapansembilan
polo'sampusamploapulu/apulosangapulosepuluhsapuluhsepuluh


  • 어휘 비교:
  • 숫자: 아미스어의 cecay(하나), tosa(둘), tolo(셋), sepat(넷), lima(다섯)는 타갈로그어, 팡가시난어, 깜팡간어, 일로카노어, 자바어, 순다어, 말레이어 등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와 유사하다. 'enem(여섯), pito(일곱), falo(여덟), siwa(아홉), polo'(열)도 마찬가지다.
  • 동물: 아미스어의 lotong(원숭이/유인원), fafoy(돼지), wacu(개)는 자바어, 순다어, 말레이어의 lotong/lutung (원숭이), babi (돼지)와 일로카노어, 깜팡간어의 aso (개)와 비교해 볼수 있다.

  • 문장 예시:
  • Maolah kako a mimali = 저는 스포츠를 좋아합니다.
  • Takaraw ko pita’kod = 저는 매우 높이 뜁니다.
  • Kalamkam ko kacomikay = 저는 매우 빨리 달립니다.

  • 세계인권선언 제1조 번역:
  • Chiyu mahufuchay tu tamlaw, maemin pingdeng ichunyan a kngli. Iraay chaira lishing a naay a naay a harateng, pimaulahsha u harateng nu kaka shafa.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

5. 3. 기타 어휘

아미스어의 여러 어휘는 다음과 같다.

width="33%" valign="top"|width="33%" valign="top"|width="33%" valign="top"|



아미스어와 타 오스트로네시아어의 비교는 다음과 같다.

아미스어와 영어 및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 비교
아미스어영어타갈로그어팡가시난어깜팡간어일로카노어자바어순다어말레이어
cecay하나isasakeyisamaysasijihijisatu
tosadalawaduaadwadualoroduadua
tolotatlotaloatlotallotelutilutiga
sepatapatapatapatuppatpapatopatempat
lima다섯limalimalimalimalimalimalima
'enem여섯animanemanaminemenemgenepenam
pito일곱pitopitopitu/pitopitopitutujuhtujuh
falo여덟walowalowalu/walowalowoludalapandelapan
siwa아홉siyamsiyamsiamsiamsangasalapansembilan
polo'sampusamploapulu/apulosangapulosepuluhsapuluhsepuluh



이 외에도, 타갈로그어의 baboy (돼지), aso (), tatlo (3), apat (4), lima (5), anim (6), pito (7), walo (8)와 유사하며, 깜팡간어의 asu (), atlo (3), apat (4), lima (5), anam (6), pitu/pito (7), walu/walo (8), siyam (9), apulu/apulo (10), ama (아버지), ima (어머니)와도 비슷하다. 일로카노어의 baboy(돼지), aso (), maysa (1), dua (2), tallo (3), uppat (4), lima (5), inem (6), pito (7), walo (8), siam (9), sangapulo (10)와도 유사성이 발견된다. 자바어의 lutung (원숭이), babi (돼지), asu (), siji (1), loro (2), telu (3), papat (4), lima (5), enem (6), pitu (7), wolu (8), sanga (9), sepuluh (10)와도 비슷하며, 순다어의 lutung (원숭이), babi (돼지), hiji (1), dua (2), tilu (3), opat (4), lima (5), genep (6), tujuh (7), dalapan (8), salapan (9), sapuluh (10)와도 유사하다. 말레이어의 lotong/lutung (원숭이), babi (돼지), satu (1), dua (2), tiga (3), empat (4), lima (5), enam (6), sembilan (9), sepuluh (10)와도 유사성이 있다.

기타 단어는 다음과 같다.


  • 알라리우 - 노래
  • 이셉 - 빈랑
  • 이솔 - 고래
  • 이나 - 어머니
  • 이리신 - 풍년제
  • 오라드 - 비
  • 카키타안 - 마을 지도자
  • 카시 - 땔나무
  • 카파 - 청년
  • 카와스 - 신
  • 키란 - 나무
  • 시카와사이 - 무녀
  • 타루안 - 회관
  • 타온 - 존경하다
  • 치달 - 태양
  • 티렌 - 몸
  • 토론 - 신에게 바치는
  • 데와스 - 신주를 담는 그릇
  • 나노무 - 물
  • 니야로 - 마을
  • 하쿠하쿠 - 밥
  • 파카로가이 - 소년
  • 파타로마 - 결혼
  • 파나이 - 쌀
  • 하파이 - 기장
  • 바부이 - 돼지
  • 바이나얀 - 남자
  • 바바히얀 - 여자
  • 파리 - 바람
  • 부누스 - 칼
  • 플라드 - 달
  • 폴롤 - 바구니
  • 마가야우 - 인두겁
  • 마토아사이 - 노인
  • 마파타이 - 죽다
  • 마루넨 - 사슴
  • 마마 - 아버지
  • 마마노카파 - 청년단장
  • 말리쿠다 - 춤
  • 미프티 - 자다
  • 라마르 - 불
  • 리야이 - 바닷가
  • 와와 - 유아


세계인권선언 제1조를 팡차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Chiyu mahufuchay tu tamlaw, maemin pingdeng ichunyan a kngli. Iraay chaira lishing a naay a naay a harateng, pimaulahsha u harateng nu kaka shafa. (모든 인간은 존엄과 권리에 있어 자유롭고 평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

6. 예문

Nga'ay ho: 안녕하세요

7. 지명

화련현과 타이둥현에 있는 마을과 도시의 아미스족 이름은 다음과 같다.


  • 화련 花蓮 Hualien: Kalingko
  • 수펑 壽豐 Shoufeng: Rinahem
  • 풍린 鳳林 Fenglin: Cingaloan
  • 풍빈 豐濱 Fengbin: Fakong
  • 위리 玉里 Yuli: Posko
  • 치상 池上 Chishang: Fanaw
  • 루예 鹿野 Luye: Palayapay
  • 청궁 成功 Chenggong: Madawdaw
  • 타이둥 台東 Taitung: Posong

참조

[1] 뉴스 Amis Remains Taiwan's Biggest Aboriginal Tribe at 37.1% of Total http://focustaiwan.t[...] 2015-02-15
[2] 간행물 100年度原住民族語言能力認證考試 http://ipt.sce.ntnu.[...] 國立台灣師範大學進修推廣學院 2011
[3] 서적 Fieldwork Studies of Targeted Languages III 1995-10
[4] 웹사이트 # 또는 기관? 추가 정보 필요 중화민국 행정원 원주민족 위원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