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선은 삼랑진역에서 진주역까지 연결되는 철도 노선이다. 1902년부터 1903년까지 영남지선철도회사가 삼랑진-마산포 구간 부설권을 확보했으나 경부철도주식회사에 매도되었다. 1956년 경전남부선에서 진주선으로 개칭되었으며, 1968년 경전선 개통으로 삼랑진-광주송정 구간이 경전선에 편입되었다. 주요 역으로는 한림정역, 진영역, 창원중앙역, 창원역, 마산역 등이 있으며, 이 역들은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열차가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합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은 경원선, 중앙선을 이용하여 용산에서 용문 구간을 운행했던 수도권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 운행하다가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되면서 경의·중앙선으로 통합되었다. - 통합된 철도 노선 - 동해남부선
일제강점기에 시작된 동해남부선은 부전에서 포항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표준궤로 개궤 및 동해본선으로 편입, 복선 전철화 사업을 통해 통근 교통 개선 및 화물 운송 기능이 강화되었다.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19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용산선
용산선은 1929년 용산역-가좌역 구간을 시작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운행되고 있으며, 용산역은 KTX 등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 경전선 - 광주역
광주역은 1922년 개업하여 경전선과 호남선의 중요 정차역이었으나, KTX 운행이 광주송정역으로 이관된 후 현재는 일반 열차만 운행하며, 도시철도 연계 부족과 셔틀열차 폐지로 환승이 불편하다. - 경전선 - 진례역
진례역은 2010년에 개통하여 화물 및 여객 영업을 시작했으며, 경전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진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 노선 정보 | |
| 노선명 | 진주선 |
| 종류 | 간선철도 |
| 상태 | 운영 중 |
| 노선 정보 | |
| 기점 | 삼랑진역 (경상남도 밀양시) |
| 종점 | 진주역 (경상남도 진주시) |
| 역 수 | 21개 |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 기술 정보 | |
| 영업 거리 | 109km |
| 궤간 | 1435mm(표준궤) |
| 선로 | 2(낙동강 - 마산) 1(삼랑진 - 낙동강, 마산 - 진주) |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V(삼랑진 - 마산) |
| 신호 | ATS |
| 영업 최고 속도 | 150km/h(삼랑진 ~ 마산) 80km/h(마산 ~ 진주) |
| 역사 | |
| 개통일 | 1905년 5월 26일 |
| 기타 정보 | |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2. 역사
진주선은 여러 차례 노선 이름과 운영 주체가 변경되는 과정을 거쳤다.
2. 1. 일제강점기
- 1902년 ~ 1903년: 영남지선철도회사에서 삼마철도(삼랑진-마산포) 부설권을 확보하였으나 일본에 의해 경부철도주식회사로 매도되었다.
- 1904년 1월 3일: 경부철도주식회사 마산선 삼랑진 ∼ 마산포 공사 착수.
- 1904년 3월 12일: 마산선 노반공사 착공.
- 1904년 10월: 일제, 마산선을 군용철도로 부설 착수.
- 1905년 4월 1일: 마산역 개업.
- 1905년 5월 1일: 창원역 개업.
- 1905년 5월 13일: 진영역 개업.
- 1905년 5월 25일: 마산선 낙동강교(목교) 준공.
- 1905년 5월 26일: 마산선 삼랑진 - 마산포 간 직통 운행 개시.
- 1905년 10월: 마산선 전 구간 개통.
- 1906년 12월 12일: 낙동강역 개업.
- 1910년 1월: 구마산역 개업.
- 1918년 7월 13일: 남조선철도주식회사 송정리(현 광주송정) - 마산포 구간 철도부설 허가.
- 1918년 11월 16일: 한림정역 개업
- 1922년 6월: 남조선철도주식회사 경남선 진주 - 마산 구간 착공.
- 1922년 10월 16일: 덕산역 개업.
- 1923년 12월 1일: 경남선 일부 구간 마산 ∼ 군북 개통.
- 1925년 6월 15일: 경남선 군북 - 진주 구간 완공으로 경남선 전 구간 개통.
- 1927년 6월 1일: 신음역 폐역.
- 1931년 4월 1일: 경남선 마산 ∼ 진주 구간이 국철에 매수되고 마산선과 통합되어 삼랑진 - 진주 구간이 경전남부선으로 개칭.[1]
2. 2. 해방 이후
1956년 6월 14일 경전남부선을 진주선으로 개칭하였다.[1]1968년 2월 7일 경전선(광주 - 진주 구간) 준공으로 진주선과 광주선을 경전선에 편입하여 삼랑진 ∼ 송정리 구간이 경전선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3. 역 목록
진주선은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역과 진주시 진주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이 구간에는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가 운행되고 있다. 각 역의 정차 여부는 ● (전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그리고 빈칸 (해당 등급 열차 통과)으로 표시된다.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KTX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접속 노선 |
|---|---|---|---|---|---|---|---|---|
| 삼랑진 | Samnangjin | 三浪津 | | | | | ● | 0.0 | 0.0 | 경부선 |
| 낙동강 | Nakdonggang | 洛東江 | | | | | | | 1.7 | 1.7 | 미전선 |
| 한림정 | Hallimjeong | 翰林亭 | | | | | ▲ | 8.1 | 9.8 | |
| 진영 | Jinyeong | 進永 | ▲ | ● | ● | 4.3 | 14.1 | |
| 진례 | Jillye | 進禮 | | | | | ▲ | 3.9 | 18.0 | 부산신항선 |
| 창원중앙 | Changwonjungang | 昌原中央 | ▲ | ● | ● | 10.2 | 28.2 | |
| 창원 | Changwon | 昌原 | ▲ | ● | ● | 10.3 | 38.5 | 진해선, 덕산선 |
| 마산 | Masan | 馬山 | ● | ● | ● | 3.6 | 42.1 | 마산임항선 |
| 중리 | Jung-ri | 中里 | ● | 6.3 | 48.4 | |||
| 산인 | Sanin | 山仁 | | | 7.2 | 55.6 | |||
| 함안 | Haman | 咸安 | ● | 4.0 | 59.6 | |||
| 군북 | Gunbuk | 郡北 | ● | 8.8 | 68.4 | |||
| 원북 | Wonbuk | 院北 | ▲ | 3.6 | 72.0 | |||
| 평촌 | Pyeongchon | 坪村 | ▲ | 5.8 | 77.8 | |||
| 진주수목원 | Jinju-sumogwon | 晉州樹木園 | ▲ | 4.6 | 82.4 | |||
| 반성 | Banseong | 班城 | ● | 1.8 | 84.2 | |||
| 진성 | Jinseong | 晋城 | ▲ | 5.9 | 90.1 | |||
| 갈촌 | Galchon | 葛村 | ▲ | 3.0 | 93.1 | |||
| 남문산 | Nammunsan | 南文山 | ▲ | 6.0 | 99.1 | |||
| 개양 | Gaeyang | 開陽 | ▲ | 5.2 | 104.3 | |||
| 진주 | Jinju | 晋州 | ● | 4.7 | 109.0 | 경전선 |
3. 1. 경상남도 구간
| 역명 | 한자 역명 | 소재지 | 비고 |
|---|---|---|---|
| 삼랑진 | 三浪津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 경부선 연결 |
| 낙동강 | 洛東江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 무인역, 미전선 연결 |
| 한림정 | 翰林亭 |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 일부 무궁화호 정차 |
| 진영 | 進永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정차 |
| 진례 | 進禮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 | 부산신항선 연결, 일부 무궁화호 정차 |
| 창원중앙 | 昌原中央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용동 |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정차 |
| 창원 | 昌原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정동 | 진해선, 덕산선 연결,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정차 |
| 마산 | 馬山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석전동 | 마산임항선 연결, 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정차 |
| 중리 | 中里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 무궁화호 정차 |
| 산인 | 山仁 | 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 무인역 |
| 함안 | 咸安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 무궁화호 정차 |
| 군북 | 郡北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 무궁화호 정차 |
| 원북 | 院北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 무인역, 일부 무궁화호 정차 |
| 평촌 | 坪村 |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 무인역, 일부 무궁화호 정차 |
| 진주수목원 | 晉州樹木園 |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 | 임시승강장, 일부 무궁화호 정차 |
| 반성 | 班城 |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 | 무궁화호 정차 |
| 진성 | 晋城 |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 | 무인역, 일부 무궁화호 정차 |
| 갈촌 | 葛村 |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 무인역, 일부 무궁화호 정차 |
| 남문산 | 南文山 |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 무인역, 일부 무궁화호 정차 |
| 개양 | 開陽 | 경상남도 진주시 가좌동 | 무인역, 일부 무궁화호 정차 |
| 진주 | 晋州 | 경상남도 진주시 강남동 | 경전선 연결, 무궁화호 정차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