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석유 플랫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유 플랫폼은 해상에서 석유 및 가스를 시추하고 생산하기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최초의 해상 유정은 1891년 오하이오주에서 건설되었으며, 이후 기술 발전을 통해 고정식, 컴플라이언트 타워, 반잠수식, 잭업, 드릴십, FPSO, TLP, 스파 등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했다. 석유 플랫폼은 북해, 멕시코만, 카스피해 등 주요 해상 분지에서 활용되며, 세계에서 가장 깊은 플랫폼은 멕시코만의 페르디도 플랫폼이다. 석유 플랫폼 운영은 사고 위험, 환경 오염, 테러 위협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인공 암초로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해저 시설, 통합 운영, 용도 변경 등 기술적, 운영적 과제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석유 플랫폼 - 파이퍼 알파
    파이퍼 알파는 1972년 발견되어 석유 생산을 위해 건설된 해상 플랫폼이었으나, 1988년 대형 화재 사고로 167명의 사망자를 내며 해상 안전 기준 강화에 영향을 주었다.
  • 석유 플랫폼 - 해양석유 981
  • 석유 생산 - 액화석유가스
    액화석유가스(LPG)는 다양한 분야에서 연료로 사용되며 요리, 난방, 자동차 연료 등으로 활용되고, 유전 등에서 생산되어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법률에 의해 규제된다.
  • 석유 생산 - 비전통석유
    비전통 석유는 채굴이 어려운 석유 자원으로, 셰일 오일, 오일 샌드, 석탄 액화 연료 등을 포함하며 풍부한 매장량으로 에너지 안보에 중요하지만 환경 문제와 경제성 논란이 있는 자원이다.
  • 구조공학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철근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 응력을 가하여 인장 응력을 상쇄하거나 감소시킨 콘크리트 구조이며, 고강도 강재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교량, 건축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구조공학 - 모노코크
    모노코크는 외부 껍데기가 주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로, 넓은 내부 공간과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여 항공기, 자동차, 철도 차량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으나, 현재는 세미 모노코크 구조나 특수 목적 차량에 주로 사용된다.
석유 플랫폼
기본 정보
해상 석유 플랫폼
해상 석유 플랫폼
종류해양 구조물
주요 기능해양 석유 및 가스 탐사, 시추, 생산, 처리, 저장
관련 산업석유 산업, 가스 산업, 해양 공학
위치해양 (해저면 또는 부유)
깊이수심 3000까지 (고정식), 수심 1500까지 (부유식)
다른 이름oil platform (오일 플랫폼)
oil rig (오일 릭)
구조 및 기능
주요 구성 요소데크 (갑판)
다리 (지지 구조)
기초 (해저 고정 또는 부유 시스템)
시추 장비
생산 설비
숙소 및 편의 시설
플랫폼 유형고정식 플랫폼
부유식 플랫폼
잭업 리그
반잠수식 플랫폼
드릴십
운영
운영 주체석유 회사, 가스 회사
주요 활동시추
생산
처리
저장
운송
안전엄격한 안전 규정 및 절차 준수 필요
환경 영향잠재적인 해양 오염 및 생태계 파괴 가능성
기타
참고 문헌Ronalds, B.F. (2005). Applicability ranges for offshore oil and gas production facilities. Marine Structures, 18(3), 251–263. 10.1016/j.marstruc.2005.06.001
추가 정보Reasons Not to Drill for Oil Offshore of Florida

2. 역사

석유 플랫폼의 역사는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에는 육지와 가까운 얕은 물에서 주로 작업이 이루어졌지만, 기술 발전과 석유 수요 증가에 따라 점차 깊은 바다로 확장되었다.

루이지애나주 인근의 텐더 및 해상 석유 굴착 장치 플랫폼


전형적인 석유 플랫폼의 작동 방식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1. 굴착 장치, 2. 암석층, 3. 석유 드릴, 4. 석유 및 천연 가스


20세기 중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해상 석유 개발은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미국의 영토를 대륙붕 가장자리까지 확장하는 행정 명령을 내려 해상 석유 개발에 대한 미국의 권리를 강화했다.[4]

1954년에는 최초의 잭업 리그가 등장하여 더 깊은 수심에서의 작업이 가능해졌다. 1961년에는 최초의 반잠수식 시추 장비가 개발되어 더욱 안정적인 해상 작업 환경을 제공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해상 석유 플랫폼의 대형화와 심해 개발을 가속화했다.

2010년 6월 현재, 전 세계적으로 620개 이상의 이동식 해상 굴착 장치가 운영되고 있다.[11] 세계에서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한 석유 플랫폼은 멕시코 만의 페르디도 석유 플랫폼으로, 수심 2438m에서 운영되고 있다.[12]

해상 석유 플랫폼 산업은 기술 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원유 가격 변동, 비용 증가, 신생 기업과의 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0년대에는 싱가포르의 셈코프 해양 등이 부상하는 반면, 2017년에는 일본IHI[51], 2018년에는 대한민국현대중공업[52]이 해양 구조물 사업에서 철수하는 등 산업 구조 재편이 진행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891년경, 최초의 수중 유정은 오하이오주 그랜드 레이크 세인트 메리스의 담수에서 말뚝 위에 건설된 플랫폼에서 굴착되었다. 이 저수지는 마이애미 운하와 이리 운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1837년부터 1845년까지 건설되었다. 1896년경에는 캘리포니아주 산타 바바라 해협 아래로 확장된 서머랜드 유전의 일부에서 소금물 수중 유정이 굴착되었는데, 육지에서 해협으로 뻗어 나가는 부두에서 굴착되었다.

1906년 이전의 캘리포니아주 서머랜드 해안가 유정


1913년부터 이리호의 캐나다 측과 1910년대 루이지애나주의 캐도호에서 초창기 수중 굴착 활동이 발생했다. 그 직후, 미국 걸프 해안의 텍사스주와 루이지애나주를 따라 조수 지역에서 유정이 굴착되었다. 텍사스주 베이타운 근처의 구스 크릭 유전이 그 예시 중 하나이다. 1920년대에는 베네수엘라 마라카이보 호의 콘크리트 플랫폼에서 굴착 작업이 이루어졌다.

Infield의 해상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해상 유정은 1923년 아제르바이잔에서 가동된 비비헤이베트 유정이다.[3] 매립지는 카스피해의 얕은 부분을 높이는 데 사용되었다.

1930년대 초, 텍사스 컴퍼니는 걸프 해안의 염수 지역에서 굴착을 위한 최초의 이동식 강철 바지선을 개발했다. 1937년, 퓨어 오일 컴퍼니(현재 셰브론 주식회사)와 파트너 슈페리어 오일 컴퍼니(현재 엑손모빌 주식회사의 일부)는 고정 플랫폼을 사용하여 약 4.27m 수심, 루이지애나주 칼카슈 교구에서 약 1.61km 떨어진 해상에서 유전을 개발했다.

1938년, 험블 오일은 멕시코 만의 맥패든 비치에 철도 트랙이 있는 길이 1마일의 나무 잔도를 건설하고 그 끝에 데릭을 설치했는데, 이는 나중에 허리케인으로 파괴되었다.[4]

1945년, 미국의 해상 석유 매장량에 대한 우려로 인해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미국의 영토를 대륙붕 가장자리까지 일방적으로 확장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고, 이는 사실상 3해리 영해 "공해 자유" 체제를 종식시켰다.

1946년, 매그놀리아 페트롤리엄(현재 엑손모빌)은 해안에서 약 28.97km 떨어진 곳에서 굴착 작업을 했고, 루이지애나주 세인트 메리 교구에서 약 5.49m 수심에 플랫폼을 건설했다.

1947년 초, 슈페리어 오일은 루이지애나주 버밀리온 교구에서 약 18마일 떨어진 약 6.10m 수심에 굴착/생산 플랫폼을 세웠다. 그러나 케리 맥기](Kerr-McGee)] 오일 인더스트리즈(현재

2. 2. 발전 과정

1891년경, 최초의 수중 유정은 오하이오주 그랜드 레이크 세인트 메리스의 담수에서 말뚝 위에 건설된 플랫폼에서 굴착되었다. 이 저수지는 마이애미 운하와 이리 운하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1837년부터 1845년까지 건설되었다. 1896년경에는 캘리포니아주 산타 바바라 해협 아래로 확장된 서머랜드 유전의 일부에서 육지에서 해협으로 뻗어 나가는 부두에서 소금물 유정이 굴착되었다.

1910년대 초, 이리호의 캐나다 측과 루이지애나주의 캐도호에서 주목할 만한 수중 굴착 활동이 발생했다. 그 직후, 미국 걸프 해안의 텍사스주와 루이지애나주를 따라 조수 지역에서 유정이 굴착되었다. 텍사스주 베이타운 근처의 구스 크릭 유전이 그 예시 중 하나이다. 1920년대에는 베네수엘라 마라카이보 호의 콘크리트 플랫폼에서 굴착 작업이 이루어졌다.

Infield의 해상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가장 오래된 해상 유정은 1923년 아제르바이잔에서 가동된 비비헤이베트 유정이다.[3] 매립지는 카스피해의 얕은 부분을 높이는 데 사용되었다.

1930년대 초, 텍사스 컴퍼니(Texaco)는 걸프 해안의 염수 지역에서 굴착을 위한 최초의 이동식 강철 바지선을 개발했다.

1937년, 퓨어 오일 컴퍼니(현재 셰브론 주식회사)와 파트너 슈페리어 오일 컴퍼니(현재 엑손모빌 주식회사의 일부)는 고정 플랫폼을 사용하여 약 4.27m 수심, 루이지애나주 칼카슈 교구에서 약 1.61km 떨어진 해상에서 유전을 개발했다.

1938년, 험블 오일은 멕시코 만의 맥패든 비치에 철도 트랙이 있는 길이 1마일의 나무 잔도를 건설하고 그 끝에 데릭을 설치했는데, 이는 나중에 허리케인으로 파괴되었다.[4]

1945년, 미국의 해상 석유 매장량에 대한 우려로 인해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미국의 영토를 대륙붕 가장자리까지 일방적으로 확장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고, 이는 사실상 3해리 영해 "공해 자유" 체제를 종식시켰다.

1946년, 매그놀리아 페트롤리엄(현재 엑손모빌)은 해안에서 약 28.97km 떨어진 곳에서 굴착 작업을 했고, 루이지애나주 세인트 메리 교구에서 약 5.49m 수심에 플랫폼을 건설했다.

1947년 초, 슈페리어 오일은 루이지애나주 버밀리온 교구에서 약 약 6.10m 수심에 굴착/생산 플랫폼을 세웠다. 그러나 케리 맥기](Kerr-McGee)] 오일 인더스트리즈(현재

3. 주요 해상 분지

4. 종류

석유 플랫폼은 설치 해역의 수심, 용도, 운용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다양한 타입의 플랫폼


번호명칭설명최대 깊이비고
1, 2고정식 플랫폼콘크리트강철 다리를 해저에 고정, 장기간 사용412m1991년 셸의 불윈클(멕시코 만)
3컴플라이언트 타워가늘고 유연한 타워, 측면 변형에 강함534m1998년 쉐브론텍사코의 페트로니우스(멕시코 만)
4, 5수직 계류 텐션 레그 및 미니 텐션 레그 플랫폼수직 케이블로 해저에 고정, 움직임 최소화1425m2004년 코노코필립스의 매그놀리아(멕시코 만)
6스파대형 원통형 선체, 안정적2450m2010년 셸의 페르디도(멕시코 만)
7, 8반잠수식부유식, 이동 가능, 닻이나 동적 위치 제어로 고정1920m2003년 셸의 나키카(멕시코 만)
9부유식 생산, 저장 및 하역 설비 (FPSO)선박 형태, 생산/저장/하역 기능1345m2005년, 브라질
10해저 완결 및 호스트 설비로의 연결해저 유정에서 생산된 석유/가스를 호스트 설비로 연결2307m2004년 셸의 나키카 연결



1891년경, 최초의 수중 유정은 오하이오주 그랜드 레이크 세인트 메리스의 담수에서 말뚝 위에 건설된 플랫폼에서 굴착되었다.[3] 1896년경에는 캘리포니아주 산타 바바라 해협 아래로 확장된 서머랜드 유전에서, 육지에서 해협으로 뻗어 나가는 부두에서 유정이 굴착되었다. 1945년, 해리 트루먼 대통령은 미국의 영토를 대륙붕 가장자리까지 일방적으로 확장하는 행정 명령을 내렸고, 이는 사실상 3해리 영해 "공해 자유" 체제를 종식시켰다.

세계 최초의 부유식 액화 천연 가스 (FLNG) 시설이 생산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섹션 참조)

4. 1. 고정식 플랫폼 (Fixed Platforms)

고정식 플랫폼은 콘크리트강철로 만들어진 다리(레그)를 해저에 직접 고정하여 건설하며, 그 위에 굴착 설비, 석유 생산 설비, 작업원 거주 시설 등을 설치하는 데크를 얹는 방식이다. 이 플랫폼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을 전제로 설계된다. 강철 케이슨은 속이 빈 강철 파이프를 해저에 박아 설치하며, 콘크리트 케이슨(콘딥, Condeep)은 내부를 석유 저장 탱크로 활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 케이슨은 해안 근처에서 건조 후 설치 위치까지 운반하여 해저에 가라앉히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고정식 플랫폼은 대략 520m 정도 깊이까지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3]

4. 2. 컴플라이언트 타워 (Compliant Towers)

컴플라이언트 타워는 가늘고 유연한 탑 모양의 구조물을 쌓아 올린 기초 위에, 굴착 생산 설비를 수용한 데크를 얹은 것이다. 컴플라이언트 타워는 수평 방향의 큰 휨과 힘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깊이가 1,500피트에서 3,000피트(450m에서 900m) 정도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옆으로 눕혀 바지선으로 운송 중인 컴플라이언트 타워. 이 후 해중에 투하하여 직립시킨 후 해저에 착저시킨다

4. 3. 반잠수식 플랫폼 (Semi-submersible Platforms)

반잠수식 플랫폼(세미 서브형, 반잠수형)은 전체적으로는 바다에 떠 있는 구조이다. 다리 부분은 바다 속에 있으며, 구조물을 띄울 수 있을 정도의 부력을 가지면서, 구조물의 상부를 위로 향하게 세울 수 있을 정도의 무게를 가지고 있다. 반잠수식 플랫폼은 장소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부력 탱크에 물을 넣음으로써 상하로 움직일 수도 있다. 보통은 굴착 작업 중에는 닻을 넣어 고정하지만, 자동 선박 위치 유지 장치에 의해서도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반잠수식 플랫폼은 180m에서 1800m 정도의 깊이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수심이 깊은 해저 유전의 굴착이 가능하게 된다. 선체의 흔들림도 적어 안정적이기 때문에, 북해 등 해상 기상이 험한 해역에서의 가동이 가능하다.[53]

4. 4. 잭업 리그 (Jack-up Drilling Rigs)

R. G. LeTourneau가 설계하고 1955년 12월에 진수된 "스코피온"은 최초의 잭업 리그 중 하나였다. 자파타 오일에 의해 주문되었으며, 3개의 전기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격자형 다리를 특징으로 했다. 미시시피강 기슭에서 LeTourneau Company에 의해 건설되었고, 1956년 5월 텍사스주 포트 아란사스에서 가동되었으나, 1969년에 손실되었다.[8][9][10]

해상 굴착이 30m까지 더 깊은 수역으로 이동하면서 고정 플랫폼 리그가 건설되었고, 30m에서 120m 수심의 멕시코 만에서 굴착 장비에 대한 수요가 필요해지면서, ENSCO International의 선구자와 같은 전문 해상 굴착 계약자로부터 최초의 잭업 리그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잭업 리그는 선박처럼 이동하여, 부착된 다리를 해저에 내려 접지시키고, 조류 등의 자연 환경에 맞춰 갑판을 잭업(jack up)하여 설치한다. 얕은 바다에서만 사용된다.

4. 5. 드릴십 (Drillships)

드릴십식(선박식)은 굴착 장치를 갖춘 선박으로, 새로운 유전이나 가스전 탐사에 주로 사용되지만 과학적 탐사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유조선을 개조하여 건조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동 선박 위치 유지 장치를 이용하여 굴착 지점에 머무른다. 1,500m 이상의 대수심에서 가동할 수 있고, 이동성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4. 6. 부유식 생산, 저장 및 하역 설비 (FPSO)

부유식 생산 저장 적출 설비(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는 석유 처리 설비를 갖춘 큰 선박으로, 장기간에 걸쳐 한 지점에 고정되어 사용된다. 부유식 생산 시스템에는 부유식 생산 저장 적출 설비(FPSO), 부유식 저장 적출 설비(FSO: Floating Storage and Offloading), 부유식 저장 설비 (FSU: Floating Storage Unit) 등의 종류가 있다. 이들은 굴착 자체는 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굴착한 갱구로부터의 생산, 저장, 적출만 수행한다.

4. 7. 텐션 레그 플랫폼 (Tension-Leg Platforms, TLP)

텐션 레그 플랫폼(TLP: Tension-leg platform)은 물에 뜨는 구조물을 케이블로 해저에 고정하여, 대부분의 수직 방향 움직임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구조물은 강한 부력이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케이블로 해저에 강하게 당겨져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TLP는 2000m 정도의 깊이까지 사용된다. 기존의 TLP는 세미 서브와 유사하게 4개의 기둥을 갖춘 구조를 하고 있다. Seastar와 MOSES mini TLP라고 불리는 더 저렴한 형태는 200m에서 1100m 정도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mini TLP는 심해 탐사에서 초기 생산 플랫폼 등으로도 활용된다.[53]

4. 8. 스파 플랫폼 (Spar Platforms)

스파(SPAR)는 TLP처럼 해저에 묶여 있지만, TLP가 수직 방향으로 장력을 가진 케이블로 고정되어 있는 반면, 스파는 기존의 케이블로 고정되어 있다. 스파는 세 가지 형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하나는 기존형(conventional)으로, 하나의 수직 원통형 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며, 또 하나는 트러스 스파(truss spar)로, 상부의 부력 구조체(하드 탱크라고 불린다)와 하부의 밸러스트를 넣은 구조체(소프트 탱크라고 불린다)를 잇는 트러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 세 번째는 셀 스파(cell spar)로, 여러 개의 수직 원통형 구조물을 가지고 있다. 소형이나 중형 플랫폼을 만드는 데 있어서는 TLP보다 스파가 경제적이며, 또한 하부에 추를 가지고 수직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묶는 줄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안정적이다. 묶는 줄에 설치된 체인 잭을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최초로 생산을 시작한 스파는 커 맥기(Kerr-McGee)의 넵튠(Neptune)으로, 멕시코 만의 590m 깊이의 지점에 설치된 부유 생산 설비이다. 다만, 과거에는 스파는 FSO로 사용되었다.[12]

Eni의 데블스 타워는 1710m 깊이의 지점에 설치되어 있으며, 2010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깊은 스파였다. 2011년 현재 세계에서 가장 깊은 플랫폼은 멕시코 만에 있는 Perdido 스파로, 2438m 깊이의 물에 떠 있다. 로열 더치 쉘이 운영하며, 건설 비용은 30억달러였다.[20][21]

최초의 트러스 스파는 커 맥기의 붐뱅(Boomvang)과 낸슨(Nansen)이다. 유일한 셀 스파는 커 맥기의 레드 호크(Red Hawk)이다.[22]

4. 9. 무인 설비 (Normally Unmanned Installations, NUI)

이러한 설비들은 때때로 "두꺼비"라고 불리며, 유정 베이, 헬리패드, 비상 대피소 등으로 구성된 작은 플랫폼이다.[53] 이들은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원격으로 운영되도록 설계되었으며, 정기적인 유지 보수 또는 유정 작업을 위해 가끔 방문한다.

4. 10. 컨덕터 지지 시스템 (Conductor Support Systems)

이러한 설비는 '위성 플랫폼'이라고도 불리며, 웰 베이와 작은 공정 플랜트로 구성된 소형 무인 플랫폼이다. 이들은 유체 라인 또는 엄빌리컬 케이블을 통해, 혹은 둘 다를 사용하여, 플랫폼과 연결된 고정 생산 플랫폼과 함께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53]

5. 특히 큰 플랫폼



페트로니우스 플랫폼은 멕시코만에 있는 유연성 타워로, 해저 위로 약 640.08m 높이의 Hess Baldpate 플랫폼을 모델로 했다. 이 플랫폼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구조물 중 하나이다.[23]

캐나다의 히베르니아 플랫폼은 뉴펀들랜드 해안에서 떨어진 대서양의 잔 다르크 분지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해상 플랫폼이다. 이 ''중력 기반 구조물''(GBS)은 해저에 위치하며 높이는 111m이고, 85m 높이의 케이슨에 1.3Moilbbl의 원유 저장 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 플랫폼은 빙산의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톱니 모양의 외부 가장자리를 가진 작은 콘크리트 섬 역할을 한다. GBS에는 생산 저장 탱크가 있으며 나머지 공간은 밸러스트로 채워져 전체 구조물의 무게는 120만 톤에 달한다.

로열 더치 쉘은 부유식 액화 천연 가스(FLNG) 시설을 개발했으며, 이 시설은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해안에서 약 2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것은 가장 큰 부유식 해상 시설이다. 전체 밸러스트 상태에서 약 488m 길이, 74m 너비에 배수량은 약 60만 톤이다.[24]

멕시코 만에 설치된 석유 플랫폼인 페트로니우스(Petronius)는 해저에서부터 높이가 약 609.60m이다. 평가 기준에 따라 다르지만, 이는 2010년에 부르즈 할리파가 완공되기 전까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공 구조물이었다.

대서양의 뉴펀들랜드 섬 앞바다, 잔 다르크 분지(Jeanne D'Arc basin)에 위치한 하이베르니아 유전에는 세계 최대의 석유・가스 플랫폼이 설치되어 있다. 해저에 설치된 중력 착저형 구조물(GBS: Gravity Base Structure)은 높이 약 110.95m이며, 높이 약 84.98m의 케이슨 안에 1300000bbl의 원유를 저장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은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어 빙산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작은 콘크리트 섬처럼 설계되었다. 중력 착저형 구조물은 저장 탱크 외의 부분은 밸러스트로 채워져 있으며, 총 중량은 120만 톤에 달한다. 이 플랫폼의 높이는 약 224.64m로, 이는 뉴욕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약 448.97m)의 약 절반이며, 캘거리 타워(약 190.99m)보다 약 32.92m 더 높다.

6. 유지 보수 및 공급

전형적인 석유 생산 플랫폼은 에너지와 물의 필요를 자체적으로 충족하며, 발전, 해수 담수화 설비, 그리고 파이프라인을 통해 직접 육상으로 또는 부유식 플랫폼이나 유조선 적재 시설로, 또는 둘 다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석유와 가스를 처리하는 데 필요한 모든 장비를 갖추고 있다. 석유/가스 생산 공정의 요소에는 유정 헤드, 생산 매니폴드, 생산 분리기, 가스 건조를 위한 글리콜 공정, 가스 압축기, 물 주입 펌프, 석유/가스 수출 계량 및 주요 오일 라인 펌프가 포함된다.[3]

대형 플랫폼은 수색 및 구조 작전이 필요할 때와 같이 무언가 잘못되었을 때 소환되는 영국의 lolair와 같은 소형 ESV(비상 지원선)의 지원을 받는다. 정상적인 작동 중에는 PSV (플랫폼 지원선)이 플랫폼에 물품을 공급하고, AHTS 선박도 플랫폼에 공급할 수 있으며, 플랫폼을 지정된 위치로 끌고 가 대기 구조 및 소방 선박의 역할을 한다.[3]

붕따우 유전의 석유 플랫폼을 위한 플랫폼 지원선

7. 승무원

플랫폼의 승무원은 플랫폼의 종류, 위치, 환경에 따라 인원수와 구성이 크게 달라진다. 석유 플랫폼은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24시간 작업을 통해 생산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굴착지의 위치와 환경에 따라 수개월 동안 주재가 필요할 수 있다. 탐사 유전을 찾아낸 경우에는 담당자들에게 보너스를 지급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도 한다.[1]

24시간 조업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주간 근무와 야간 근무, 최소 2팀의 승무원 조합이 항상 승선하고 있어야 한다. 승무원은 정기적으로 교대하며, 보통 2주 정도의 교대 간격을 가진다. 선내에는 운동 및 오락 시설 등이 갖춰져 있으며, 보급선을 통해 정기적으로 물품이 공급된다.[1]

7. 1. 필수 인력

다음은 모든 플랫폼에 항상 존재하는 인력은 아니다. 소규모 플랫폼에서는 한 명의 작업자가 여러 가지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음은 업계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명칭이 아닐 수도 있다.

  • OIM (해상 설치 관리자)는 교대 근무 중 최고의 권한을 가지며 플랫폼 운영과 관련하여 필수적인 결정을 내린다.
  • 운영 팀 리더 (OTL)
  • 해상 운영 엔지니어 (OOE)는 플랫폼의 수석 기술 권한자이다.
  • PSTL 또는 운영 코디네이터: 크루 변경 관리를 담당한다.
  • 다이내믹 포지셔닝 운영자: 항해, 선박 또는 선박 조종 (MODU), 위치 유지, 화재 및 가스 시스템 운영 (사고 발생 시)을 담당한다.
  • 2등 항해사, 3등 항해사: 기국(flag state)의 인력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고속 구조정을 운영하며, 화물 작업을 수행하고, 화재 팀 리더 역할을 한다.
  • 밸러스트 제어 운영자: 화재 및 가스 시스템을 작동한다.
  • 크레인 운영자: 플랫폼 주변 및 보트 간에 화물을 들어 올리기 위해 크레인을 작동한다.
  • 비계공: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해야 할 경우를 대비하여 비계를 설치한다.
  • 조정수: 구명정을 유지 관리하고 필요한 경우 인력을 배치한다.
  • 제어실 운영자: 특히 FPSO 또는 생산 플랫폼에서 근무한다.
  • 취사 인원: 요리, 세탁 및 숙소 청소와 같은 필수 기능을 수행한다.
  • 생산 기술자: 생산 설비를 운영한다.
  • 헬리콥터 조종사: 일부 플랫폼에 거주하며 헬리콥터를 기반으로 하여 크루 교대 시 작업자를 다른 플랫폼이나 해안으로 수송한다.
  • 유지 보수 기술자 (계측, 전기 또는 기계)
  • 기타:
  • 모든 무선 통신을 운영하는 무선 통신사.
  • 창고 관리인: 재고를 잘 보관한다.
  • 탱크의 액체 레벨을 기록하는 기술자.


플랫폼에 따라 승무원의 인원수와 구성은 크게 다르다. 플랫폼은 본질적으로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작업을 24시간 지속하여 생산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굴착지의 위치와 환경에 맞춰, 수 개월의 기간 동안 주재가 필요하다. 실제로 탐사 유전을 찾아낸 경우에는, 담당자들에게 보너스를 지급하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경우가 많다.

24시간 조업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주간 근무와 야간 근무, 2팀의 완전한 승무원 조합이 상시 승선하고 있어야 한다. 승무원은 정기적으로 교대하며, 전형적으로 2주 정도의 교대 간격이다. 선내에는 운동·오락 시설 등도 갖춰져 있으며, 보급선을 통해 정기적으로 물품이 공급된다.

아래는 모든 석유 플랫폼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소규모 플랫폼에서는 한 사람이 여러 분야를 담당하는 경우도 있으며, 직종의 이름은 장소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OIM (해상 설치 관리자) — 근무 교대 기간 동안 플랫폼 운영에 관한 결정을 내리는 최고 책임자
  • OTL(운영 팀 리더)
  • OOE(해상 운영 엔지니어) — 플랫폼의 기술적 책임자
  • PSTL, 또는 변경 관리 운영 코디네이터
  • 동적 위치 제어 운영자 — 항법, 선박 조작, 플랫폼 관리, 사고 발생 시 소방 설비 조작
  • 2등 항해사, 3등 항해사 — 기국이 정한 인원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구명정 조작, 화물 취급, 소방반 리더
  • 밸러스트 관리자 — 밸러스트 관리, 소화 시스템 조작
  • 크레인 조종사 — 플랫폼 주변의 크레인을 이용한 하역 작업
  • 비계공 — 고소 작업이 필요할 때 작업자용 비계를 설치
  • 타수 — 구명정 관리 및 조작
  • 제어실 운영자 — 특히 생산 설비가 있는 플랫폼
  • 급사 — 요리, 세탁, 청소 등의 잡일 담당. 전문 셰프가 있는 경우도 있다.
  • 생산 기술자 — 생산 플랜트 운영
  • 헬리콥터 조종사 — 헬리콥터로 운영되는 플랫폼에 존재하며, 승무원 교대 시 승무원을 다른 플랫폼이나 육상으로 수송하는 항공편을 운항
  • 기계·전기 보수 기술자
  • 굴착 관련 승무원은 굴착 작업 시에만 배치된다.
  • * 리그 관리자
  • * 굴착 작업자
  • * 회사 측 대표자 — 운영·탐사 회사 측 대표자
  • * 머드 기술자 — 굴착 시에 선단부의 머드 제거, 윤활 등을 수행
  • * 데릭 취급자 — 데릭을 조작하여 보링파이프를 취급
  • * 지질학자

  • 갱구 관리를 위한 승무원은 갱구 관리 시에 배치된다.
  • * 갱구 관리 관리자
  • * 와이어·관 조작원
  • * 펌프 조종원

7. 2. 부수적 인력

플랫폼에 따라 승무원의 인원수와 구성은 크게 다르다. 소규모 플랫폼에서는 한 사람이 여러 분야를 담당하기도 한다. 또한 직종의 이름은 장소에 따라 다를 수 있다.[1]

24시간 조업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주간 근무와 야간 근무, 2팀의 완전한 승무원 조합이 상시 승선하고 있어야 한다. 승무원은 정기적으로 교대하며, 전형적으로 2주 정도의 교대 간격이다. 선내에는 운동·오락 시설 등도 갖춰져 있으며, 보급선을 통해 정기적으로 물품이 공급된다.[1]

  • OIM(해상 설치 관리자) — 근무 교대 기간 동안 플랫폼 운영에 관한 결정을 내리는 최고 책임자[1]
  • OTL(운영 팀 리더)[1]
  • OOE(해상 운영 엔지니어) — 플랫폼의 기술적 책임자[1]
  • PSTL, 또는 변경 관리 운영 코디네이터[1]
  • 동적 위치 제어 운영자 — 항법, 선박 조작, 플랫폼 관리, 사고 발생 시 소방 설비 조작[1]
  • 2등 항해사, 3등 항해사 — 기국이 정한 인원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구명정 조작, 화물 취급, 소방반 리더[1]
  • 밸러스트 관리자 — 밸러스트 관리, 소화 시스템 조작[1]
  • 크레인 조종사 — 플랫폼 주변의 크레인을 이용한 하역 작업[1]
  • 비계공 — 고소 작업이 필요할 때 작업자용 비계를 설치[1]
  • 타수 — 구명정 관리 및 조작[1]
  • 제어실 운영자 — 특히 생산 설비가 있는 플랫폼[1]
  • 급사 — 요리, 세탁, 청소 등의 잡일 담당. 전문 셰프가 있는 경우도 있다.[1]
  • 생산 기술자 — 생산 플랜트 운영[1]
  • 헬리콥터 조종사 — 헬리콥터로 운영되는 플랫폼에 존재하며, 승무원 교대 시 승무원을 다른 플랫폼이나 육상으로 수송하는 항공편을 운항[1]
  • 기계·전기 보수 기술자[1]


굴착 작업이 수행될 경우 굴착 팀이, 유정 작업을 할 경우에는 유정 서비스 팀이 탑승한다. 굴착 관련 승무원은 굴착 작업 시에만, 갱구 관리를 위한 승무원은 갱구 관리 시에만 배치된다.[1]

잭업 리그에서 수리를 수행하는 용접공.
[1]
일반적인 굴착 팀 구성[1]
일반적인 유정 서비스 팀 구성[1]

  • 유정 서비스 감독관[1]
  • 와이어라인 또는 코일 튜빙 작업자[1]
  • 펌프 작업자[1]
  • 펌프 행거 및 레인저[1]

8. 문제점

해양 석유 및 가스 생산은 육상 설비보다 더 어려운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해양 석유 부문은 매우 큰 생산 설비를 제공해야 하는 필요성을 포함한 여러 과제를 안고 있으며, 트롤 A 플랫폼과 같이 수심 300m에 위치한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기도 한다.[26]

해양 플랫폼은 위치 유지를 위해 계류 시스템을 갖춘 부유식일 수 있다. 부유식 시스템은 고정식보다 더 깊은 수역에서 비용이 적게 들지만, 플랫폼의 동적 특성으로 인해 시추 및 생산에 어려움이 따른다. 해양은 유체 기둥에 수천 미터 이상을 더하여 시추공의 순환 밀도와 지하 압력을 높이고, 생산된 유체를 끌어올리는 데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하게 한다.

오늘날에는 더 많은 생산 작업을 해저에서 수행하는 추세이다. 물과 기름을 분리하여 플랫폼으로 펌핑하는 대신 재주입하거나, 해상 설치 없이 육상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다. 해저 설치는 접근이 어려웠던 깊은 수역의 자원을 활용하고, 바렌츠 해와 같이 해빙으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얕은 환경에서는 표류하는 얼음이 해저 설비를 손상시킬 수 있어 해저 매설 등의 보호 방법이 필요하다.[26]

1982년, 승무원의 숙소가 있는 플로텔 Polymariner와 함께 스타트피요르 유전의 석유 플랫폼 Statfjord A.


해상 유인 시설은 물류 및 인적 자원 문제도 야기한다. 해상 석유 플랫폼은 카페테리아, 숙소, 관리 등 지원 기능을 갖춘 작은 공동체이다. 북해에서는 직원이 2주 교대 근무를 위해 헬리콥터로 이동하며, 육상 근로자보다 높은 급여를 받는다. 보급품과 폐기물은 선박으로 운송되며, 제한된 저장 공간 때문에 보급품 배송을 신중하게 계획해야 한다. 최근에는 많은 인력을 육상으로 재배치하고, 관리 및 기술 전문가는 화상 회의로 플랫폼과 연락하는 추세이다. 육상 직무는 석유 산업의 고령화된 노동력에게 더 매력적이며, 이러한 노력은 통합 운영이라는 용어에 포함된다. 해저 시설 사용 증가는 더 많은 근로자를 육상에 유지하는 데 기여하며, 새로운 분리기나 다른 유형의 석유를 위한 모듈 확장도 용이하다.[26]

영국 해역 내 모든 플랫폼 철거 비용은 1995년 기준 3450억달러로 추정되며, 파이프라인 철거까지 포함하면 6210억달러에 달한다.

부력 탱크에 축적된 중금속이 물에 침투하는 문제, 폐기 시 위험, 완전히 해체되지 않은 플랫폼이 선박 통과에 미치는 영향, 어선 그물 걸림 등의 문제도 있다. 1996년 브렌트 스파 저장 부이 해상 폐기 제안은 그린피스 점거와 독일 총리의 영국 항의 등 환경 문제를 야기하여 유럽의 석유 플랫폼 폐기 정책 재검토를 촉발했다.[32]

8. 1. 위험 요소

석유 플랫폼 운영은 위험한 환경과 고압 조건에서 휘발성 물질을 다루기 때문에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다. 1988년 북해 파이퍼 알파 플랫폼 폭발 사고로 167명이 사망했으며, 이 사고에 대한 컬렌 보고서는 관리, 설계, 작업 허가 시스템 등 여러 문제점을 지적했다.[26] 이 사고를 계기로 거주 시설을 별도 플랫폼에 설치하는 관행이 가속화되었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거리는 구조 작전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123명의 사망자를 낸 알렉산더 L. 키엘란드 플랫폼의 전복 사고가 그 예시이다.


해상 환경 자체도 위험 요소이다. 1980년 3월, 북해에서 알렉산더 L. 키엘란드 플랫폼이 폭풍으로 전복되어 123명이 사망했다.[27] 2001년에는 브라질의 페트로브라스 36 플랫폼이 폭발 후 침몰하여 11명이 사망했다.

미국 해군 특수부대가 캘리포니아 석유 플랫폼에서 훈련하고 있다.


석유 및 가스 플랫폼은 경제적 중요성 때문에 테러의 표적이 될 수 있다.[28] 미국 해안 경비대, 미 해군 특수부대, 해병대 정찰대 등은 해상 대테러 훈련을 실시한다.[29]

2010년 4월, 딥워터 호라이즌 플랫폼 (트랜스오션 소유, BP 임대)이 폭발하여 11명이 사망하고 침몰했다. 이 사고로 인한 원유 유출은 미국 역사상 최악의 해양 원유 유출 사고로 기록되었다.

1988년 7월, 북해의 파이퍼 유전(Piper field)에 있는 옥시덴탈 페트롤리엄의 파이퍼 알파가 가스 누출 사고를 일으켜 폭발, 167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로 석유 채굴에 사용하는 리그에서 거주 구획을 분리하여 다른 리그에 설치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었다. 2002년 뉴올리언스 앞바다의 석유 플랫폼 폭발 사고, 2010년 루이지애나주 앞바다의 딥워터 호라이즌 폭발 및 2010년 멕시코만 원유 유출 사고에서 볼 수 있듯이,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1980년 3월, 북해의 알렉산더 킬란트 플랫폼 (Alexander Kielland)이 폭풍으로 전복되어 123명이 사망했다. 이처럼 플랫폼은 그 자체가 위험한 환경에 설치되어 있다.

석유 산업과 관련된 반대 운동이나 음모, 또는 석유와 천연 가스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 때문에, 미국의 플랫폼은 테러리스트의 공격 목표가 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해상 테러 대책과 관련된 당국(미국 해안 경비대 및 네이비 실)은 종종 플랫폼 공격에 대한 대처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8. 2. 환경 영향

NOAA의 2006년 멕시코만 석유 및 가스 플랫폼 3,858개 지도


2010년 5월 5일 딥워터 호라이즌 원유 유출 사고 이후 루이지애나주 멕시코만에서 통제된 유류 화재로 인한 연기


장기간의 가스 연소는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상 석유 생산은 환경적 위험을 수반하며, 특히 유조선 또는 플랫폼에서 육상 시설로 석유를 운송하는 파이프라인에서의 유류 유출, 플랫폼에서의 누출 및 사고가 가장 두드러진다.[35] 또한, 생산수가 생성되는데, 이는 석유 및 가스와 함께 표면으로 올라오는 물로, 일반적으로 염도가 높고 용해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수생 생물은 예외 없이 석유 플랫폼의 해저 부분에 부착되어 인공 암초로 변모시킨다. 멕시코만과 캘리포니아 연안에서 석유 플랫폼 주변 해역은 플랫폼 근처에 물고기가 더 많기 때문에 스포츠 및 상업 어부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다. 미국브루나이는 퇴역 석유 플랫폼을 영구적인 인공 암초로 바다에 남겨두거나 새로운 위치로 끌어가는 활동적인 리그 투 리프(Rigs-to-Reef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2012년 9월 기준으로 미국 멕시코만에서는 퇴역 플랫폼의 약 10%인 420개의 석유 플랫폼이 영구 암초로 전환되었다.[31]

미국 태평양 연안에서 해양 생물학자 밀턴 러브는 캘리포니아 연안의 석유 플랫폼을 (막대한 비용을 들여) 해체하는 대신 인공 암초로 유지할 것을 제안했는데, 그가 11년간의 연구 과정에서 이곳이 그렇지 않으면 지역에서 감소하는 많은 어종의 은신처임을 발견했기 때문이다.[32][33] 러브는 주로 정부 기관의 자금 지원을 받지만, 캘리포니아 인공 암초 강화 프로그램으로부터도 소액의 지원을 받는다. 다이버들은 플랫폼 주변의 어류 개체수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34]

해상 시추 시설은 허리케인 기간 동안 가동이 중단된다.[36] 멕시코만에서는 석유 플랫폼의 증가로 인해 허리케인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메탄으로 주변 공기를 데우기 때문이다. 미국의 멕시코만 석유 및 가스 시설에서 매년 약 50만 톤의 메탄이 배출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생산된 가스의 2.9% 손실에 해당한다. 석유 시추 시설의 증가는 또한 유조선의 이동을 증가시키며, 이는 이산화탄소(CO2) 수준을 증가시켜 해당 지역의 물을 직접적으로 데우며, 따뜻한 물은 허리케인이 형성되는 주요 요인이다.[37]

대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는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석유 플랫폼에서 펌핑된 천연 가스의 메탄 열분해는 가스 연소에 대한 가능한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메탄 열분해는 이 천연 가스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의 무공해 수소를 생산한다. 이 공정은 약 1000 °C에서 작동하며, 메탄에서 고체 형태로 탄소를 제거하여 수소를 생산한다.[38][39][40] 그런 다음 탄소를 지하로 펌핑할 수 있으며, 대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는다.

이것은 Karlsruhe Liquid-metal Laboratory(KALLA)[41] 및 캘리포니아 대학교 - 산타바바라의 화학 공학 팀[42]과 같은 연구 실험실에서 평가되고 있다.

9. 한국의 입장 및 과제

한국은 석유 플랫폼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언급은 없지만, 세계적으로 깊은 수심에 설치된 석유 플랫폼 기술 개발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멕시코 만의 퍼디도와 같이 2450m 깊이의 심해에서도 석유 시추가 가능한 스파 플랫폼 기술은 한국의 해양 자원 개발 및 플랜트 산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다음은 비부유식 가동 타워 및 고정 플랫폼의 수심별 설치 현황(깊은 순)이다.

플랫폼 이름수심
페트로니우스 플랫폼535m
볼드페이트 플랫폼502m
트롤 A 플랫폼472m
불윙클 플랫폼413m
폼파노 플랫폼393m
벵겔라-벨리즈 로비토-톰보코 플랫폼390m
굴팍스 C 플랫폼380m
톰부아 란다나 플랫폼366m
하모니 플랫폼366m


10. 용도 변경

만약 퇴역하지 않는다면,[43] 오래된 플랫폼들은 해저 아래 암석에 CO2를 주입하기 위해 용도 변경될 수 있다.[44][45] 다른 플랫폼들은 우주 로켓 발사를 위해 개조되었으며, 더 많은 플랫폼들이 대형 로켓 발사체에 사용하도록 재설계되고 있다.[46]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는 퇴역한 석유 시추 시설을 테마파크로 용도 변경할 계획이 있다.[47]

참조

[1] 논문 Applicability ranges for offshore oil and gas production facilities
[2] 간행물 10 Reasons Not to Drill for Oil Offshore of Florida http://thebradentont[...] The Bradenton Times 2018-01-14
[3] 웹사이트 Oil in Azerbaijan http://www.members.t[...] 2015-04-20
[4] 논문 Beyond Sight of Land: A History of Oil Exploration in the Gulf of Mexico https://www.academia[...] 2016-06
[5] 문서 Ref accessed 02-12-89 by technical aspects and coast mapping. Kerr-McGee
[6] 웹사이트 Project Redsand CIO | Protecting The Redsand Towers http://www.project-r[...] 2007-06-16
[7] 간행물 Azerbaijan's Oil History: Brief Oil Chronology since 1920 Part 2 http://www.azer.com/[...] 2003-Summer
[8] 웹사이트 Rowan Companies marks 50th anniversary of landmark LeTourneau jackup http://iadc.org/dcpi[...] 2017-05-01
[9] 웹사이트 History of offshore drilling units – PetroWiki http://petrowiki.org[...] 2015-06-02
[10] Youtube Building A Legend - Part 2 https://www.youtube.[...] 2017-05-01
[11] 웹사이트 RIGZONE – Offshore Rig Data, Onshore Fleet Analysis http://www.rigzone.c[...] 2015-04-20
[12] 웹사이트 UPDATE 1-Shell starts production at Perdido https://www.reuters.[...] 2010-03-31
[13] 웹사이트 Contracts let for Marjan oil field development. (Saudi Arabian Oil Co. bids out offshore development contracts) (Saudi Arabia) http://www.highbeam.[...] 1992-03-27
[14] 뉴스 Russian Rosneft announces major oil, gas discovery in Arctic Kara Sea https://www.platts.c[...] Platts 2017-08-18
[15] 웹사이트 Year 2006 National Assessment – Alaska Outer Continental Shelf https://www.boem.gov[...] Dept Interior BEOM 2017-08-18
[16] 웹사이트 NOAA Ocean Explorer: Expedition to the Deep Slope https://oceanexplore[...] 2022-06-02
[17] 웹사이트 An Overview of Design, Analysis,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Off… https://www.slidesha[...] 2013-10-31
[18] 웹사이트 Significant Guidanc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Marine and Offsho… https://www.slidesha[...] 2013-10-31
[19] 뉴스 Chevron Drillship http://www.chevron.c[...] 2010-03-11
[20] 뉴스 Deep Gulf drilling thrives 18 mos. after BP spill https://phys.org/new[...] 2011-12-30
[21] 뉴스 The offshore drilling life: cramped and dangerous https://apnews.com/7[...] 2011-12-30
[22] 뉴스 First Cell Spar http://www.fmctechno[...]
[23] 웹사이트 What is the World's Tallest Building? http://www.allabouts[...] 2010-05-23
[24] 웹사이트 FLNG gets serious http://gastoday.com.[...] 2010-08
[25] 뉴스 Potential for big spill after oil rig sinks https://www.nbcnews.[...] 2010-04-22
[26] 문서 http://www.oilandgas[...]
[27] 뉴스 North Sea platform collapses http://news.bbc.co.u[...] 1980-03-27
[28] 뉴스 Potential Threats To Offshore Platforms https://apps.dtic.mi[...] The RAND Corporation
[29] 뉴스 Gen. Stanley McChrystal explains what most people get wrong about Navy SEALs https://www.business[...] Business Insider
[30] 문서 http://www.raeng.org[...]
[31] 웹사이트 Decommissioning and Rigs-to-Reefs in the Gulf of Mexico: FAQs http://sero.nmfs.noa[...]
[32] 뉴스 Vacation in Rome? Or on That Oil Rig? https://www.nytimes.[...] 2015-08-15
[33] 웹사이트 Ecological Performance and Trophic Links: Comparisons Among Platforms And Natural Reefs For Selected Fish And Their Prey http://www.coastalr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34] 서적 The Diving for Science, "Methods and Techniques of Underwater Research" American Academy of Underwater Sciences (AAUS)
[35] Youtube Debate Over Offshore Drilling http://www.webcastr.[...] 2008
[36] 논문 The impact of extreme weather on offshore production in the Gulf of Mexico 2008-10
[37] 논문 Methane Emissions from Offshore Oil and Gas Platforms in the Gulf of Mexico 2020-03-09
[38] 웹사이트 The reaction that would give us clean fossil fuels forever https://www.newscien[...] 2020-10-20
[39] 웹사이트 'Hydrogen from methane without CO2 emissions' https://phys.org/new[...] 2020-10-20
[40] 웹인용 BASF researchers working on fundamentally new, low-carbon production processes, Methane Pyrolysis https://www.basf.com[...] BASF 2020-10-19
[41] 웹사이트 'KITT/IASS – Producing CO2 free hydrogen from natural gas for energy usage' https://www.european[...] 2020-10-20
[42] 웹인용 'low-cost, low-emissions technology that can convert methane into hydrogen without forming CO2' https://phys.org/new[...]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20-10-19
[43] 웹인용 The Afterlife of Old Offshore Oil Rigs – ASME https://www.asme.org[...]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19
[44] 뉴스 'Old oil rigs could become CO2 storage sites' https://www.bbc.com/[...] 2021-10-08
[45] 뉴스 Ageing oil rigs could be used to store carbon and fight climate change https://www.thetimes[...] 2020-10-20
[46] 뉴스 SpaceX acquires former oil rigs to serve as floating Starship spaceports https://www.nasaspac[...] 2021-01-20
[47] 뉴스 Saudi Arabia unveils plan to build a massive adventure tourism destination 'The Rig': Check details https://www.cnbctv18[...] 2024-01-25
[48] 뉴스 リグ建造大手、海外で都市開発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8-03
[49] 웹사이트 Project Redsand http://www.project-r[...]
[50] 웹사이트 11.2 Azerbaijan's Oil History Brief Oil Chronology since 1920 ­ Part 2 by Mir-Yusif Mir-Babayev http://www.azer.com/[...]
[51] 웹사이트 IHI、海洋構造物事業から撤退 https://web.archive.[...] サンケイBIZ 2018-06-30
[52] 웹사이트 【社説】「会社が破綻して気づく」と言われる韓国労働組合の常習ストライキ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社 2018-06-30
[53] PDF Poster illustrating different oil platform types and records https://portal.musta[...]
[54] 저널 Applicability ranges for offshore oil and gas production facilit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