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행대대는 군용기를 운용하는 부대로, 각 국가의 공군에서 다양한 형태로 편성된다. 대한민국 공군에서는 최소 두 개 이상의 편대로 구성되며, 중령이 대대장 직책을 맡는다. 미국 공군은 중령이 지휘하는 부대로, 전투 비행대대는 12~24대의 전투기를 보유할 수 있다. 미 해군은 사령관이, 해병대는 중령이 지휘하며, 미 육군 항공대는 항공 여단에 보고하는 대대 또는 비행대대로 편성될 수 있다. 일본 제국 육군 항공 부대는 비행중대를 비행대로 명명했으며, 자위대에서는 육상, 해상, 항공 자위대 모두 비행대대를 운용한다. 영국 공군은 대대급 부대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지휘관은 대령으로 승격되었다. 독일 공군에서는 '슈타펠'이 대대급에 해당하며,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도 비행대대를 운용한다. 비행대대의 조직 구조는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며, 규모, 지휘관 계급, 편제 등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비행대대 | |
---|---|
개요 | |
유형 | 군사 항공 부대 |
규모 | 국가 및 공군에 따라 다름 |
역할 | 전투, 폭격, 정찰, 수송 등 |
역사 (기원) | |
기원 | 1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왕립 항공대 (Royal Flying Corps) |
구성 (일반적인 구성) | |
항공기 수 | 일반적으로 12~24대 |
하위 부대 | 비행대 (Flights) |
국가별 편제 | |
영국 공군 (RAF) | 여러 개의 비행대로 구성된 기본 부대 |
미국 공군 (USAF) | 비행단 (Wing)의 하위 부대 |
캐나다 공군 (RCAF) | 비행대 (Flights)로 나뉨 |
기타 국가 | 국가별로 고유한 편제 및 명칭 사용 |
역할 및 임무 | |
전투 비행대 | 공중전, 제공권 확보 |
폭격 비행대 | 지상 목표물 공격 |
정찰 비행대 | 정보 수집 |
수송 비행대 | 병력 및 물자 수송 |
훈련 비행대 | 조종사 훈련 |
독일 공군 (Luftwaffe) | |
명칭 | 슈타펠 (Staffel) |
프랑스 공군 (Armée de l'air) | |
명칭 | 에스카드롱 (Escadron) |
일본 | |
일본 제국 해군 항공대 | 飛行隊 (히코-타이) |
일본 항공자위대 | 飛行隊 (히코-타이) |
한국 | |
대한민국 공군 | 비행대대 (飛行大隊) |
기타 | |
참고 | 전대 |
2.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공군의 스쿼드론은 대대로 번역된다. 군용기를 운용하는 부대는 접두사로 '비행'(Flying|플라잉영어)을 붙여 '비행대대'로 명명되며, 최소 두 개 이상의 편대로 구성된다. 지휘관은 대대장이며, 중령 계급의 장교가 임명된다.
미국 공군의 경우, 주요 사령부(Major Command, 사령관은 대장 혹은 중장) 아래에 오산 제7공군과 같은 서수공군(Numbered Air Force, 중장 혹은 소장)-비행단(Wing, 준장)-비행전대(Group, 대령)-비행대대(Squadron, 중령)-편대(Flight) 순으로 조직된다.[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05704] 미국 공군 비행대대는 주요 조직 단위이며,[10] 두 개 이상의 비행대대가 모여 단으로, 두 개 이상의 단이 모여 비행단으로 지정된다.[11]
일본에서는 역사적으로 일본 제국 시기와 현대 자위대에서 비행대대에 해당하는 부대 편제가 운용되어 왔다. 일본 제국 육군 항공부대와 일본 제국 해군 항공부대에서는 각각 '비행중대' 및 '비행대'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며, 현대 자위대에서는 육상자위대, 해상자위대, 항공자위대별로 각기 다른 편제와 명칭으로 비행대대급 부대를 운용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미국
미국 공군 비행대대는 기본적으로 12대의 전투기를 보유하며, 많게는 18~24대까지 배속될 수 있다. 비행대대는 조종사와 비행 승무원으로 구성된 비행 부대일 수 있으며, 전투 비행대대, 폭격 비행대대, 공수 비행대대 등으로 불린다. 전투 비행대대는 18~24대의 항공기를 지원할 수 있고, 폭격기, 수송기, 정찰기 등 더 큰 항공기를 운용하는 비행대대는 더 적은 수의 항공기를 보유한다. 또한, 미사일 비행대대, 항공기 정비 비행대대, 정보 비행대대, 항공우주의학 비행대대, 헌병 비행대대, 토목공학 비행대대, 군수 지원 비행대대 등 비행 임무를 수행하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비행대대도 존재한다.[11]
미국 공군 비행대대는 일반적으로 중령 계급의 항공 전문 장교가 지휘하지만, 넬리스 공군 기지에서 레드 플래그 훈련을 관리하는 제414전투훈련비행대대와 같이 규모가 큰 일부 비행대대는 대령 계급의 장교가 지휘하기도 한다.[12] 비행 임무가 없는 비행대대 역시 일반적으로 중령이 지휘하지만, 일부는 소령 계급의 장교가 지휘할 수도 있다.
미국 해군의 비행대대는 사령관 계급의 항공 지정 장교가 지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외적으로 함대 교체 비행대대(FRS)는 종종 대령 계급의 장교가 지휘한다. 비행대대 지휘관(CO)은 같은 계급의 부지휘관(XO)의 지원을 받으며, 부지휘관은 차기 지휘관으로 임무를 인계받게 된다.[15] 해군 비행대대는 행정 지원 및 조직 수준의 항공기 정비 기능을 포함하며, 관련 인력 전체가 비행대대 소속이다.[13] 이러한 비행 외 기능의 감독은 대부분 해군 비행사와 해군 비행 장교가 정규 비행 임무 외에 "지상 업무"로 수행한다.[14] 해군 조기경보 비행대대는 4대의 항공기로 구성되며, 최대 규모의 비행대대는 12대의 전투기를 배속받는다. 훈련 및 시험 평가 비행대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해군 항공대 비행대대(USN 및 USMC)는 일반적으로 12대 이상의 항공기를 보유하지 않는다. 예외로는 헬리콥터 기뢰 제거 비행대대(17대의 MH-53) 등이 있다.
2020년대 기준으로 미국 해군의 항공모함 항공단에서는 F/A-18F 비행대대는 12기, F/A-18E 비행대대 중 하나는 12기, 나머지 두 개는 10기로 구성된다. F-35C는 당초 10기 규모의 F/A-18E 비행대대 2개를 대체할 계획이었으나, 납품 지연 등으로 16기 규모의 비행대대 1개로 구성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미국 해병대 항공대의 비행 부대는 미국 해군과 유사하게 구성되며, 비행대대라는 명칭은 비행단 본부, 전술 항공 사령부, 항공 통제, 항공 지원, 항공 물류 등 모든 대대급 항공 지원 조직에도 사용된다. 해병대 비행대대와 항공 지원 비행대대는 중령이 지휘하며, 부지휘관(XO)은 중령 또는 소령 계급의 항공 지정 장교이다. 해병대의 "복합" 중형 틸트로터 비행대대는 해병 원정대(MEU)의 항공 전투 요소(ACE)로 해상에 배치될 때 12대의 MV-22, 6대의 AH-1, 4대의 CH-53, 3대의 UH-1, 6대의 AV-8 등 다양한 항공기를 운용한다. 그 외에도 중형 헬리콥터 비행대대(16대의 CH-53), 경/공격 헬리콥터 비행대대(18대의 AH-1, 9대의 UH-1), 공격 비행대대(16대의 AV-8) 등은 비교적 많은 항공기를 보유한다. 미국 해병대 항공 부대의 F-35B 비행대대는 지상 기지에 10기를 남겨두고 6기를 강습 상륙함에 파견할 수 있도록 16기로 구성되었으나, 10기로 감축하는 방안이 검토 중이며, 이 경우 함선 파견 시 지상 기지에는 예비기만 남게 된다.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는 비행 부대가 항공 여단 산하의 대대 또는 비행대대(항공 기병 부대에 한함)로 편성된다. 항공기 정비는 대대 또는 여단의 항공 정비 중대나 부대에서 담당한다.[17]
미국 해안 경비대 항공 부대는 비행대대나 단/비행단 구조 대신 항공 기지 또는 항공 시설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단, 마약 단속 작전을 주로 수행하는 헬리콥터 차단 비행대대(HITRON)는 예외이다.[16]
미국 공군의 공식 민간 보조 조직인 민간 항공 순찰대(CAP)에서는 비행대대가 기본 행정 단위이며, USAF 조직 모델을 따른다.
미국 공군의 전신인 미국 육군 항공군에서는 "공군/항공군(Air Force)", "항공 병단(Air Command)", "항공 사단(Air Division)", "항공단(Wing)", "항공군(Group)" 다음에 "비행대대(Squadron)"가 위치했다. 그룹과 스쿼드론은 항공 전력 종류에 따라 "폭격대대(Bomb Group)"나 "전투기 중대(Fighter Squadron)"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유럽 전선에서는 제8공군, 태평양 전선에서는 제20공군이 주력이었다.규모
그룹[2]영국 및
미국 해군미국 공군 및
미국 해병대미국 우주군 캐나다[3] 프랑스 공군 및 우주군 독일 공군 이탈리아 공군 NATO 계급[4]
장군 또는
지휘관사단급 ÷ 공군 사단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공군 사단
Division aérienne÷ Luftwaffendivision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Divisione aerea OF-7 여단급 그룹 비행단 델타 (OF-5) 그룹[5]
Groupe aérien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Brigade Aérienne ÷ Brigata aerea OF-5, 또는 OF-6 연대/단급 비행단 그룹 비행단
EscadreEscadre Geschwader[6] (OF-5) Stormo OF-4, OF-5, 또는 OF-6 대대급 대대 대대 대대 (OF-4) 대대
EscadronEscadron Gruppe (OF-4) Gruppo OF-3 또는 OF-4 중대급 비행대 비행대 ÷ 비행대
EscadrilleEscadrille Staffel[7] (OF-3) Squadriglia OF-2 또는 OF-3 소대급 비행대 엘리먼트/섹션 섹션 Section Schwarm[8] / Kette sezione OF-1 또는 OF-2
4. 일본
4. 1. 일본 제국
일본 제국 육군 항공부대에서 비행대(飛行隊|히코타이일본어)는 1943년 연말 이전까지 비행중대(飛行中隊|히코추타이일본어)로 불렸다. 일반적으로 군용기 12기로 구성된 3개 이상의 비행소대로 비행중대를 편성하였고, 3~4개의 비행중대가 모여 상위 부대인 비행전대(FR)를 구성했다.
태평양 전쟁 시기 일본 육군의 항공 부대 편제는 항공총군 (FSA) - 항공군 (FA) - 비행사단 (FD) / 비행집단 (FC) - 비행단 (FB) - 비행전대 (FR) - 비행중대 (Fc) 순이었다. 이 중 '비행전대'와 '비행중대'가 현대의 비행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1943년 후반부터 전투기 부대에 한해 새로운 비행대 편성이 실시되면서, 기존의 '비행중대' 명칭은 폐지되고 '비행대'로 개편되었다. 전투 부대의 비행중대/비행대는 최소 단위인 2기 편대의 '분대' (롯데 전법) 2개가 모여 4기 편대의 '소대' (슈발름 전법)를 이루고, 이 '소대' 3개가 모여 총 12기의 1개 '비행중대/비행대'를 구성했다. 대략 3개의 '비행중대/비행대'가 1개 '비행전대'를 편성했다. 이 외에도 '독립 비행대 (Fs)', '연습 비행대 (FRF)', '교육 비행대 (FRK)', '연성 비행대 (FRL)' 등 비행대 명칭을 사용하는 다양한 부대가 있었다.
일본 제국 해군 항공부대에서는 1934년 6월 1일 '비행대 기본 편성'을 제정했고, 1936년 6월에 일부 개정했다. 다만 이는 예산상의 편성이었고, 실제 운용 편성은 별도로 정해졌다. 이후 1944년 3월 1일, 특설 함선 부대령 개정을 통해 특설 비행대 제도가 실시되었으며, 3월 4일에는 특설 비행대의 구체적인 명칭과 병력 등이 정해지면서 육상 해군 항공 기지의 부대 이름이 비행대로 개명되었다.
4. 2. 자위대
육상자위대에서는 방면항공대, 방면헬리콥터대, 대전차헬리콥터대, 제1헬리콥터단, 그리고 사단 예하에 비행대가 존재한다. 조직 구조상으로는 각 방면대 직할의 방면항공대나 방면 헬리콥터대, 대전차 헬리콥터대 아래에 비행대가 편성된다. 또한 중앙즉응집단 직할의 제1헬리콥터단 및 그 예하 제1수송헬리콥터군에도 각각 비행대가 있다.
해상자위대의 경우, 자위함대 직할인 항공집단(Fleet Air Force) 예하의 항공군(Fleet Air Wing, 航空群|고쿠군일본어) 아래에 편성된 '항공대'(Squadron)가 다른 자위대의 비행대대에 해당한다.
항공자위대는 부대 편성에 있어 미국 공군의 영향을 받았으며, 각 항공단(Air Wing)에 최소 2개의 항공대(비행대대)가 편성된다. 조직 체계는 항공총대(Air Defense Command) 아래에 항공방면대(Air Defence Force) 또는 항공혼성단(Composite Air Division), 그 아래에 항공단, 비행군(Air Group), 그리고 마지막으로 비행대대(Fighter squadron) 순으로 구성된다.
5. 영국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특히 참호전으로 교착 상태에 빠진 서부 전선에서 군용 항공기는 기병의 정찰 역할을 일부 대신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국 왕립 비행대는 비행대대라는 명칭을 채택했다.[2] 이후 왕립 비행대와 왕립 해군 항공대가 독립적인 영국 공군으로 통합되면서, 새로운 군 조직은 자체 계급 체계를 도입했으며 비행대대 지휘관은 비행대대장이라는 계급으로 불리게 되었다.
기술과 전투 전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지휘관에게 요구되는 자격과 역량 수준도 높아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공군 비행대대 지휘관의 계급은 기존의 비행대대장에서 대령급(Group captain)으로 상향 조정되었다. 오늘날 영국 공군의 비행대대는 일반적으로 대대 규모에 해당한다.[2] 다만, 통신이나 행정 비행대대와 같은 전투 지원 및 지상 비행대대는 중대 규모에 해당하며, 이들은 여전히 비행대대장(Squadron leader, 소령급)이 지휘하는 경우가 많다.
해군 항공대와 육군 항공대의 비행 부대 역시 비행대대라고 불린다. 특히 육군 항공대의 경우, 비행대대는 하위에 비행소대(Flight)를 두는 중대 규모의 부대로 편성되며, 여러 비행대대가 모여 연대를 구성한다.
영국 및 다수 영연방 국가의 공군 훈련단에서는 정기적으로 사열하는 생도들의 집단을 비행대대라고 칭하기도 한다.
영국 공군의 편제는 사령부(Command), 비행 집단(Group), 비행단(Wing), 비행대대(Squadron) 순으로 구성되며, 비행대대보다 작은 단위나 편제에 해당하지 않는 부대로 비행 소대(Flight)가 설치되기도 한다.[2] 이러한 편제 서열은 영국 공군의 계급 명칭에도 반영되어, 소령은 Squadron leader, 중령은 Wing commander, 대령은 Group captain으로 불린다. 비행대대는 장비하는 기종이 바뀌더라도 명칭은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영국 본토 항공전 당시에는 전투기 사령부(Fighter Command)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6. 독일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국 육군 항공대에서는 비행 부대 단위로 Staffel|슈타펠de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7]
독일 국방군 시절의 공군에서는 Geschwader|게슈바더de(비행단) 아래에 비행대대급 부대인 Gruppe|그루페de를 두었으며, 그루페는 로마 숫자로 부대 번호를 표기했다. 그루페 아래에는 중대급 부대인 Staffel|슈타펠de이 편성되었다. 즉, 이 시기에는 그루페가 비행대대에 해당했다.
현대 독일 연방군의 독일 공군에서는 과거 국방군 시대의 그루페 편제가 사라지고, 게슈바더 아래에 바로 슈타펠이 편성된다. 현대 독일 공군의 비행 슈타펠은 대대급 규모에 해당하며[7], NATO 계급 기준으로 보통 OF-3(소령 또는 대위급) 장교가 지휘한다.[4] 그러나 지상 지원 임무를 맡는 슈타펠(예: 비행 기지 방어 부대, 지상 기반 미사일 방공 부대 등)은 중대급(방공 부대의 경우 포대급) 규모에 해당한다. 슈타펠 아래에는 편대 또는 소대급 부대인 Schwarm|슈밤de 또는 Kette|케테de가 있다.[8]
7. 기타 국가
프랑스 공군 및 우주군은 비행대대를 escadron프랑스어이라 부르며, 이는 일반적으로 8대의 항공기로 구성된 escadrille프랑스어(비행편대)로 세분화된다.[2] 스페인 공군과 일부 스페인어 사용 국가의 공군(비행대대: escuadrones, 비행편대: escuadrillaes) 및 브라질 공군(비행대대: esquadrãopt, 비행편대: esquadrilhapt)도 이러한 편제를 따른다.
반면, 캐나다 공군[3]과 벨기에 공군은 비행대대에 해당하는 단위로 escadrille프랑스어을 사용한다. 이탈리아 공군은 비행대대를 gruppoit(그룹)로 칭하며,[2] 칠레 공군도 grupo de aviaciónes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포르투갈 공군(esquadrapt)과 폴란드 공군(eskadra taktycznapl, 폴란드어로 '전술 비행대대')은 해군 용어에서 유래된 비행대대 명칭을 사용하며, 이는 육군에서의 의미와는 다르다. 체코 공군과 슬로바키아 공군은 고유 용어인 Letkacs / Letkask를 비행대대 단위로 사용한다. 터키 공군(filotr)과 그리스 공군(μοιρα αεροπορικήςel - 항공 비행대대)은 육군 용어에서 유래된 비행대대 명칭을 사용한다. 노르웨이 공군 또한 육군 용어에서 유래된 skvadronno을 사용하며, 헝가리 공군도 마찬가지로 repülőszázadhu(항공기/비행 비행대대)를 사용한다.
많은 동유럽 국가들은 프랑스어 단어 escadrille프랑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러시아 공군은 Эскадрильяru, 우크라이나 공군은 Ескадрильяuk, 벨라루스 공군은 Эскадрыльляbe, 루마니아 공군은 escadrilăro, 불가리아 공군은 Ескадрилаbg, 세르비아 공군 및 방공군은 Ескадрилаsr, 크로아티아 공군 및 방공군은 eskadrilahr를 사용한다. 덴마크 공군 역시 프랑스어 escadrille프랑스어에서 유래된 eskadrilleda을 사용한다.
8. 비교표
미국 공군의 모체인 미국 육군 항공군에서는 공군/항공군(Air Force) 아래에 항공 병단(Air Command), 항공 사단(Air Division), 항공단(Wing), 항공군(Group), 그리고 비행대대(Squadron) 순으로 조직이 구성되었다. 항공 전력 종류에 따라 그룹(Group)은 폭격대대(Bomb Group)로, 스쿼드론(Squadron)은 전투기 중대(Fighter Squadron)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선에서는 제8공군, 태평양 전선에서는 제20공군이 주력으로 활동했다.
2020년대 미국 해군의 항공모함 항공단 소속 비행대대 편제를 보면, F/A-18F 비행대대는 12기, F/A-18E 비행대대는 1개 대대가 12기, 나머지 2개 대대는 10기로 구성된다. F-35C의 경우, 초기에는 10기 규모의 F/A-18E 비행대대 2개를 대체할 계획이었으나, 납품 지연 등의 문제로 16기 규모의 비행대대 1개로 통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미국 해병대 항공 부대의 F-35B 비행대대는 지상 기지에 10기를 남기고 6기를 강습 상륙함에 파견할 수 있도록 총 16기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 역시 대대 정원을 10기로 줄이는 방안이 검토 중이며, 이 경우 함선 파견 시 지상 기지에는 예비기만 남게 될 수 있다.
8. 1. 주요 국가 비행대대 조직 구조 비교
그룹[2]미국 해군
미국 해병대
장군 또는
지휘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Division aérienne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Groupe aérien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음)
Escadre
Escadron
Escadril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