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동 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동 기어는 엔진의 동력을 좌우 바퀴에 분배하고, 회전 속도 차이를 흡수하여 차량이 부드럽게 주행하도록 돕는 장치이다. 기원전부터 사용된 기술로, 1827년 오네시포르 페케르가 증기 자동차에 적용하여 특허를 받았으며, 이후 자전거,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었다. 차동 기어는 링-앤-피니언, 유성 기어, 스퍼 기어 방식 등이 있으며, 주행 상황에 따라 차동을 제한하는 차동 제한 장치(LSD)와 요 컨트롤 디프(Yaw Control Differential) 등의 기술도 개발되었다. 자동차 외에도 아날로그 컴퓨터, 화성 탐사 로버, 미니사륜구동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톱니바퀴 - 볼 스크류
볼 스크류는 웜의 회전을 통해 웜 휠을 회전시키는 기어 시스템으로, 속도를 줄이고 토크를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다양한 산업 분야 및 정밀 기기에 활용된다. - 톱니바퀴 - 피니언
피니언은 다양한 드라이브트레인 구조에서 사용되는 작은 톱니바퀴를 의미하며, 기어 구동계, 차동 장치, 체인 구동 방식, 랙 앤 피니언 시스템 등에서 활용된다. - 기구학 - 링크 (기구)
링크 기구는 강체 링크들이 이상적인 조인트로 연결된 시스템으로, 고대부터 연구되어 산업혁명 시대 증기기관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대에는 컴퓨터 지원 설계와 함께 로봇, 공작 기계, 생물학적 시스템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 기구학 - 4절 링크
4절 링크는 4개의 링크가 4개의 1자유도 관절로 연결된 기구로, 관절 조합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각 링크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고, 그라쇼프 조건은 움직임 특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여러 기계 시스템에 활용되는 기계 공학의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 운송수단 기술 - 현가장치
현가장치는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퀴와 차체 사이에 위치하며, 판 스프링, 독립 현가장치, 멀티링크 서스펜션 등으로 발전해 왔고, 종속형, 독립형, 준독립형으로 분류된다. - 운송수단 기술 - 텔레매틱스
텔레매틱스는 통신 기술을 이용한 정보 전달을 의미하는 텔레커뮤니케이션과 정보 과학의 합성어로, 차량 텔레매틱스를 중심으로 자동차 자동화 및 자율주행 기술과 연계되어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되며 미래 교통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차동 기어 | |
---|---|
개요 | |
종류 | 동력 전달 장치 |
용도 | 차량 기계 장치 |
상세 정보 | |
역할 | 엔진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 선회 시 좌우 바퀴의 회전수 차이를 보정 |
작동 원리 | 유성 기어 세트 이용 입력 축에서 오는 동력을 분배하여 출력 축으로 전달 |
구성 요소 | 베벨 기어 유성 기어 케이스 |
특징 | 좌우 바퀴 회전수 차이 보정 미끄럼 방지 기능 (일부 차동 장치) |
추가 정보 | |
관련 기술 | 차동 제한 장치 (LSD) 전자 제어 차동 장치 (e-LSD) |
응용 분야 | 자동차 건설 기계 농업 기계 |
2. 역사
기원전 1세기경 그리스 안티키테라 섬의 해저에서 발견된 안티키테라 기계는 평면적인 차동 기구를 포함하고 있었다.[1] 1810년 독일의 루돌프 아커만에 의해 마차용 4륜 조향 시스템이 발명되었지만, 이것이 훗날 작가에 의해 차동 장치로 잘못 전해졌다. 1827년 프랑스의 기계 기술자이자 시계 장인이었던 오네시포르 페케르가 증기 자동차를 제작했고, 이때 차동 기어를 개발하여 특허를 취득했다. 이것은 현대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다. 1832년 영국의 리처드 로버츠에 의해 증기 기관차용 부하 보상용 기어로서 특허 등록되었다. 1876년 영국의 제임스 스타리는 자전거 (3, 4륜) 용 체인 구동의 차동 장치를 발명했다. 후에 칼 벤츠에 의한 자동차에 사용되었다. 스타리는 영국의 로버 자동차와 관련된 인물이다. 1897년 데이비드 실러에 의해 오스트리아 최초의 증기 자동차에서 차동 장치가 사용되었다.
2. 1. 고대
기원전 2634년, 중국 전설 속 황제가 지남차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기원전 100년에서 기원전 70년 사이, 그리스 안티키테라 섬 해저에서 발견된 안티키테라 기계는 평면적인 차동 기구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 기계는 태양과 달의 황도 위치 차이를 통해 달의 위상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1] 기원후 250년경, 중국의 마준이 제작한 지남거는 차동 기어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 하지만, 지남차의 작동 메커니즘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몇 마일만 이동해도 지시침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었다.2. 2. 근대
1810년, 독일의 루돌프 아커만은 마차용 4륜 조향 시스템을 발명했으나, 일부 후대 작가들은 이를 차동 장치로 오인하여 보고했다.[1] 1823년, 아자 아놀드는 면사 기계에 사용할 차동 구동 장치를 개발하여 미국과 영국에 확산시켰다.[3] 1827년, 프랑스의 시계 제작자 오네시포르 페케르 (1792–1852)는 증기 왜건에 사용할 현대 자동차 차동 장치를 특허받았다.[4] 1832년, 영국의 리처드 로버츠는 증기 기관차용 부하 보상 기어로 특허를 등록했다.1874년, 애벌링 앤 포터는 후방 차축에 특허 차동 기어를 장착한 크레인 기관차를 카탈로그에 등재했다.[5] 1876년, 제임스 스타리는 자전거용 체인 구동 차동 장치를 발명했으며, 이는 칼 벤츠에 의해 자동차에 사용되었다. 1897년, 데이비드 시어러는 오스트레일리아 증기 자동차에 차동 장치를 처음으로 사용했다.[6]
2. 3. 현대
1958년 버논 글리즈먼은 토르센 LSD를 특허했다.[7]3. 원리 및 구조
입력 토크는 링 기어(보라색)에 가해지며, 이로 인해 캐리어(보라색)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두 바퀴의 저항이 동일할 때, 유성 기어(녹색)는 자체 축에서 회전하지 않는다(기어와 핀이 캐리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공전하지만). 이로 인해 선 기어(빨간색 및 노란색)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결과적으로 자동차 바퀴도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차동 기어는 기본적으로 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좌우 바퀴에 분배하면서, 코너링 시 발생하는 좌우 바퀴의 회전 속도 차이를 흡수한다.
자동차가 커브를 돌 때 안쪽과 바깥쪽 바퀴에 속도 차이(회전수 차이)가 생기는데, 이를 흡수하면서 동력원에서 동일한 토크를 분배하여 전달할 수 있다.[15] 즉, 하나의 엔진 출력을 두 개의 다른 회전 속도로 분배하여 전달할 수 있다.[15]
차동 기어는 먼저 바깥쪽의 링 기어에 동력이 전달된다.[15] 링 기어에는 좌우의 차축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기어와 그 양자를 연결하는 피니언 기어(소형 톱니바퀴)를 수납한 틀이 직결되어 있으며, 그것과 함께 회전한다.[15] 링 기어를 고정한 상태에서 사이드 기어의 한쪽을 회전시키면 피니언 기어를 통해 다른 쪽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바퀴의 한쪽을 고정하고 링 기어를 돌린 경우, 다른 쪽 바퀴가 2배의 속도로 회전한다. 실제 바퀴의 회전은 이 중간에서도 무단계로 변동하며, 양륜의 회전수의 평균값이 링 기어의 회전수와 같아진다. 결과적으로 차량은, 직선이든 곡선이든 바퀴가 미끄러지는 일 없이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다. 이때의 링 기어의 회전으로부터 얻어지는 속도는 차량의 좌우 중심선의 값이 된다.
하지만, 바퀴의 한쪽이 홈에 빠지거나, 또는 얼음에 올라타는 등, 무부하 상태 또는 무부하에 가까운 상태가 된 경우, 그 바퀴에 대한 구속력(토크)이 현저하게 작아지기 때문에 헛돌아 버리고, 다른 쪽의 지면에 접지하고 있는 바퀴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15] 이 때문에, 실제 주행에서는 탈출이 곤란하게 된다.[15]
3. 1. 작동 원리
입력 토크는 링 기어(보라색)에 가해지며, 이로 인해 캐리어(보라색)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두 바퀴의 저항이 동일할 때, 유성 기어(녹색)는 자체 축에서 회전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선 기어(빨간색 및 노란색)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결과적으로 자동차 바퀴도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차동 기어는 엔진의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코너링 시 차량의 바깥쪽 바퀴는 안쪽 바퀴보다 더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데, 바퀴가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는 쉽게 해결되지만, 두 바퀴가 엔진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륜의 경우에는 고카트나 노면 전차와 같이 휠 슬립에 의존하지 않는 이상 차동 기어를 사용하여 바퀴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차동 기어는 먼저 바깥쪽의 링 기어에 동력이 전달된다. 링 기어에는 좌우의 차축으로 연결되는 사이드 기어와 그 양자를 연결하는 피니언 기어(소형 톱니바퀴)를 수납한 틀이 직결되어 있으며, 그것과 함께 회전한다. 링 기어를 고정한 상태에서 사이드 기어의 한쪽을 회전시키면 피니언 기어를 통해 다른 쪽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바퀴의 한쪽을 고정하고 링 기어를 돌린 경우, 다른 쪽 바퀴가 2배의 속도로 회전한다. 실제 바퀴의 회전은 이 중간에서도 무단계로 변동하며, 양륜의 회전수의 평균값이 링 기어의 회전수와 같아진다. 결과적으로 차량은, 직선이든 곡선이든 바퀴가 미끄러지는 일 없이 부드럽게 주행할 수 있다. 이때의 링 기어의 회전으로부터 얻어지는 속도는 차량의 좌우 중심선의 값이 된다.
직진 시에는 입력 토크가 링 기어에 가해지고, 캐리어를 통해 양쪽 사이드 기어가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이때 유성 기어는 자체 축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좌/우 회전 시에는 한쪽 사이드 기어에 저항이 커지면 유성 기어가 회전하며, 저항이 큰 쪽은 느리게, 반대쪽은 빠르게 회전한다.
하지만, 바퀴의 한쪽이 홈에 빠지거나, 또는 얼음에 올라타는 등, 무부하 상태 또는 무부하에 가까운 상태가 된 경우, 그 바퀴에 대한 구속력(토크)이 현저하게 작아지기 때문에 헛돌아 버리고, 다른 쪽의 지면에 접지하고 있는 바퀴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되어 탈출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3. 2. 종류

'''링-앤-피니언(Ring-and-pinion)''' 방식은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차동 기어 설계로 후륜구동 차량에 사용되며, 링 기어가 변속기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에 의해 구동된다. 이 방식은 회전축을 90도 변경(프로펠러 샤프트에서 반축으로)하고 기어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유성 차동 기어(Epicyclic)'''는 유성 기어를 사용하여 전륜구동 차량에서 특정 비율의 토크를 앞 차축과 뒤 차축으로 보낸다. 유성 기어 방식의 장점은 폭이 비교적 좁다는 것이다.

'''스퍼 기어(Spur-gear)''' 방식은 각 끝에 동일한 크기의 스퍼 기어가 있으며, 각 기어는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다.[8] 입력 토크는 회전하는 캐리어를 통해 차동 기어에 가해진다.[8] 피니언 쌍은 캐리어 내부에 위치하며 캐리어에 의해 지지되는 핀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 피니언 쌍은 두 개의 스퍼 기어 사이의 길이의 일부에서만 맞물리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주어진 피니언의 나머지 길이는 차축의 가까운 스퍼 기어와 맞물린다. 각 피니언은 관련된 스퍼 기어를 다른 스퍼 기어에 연결한다(다른 피니언을 통해). 스퍼 기어 차동 기어는 올즈모빌 토로나도 (Oldsmobile Toronado)와 같은 미국 전륜 구동 자동차에 사용된 사례가 있다.[8]
일반적인 자동차는 구동륜( 전륜구동 차량의 경우 전륜, 후륜구동 차량의 경우 후륜, 사륜구동 차량의 경우 전후륜 모두)에 한 쌍의 차동 기어를 갖지만, 사륜구동 차량의 경우 추가로 전륜과 후륜의 회전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 또 다른 차동 기어 (센터 디퍼렌셜)를 갖는 경우가 있다. 이는 풀타임 4륜 구동이라고 불리며, 엔진 출력은 먼저 센터 디퍼렌셜로 전달되어 거기에서 전후 차동 기어로 분배된다.
파트타임 4륜 구동과 같이 2륜구동과 사륜구동을 임의로 전환할 수 있는 일부 차종에서는, 구동력 인출을 위한 트랜스퍼 케이스만 장착하고 센터 디퍼렌셜을 갖추지 않은 경우도 있다.
4. 차동 제한 장치 (LSD)
일반("개방형") 차동 기어는 대부분의 동력을 접지력이 낮은(그립) 바퀴로 보낼 수 있다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있다.[10][9] 한쪽 바퀴의 접지력이 감소한 상황(예: 코너링 힘 또는 한쪽 바퀴 아래의 접지력이 낮은 노면)에서는 개방형 차동 기어가 접지력이 낮은 타이어에서 휠 스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접지력이 더 높은 타이어는 차량을 앞으로 추진하기 위한 동력을 거의 받지 못한다.[11]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의 '''차동 제한 장치'''가 각 바퀴로 보내지는 동력의 차이를 제한하는 데 사용된다.
4. 1. 종류 및 특징
차동 기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디퍼렌셜 록''' (Differential Lock, DL, 차동 고정 장치): 차동 기어의 작동을 완전히 멈추게 하여, 양쪽 바퀴를 하나의 축처럼 연결한다. 진흙길, 빙판길 등 노면과의 마찰 계수가 극도로 낮은 험로를 주행하거나, 스턱 또는 탈륜 상태에서 벗어날 때 주파성을 높일 수 있다. 드래그 레이스와 같이 극단적으로 구동축에 트랙션이 커서 슬립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한쪽 바퀴가 미끄러져 구동력을 손실하는 것을 방지하고, 발진 가속 능력을 향상시킨다. 4WD 차량의 경우, 차축 뿐만 아니라 센터 디퍼렌셜을 고정하여 험로 탈출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센터 디퍼렌셜 록' 기능도 있다.
- '''셀렉터블 디퍼렌셜 록''':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차동 기어처럼 작동하지만, 운전자가 스위치나 레버를 조작하여 강제로 고정 상태로 만들 수 있다.
- * '''오토 디퍼렌셜 록''': 평상시에는 디퍼렌셜 록 상태이지만, 동력원과 좌우 바퀴 간의 회전 차이나 토크 차이 등 여러 조건이 일치하면 자동적으로 디퍼렌셜 록이 해제된다.
- * '''스풀 디퍼렌셜''': 일반적인 차동 기어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완전히 고정시킨 것이다.
디퍼렌셜 록은 차동 기어의 기능을 상실시키므로, 차동 고정 중에는 선회 성능이 극도로 저하되고, 좌우 바퀴의 회전 차이를 흡수할 수 없어 타이어 마모가 심해지는 단점이 있다. 비교적 코너링 성능을 고려한 오토 디퍼렌셜 록의 경우에도, 원심력으로 작동하는 도그 클러치에 의존하여 주행 조건에 따라 구동 특성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가 많아, 운전성이 반드시 좋다고 할 수는 없었다.
- '''차동 제한 장치''' (Limited Slip Differential, LSD): 상황에 따라 차동을 제한하여, 차동 기어의 단점을 보완한다. 험로나 미끄러운 노면에서 한쪽 바퀴가 헛돌 경우, 자동으로 차동을 제한하여 다른 쪽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차동 제한 정도가 디퍼렌셜 록처럼 완전 고정이 아니므로, 극단적인 조종성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 * '''토크 감응형 LSD''': 입력 토크에 따라 차동을 제한한다.
- ** 기계식(다판 클러치식): 내장된 다판 클러치를 이용하며, 큰 차동 제한력을 발휘하지만,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 ** 유성 기어(플래닛 기어)식: 여러 개의 기어를 조합하여 기어 잇면 저항 또는 데프 케이스와의 마찰력을 이용한다. 콰이프 LSD, 토르센 LSD, 헬리컬 LSD, 볼텍 LSD, 슈어트랙 LSD, 슈퍼 LSD 등이 있다.
- * '''회전 감응형 LSD''': 좌우 바퀴의 회전 차이에 따라 차동을 제한한다. 점성 커플링 LSD는 점성 커플링을 사용하여 실리콘 오일의 전단 저항을 이용한다. 반응이 비교적 느리고 제한 효과도 약하지만, 다루기 쉬워 헬리컬 방식과 함께 자동차 제조사의 순정품으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오리피스 LSD는 캠으로 구동되는 오일 펌프를 데프에 내장하고, 봉입된 실리콘 오일의 흐름이 오리피스를 통과할 때의 저항력을 이용한다.
- * '''액티브 제어식 LSD''': 전자 제어식으로, 컴퓨터가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동적으로 차동 제한 효과를 제어한다. 유압으로 마찰판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전자 클러치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닛산 스카이라인 GT-R의 액티브 LSD, 미쓰비시 란에보의 ACD, 스바루 임프레자의 DCCD, 페라리 · F430 등에 탑재되어 있다.
- * '''브레이크 LSD''':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차동 제한 효과를 흉내 내는 방식으로,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의 파생형이다. 시스템이 바퀴의 헛도는 현상을 감지하면, 헛도는 바퀴에만 브레이크를 걸어 차동 제한 장치와 유사한 효과를 낸다.
5. 요 컨트롤 디프 (Yaw Control Differential)
데프 내에 변속기를 내장하여 변속기를 통해 증속 또는 감속을 만들어내고, 좌우의 출력축에 전자 제어 클러치로 전달함으로써, 액티브하게 회전 차이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좌우 바퀴의 토크 변화를 통해 토크 벡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혼다의 SH-AWD는 후륜 데프의 입력 측에도 변속기에 의한 증속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좌우 바퀴와 함께 3세트의 변속기를 가지고 있다(AYC, ATTS는 2세트).
시판 차량으로는 미쓰비시 란서 에볼루션의 AYC, 혼다 프렐류드의 ATTS, 혼다 레전드의 SH-AWD 등이 있다.
6. 기타 용도
차동 기어는 자동차 외에도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 아날로그 신호 산술 연산: 차동 기어의 세 샤프트 중 두 개는 두 숫자를 나타내는 각도로 회전하고, 세 번째 샤프트의 회전 각도는 두 입력 숫자의 합 또는 차이를 나타낸다.
- * 초기 사용 사례: 안티키테라 기계 장치(기원전 80년경) - 차동 기어를 사용하여 태양과 달 위치 포인터의 차이로부터 달을 나타내는 작은 구체를 제어, 달의 위상을 그래픽으로 보여주었다.[1]
- * 방정식 시계 (1720년): 덧셈을 위해 차동 기어를 사용.[1]
- * 아날로그 컴퓨터 (20세기): 총을 조준해야 하는 방향을 계산하는 등.[12]
- * 미분 해석기 (1900년~1950년): 덧셈과 뺄셈 수행.
-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2004년 발사) 화성 탐사 로봇: 로커-보기 서스펜션에 차동 기어를 사용하여 로버 차체를 균형 있게 유지.[13] 큐리오시티와 퍼서비어런스 로버는 기어 대신 차동 바를 사용.[14]
- 미니사륜구동의 "원웨이 휠": 휠 내부에 피니언 기어를 넣어 코너링 시 바깥쪽 타이어를 공회전시켜 코너링 저항을 없앤다. 자전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좌우/전후 차동 흡수에도 사용된다.
- 무선 조종 자동차의 "원웨이": 구동 시와 공회전 시에 데프 록과 오픈 데프를 전환, 코너링 시 회두성과 탈출 시 가속성을 양립시킨다.
- 랜드로버・시리즈 I 초기형 및 스바루・도밍고 초대 풀타임 사륜구동 사양의 앞바퀴
7. 차동 장치가 없는 사륜차
전기 자동차의 인 휠 모터(in-wheel motor) 방식은 바퀴 단위로 동력이 전달되므로 차동 기어가 필요하지 않다.
고카트나 레이싱 카트는 차체 프레임 강성을 조정하여 코너링 시 구동륜 한쪽이 지면에서 뜨도록 주행하는 기술을 사용하므로 차동 장치가 필요 없다. 차동 장치를 생략하는 이유는 차체 경량화, 구조 단순화, 고장률 감소, 비용 절감 등이다.
철도 차량은 원추형 차륜으로 좌우 회전 차이를 흡수하고, 스스로 전향하는 힘을 얻는다.[18] 그러나 2축차·보기는 차축 중심축이 선로 곡선 중심축과 구조상 일치하지 않아 각종 조타 대차가 고안되고 있다.[18]
8. 한국 자동차 산업과 차동 기어
참조
[1]
논문
The Antikythera Mechanism Reconsidered
http://fsoso.free.fr[...]
2007
[2]
논문
Caves Books
1986
[3]
서적
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 American Council of Learned Societies
1947
[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utomobile
http://www.gmcanada.[...]
General Motors Canada
2011-01-09
[5]
서적
Aveling & Porter, Ltd. Rochester
North Kent Books
1987
[6]
웹사이트
David Shearer's Steam Car at Mannum in 1897 – Australia's First – with World-First Differential
https://adelaideaz.c[...]
2023-02-27
[7]
웹사이트
Inventor Of Automotive Technologies – Vernon Gleasman's Legacy
https://www.theautoc[...]
2023-08-27
[8]
웹사이트
What Is a Spur Gear Differential?
http://www.sergeantc[...]
2023-03-27
[9]
서적
Automotive Computer Controlled Systems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 Technology Books
2001
[10]
서적
Automotive Science and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Butterworth-Heinemann
2008
[11]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a Differential for the Improvement of Traction Control
http://zhome.com/ZCM[...]
1988
[12]
AV media
Basic Mechanisms in Fire Control Computers, Part 1, Shafts Gears Cams and Differentials, posted as 'U.S. Navy Vintage Fire Control Computers'
https://www.youtube.[...]
U.S. Navy
1953
[13]
웹사이트
Rover Wheels
https://mars.nasa.go[...]
2023-01-18
[14]
웹사이트
Curiosity Mobility System, Labeled
https://www.planetar[...]
2023-01-18
[15]
문서
differential gear
[16]
웹사이트
雪道の運転 快適なスノードライブの為に
http://www.h6.dion.n[...]
[17]
문서
프로페라シャフトを外す、もしくは両軸モーターの片側のギアを外して二輪駆動化するという手もあるが、その場合はミニ'''四駆'''として成立しない。
[18]
논문
곡선을 원활하게 통과하기 위한 조타 기술
https://www.jstage.j[...]
2017-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