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참고래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고래과는 수염고래아목에 속하는 고래 과로, 북극고래와 대왕고래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몸길이가 15~20m, 몸무게가 최대 100톤에 달하는 대형 해양 포유류이며, 수염판을 사용하여 물에서 먹이를 걸러 먹는다. 참고래과는 온대 및 극지 해역에 분포하며, 짝짓기와 출산을 위해 따뜻한 물로 이동하는 회유성을 보인다.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국제적인 보호 노력으로 일부 종의 개체 수가 회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참고래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긴수염고래과
학명Balaenidae
명명자Gray, 1821
모식속Balaena
모식속 명명자Linnaeus, 1758
화석 범위마이오세 ~ 현재
현존 속북극고래속
긴수염고래속
멸종 속†Antwerpibalaena
†Archaeobalaena
†Balaenella
†Balaenula
†Balaenotus
†Idiocetus
†Mesoteras
†Morenocetus
†Peripolocetus
†Protobalaena
특징
설명최근 유전자 분석 결과, 세 종의 긴수염고래는 북극고래와는 다른 계통 발생적 계통을 형성하여 별도의 속으로 분류됨.
크기 비교
인간과 비교한 크기
인간과의 크기 비교
분포
긴수염고래과 분포 지도
초록색은 북대서양긴수염고래, 파란색은 북방긴수염고래, 노란색은 남방긴수염고래, 분홍색은 북극고래

2. 특징

긴수염고래과는 대체로 몸길이 15~17m, 몸무게 50~80톤의 큰 몸집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아치 모양으로 구부러진 입을 가지고 있으며, 고래수염을 이용해 수면에서 작은 갑각류(주로 요각류)나 크릴새우를 걸러 먹는다.[42]

남방긴수염고래와 사람의 크기 비교


북대서양긴수염고래의 두개골과 골격


몸은 튼튼하고 목주름이 없으며, 머리가 몸 전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특히 북극고래는 머리 길이가 몸길이의 40%를 차지한다. 가슴지느러미는 짧고 넓으며, 등지느러미는 없다.

긴 수염판을 이용해 충돌 여과 방식(ram feeding)으로 먹이를 섭취하는데, 이는 입을 열고 수면 부근에서 헤엄치며 물에서 먹이를 걸러낸 다음 혀로 수염판에서 먹이를 긁어내는 방식이다.[11] 이는 수염고래과나 회색고래의 먹이 섭취 방식과 대조적이다.[12] 긴수염고래과와 홍학의 턱선과 사용법의 유사성은 수렴 진화의 결과로 여겨진다.[14]

모든 종은 어느 정도 회유성을 띠며, 겨울에는 따뜻한 남쪽 지역으로 이동하여 짝짓기와 출산을 한다. 임신 기간은 10~11개월이며, 보통 3년에 한 번씩 새끼를 낳는다.[42]

3. 계통 분류

다음은 거테시 등(Gatesy et al.)의 계통 분류이다.[43]

{| class="wikitable"

|-

! 고래

|-

|

{| class="wikitable"

|-

! 수염고래

|-

|

{| class="wikitable"

|-

| 긴수염고래과

50 px


|-

|

{| class="wikitable"

|-

| 꼬마긴수염고래과

|-

|



|}

|}

|}

|-

! 이빨고래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남아시아강돌고래과

50 px


|-

|

{| class="wikitable"

|-

| 부리고래과
50 px


|-

|

{| class="wikitable"

|-

|

아마존강돌고래과
라플라타돌고래과
50 px



|-

! 참돌고래상과

|-

|

{| class="wikitable"

|-

| 참돌고래과

50 px


|-

|



|}

|}

|}

|}

|}

|}

|}

3. 1. 진화 역사

최근까지 ''대왕고래속 (Eubalaena)'' 속의 모든 참고래는 단일 종인 ''E. glacialis''로 간주되었다. 2000년, 서로 다른 해양 분지의 참고래에 대한 유전자 연구를 통해 과학자들은 북대서양, 북태평양, 남반구의 개체군이 세 가지 별개의 종을 구성한다는 결론을 내렸다.[5] 2005년 미토콘드리아 DNA와 핵 DNA를 이용한 추가 유전자 분석은 세 개체군을 별도의 종으로 취급해야 한다는 결론을 뒷받침했으며,[6] 미국 국립해양어업청과 국제포경위원회는 관리 목적으로 이러한 분류를 채택했다.[7]

분지도분류군 간의 진화적 관계를 시각화하고 비교하는 도구이다. 노드가 분기되는 지점은 진화적 분기와 유사하며, 이 다이어그램은 시간표와 마찬가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을 수 있다. 다음 분지도는 북태평양참고래와 그 과의 다른 구성원 간의 관계에 대한 현재 과학적 합의를 보여준다.[8]

'''긴수염고래과 (Balaenidae)'''

  • ''흰긴수염고래속 (Balaena)'' (북극고래)
  • * ''B. mysticetus'' 북극고래
  • ''대왕고래속 (Eubalaena)'' (참고래)
  • * ''E. glacialis'' 북대서양참고래
  • * ''E. japonica'' 북태평양참고래
  • * ''E. australis'' 남방참고래


수염고래류는 단계통군이며, 여과 섭식자로, 역사상 가장 큰 종과 멸종 위기에 처한 종을 포함한다.[24][25] 수염고래류는 형태 및 분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존하는 4개의 과 수준의 계통군으로 나뉜다. 혹등고래과, 꼬마혹등고래과, 귀신고래과, 긴수염고래과이다.[25]

4. 분포

참고래과 종들의 분포


참고래과에 속하는 네 종은 온대 및 극지 해역에서 서식한다. 대표적인 종으로는 북대서양참고래(''Eubalaena glacialis''), 북태평양참고래(''Eubalaena japonica''), 남방참고래(''Eubalaena australis''), 북극고래(''Balaena mysticetus'')가 있다. 북극고래와 참고래는 성체가 되면 최대 18m의 길이에 100ton이 넘는 무게에 달할 수 있다.[15][19] 참고래과 4종은 온대~극지에 분포한다(북극고래는 북극해, 남방참고래는 남반구 중~고위도 지역, 대서양참고래는 북대서양, 참고래는 북태평양).

5. 보전 상태

참고래과에 속하는 종들은 70년 이상 살 수 있으며, 1800년대 후반에는 그 지방을 얻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냥되었다. 참고래는 체중의 약 40%가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냥하기에 "적합한" 고래로 알려졌다.[16][17] 많은 양의 지방 때문에 참고래는 죽은 후 수면으로 떠올랐고, 이는 기름 채취를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북대서양참고래는 300~350마리로 추산되는 개체 수를[18] 가져 가장 심각하게 멸종 위기에 처한 대형 고래이다. 북태평양참고래 또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약 500마리만 남아 있다.[19][16] 남방긴수염고래(1997년 기준 약 7,500마리)와 북극고래(2만~4만 마리)는 국제 협약에 따라 고래 사냥이 상당히 제한된 이후 개체 수가 크게 회복되었다.[19]

알래스카에서 이누피아트 에스키모들이 북극고래 해체 작업을 하는 모습

참조

[1] 데이터베이스 MSW3 Cetacea
[2] 논문 A new member of fossil balaenid (Mysticeti, Cetacea) from the early Pliocene of Hokkaido, Japan
[3] 백과사전 Baleen Whales (Mysticet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2-05-20
[4] 백과사전 Right Whales (''Eubalaena glacialis, E. japonica, and E. australis'') Academic Press 2012-05-20
[5] 논문 World-wide genetic differentiation of ''Eubalaena'': Questioning the number of right whale species ftp://swfscftp.noaa.[...]
[6] 논문 Nuclear markers confirm taxonomic status and relationships among highly endangered and closely related right whale species
[7] 웹사이트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Review of the Status of the Right Whales in the North Atlantic and North Pacific Oceans (2006) http://www.nmfs.noaa[...] 2011-09-15
[8] 논문 The systematics of right whales (Mysteceti: Balaenidae)
[9] 논문 The systematics of right whales (Mysticeti: Balaenidae)
[10] 논문 Population histories of right whales (Cetacea: Eubalaena) inferred from mitochondrial sequence diversities and divergences of their whale lice (Amphipoda: Cyamus)
[11] 논문 Behaviour and kinematics of continuous ram filtration in bowhead whales (''Balaena mysticetus'')
[12] 논문 Why whales are big but not bigger: Physiological drivers and ecological limits in the age of ocean giants
[13]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14] 서적 North Atlantic Right Whales: From Hunted Leviathan to Conservation Ico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7-09-06
[15] 웹사이트 Balaenidae - the Encyclopedia of Earth http://www.eoearth.o[...]
[16] 웹사이트 Eubalaena glacialis (Müller, 1776) North Atlantic right whale 2015-11-30
[17] 웹사이트 Right Whale Fact Sheet - NYS Dep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http://www.dec.ny.go[...] 2015-11-30
[18] 웹사이트 North Atlantic Right Whale Species WWF https://www.worldwil[...] 2021-05-14
[19] 웹사이트 Balaenidae (bowhead whales and right whales) http://animaldiversi[...]
[20]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日本哺乳類学会
[21] 논문 A new member of fossil balaenid (Mysticeti, Cetacea) from the early Pliocene of Hokkaido, Japan
[22] 백과사전 Baleen Whales (Mysticete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2-05-20
[23] 백과사전 Right Whales (''Eubalaena glacialis, E. japonica, and E. australis'') Academic Press 2012-05-20
[24] 논문 The systematics of right whales (Mysticeti: Balaenidae)
[25] 논문 Population histories of right whales (Cetacea: Eubalaena) inferred from mitochondrial sequence diversities and divergences of their whale lice (Amphipoda: Cyamus)
[26] 논문 Phylogenomic Resolution of the Cetacean Tree of Life Using Target Sequence Capture 2019-10-21
[27] 웹사이트 Balaenidae - the Encyclopedia of Earth http://www.eoearth.o[...] 2022-09-04
[28] 뉴스 Hunted to the brink of extinction, the return of North Pacific Right whales to B.C. waters brings hope https://www.theglobe[...] グローブ・アンド・メール
[29] 논문 Behaviour and kinematics of continuous ram filtration in bowhead whales (''Balaena mysticetus'')
[30] 웹사이트 Biomechanically distinct filter-feeding behaviors distinguish sei whales as a functional intermediate and ecologically flexible species https://www.research[...]
[31] 논문 Why whales are big but not bigger: Physiological drivers and ecological limits in the age of ocean giants
[32]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33] 서적 North Atlantic Right Whales: From Hunted Leviathan to Conservation Icon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7-09-06
[34] 웹사이트 Eubalaena glacialis (Müller, 1776) North Atlantic right whale 2015-11-30
[35] 웹사이트 Right Whale Fact Sheet - NYS Dept.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http://www.dec.ny.go[...] 2015-11-30
[36] 웹사이트 North Atlantic Right Whale Species WWF https://www.worldwil[...] 2021-05-14
[37] 웹사이트 Balaenidae (bowhead whales and right whales) http://animaldiversi[...] 2022-09-04
[38] 논문 World-wide genetic differentiation of ''Eubalaena'': Questioning the number of right whale species ftp://swfscftp.noaa.[...]
[39] 논문 Nuclear markers confirm taxonomic status and relationships among highly endangered and closely related right whale species
[40] 웹사이트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Review of the Status of the Right Whales in the North Atlantic and North Pacific Oceans (2006) http://www.nmfs.noaa[...] 2011-09-15
[41] 논문 The systematics of right whales (Mysteceti: Balaenidae)
[42]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Facts on File
[43] 논문 A phylogenetic blueprint for a modern whale https://www.montcla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