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큐 (선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큐(Chikyu)는 2005년 일본에서 건조된 심해 굴착선이다. 해저 지각 연구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라이저 굴착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도입하여 최대 10,000m 길이의 드릴 파이프를 사용해 최대 2,500m 수심까지 시추할 수 있다. 2007년부터 국제 심해 굴착 계획(IODP)에 참여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2012년에는 해저 7,740m 깊이까지 시추하여 심해 시추 분야의 새로운 세계 기록을 세웠다. 또한, 2013년에는 메탄 하이드레이트로부터 천연 가스 생산에 성공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선박 - DDH-975 충무공이순신
    DDH-975 충무공이순신함은 대한민국 해군 구축함으로, 이순신 장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2003년 취역하여 해군 제7기동전단 소속으로 운용되며 해적 퇴치 및 전력 증강에 기여했다.
  • 2002년 선박 - USS 청훈
    USS 청훈은 미국 해군의 구축함으로, 다양한 군사 작전에 참여하며 성능 개선과 해상 안보 능력 강화를 통해 해군 장관 안전 우수 상과 전투 효율상을 수상하고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했다.
  • 일본의 배 - 메이코마루
    메이코마루는 1861년 영국에서 건조된 철제 스크루선으로, 기슈 번이 매입 후 남북 전쟁 봉쇄 돌파선, 조슈 정벌, 화객선 등으로 사용되다 이로하마루와 충돌 후 스마우라 마루로 개명되었으나 야마시로 마루와 충돌하여 침몰, 현재 복원되어 일본 해상자위대에 보존되어 있다.
  • 일본의 배 - 오하마나호
    오하마나호는 1989년 일본에서 건조되어 인천-제주 항로에 투입되었던 카페리선으로, 2018년 방글라데시에서 해체되었다.
지큐 (선박)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치큐
치큐
명칭치큐
명칭 (일본어)ちきゅう
명칭 유래일본어로 "지구"
선박 종류해양 드릴쉽
선적항요코스카, 가나가와현
모항시미즈항
소유자CDEX
운영자CDEX
선박 등록요코스카
건조 비용600억 엔
건조 회사미쓰이 엔지니어링 & 조선
미쓰비시 중공업
기공2001년 4월 25일
진수2002년 1월 18일
완공2005년 7월 29일
취역2005년 7월 29일
IMO 번호9234044
MMSI 번호432522000
호출 부호JRAJ
선급NK (일본 해사 협회)
제원
선박 종류해양 드릴쉽
총 톤수57,087 톤
길이210 m
38 m
높이130 m
흘수선9.2 m
깊이16.2 m
속도12 노트
항속 거리14,800 해리
승선 인원200명
추진 시스템
추진 방식디젤-전기 방식
측면 추진기1 x 2,550 kW
전방위 추진기6 x 4,100 kW
마력50,220 마력
기타 정보
특징세계 최초의 라이저 방식 심해 시추선
해저 7,000m까지 시추 가능
맨틀 직접 채취 목표
동해 가스 하이드레이트 개발 시험 참여
웹사이트치큐 공식 웹사이트

2. 건조 배경 및 역사

1960년대미국이 착수한 모홀 계획을 시작으로, 1960년대 후반의 심해 굴착 계획(DSDP, 이후 국제화되어 IPOD), 1985년부터 국제 심해 굴착 계획(ODP)과 같은 굴착 조사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해저를 통한 지구물리학해양지질학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해저는 지상에 비해 지각이 얇아(아이소스타시) 굴착 조사를 통한 연구에 적합한 장소로 여겨진다.

1980년대 후반, 일본의 과학기술청은 21세기 지구과학 관련 연구의 비약적인 발전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시책에 대한 검토를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ODP의 기여가 매우 높게 평가되었으나, 글로마 챌린저나 조이데스 레졸루션과 같은 기존 굴착선은 라이저리스 굴착에만 대응하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때문에 1989년에 발표된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해결한 신형 굴착선을 개발하고 국제 협력을 통해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특별히 언급되었다. 1990년, 정부의 과학기술회의는 새로운 심해 굴착선을 개발하여 심해 굴착 계획을 강화할 것을 결정했고, 같은 해부터 JAMSTEC에서 새로운 심해 굴착 시스템의 연구 및 기술 개발이 착수되었다.

1992년부터 1994년에 걸쳐 설계 및 요소 기술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졌고, 라이저 굴착 시스템의 도입을 기본으로 한 기술 계획안이 작성되었다. 1995년부터는 전체 시스템에 관한 연구로 이행하여 본선 설계와 주요 시스템, 개념 설계 등이 정리되었고, 1999년부터 기본 설계를 시작했다. 2000년 3월에는 미쓰비시 중공업이 전체를 총괄하고 굴착 부분의 개발을, 미쓰이 조선이 선체 부분을 담당하는 건조 계약이 체결되었다. 2001년도 정부 예산안의 국회 승인에 따라 건조가 정식으로 승인되었으며, 2001년 4월 25일에 미쓰이 조선다마노 사업소에서 기공되었다. 2002년 1월 18일 나가사키에서 진수되었으며, 2005년 7월 29일 잠스텍(JAMSTEC)에 인도되었다.

2. 1. 건조 과정

3. 설계 및 특징

''지큐''는 미쓰이 조선소에서 건조되어 2005년 7월 29일 JAMSTEC에 인도되었다.[3]

선박의 선체 길이는 210m, 폭은 38m, 높이는 16.2m이며, 총 톤수는 약 57,000톤이다. 흘수(draft)는 9.2m이며, 최대 순항 속도는 12노트이다. 선체 중앙의 데릭은 해수면 위 121m 높이에 있으며, 탑 드라이브의 인양 능력은 1,000톤이다. 150명의 승무원은 100명의 운용 인력과 50명의 과학 인력으로 구성되며, 해상에서의 승무원 교대는 헬리콥터를 통해 이루어진다.

주요 혁신 기술로는 GPS 시스템과 6개의 조절 가능한 컴퓨터 제어 방위각 추진기가 있으며, 이는 심해 시추 시 정밀한 위치 지정을 통해 안정적인 플랫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드릴 라이저를 사용한 최대 시추 수심은 2,500m이며, 최대 10,000m 길이의 드릴 파이프를 지원할 수 있다.

헬리패드는 한 번의 착륙에 최대 30명까지 수송할 수 있는 대형 헬리콥터를 수용할 수 있다.[5]

3. 1. 선체 구조

지큐는 오목 갑판형 선형으로 설계되었으며, 선체 전방에 큰 상자형 상부 구조물이 있다.[10] 상갑판 위 7층, 아래 1층에 선교와 거주 구획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30인승 대형 헬리콥터 갑판이 있다.[10] 거주 구역은 대부분 1인 개인실(1인실 128실, 2인실 11실)로 구성되어 있으며,[10] 외국인 연구자들이 일본 문화를 접하고 원활하게 의사 소통을 할 수 있도록 다실 등 레크리에이션 시설도 갖추고 있다.[15]

선체 중앙부에는 본선의 외관상 특징인 데릭(굴착용 야구라)이 배치되어 있다. 높이는 해상에서 약 120미터, 선저에서 130미터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는 일본 국내의 모든 다리보다 높기 때문에 입항할 수 있는 항구가 제한된다.[10]

주기관은 디젤-전기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V형 12기통 미쓰이 12ADD30V 디젤 엔진 (5,345 kW / 720 rpm)에 의한 주 발전기 (5,000 kW) 6기와, V형 6기통 미쓰이 6ADD30V 디젤 엔진 (2,685 kW / 720 rpm)에 의한 보조 발전기 (2,500 kW) 2기를 갖추고 있다. 이 ADD30V 디젤 엔진은 국가적 프로젝트로 국내 3개 제조사 (미쓰이 조선,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조선)이 공동 개발한 것으로, 내마모 세라믹 용사의 실린더(구경 300mm・행정 480mm), 가스 교환성이 뛰어난 일밸식 급배기 시스템 등 최신 기술이 도입되었다.[10]

추진기로는 선수에 사이드 스러스터 1기와 아지무스 스러스터 3기, 선미에 아지무스 스러스터 3기를 갖추고 있다. 전력 항행 시에는 6기, 통상 항행 시에는 5기 (중앙부 1기 비사용), 입출항 시에는 선미부 2기 (선저가 후부에서 들린 배턱 플로우 선형부에 설치)만 사용한다. 또한 정점 유지가 요구되는 굴착 중에는 자동 선위 유지 시스템 (DPS)에 의해 자동 제어되어 수심 1,000미터에서는 반경 15미터 이내, 수심 2,000미터에서는 반경 30미터 이내의 정밀도로 상시 유지할 수 있다.[10][16] 이러한 추진기를 제어함으로써 풍속 3m/초, 파고 4.5m, 조류 1.5노트의 해황 하에서도 굴착이 가능하다.[17]

3. 2. 추진 시스템

지큐 (선박)는 디젤-전기 방식 추진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주 발전기는 7,166hp(5,000kW) 출력의 V형 12기통 미쓰이 12ADD30V 디젤 엔진 6기와, 보조 발전기는 3,600hp(2,500kW) 출력의 V형 6기통 미쓰이 6ADD30V 디젤 엔진 2기를 탑재하고 있다.[10] 이 ADD30V 디젤 엔진은 미쓰이 조선, 가와사키 중공업, 히타치 조선이 공동 개발한 것으로, 내마모 세라믹 용사 실린더 (구경 300mm・행정 480mm), 가스 교환성이 뛰어난 일밸식 급배기 시스템 등 최신 기술이 도입되었다.[10]

추진기로는 선수에 사이드 스러스터 1기와 아지무스 스러스터 3기, 선미에 아지무스 스러스터 3기를 갖추고 있어 정밀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다.[10] 전력 항행 시에는 6기, 통상 항행 시에는 5기 (중앙부 1기 비사용), 입출항 시에는 선미부 2기 (선저가 후부에서 들린 배턱 플로우 선형부에 설치)만 사용한다.[10] 자동 선위 유지 시스템(DPS)을 통해 수심 1,000m에서는 반경 15m 이내, 수심 2,000m에서는 반경 30m 이내의 정밀도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10][16] 이러한 추진기를 제어함으로써 풍속 3m/초, 파고 4.5m, 조류 1.5노트의 해황 하에서도 굴착이 가능하다.[17]

3. 3. 굴착 장비

지큐는 석유 플랫폼 등에서 해저 유전 굴착에 사용되던 라이저 굴착 시스템/Drilling riser영어을 과학 굴착선으로는 세계 최초로 채택하였다.[10]

기존 굴착선은 드릴 파이프만으로 굴착했지만, 지큐는 라이저(중공 파이프) 속을 드릴 파이프가 통과하는 방식으로 굴착한다. 라이저는 굴착선에서 해저면까지 연결되며, 그 이후는 드릴 파이프만으로 굴착한다. 드릴 파이프 선단에서 분출되는 진흙물은 굴착공 벽면 압력을 조절하고 시멘트 효과로 붕괴를 방지한다. 또한 라이저를 통해 진흙물과 깎인 찌꺼기를 회수한다.[10]

지큐의 라이저는 내경 533mm, 길이 27m, 무게 약 27톤이다. 수심 2,500m 굴착 시 약 90개를 연결한다. 드릴 파이프는 직경 140mm, 길이 9.5m의 고강도 강관이며, 선단에 다이아몬드 굴착 날이 달린 드릴 비트가 부착되어 있다. 지하 7,500m까지 굴착 가능하며, 이는 맨틀 물질과 거대 지진 발생 지역 시료 채취를 가능하게 하는 세계 최고 굴착 능력이다. 라이저 선단(해저면)에는 방분출 장치(BOP)가 설치되어 석유나 가스 분출 시 굴착공 내에 가둘 수 있다.[10]

3. 4. 연구 시설

심해 바닥 굴착을 통해 얻은 시료 분석을 위한 연구 구획이 거주 구역 후방에 마련되어 있다. 연구 구획은 시료 분할을 위한 "랩 루프 데크", 1차 분석을 위한 "코어 프로세싱 데크", 고도 분석을 위한 "랩 스트리트 데크", 관리를 위한 "랩 매니지먼트 데크" 등 총 4개의 데크로 구성되며, 총 바닥 면적은 약 2,300m2이다. 굴착 및 채취된 코어에서 발생하는 황화 수소, 탄화 수소 등의 유독 가스에 대한 안전 조치가 취해져 있으며, 음압 관리 시스템이 작동한다.[11]

X선컴퓨터 단층 촬영(CT) 장비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는 의료용과 동일하다. 또한, 샘플의 지자기 측정을 위해 세계 최초로 자기 차폐 룸을 갖추고 있다. 규소 강판, 코발트계 비정질 강판 등으로 이루어진 4층의 자기 차폐를 통해 지구 자기장의 100분의 1인 3.5밀리가우스 이하로 유지된다. 선체 동요 등에 의한 가속도로 인해 선상에서 샘플의 정확한 질량 측정이 어려웠으나, 본 선박에서는 질량 원기와의 비교 보정을 통해 정확한 질량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계량기를 개발하여 탑재하였다.[11]

4. 주요 운용 및 연구 활동

지큐는 2007년부터 통합 국제 심해 굴착 계획(IODP)의 일환으로 난카이 해구 지진 발생대 굴착 계획을 수행해왔다.[6] 2007년 9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스테이지 1을 통해 8개 지점에서 코어를 채취했다.[6] 2009년 5월부터 7월까지는 난카이 해구 굴착 스테이지 2를 통해 3개 지점에서 코어를 채취했다.[20] 2010년 7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진행된 스테이지 3에서는 기이 반도 해역 구마노나다에서 케이싱 파이프 등을 유실하기도 했다.[20]

2011년 3월 11일,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하치노헤시 항구에 정박 중이던 지큐는 쓰나미로 인해 선체 일부가 손상되었으나,[7] 수리 후 운항을 재개했다.[7]

2012년 4월 27일, 지큐는 해수면 아래 7,740m 깊이까지 시추하여 심해 시추 분야의 새로운 세계 기록을 세웠으나, 이 기록은 이후 디워터 호라이즌에 의해 경신되었다.[8] 2012년 9월 6일에는 시모키타 반도 북서쪽 태평양 해저 2,111m보다 더 깊은 곳에서 시추하여 암석 표본을 채취, 해양 과학 굴착 세계 최심도 기록을 갱신했다.[9]

2013년 3월에는 아이치현, 미에현 앞바다에서 메탄 하이드레이트로부터 천연 가스 생산에 성공(세계 최초)했다.[38] 2018년 12월에는 기이 반도 앞바다 해저 굴착으로 과학 굴착 세계 최심 기록(해저 3262.5m)을 갱신했다.[39]

이 외에도 지큐는 1944년 도난카이 지진의 쓰나미 단층을 특정[34]하는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거두었다.

4. 1. 한국과의 협력

5. 대중 문화에서의 등장

심해 굴착선 ''지큐''는 2006년 영화 ''일본 침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등장한다.[40] 또한, 2018년 4월에는 해양연구개발기구와 게임 『스플래툰 2』와의 콜라보 기획의 일환으로 게임 내 스테이지 "만타 마리아 호"의 맵 밖 오브젝트로 등장했다.[43][44]

6. 기타

2008년 3월, 지큐의 스크류 6기 중 3기에서 기어 손상이 발견되어 2009년 2월까지 가동이 중단되었다.[40] 해양연구개발기구는 제조사들을 상대로 손해 배상 소송을 제기했고, 2012년 10월 4일, 제조사들이 해양연구개발기구에 화해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화해가 성립되었다.[40]

2009년 11월, 행정 쇄신 회의의 사업 분류로 인해 굴착 프로젝트의 지속이 불투명해졌다.

2011년 3월 11일, 하치노헤항에 정박해 있던 중 동일본 대지진을 겪었고, 쓰나미를 피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원해로 대피했다. 승선했던 하치노헤 시립 나카이바야시 초등학교 학생과 교사들은 선내에서 하룻밤을 보낸 후 다음 날 해상자위대 헬리콥터로 하선했다.[41]

2012년 7월 25일, 하치노헤항 입항 중 유압 파이프 파손으로 기름 약 300리터가 갑판에 유출되었고, 이 중 약 15리터가 바다로 흘러나갔다.[42]

2018년 4월, 해양연구개발기구와 게임 스플래툰 2의 콜라보 기획으로 지큐가 게임 내 스테이지 "만타 마리아 호"의 맵 밖 오브젝트로 등장했다.[43][44] 또한, "선진 기술" 팀의 일러스트에 심해 6500과 함께 그려지기도 했다.[45][46] 2019년 7월 18일 개최된 파이널 페스 『SPRATOCARIPS(혼돈 vs 질서)』에서도, 동 페스 한정 스테이지의 미스터리 존 "DEAR SENPAI"에 동선이 맵 밖 오브젝트로 등장했다[47]

참조

[1] 웹사이트 CHIKYU HAKKEN|ちきゅうデータ http://www.jamstec.g[...] JAMSTEC 2010-11-24
[2] 웹사이트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に三井造船も貢献 http://www.mes.co.jp[...] Mitsui Engineering & Shipbuilding 2010-05-13
[3] 웹사이트 Chikyū history page http://www.jamstec.g[...] 2007-06-30
[4] 웹사이트 The Deep Hot Biosphere Drilling http://www.jamstec.g[...] Deep Hot Biosphere hydrothermal vents 2013-01-22
[5] 뉴스 What If We Never Run Out of Oil?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Monthly 2013-04
[6] 뉴스 Chikyū's first mission complete Nature News 2007-11-19
[7] 웹사이트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修理完了…津波で損傷 http://mainichi.jp/s[...] 2011-06-18
[8] 웹사이트 - - Explore Records - Guinness World Records http://www.guinnessw[...] 2011-10-17
[9] 뉴스 Japan deep-sea drilling probe sets world record http://www.kansascit[...] The Kansas City Star 2012-04-28
[10] 간행물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のすべて (特集・海洋開発) 海人社
[11] 간행물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の建造(<特集>新しいもの) 公益社団法人日本船舶海洋工学会
[12] 논문 「ちきゅう」の運航体制 https://doi.org/10.5[...] 日本マリンエンジニアリング学会
[13] 간행물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の運用体制を新たに発足 http://www.godac.jam[...] 海洋研究開発機構
[14] 간행물 「ちきゅう」完成までの道のり--世界最大の科学掘削船はこうして誕生した http://www.godac.jam[...] 海洋研究開発機構横浜研究所情報業務部
[15] 웹사이트 このごろ堂 http://www.game-writ[...] 2014-02-27
[16] 간행물 4サイクルディーゼル機関の技術系統化調査 https://sts.kahaku.g[...]
[17] 논문 地球深部掘削船「ちきゅう」を使った新たな挑戦 https://doi.org/10.3[...] 石油技術協会
[18] 간행물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進水 海人社
[19] 웹사이트 3月11日に何が起きたのか 「ちきゅう」を襲った大津波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地球深部探査センター 2011-12
[20] 웹사이트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による統合国際深海掘削計画(IODP)第338次研究航海「南海トラフ地震発生帯掘削計画」ステージ3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jamstec.[...]
[21] 웹사이트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による南海トラフ地震発生帯掘削計画 ~掘削機器の一部損傷と掘削計画の変更について~ 2012年 11月 22日 https://www.jamstec.[...]
[22] 웹사이트 統合国際深海掘削計画(IODP)第348次研究航海 「南海トラフ地震発生帯掘削計画」ステージ3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
[23] 웹사이트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による国際深海科学掘削計画(IODP)第348次研究航海「南海トラフ地震発生帯掘削計画」ステージ3の計画変更について] https://www.jamstec.[...]
[24] 웹사이트 下北半島東部における海上ボーリング調査の実施について http://www.jnfl.co.j[...] 日本原燃株式会社 2014-03-24
[25] 웹사이트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による「沖縄トラフ熱水性堆積物掘削」の実施について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 2014-06-25
[26] 웹사이트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はインド洋へ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 2015-02-18
[27] 웹사이트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が帰国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 2015-08-28
[28] 웹사이트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のドリルパイプの脱落について(速報)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 2016-01-19
[29] 웹사이트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のドリルパイプ脱落トラブルの原因の推定と今後の対応について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 2016-02-05
[30] 뉴스 探査船「ちきゅう」出港 海洋文化都市へ期待膨らむ https://www.nikkei.c[...] 2018-10-10
[31] 웹사이트 震源断層への到達断念=「ちきゅう」の南海トラフ掘削: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19-04-26
[32] 뉴스 探査船「ちきゅう」が帰港 半年ぶり、紀伊半島沖掘削 https://www.nikkei.c[...] 2019-04-01
[33] 웹사이트 津波断層の活動痕を初めて発見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による南海トラフ地震発生帯掘削計画の成果~ https://www.jamstec.[...]
[34] 웹사이트 東南海地震(1944年)の津波断層を特定する物的証拠の発見 https://www.jamstec.[...]
[35] 뉴스 「ちきゅう」最深掘削の世界記録更新 海面下7740メートルに到達 http://sankei.jp.msn[...] 2012-04-28
[36] 간행물 「東北地方太平洋沖地震調査掘削-Ⅱ」(震源域への長期孔内温度計設置)の終了について https://www.jamstec.[...] 海洋研究開発機構 2012-07-19
[37] 간행물 統合国際深海掘削計画(IODP)第337次研究航海「下北八戸沖石炭層生命圏掘削」の進捗状況について(お知らせ) https://www.jamstec.[...]
[38] 뉴스 海底メタンガス産出-愛知沖、「ちきゅう」で成功 http://www.nikkan.co[...] 日刊工業新聞 2013-03-13
[39] 뉴스 「ちきゅう」掘った 最深3262.5メートル/探査船が先月到達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9-01-16
[40] 뉴스 地球深部探査船「ちきゅう」損傷で和解 1億7500万円支払い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12-10-05
[41] 뉴스 探査船見学の児童48人、海自ヘリで無事救助 http://www.yomiuri.c[...] 2011-03-12
[42] 뉴스 探査船「ちきゅう」で油漏れ、ボルト腐食 青森・八戸港 http://sankei.jp.msn[...] 産経新聞 2012-07-25
[43] 웹사이트 イカ研究所&JAMSTEC共同研究 共同研究13「イカ世界のJAMSTEC」 https://www.jamstec.[...] 2022-12-04
[44] Twitter SplatoonJP https://twitter.com/[...]
[45] 웹사이트 コラボフェス キミはどっち? https://www.jamstec.[...] 2022-12-04
[46] 웹사이트 イカ研究所&JAMSTEC共同研究 共同研究02「フェス 先進の技術とは?」 https://www.jamstec.[...] 2022-12-04
[47] 웹사이트 ステージ/ミステリーゾーン https://wikiwiki.jp/[...] 2023-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