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신고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신고래는 수염고래과에 속하며, 몸 전체가 회색빛을 띠어 회색고래라고도 불린다. 쇠고래라고도 불리며, 과거에는 '악마 물고기'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는 1과 1속 1종으로 분류되지만, 유전자 분석 결과에 따라 혹등고래, 대왕고래와 가깝게 나타난다. 귀신고래는 해저 무척추동물을 주로 먹으며, 얕은 바다에서 생활한다. 북태평양에 두 개의 개체군이 있으며, 멸종된 대서양 개체군도 존재했다. 인간과의 관계는 고래 관광, 문화적 상징으로 나타나며, 보존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염고래류 - 꼬마긴수염고래
    꼬마긴수염고래는 수염고래목에 속하는 가장 작은 종으로, 남반구 온대 해역에 서식하며 크릴과 요각류를 먹고, 긴수염고래과와 계통 분류학적으로 가까우며, 해양 오염 및 기후 변화가 잠재적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울산광역시의 상징 - 백로 (새)
    백로는 여러 종의 새를 통칭하며 흰색을 포함한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습지 등에서 집단으로 번식하며 문화적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울산광역시의 상징 - 울산광역시기
    울산광역시기는 흰색 바탕에 울산광역시의 로고와 문구가 함께 디자인되어 있으며, 로고는 용이 여의주를 물고 비상하는 모습으로, 기에 사용된 색상들은 각각 순수, 젊음, 희망, 역동성, 산업적 발전을 상징한다.
  • 캘리포니아주의 상징 - 할리우드 사인
    할리우드 사인은 1923년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 지역의 주택 개발을 홍보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영화 산업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 캘리포니아주의 상징 - 골든게이트교
    골든게이트교는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현수교로, 아름다운 외관과 풍경으로 유명하지만 자살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라는 어두운 면도 가진 미국의 대표적인 랜드마크이다.
귀신고래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귀신고래 분포 범위
귀신고래 범위
기본 정보
새끼와 함께 있는 성체 귀신고래
새끼 옆에서 수면 위로 솟아오르는 귀신고래
인간 다이버와 비교한 크기
인간과 비교한 크기
학명Eschrichtius robustus
명명자릴리예보리, 1861
상태관심 필요 (LC)
상태 기준IUCN3.1
사이테스CITES_A1
귀신고래속
귀신고래과
과 명명Ellerman & Morrison-Scott, 1951
영명gray whale
일명克鯨
러시아어 명칭Серый кит, калифорнийский кит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우제목/경우제목
아목경하마형아목
하목고래하목
소목수염고래소목
형태
최대 몸길이14.9m
최대 몸무게41톤
기타 정보
화석 범위플라이스토세 후기 - 현재
이명Balaena gibbosa Erxleben, 1777
Agaphelus glaucus Cope, 1868
Rhachianectes glaucus Cope, 1869
Eschrichtius gibbosus Van Deinse & Junge, 1937
E. glaucus Maher, 1961
Balaenoptera robusta Lilljeborg, 1861
참고"鯨偶蹄目"으로 분류하는 설도 있음.
또는 나각수염고래과로 분류하기도 함.

2. 분류

유전자 분석에 기반한 귀신고래와 다른 고래류의 계통 발생 관계


귀신고래 골격


귀신고래는 전통적으로 귀신고래과(Eschrichtiidae)의 귀신고래속( ''Eschrichtius'')에 속하는 유일한 현존 종으로 분류되어 왔다.[14] 그러나 최근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 혹등고래( ''Megaptera novaeangliae'')나 긴수염고래( ''Balaenoptera physalus'')와 같은 일부 수염고래과(Balaenopteridae) 고래들과 더 가까운 관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다.[17][18][19][20][310] 일부 연구에서는 귀신고래가 수염고래과 계통군 외부에 위치하지만 가장 가까운 친척이라고 보기도 한다.[16] 미국 포유류학회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귀신고래를 수염고래과에 포함하는 분류를 따르고 있다.[21] 2017년에는 멸종된 아키시마고래(''Eschrichtius akishimaensis'')가 발견되어 같은 속으로 분류되었다.[15]

현재 북동태평양과 북서태평양에 서식하는 두 개체군이 있지만, 유전적 또는 외형적 차이가 크지 않아 아종으로 분류되지는 않는다. 이들의 유전적 유사성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 중이다. 과거 대서양에도 개체군이 존재했으나 18세기경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23]

유럽에서 귀신고래에 대한 초기 연구는 스웨덴잉글랜드 해안에서 발견된 아화석 유골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23] 빌헬름 릴리에보리는 1861년 발트해에서 발견된 아화석을 기반으로 이 종을 처음 기술하며 ''Balaenoptera robusta''라는 학명을 부여했다.[311][34] 1865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이 고래가 기존 수염고래들과 다르다는 점을 인식하고 독립된 속인 ''Eschrichtius''를 설정했다.[35] 속명 ''Eschrichtius''는 덴마크의 동물학자 다니엘 프레데리크 에스크리크트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312][22] 종소명 ''robustus''는 라틴어로 '강하다'는 의미이다.[302][313]

1869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태평양에 서식하는 살아있는 개체군을 ''Rhachianectes glaucus''라는 별도의 종으로 기술했다.[314][24] 그러나 1930년대에 대서양 개체군의 골격과 태평양 개체군을 비교한 결과 동일한 종임이 밝혀졌고,[25][26][315][316] 이후 그레이가 명명한 학명 ''Eschrichtius robustus''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7] ''Eschrichtius gibbosus''라는 학명도 사용되기도 하는데,[317] 이는 1777년 에르크슬레벤(Erxleben)의 기술을 인정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30]

귀신고래는 사막고래,[28] 악마 물고기, 회색 등, 홍합 파는 고래, 찢어진 자루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29]

3. 일반명

한국어로는 '''쇠고래'''라고도 부른다.[322] 몸 전체가 회색빛을 띠기 때문에 영어권에서는 주로 '''회색고래'''(Gray Whale)라고 불린다.

과거 포경업자들은 귀신고래를 '악마 물고기'(Devil Fish)라고 부르기도 했는데,[302] 이는 포획 시도에 사납게 저항했기 때문이다.[302][319] 특히 19세기 중반 미국의 포경업자들이 캘리포니아 이남 번식지에서 새끼를 기르는 어미 고래를 자극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여겨진다.[320] 일본에서는 이 '악마 물고기'라는 이름을 그대로 번역하여[302] '고쿠쿠지라'(極鯨(コククジラ)|코쿠쿠지라일본어)라고 불렀으며, 이 명칭은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일본 한자를 그대로 읽어 '극경'(極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321] 또한, 일본어로는 '작은 고래'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고쿠쿠지라'(コククジラ|코쿠쿠지라일본어, '小鯨' 또는 '児鯨'로 표기)라는 이름도 있다.[190] 옛날 일본에서는 '치고쿠지라'(稚児鯨|치고쿠지라일본어), '아오사기'(青鷺|아오사기일본어), '샤레'(シャレ일본어), '시로사키'(シロサキ일본어) 등의 다른 이름으로도 불렸으며, 포경업자들은 외관이나 기름 색깔에 따라 이 이름들을 구분하여 사용했다고 한다.[191][227]

한국에서 '귀신고래'라는 이름은 연안에서 머리를 수직으로 세우고 주변을 살피는 행동(스파이호핑)을 하다가 귀신처럼 감쪽같이 사라지는 모습 때문에 붙여졌다.[322][192][193]

18세기까지 북대서양에 서식했던 개체군은 '스크래그 고래'(Scrag Whale 또는 Scragg Whale)라고 불렸다. 또한 18세기 일부 문헌에서는 등을 따라 혹 같은 돌기가 여러 개 있는 특징 때문에 '혹이 여섯 개 달린 고래'라는 의미의 Balaena gibbosa로 기술하기도 했다.[31][32]

이 외에도 사막고래,[28] 회색 등, 홍합 파는 고래, 찢어진 자루 등 다양한 별명이 있다.[29]

4. 외관

해수면에서 엿보기를 하는 귀신고래


귀신고래는 겉모습이 수염고래참고래의 중간 정도이다.[326] 위에서 보면 머리는 가늘고 삼각형 모양이며,[302] 입은 약간 아치형이다. 양쪽에는 130개에서 180개의 누런 빛을 띤 수염판이 있다.[302] 다른 수염고래와 비교했을 때 수염이 크림색, 흰색, 금발색 등으로 다양하며 유난히 짧은 것이 특징이다.[39] 위턱의 작은 홈에는 각각 한 가닥의 뻣뻣한 털이 있지만 자세히 봐야 보인다.[39] 아래턱은 위턱보다 짧지만 먹이 섭취 방식 때문에 잘 발달되어 있다.[189][200] 목 아랫면에는 혹등고래처럼 많은 주름 대신 2~5개의 얕은 주름만 있다.[39][189]

피부는 짙은 회색빛이며, 긁힌 자국이나 흰 따개비, 바다벼룩 같은 기생 생물이 흩어져 붙어 있다.[302][39] 특히 머리 부분에 기생 생물이 많이 발견된다.[302] 차가운 먹이 섭식 지역에서 떨어져 나간 기생충 때문에 생긴 회색과 흰색의 무늬가 특징적이어서, 개체 식별에 이용되기도 한다.[39] 대부분의 귀신고래는 먹이를 찾을 때 해저면에서 몸을 오른쪽으로 기울이는 경향이 있어('오른손잡이'), 오른쪽 수염판이 더 많이 닳아 짧고, 기생 생물도 몸 왼쪽에 더 많이 붙는 경향이 있다.[302][201][202] 갓 태어난 새끼는 4.9m 정도 크기에[40] 회색에서 검은색을 띠며, 일부 개체는 구별되는 하얀 점을 가지기도 한다.[302]

귀신고래의 두 개의 숨구멍과 부착된 따개비


다른 수염고래와 달리 등지느러미가 없다.[302] 대신 몸 뒷부분 등 중앙선에는 6개에서 12개의 쐐기 모양 돌기(혹 또는 등줄기)가 꼬리까지 이어진다.[302][39][188][199] 가슴지느러미는 노처럼 생겼고 끝이 뾰족하다.[302] 꼬리지느러미는 너비가 3m에서 3.5m 정도이고,[39] 중앙이 깊게 파여 있으며 가장자리는 점점 가늘어진다.[302][39]

다 자란 수컷의 몸길이는 13.7m에서 14m 정도이며, 암컷은 15m 정도로 수컷보다 약간 크다.[302] 성체의 몸무게는 27.2ton에서 36.3ton 사이이다.[302] (다른 자료에서는 성체 크기를 13m에서 15m, 무게를 15ton에서 33ton 또는 최대 40ton로 보기도 한다.[40][188][198]) 귀신고래는 고래목 동물 중 9번째로 큰 종에 해당한다.[40]

탈색된 피부를 보이는 귀신고래


머리 꼭대기에는 2개의 숨구멍이 있어 공기를 들이마신다.[302][39] 쉴 때는 분당 2~3번 호흡하고, 깊게 잠수할 때는 3~5분간 숨을 참기도 한다.[302] 숨을 내쉴 때 만드는 고래 분수는 높이가 3m에서 4m 정도이며, 바람이 잔잔할 때는 특유의 하트(♡) 모양을 만들기도 한다.[302][39] 분수 소리는 약 1km 반경까지 들릴 수 있다.[302] 질병, 부상, 먹이 섭취 후 등 특정 상황에서는 분수에서 냄새가 나기도 한다.[323]

태평양에 서식하는 동부 개체군과 서부 개체군은 형태와 유전적으로 차이가 있다.[70][41] 신체 부위 비율, 몸 색깔, 골격 특징, 지느러미와 수염판 길이 비율 등에서 차이가 확인되어, 아종으로 분류할 수 있을 정도라는 주장도 있다.[70][41] 특히 한국과 중국 연안에서 발견된 표본 사이에서도 차이가 관찰되었다.[41] 북미 연안의 일부 지역에 머무는 "상주군"은 장거리 이동을 하는 개체보다 몸집과 두개골, 꼬리지느러미가 작은 경향이 있다.[203]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상주군은 지난 20~30년간 평균 성체 길이가 13% 이상(약 1.65m)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204][205]

5. 생태

귀신고래는 수염고래류에 속하지만, 다른 수염고래들과는 달리 주로 해저면의 저서생물을 먹는 독특한 섭식 방식을 가지고 있다.[189] 이 때문에 갯벌이나 조간대와 같은 매우 얕은 연안 해역을 선호하며 서식한다.[208] 보통 6세에서 12세 사이에 성적으로 성숙하며,[81] 암컷은 약 13개월의 임신 기간을 거쳐[81][84] 2~3년에 한 번씩 새끼를 낳는다.[82]

귀신고래는 포유류 중 가장 긴 거리를 이동하는 동물 중 하나로, 먹이 활동지와 번식지 사이를 매년 20000km 이상 왕복한다. 이는 혹등고래와 더불어 현존하는 포유류 중 가장 긴 연간 이동 거리 중 하나이다. 이동 속도는 다른 고래에 비해 느린 편이며, 보통 혼자 또는 작은 무리를 지어 이동하지만 번식지나 먹이가 풍부한 곳에서는 많은 수가 모이기도 한다. 다 자란 귀신고래의 주요 천적은 범고래와 인간뿐이며, 특히 새끼는 상어나 범고래의 위협을 피하기 위해 어미가 얕은 석호에서 보호한다.[85][178] 호기심이 많고 사람에게 우호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여 고래 관광의 주요 대상이 된다.[210] 숨을 내쉴 때 뿜어내는 분수는 독특한 하트 모양이다.[208]

5. 1. 생애

수컷과 암컷 모두 6세에서 12세 사이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평균적으로는 8~9세에 이른다.[81] 이때 몸길이는 약 11m~12m 정도이다.[302] 암컷은 11월 말에서 12월 초 사이에 발정기를 맞이하며[82], 보통 2~3년(격년)에 한 번씩 출산하지만[302][82] 매년 출산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82] 임신 기간은 약 12~13.5개월이다.[302][81][84]

출산은 주로 번식지인 따뜻한 남쪽 바다의 얕은 석호에서 이루어지며[2][85][178], 대부분 1월 중순 6주 이내에 집중된다.[81] 새끼는 보통 한 마리씩 낳지만[324], 드물게 자궁 내 쌍둥이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82] 2014년 1월에는 멕시코 서해안의 라구나 오호 데 리에브레(스캠몬 라군)에서 배가 붙은 샴쌍둥이 귀신고래 사체가 발견되기도 했다.[86] 새끼는 꼬리부터 태어나며[7], 태어나자마자 본능적으로 수면 위로 올라가는데 어미가 이것을 돕는다.[325] 갓 태어난 새끼의 몸길이는 약 4.3m~4.9m이고, 몸무게는 약 500kg~907kg 정도이다.[302][7] 어미는 얕은 석호에서 새끼를 낳아 상어범고래와 같은 포식자로부터 보호한다.[85][178]

귀신고래 배아(1874년 삽화)와 분수공을 보여주는 머리 윤곽


어미젖은 지방질 비중이 53%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다.[302] 새끼는 약 7~8개월 동안 젖을 먹고 어미로부터 독립한다.[302][81]

짝짓기 과정은 복잡하며, 종종 세 마리 이상의 개체가 관여한다.[302][83] 암컷 한 마리를 두고 여러 수컷이 경쟁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며[302], 암컷은 번식기에 여러 수컷과 짝짓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83] 짝짓기와 출산은 주로 회유 경로의 남쪽 끝 번식지에서 이루어지지만, 회유 도중에 일어나기도 한다.[302]

최고 수명은 75년으로 추정된다.[302]

5. 2. 먹이

다른 수염고래와는 달리 주로 바닥에서 먹이를 먹는 데 특화되어 있으며,[326] 주식은 주로 해저면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이다. 귀신고래의 고래수염(수염판)은 양쪽 상반부 턱에 130~180개씩 있으며, 각 판의 길이는 5cm에서 25cm 정도로 수염고래 중 가장 짧다.[302][327] 이 판은 손톱과 같은 케라틴질로 이루어져 있다.[327] 목주름이 적어 목을 크게 팽창시키지 못하므로, 이러한 독특한 섭식 방식에 의존한다. 하지만 다른 수염고래처럼 목을 팽창시켜 많은 양의 먹이를 담아 걸러낼 수는 있다.[327]

주로 이각류에 속하는 바다벼룩이나 잎새우,[302] 저서성 갑각류(옆새우류, 유령 새우 ''Neotrypaea californiensis'') 등을 먹는다.[87] 얕은 해저면의 침전물을 뒤지면서 먹이를 걸러내는데,[302] 이때 몸을 옆으로 기울이며,[302] 대부분의 개체는 오른쪽으로 기우는 경향이 있다.[326][201] 이 때문에 오른쪽 고래수염이 더 마모되어 짧아지는 경우가 많다.[201][202] 귀신고래는 해저의 진흙이나 모래를 먹이와 함께 입에 넣고 수면으로 떠오른 뒤, 고래수염을 통해 바닷물과 침전물을 걸러내고 입에 남은 먹이를 통째로 삼킨다.[302][189] 미각이 있지만, 미신경이 작아 거의 느끼지 못한다고 여겨진다.[328]

귀신고래의 해저 섭식 전략도


오리건주 야키나 헤드(Yaquina Head) 근처에서 먹이를 먹는 귀신고래


해저면의 먹이 외에도 물에 떠다니는 작은 어류나 다른 먹이를 먹는 모습도 목격되었다.[302][87] 예를 들어, 밴쿠버 섬 근처에서는 새우와 비슷한 젓새우류(mysids)를 흔히 먹으며, 게 유생을 먹을 때는 플랑크톤성 섭식 행동인 표면 스키밍(입을 벌린 채 수면을 스치듯이 지나가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87] 그 외 먹이로는 다모류, 청어(Clupea pallasii) 알, 다양한 유생 등이 있다.[87] 최근에는 환경오염이나 기후변화 등으로 저서생물이 감소하자, 이전에는 잘 먹지 않던 멸치과 같은 소형 어류를 포식하는 사례가 자주 관찰되고 있다.[206]

먹이는 귀신고래의 주요 서식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주로 수심 5m에서 24m 사이에서 먹이를 찾으며, 최소 3m의 얕은 수심에서도 발견된 적이 있다.[329] 먹이를 섭취하기에 적합한 장소는 주로 여름철 북쪽 해역이며,[89] 이곳에서 하루 동안 섭취량은 1360kg에서 2000kg에 달한다.[330] 이동 중에는 주로 몸에 저장된 지방에 의존하지만, 캘리포니아만, 몬터레이만, 바하 칼리포르니아 수르 등에서 기회가 되면 먹이를 먹기도 한다.[90][91] 서태평양 개체군의 주요 먹이 활동 서식지는 사할린 섬 북동부의 얕은(깊이 5m~15m) 대륙붕이며, 주요 먹이는 옆새우류와 등각류이다.

새끼 귀신고래는 지방 함량이 53%인 어미 젖을 하루에 약 23kg에서 36kg씩 먹는다.[92]

5. 3. 행동



귀신고래는 다른 고래들에 비해 이동 속도가 느린 편이며, 보통 혼자 또는 작은 무리를 이루어 이동한다. 하지만 번식지나 먹이가 풍부한 북방 한계 지역에서는 많은 수가 모여 군집을 이루기도 한다. 범고래와 같은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주로 해안가나 갯벌, 조간대와 같이 수심이 얕은 바다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다.[208] 이러한 강한 연안성 때문에 육지에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누트카 해협).[208] 연간 이동 거리는 20000km 이상에 달하는데, 이는 현존하는 포유류 중 혹등고래와 더불어 가장 긴 이동 거리 중 하나이다. 드물게 강을 거슬러 올라가거나 도시의 수로에 들어가는 경우도 보고되었다.[209]

위에서 본 귀신고래


귀신고래는 종종 머리를 수면 위로 내밀어 주변을 살피는 행동(엿보기, Spyhopping)을 한다. 머리 꼭대기에 있는 두 개의 숨구멍으로 호흡하며, 쉴 때는 분당 2~3번, 깊이 잠수할 때는 3~5분 간격으로 호흡한다.[302] 숨을 내쉴 때 뿜어내는 분수는 하트 모양이며[208] 높이가 3m에서 4m에 달하고, 그 소리는 약 1km 밖에서도 들릴 수 있다.[302] 때때로 분수에서 냄새가 나기도 하는데, 이는 질병, 부상, 또는 섭식 활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23] 또한, 고래뛰기(Breaching)와 같은 수면 위 행동을 활발하게 하는데, 이는 몸에 붙은 외부 기생충이나 따개비를 떼어내거나 다른 개체와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추정된다.

귀신고래는 현존하는 수염고래류 중 유일하게 해저면의 저서생물을 주식으로 삼는 데 특화되어 있다.[189][326] 주 먹이는 해저면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 특히 옆새우류와 같은 이각류나 유령 새우(Neotrypaea californiensislat) 등이다.[302][87] 먹이를 먹을 때는 몸을 옆으로 기울여(주로 오른쪽으로 기우는 경향이 있다[326][88]) 해저면의 퇴적물을 입으로 빨아들인 뒤, 짧고 거친 고래수염판(약 130~180개[302])을 이용해 흙과 물을 걸러내고 먹이만 삼킨다.[302][189] 이러한 독특한 섭식 방식 때문에 머리 한쪽에 따개비와 같은 부착 생물이 집중적으로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201] 주로 5m에서 24m 사이의 수심에서 먹이를 찾으며, 때로는 수심 3m의 얕은 곳에서도 발견된다.[329] 북쪽 먹이 활동 지역에서는 하루에 1360kg에서 2000kg에 달하는 먹이를 섭취한다.[330]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 연안에서 먹이를 찾는 귀신고래


기회주의적인 섭식 성향도 가지고 있어, 저서생물 외에 물에 떠다니는 작은 물고기,[302] 젓새우류(mysids), 청어 알, 게 유생 등 다양한 먹이를 먹기도 한다.[87] 특히 젓새우류가 풍부한 밴쿠버 섬 근처에서는 이들이 주요 먹이가 되기도 한다.[87] 최근에는 환경오염이나 기후변화로 인한 서식 환경 악화와 저서생물 감소 때문인지, 평소 잘 먹지 않던 멸치과와 같은 소형 어류를 포식하는 사례가 자주 관찰되고 있다.[263][206]

귀신고래의 피부에는 따개비나 바다벼룩(고래이)과 같은 다양한 기생 생물이 붙어산다.[338][339] 이 기생체들의 무게를 합하면 100kg에 달하기도 한다.[302] 귀신고래는 이러한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해 해저면이나 해안가 바위에 몸을 문지르거나,[302] 드물게는 민물에 접근하기도 한다.[302]

입을 벌려 수염판을 보이는 새끼 고래, 알래스카


번식은 주로 11월 하순부터 12월 상순 사이에 이루어진다.[189] 여러 마리의 수컷이 한 마리의 암컷을 두고 경쟁하며 교미하는 방식이 관찰되는데, 보통 암수 합쳐 3마리가 함께 있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207] 임신 기간은 약 13개월이며,[188][189] 수명은 약 70년 정도이다.[188] 새끼는 어미로부터 지방 함량이 53%에 달하는 젖을 하루에 약 23kg에서 36kg씩 먹고 자란다.[92]

귀신고래는 사람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비교적 잘 따르는 경향이 있어, 고래 관광의 인기 대상이기도 하다. 특히 번식지에서는 배에 가까이 다가와 사람이 만질 수 있도록 몸을 내미는 등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210] 산업으로서의 고래 관광은 귀신고래를 대상으로 처음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210]

5. 4. 노래

(내용 없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노래' 섹션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5. 기생체

귀신고래의 피부에는 긁힌 자국과 함께 흰 따개비나 고래이(바다벼룩류) 등 다양한 기생체가 흩어져 붙어 있는 경우가 많다.[189][302] 이러한 기생체는 특히 머리 부분에 많이 발견된다.[302] 대부분의 귀신고래는 먹이를 찾을 때 몸을 오른쪽으로 기울이는 경향(오른손잡이)이 있는데,[201][202] 이 때문에 해저면에서 먹이를 뒤질 때 주로 사용하는 오른쪽 면에는 기생체가 거의 붙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302][201][202]

6. 분포와 이동



사할린섬 앞바다에서 헤엄치는 북서태평양 개체군 귀신고래.


여름철 북미 서해안을 따라 이동하는 귀신고래(클레이쿼트 해협)


겨울철 남하 이동 중인 귀신고래(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군)


현재 귀신고래는 북태평양에 두 개의 주요 개체군이 서식하고 있다. 하나는 북미 대륙 서해안을 따라 이동하는 북동태평양 개체군이고, 다른 하나는 아시아 연안을 따라 이동하는 북서태평양 개체군이다. 과거에는 북대서양에도 두 개의 개체군이 존재했으나 18세기경 멸종했다.[186][188][189] 귀신고래는 연간 이동 거리가 16000km에서 22000km에 달하는 등, 현존하는 포유류 중 가장 긴 거리를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5][97]
북동태평양 개체군은 약 27,000마리로 추산되며,[43] 여름에는 알래스카의 베링해와 척치해 등에서 먹이 활동을 하고, 겨울에는 번식을 위해 멕시코바하 칼리포르니아 반도와 남쪽 캘리포니아만의 따뜻한 석호까지 남하한다.[96] 매년 10월경 남쪽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2~3개월에 걸쳐 약 8000km에서 11000km를 이동한다.[96] 밤낮없이 하루 평균 약 120km를 이동하며, 평균 속도는 시속 8km/h 정도이다.[95] 12월 말에서 1월 초 사이에 번식지에 도착하며, 주요 번식지로는 산 이그나시오 석호, 마그달레나 만, 라구나 오호 데 리에브레(스캐먼 석호) 등이 있다.[98][99] 2월 중순부터 3월 중순까지 대부분의 개체가 번식지에 모여 새끼를 낳고 짝짓기를 한다. 3월 말에서 4월 중순 사이에 새끼와 함께 북쪽으로 이동을 시작하며, 일부는 5월까지 번식지에 머물기도 한다.[102] 과거에는 코르테스 해와 멕시코 본토 연안까지 서식했으나, 현재는 이 지역에서의 번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00][101][221][222] 한편, 캘리포니아주에서 알래스카주 남동부에 이르는 지역에는 대규모 이동을 하지 않고 특정 해역에 머무는 소규모 상주 개체군("PCFG", Pacific Coast Feeding Group) 약 200~300마리가 존재한다.[208] 이들 중 일부는 봄철에 밴쿠버섬과 퓨젓사운드 연안에 머물기도 한다("사운더스", The Sounders).[220]
북서태평양 개체군은 '한국계 귀신고래'라고도 불리며, 여름에는 주로 오호츠크해사할린섬 북동쪽 필툰 만 주변에서 지내고, 겨울에는 번식을 위해 남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정확한 이동 경로와 월동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최근에는 일본중국 연안에서 드물게 관찰된 기록이 있다.[108] 사진 식별을 통해 추정된 개체 수는 약 300마리 정도이다.[7] 과거 기록에 따르면, 여름에는 오호츠크해뿐만 아니라 황해, 발해 등에서도 서식했으며,[226] 겨울에는 한반도, 일본 열도, 중국 남부(광둥성, 하이난섬 등) 연안에서 번식했을 것으로 보인다.[224] 울산의 반구대 암각화에는 귀신고래를 포함하여 과거 한반도 연안을 회유했던 다양한 고래들이 묘사되어 있어, 역사적으로 이 지역이 귀신고래의 중요한 서식지였음을 시사한다.[107] 과거에는 도쿄만이나 세토 내해를 포함한 동아시아 연안 전역에 분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27][228]

그러나 이 개체군은 20세기 초 일본의 상업 포경으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특히 한반도 연안에서 대량으로 포획되어 개체 수가 급감했으며,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270] 포경 이전의 정확한 개체 수는 알 수 없으나, 서식 환경 분석 결과 동아시아 지역의 환경 수용력은 상당히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273] 현재 북서태평양 개체군은 IUCN에 의해 멸종위기종(Endangered, EN)으로 분류되어 있다.[46][47] 최근 사할린 연안에서 개체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보고되었으나,[46][47] 여전히 매우 적은 수이며, 근친 교배와 유전적 다양성 감소 문제도 우려되고 있다.[275] 또한, 최근 연구에서는 사할린에서 발견되는 개체 중 일부가 북미 개체군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어, 순수한 아시아계 개체군의 생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271][274][277][280]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한국이 귀신고래 보존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울산 앞바다의 '귀신고래 회유 해면'을 천연기념물 제126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연안에서는 1977년 울산 방어진 앞바다에서 2마리가 목격된 이후[122] 확실한 관찰 기록이 없으며, 2015년 삼척에서 귀신고래로 추정되는 고래가 목격되었다는 보고가 있다.[124] 중국에서는 1996년 황해 연안에서 좌초된 개체와 2007년 타이완 해협에서 그물에 걸려 죽은 개체가 마지막 기록에 가깝다.[126][117] 베트남에서는 1994년 하롱베이에서 1마리가 죽은 채 발견된 기록이 있다.[115][116] 최근 아시아 지역에서의 귀신고래 관찰은 대부분 일본 연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드물게 목격되거나 혼획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129][131][112][136] 2011년에는 동중국해 공해상에서 귀신고래의 소리가 탐지되기도 했다.[128][216]

멸종된 북대서양 개체군18세기까지 존재했으며, 이들의 정확한 이동 경로나 서식지에 대한 정보는 부족하다.

과거 빙하기에는 귀신고래의 서식 범위가 현재보다 더 넓었거나 남쪽으로 치우쳐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당시 환경 조건이 허락했다면 현재는 서식하지 않는 남반구인도양 등지에서도 서식했을 수 있다.[94]

7. 보존 상태 및 전망

알래스카 해안에서 스파이호핑하는 모습


귀신고래는 과거 북반구 전역 연안에 서식했지만, 해안 가까이 이동하는 습성과 비교적 작은 크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포경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근대 포경 산업이 발달하면서 남획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북대서양 개체군은 18세기경 멸종했고, 북태평양 개체군 역시 심각하게 감소했다.

1949년 국제포경위원회(IWC)는 귀신고래의 상업적 포경을 금지했으며, 1975년에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게 되었다.[185] 보호 조치 이후 북동태평양 개체군은 한때 회복세를 보였으나 최근 다시 감소 추세이며, 동아시아 연안의 북서태평양 개체군은 여전히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이다.

현재 귀신고래가 직면한 주요 위협은 다음과 같다.

  • 포경: 상업적 포경은 금지되었지만, 러시아 추코트카 지역과 미국 워싱턴주에서는 원주민의 생존을 위한 제한적인 포경이 허용되고 있다. 과거 소련 시절에는 원주민 생계 목적 외에 모피 농장의 사료로 고래 고기가 사용되었다는 비판도 있었다.[164] 일본 등지에서는 밀렵이나 '혼획'을 명목으로 한 포획 가능성도 제기된다.[282][290][270][291][292]
  • 서식지 파괴 및 교란: 연안 개발, 선박과의 충돌, 수중 소음(지질 조사, 선박 운항 등), 해양 오염(유독성 물질 유출, 해양 쓰레기) 등이 주요 위협 요인이다.[171][45] 특히 사할린 주변의 유전 개발[353]과 번식지 인근의 개발 압력[302]이 우려된다.
  • 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빙 감소는 먹이인 저서 생물의 분포와 번식에 영향을 미쳐 먹이 부족을 유발할 수 있으며[175], 이동 경로에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북동태평양 개체군의 소형화[205] 및 대량 폐사[263]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
  • 자연적 요인: 범고래는 귀신고래, 특히 새끼의 주요 포식자이다.[156][178] 질병이나 엘니뇨와 같은 환경 변화도 개체 수 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02] 최근에는 태양 활동 증가 시기에 좌초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176]


대한민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일본의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해 귀신고래가 거의 사라졌다.[270] 1962년 정부는 울산광역시 장생포 앞바다를 포함한 동해안 일대를 울산 귀신고래 회유 해면으로 지정(천연기념물 제126호)하여 보호에 나섰으나,[346][347] 1977년 이후 한국 연안에서는 공식적으로 발견되지 않고 있다.[348]

2018년 기준,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귀신고래 전체 종을 '관심대상'(Least Concern)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북서태평양 개체군은 '위급'(Critically Endangered) 상태로 평가한다.[3] 북동태평양 개체군은 1994년 미국의 멸종위기종법 목록에서 제외되었으나[356], 1999-2000년[302]과 2019년 이후[174] 발생한 대량 폐사로 인해 개체 수가 다시 감소하여(최대 50% 이상 감소 추정[263]), 이전에 추정되었던 개체 수(76,000~118,000마리 또는 그 이상[265][273])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14,000~16,000마리 추정[263])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귀신고래의 장기적인 생존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보호 노력과 함께 서식지 보전, 기후 변화 대응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7. 1. 북서태평양

북서태평양에는 한때 많은 수의 귀신고래가 서식했으나, 오랜 기간 이어진 무분별한 포획으로 인해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특히 한반도 연안의 귀신고래는 일제강점기 일본에 의해 집중적으로 남획되어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270]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12월 3일, 울산광역시 장생포 앞바다를 포함한 동해안 일대를 울산 귀신고래 회유 해면으로 지정(천연기념물 제126호)하고 보호에 나섰으나,[346][347] 1977년 울산 앞바다에서 2마리가 목격된 것을 마지막으로[278] 대한민국 연안에서는 공식적인 발견 기록이 없다.[348] 다만, 2015년 삼척시에서 귀신고래로 추정되는 고래가 발견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349][279]

한때 북서태평양의 귀신고래 개체군은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여겨졌지만, 소련의 영향력이 약화된 이후 사할린섬 연안에서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생존해 있는 무리가 발견되었다.[350] 현재 이 개체군은 약 130마리 정도로 추정되며,[351] 매년 약 3% 수준으로 개체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52]

북서태평양 개체군이 북동태평양 개체군보다 훨씬 심각한 위협에 놓인 주된 이유는 지속적인 포획 압력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귀신고래 회유 해면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 2년 뒤인 1964년까지도 포경이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있으며, 1911년과 1964년 사이에 총 1,338마리가 잡혔다는 통계도 있다.[352]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개체 수가 급감하는 상황에서도 일본에 의한 남획이 계속되었다. 이는 1940년대에 이미 보호 조치가 내려진 북동태평양 개체군과 대조적이다. 현재는 관련 국가들이 귀신고래 보호에 나서고 있지만, 포경 외에도 여러 위협 요인이 존재한다. 선박과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며, 주요 서식지인 사할린 지역의 유전 개발은 해저 환경을 변화시켜 서식지를 파괴하고 먹이를 고갈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전 탐사를 위한 지질 조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 등은 귀신고래에게 스트레스를 주어 행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353] 북서태평양 귀신고래의 생존을 위해서는 사할린 지역의 무분별한 개발을 제한하고, 특히 번식 가능한 암컷이 어망에 걸려 죽는 사고를 막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있다.[354][355]

아시아계 개체군(서부 귀신고래)은 과거 기록을 통해 여름에는 오호츠크해, 황해, 발해[226] 등에서 보내고, 겨울에는 한반도, 일본 열도, 중국 대륙 남부(광둥성, 하이난섬 등) 연안에서 번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봄과 가을의 회유 시기에는 한반도 근해를 거쳐 일본 열도를 통과했을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는 도쿄만이나 세토 내해를 포함한 동아시아 연안 전역이 서식지였으며, 제주도, 황해, 발해,[224] 중국 남부(복건성 연안, 홍콩, 다야만, 마카오, 하이난섬뢰저우반도 등)에 번식 해역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24]

아시아계 개체군은 일본 열도에서의 전통적인 포경 외에도, 유라시아 대륙에서 일본이 주도한 상업 포경으로 인해 대량으로 포획되어 멸종 위기에 처했다. 특히 가장 많은 포획이 이루어진 곳은 한반도였다.[270] 한반도에서 일본 포경업자에 의해 포획된 개체를 측정한 결과, 가슴지느러미, 수염판, 머리 비율 등에서 북미 개체군과는 다른 특징이 발견되기도 했다. 현재 살아남은 서부 귀신고래 중 순수한 아시아계 혈통이 얼마나 되는지, 북미 개체군에서 유입된 개체는 얼마나 되는지, 또는 두 집단 간의 교잡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는지는 명확하지 않다.[277] 최근 중국과 일본 연안에 나타난 개체들을 분석한 결과, 북미 개체군에서 유래했을 가능성 및 기존의 아시아계 개체군이 사실상 멸종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271][274][280] 또한, 개체 수 급감으로 인한 근친 교배 증가와 유전적 다양성 감소 문제도 우려된다.[275] 2010년 이후 사할린 북서부에서 캘리포니아 반도로 이동하는 개체가 여러 마리 확인되면서, 최근 '아시아계'로 여겨졌던 개체군에 북미 개체군에서 유래한 개체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277]

2017년 3월 일본 아오가시마에서 관찰된 귀신고래. 2018년에도 같은 섬에서 확인되었다.


중국에서는 1933년 이후 24건의 기록이 있으며, 가장 최근 기록은 1996년 황해 대련시·장하시에 표착한 암컷 성체와 2011년 대만 해협 평탄현에서 혼획된 암컷 성체이다.[280][281] 베트남에서는 1994년 하롱베이에서 상어로 오인되어 죽은 개체가 귀신고래로 판명되면서, 이 종의 베트남 분포를 보여주는 첫 증거가 되었다.[215]

일본에서는 1993년 이즈오시마에서 아시아계 귀신고래 3마리가 수중 촬영되었는데,[283] 이는 이 종의 포식 행동을 수중에서 선명하게 포착한 세계 최초의 기록이기도 했다. 이세만·미카와만에서는 1980년대부터 세 차례 생존 개체가 확인되었고, 수개월간 머무는 행동도 관찰되었다. 2010년 아카바네정 앞바다에서 확인된 어린 개체가 2012년 만 안쪽에 정착한 것이 확인되어 아시아 지역 최초의 정기 회유 기록이 되었다.[285] 일본해 연안에서는 2014년과 2015년 니가타현 나가오카시타이나이시 연안에서 동일 개체가 확인되었고,[287][288] 2019년에는 후쿠이현이시카와현 연안에서도 1마리가 확인되어,[289] 일본해 중앙부 연안을 회유 경로로 이용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상업 포경 금지 이후에도 북서태평양 귀신고래는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원주민의 생존 포경, 정치망 등에 의한 혼획, 선박과의 충돌, 해양 소음, 해양 쓰레기 섭취, 서식지 개발 및 환경 오염, 지구 온난화로 인한 먹이 감소와 서식 환경 악화 등이 있다.[221][205] 일본에서는 밀렵으로 의심되는 사체가 발견되거나[282][290][270] 시장에서 귀신고래 고기가 유통된 사례[291]도 보고되었다. 또한, 일본에서는 '혼획'을 명목으로 멸종위기종인 귀신고래가 의도적으로 포획될 위험성도 제기되며,[292] 실제로 혼획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293] 일본 내에서는 귀신고래를 포함한 멸종위기 고래류의 관할이 환경성이 아닌 농림수산성 소관이며, 자연 보호계에서도 고래류 보호 문제가 경시되어 온 측면이 있다.[293]

7. 2. 북동태평양

북동태평양 개체군은 한때 남획으로 멸종위기에 놓여 2천 마리 이하로 급감하여 멸종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1937년 미국에서 준보호 조치가 내려졌고, 1947년부터 완전히 보호되기 시작하면서 개체 수가 증가했다.[302] 이는 성공적인 회복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현재 개체 수는 26,635마리로 추산되며,[302] 이는 남획 이전 수준에 근접하는 것으로 보인다. 1994년에는 미국의 멸종 위기 종 목록에서 제외되었다.[356] 북쪽 회유지에서는 원주민들이 정해진 수량만큼 포획하는 것이 허용되고 있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는 연간 최대 140마리 포획이 허용되었다.[357]

그러나 1999년부터 2000년 사이에는 귀신고래가 좌초되어 죽는 사례가 연간 수백 마리에 달하는 등 대량 폐사가 발생했다. 사망 원인으로는 먹이 부족, 해양 오염, 전염병, 엘니뇨 등이 거론되지만,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다.[302] 일각에서는 개체 수가 이미 환경 수용 능력의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과거 포경 외에도 개발 활동으로 위협을 받기도 했다. 1994년 일본의 대기업인 미쓰비시가 귀신고래의 주요 번식지인 멕시코 바하칼리포르니아 인근에 대규모 소금 공장을 건설하려는 계획을 발표했다. 멕시코 정부가 이에 동조하면서 지역 사회와 국제 환경 단체를 중심으로 강력한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358] 결국 이 계획은 백지화되었지만,[302] 멕시코 정부는 여전히 해당 지역의 고래 관광을 포함한 관광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어, 귀신고래의 서식 환경에 잠재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남아 있다.

개체 수가 회복 추세에 있는 북미 지역에서는 고래 관광이 인기이다(데포 베이).


세계자연유산인 엘 비스카이노 생물권보호지역에서 관찰되는 귀신고래.

7. 3. 대서양

북대서양 개체군은 과거 북미 대륙 동부 연안(캐나다에서 멕시코만까지)과 유럽 연안(아이슬란드, 스칸디나비아 반도, 영국 제도에서 지중해사하라 사막 연안까지)의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237][238][239][240][241][244] 플로리다 반도, 허드슨만, 발트해, 팜리코만, 와덴해, 지중해, 서사하라 등 폐쇄적인 해역에서도 서식했다.[237][238][239][240][241][244] 화석 및 유전자 정보 분석 결과, 홍적세와 충적세 동안 기후 변화에 따른 베링 해협 개방으로 태평양에서 대서양으로 여러 차례 이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242]

이 개체군은 18세기에 포경으로 인해 멸종한 것으로 여겨진다.[243] 17세기와 18세기 포경 활동 증가 시기와 개체군 소멸 시기가 일치하는 등 포경이 멸종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특히 초기 뉴잉글랜드 포경업자들이 "스크래그 고래(scrag whale)"라고 부르며 사냥했던 고래가 귀신고래였을 가능성이 높다.[57][58] 1672년 이전 낸터킷 섬에서는 정착민들이 항구로 들어온 스크래그 고래를 추격해 잡았다는 기록이 있다.[56] 아이슬란드에서도 17세기 초 귀신고래(sandlægja|산들라이갸is)에 대한 묘사가 남아있다.[163] 로마 제국 시대 지브롤터 해협에서의 사냥이나 중세 네덜란드, 플랑드르 지역의 포경업이 지중해, 북해, 영국 해협 등에서 귀신고래와 북대서양참고래를 사라지게 했을 것이라는 설도 제기되었다.[244][245][246]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2010년 이후 지구 온난화로 인한 극지 해빙 감소로 북극해를 통한 이동이 가능해지면서 태평양 개체로 추정되는 귀신고래가 대서양과 남반구에서 다시 관찰되기 시작했다.[250]

2005년, 보전 생물학자들은 개체 수가 회복된 태평양 귀신고래 50마리를 대서양으로 공수하여 멸종된 개체군을 재건립하자는 계획을 제안했다. 특히 아일랜드해 등이 재도입 장소로 고려되었으나[168][169][259][260], 이 계획은 아직 실행되지 않았다.[170][261]

8. 인간과의 관계



귀신고래는 오랜 옛날부터 서식지 인근의 문화적 표현 대상이 되어 왔으며, 상업적 포경이 금지된 현재에도 인간과 여러 관계를 맺고 있다.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귀신고래를 포함한 다양한 고래가 상세히 묘사되어 있어, 선사 시대부터 한반도 연안에서 귀신고래가 중요한 존재였음을 알 수 있다.[363]

사람과 범고래가 성체 귀신고래의 유일한 포식자이지만, 범고래가 더 주된 포식자이다.[156] 밴쿠버 섬과 워싱턴주의 마카족을 포함한 일부 북미 원주민들은 전통적으로 귀신고래를 사냥했다.

유럽인에 의한 북태평양 귀신고래 상업 포경은 1845년~1846년 겨울 마그달레나 만에서 미국 포경선 두 척이 32마리를 포획하며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기름과 고래수염의 질이 낮고 포경의 위험성 때문에 활발하지 않았으나,[157] 1855년~1856년 겨울 찰스 멜빌 스캐몬 선장 등이 마그달레나 만에서 포경을 재개하면서 1865년까지 11년간의 "황금기"를 맞았다. 이 기간 동안 바하칼리포르니아 해안과 여러 포경 기지에서 고래가 포획되었으며, 알래스카 만, 오호츠크해, 서부 북극에서도 다른 고래가 없을 때 귀신고래를 잡기도 했다.[157] 스캐몬은 1857년 라구나 오호 데 리에브레(스캐몬 석호)와 1859년 산 이그나시오 석호 등 마지막 번식지까지 찾아내 포경을 감행하여 이들 지역의 고래를 거의 고갈시켰다.[157][158] 1846년부터 1874년까지 약 8,000마리의 귀신고래가 포획된 것으로 추정된다.[157]

20세기 초에도 캘리포니아, 워싱턴, 브리티시컬럼비아 등지에서 포경이 이루어졌으며, 1919년부터 1929년까지 북미 서해안에서 234마리가 잡혔다.[159] 1960년대에는 과학적 목적이라는 명분으로, 또는 소련에 의해 포획되기도 했다. 1936년 미국에서 보호종으로 지정되었다.[160]

일본에서는 1570년대부터 귀신고래를 포획했으며, 나가토(長門)와 쓰루(津呂) 등지에서 기록이 남아있다.[161]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는 미국과 유럽 포경선들이 오호츠크해에서 수백 마리를 더 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62] 특히 1911년부터 1933년 사이에는 일본 회사들이 한반도와 중국 연안에 포경 기지를 세우고 1,449마리를 사냥하여 서태평양 귀신고래를 멸종 위기로 몰아넣었다. 1891년부터 1966년까지 약 1,800~2,000마리가 포획된 것으로 추산된다.[162]

귀신고래는 1949년부터 국제포경위원회(IWC)에 의해 상업적 포경으로부터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 북동부 추코트카 지역에서는 "원주민/생계형 포경" 예외 조항에 따라 제한적인 포획이 계속되고 있다. 이 포획이 전통적 소비가 아닌 모피 농장 사료용이라는 비판이 있으며, 러시아 정부도 이를 일부 인정했다.[164] 현재 연간 포획 할당량은 140마리이다. 미국 워싱턴의 마카 부족도 IWC 할당량 일부를 요구하여 1999년 한 마리를 사냥했으나, 이후 법적 문제로 금지되었다. 2007년에는 부족민 일부가 판결을 어기고 귀신고래를 사살하는 사건이 있었다.[165]

2016년 캘리포니아주의 한 학급이 코델 뱅크 국립해양보호구역에서 귀신고래를 발견했다.


2018년 기준, IUCN은 귀신고래를 전체적으로는 "관심대상 최소종"으로 분류하지만, 북서 태평양 개체군은 "위급종"으로 간주한다.[3] 북서 태평양 개체군은 미국 멸종위기종법에 따라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IWC는 이 개체군의 규모가 작고 인위적 영향에 취약하여 보존 위험이 크다고 평가한다.[44]

대한민국중국은 귀신고래를 보호가 필요한 중요 종으로 지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이 1962년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26호로 지정되었으나,[167] 이후에도 불법 포획이 있었고[123] 최근에는 한국 해역에서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 한국 수역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된 것은 1977년 울산 방어진 앞바다에서 목격된 한 쌍이다.[122]

동부 북태평양 개체군에 대한 위협으로는 번식지에서의 인간 활동 증가, 기후 변화, 급성 소음, 유독성 유출, 원주민 포경, 어구 걸림, 선박 충돌, 화석 연료 탐사 및 채굴 등이 있다.[171] 서부 개체군은 특히 여름 먹이 터 근처의 대규모 해상 석유 및 가스 개발 프로그램과 이동 경로인 일본 연안에서의 그물 걸림 위험에 직면해 있다.[44] 사할린 섬 북동부 먹이 터 인근에서의 석유 및 가스 개발 활동(지진 조사, 파이프라인 설치, 시추, 선박 증가, 기름 유출 등)은 서식지 교란 및 파괴, 먹이 오염 등의 심각한 위협이 된다.[45] 일본 연안에서는 2000년대 이후에도 그물에 걸려 죽는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시장에서 고래고기가 판매되기도 했다.[45][172][173]

2019년에는 미국과 캐나다 연안에서 기록적인 수의 귀신고래 좌초 및 사망이 발생했다. 일부 사체는 영양 상태 불량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174] 이는 북극 먹이 터에서 먹이(주로 옆새우)의 양이나 질 변화 때문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해빙 감소가 옆새우 번식을 방해하여 영양가가 낮은 크릴을 먹게 되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175] 최근 연구에서는 태양 활동(흑점 증가)과 귀신고래 좌초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증거도 제시되었다. 태양 폭풍이 지구 자기장을 교란하여 고래의 이동 능력을 방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176][177]

8. 1. 문화

귀신고래는 회유 경로 인근 지역 사람들의 문화 속에 자주 등장하였다.

축치인의 전설에는 먼 옛날 바닷가에 살던 아름다운 처녀와 사랑에 빠진 고래 이야기가 있다. 고래는 잘생긴 청년으로 변해 처녀와 결혼했고, 처음에는 고래 자식들을 낳아 바다로 돌려보냈으며 이후 인간 자식들을 낳았다. 아버지가 된 고래는 자식들에게 바다는 형제인 고래들의 고향이니 잘 보호하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식량이 부족해지자 인간 자식들은 아버지의 당부를 잊고 고래 사냥에 나섰고, 쉽게 잡은 고래를 어머니에게 보여주었다. 어머니는 "너희는 단지 자신들과 닮지 않았다는 이유로 형제를 죽였다"고 슬퍼하며 죽었다는 내용이다.

캐나다 밴쿠버섬 인근에 살던 원주민들은 귀신고래를 토템, 상, 조각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했으며, 이 전통은 오늘날까지 이어진다.[362]

한국에서는 약 7천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 귀신고래를 비롯한 여러 고래가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어, 선사 시대부터 한반도 연안에서 귀신고래가 중요한 존재였음을 알 수 있다.[363] 또한 한국의 유일한 태양신 관련 신화인 연오랑과 세오녀 설화에서 주인공 부부가 일본으로 건너갈 때 타고 갔다는 움직이는 바위가 바로 귀신고래였다는 주장이 있다.[302][364] 이는 과거 동해안에 귀신고래가 흔하게 서식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302] 한국에서 '귀신고래'라는 이름은 연안 가까이 접근하여 귀신처럼 예측 불가능하게 나타났다 사라지는 행동 특성, 특히 얕은 곳에서 스파이호핑(spyhopping, 물 위로 머리를 내미는 행동) 등의 모습을 자주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192][193]

영어로는 포경 시대에 '악마 물고기(Devil fish|데빌 피시영어)'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포경선 작살에 맞았을 때, 특히 새끼를 보호하려는 어미가 매우 격렬하게 저항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194] 일본어로는 '고쿠지라(コクジラ|고쿠지라jp)'라고 불리는데, 이는 '작은 고래'라는 의미로 해석되며,[190] 과거에는 외형이나 기름 색깔에 따라 '치고쿠지라(稚児鯨|치고쿠지라jp)', '아오사기(青鷺|아오사기jp)', '샤레(シャレ|샤레jp)', '시로사키(シロサキ|시로사키jp)'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191][227]

8. 2. 고래 관광

상당 부분 복구된 동태평양 개체군을 중심으로 이들의 회유 경로인 브리티시 컬럼비아, 워싱턴주, 캘리포니아 등지에서는 범고래 등 다른 고래와 함께 귀신고래를 관찰하는 고래 관광 사업이 발달해 있다. 귀신고래는 회유 기간 동안 고래 관광에 가장 적합한 고래 중 하나로 꼽힌다. 과거 포경업자에게는 사나운 모습을 보였으나, 오늘날 관찰자에게는 강한 호기심을 보이며 접근하는 경우가 많고, 심지어 사람이 머리를 쓰다듬도록 허용하기도 한다. 귀신고래가 인간에게 보이는 이러한 친근함은 1970년대부터 두드러지기 시작했으며, 관찰선에 몸을 비비는 행동도 관찰되었다.[365] 귀신고래를 관찰하기 좋은 시기는 남쪽으로 이동하는 1월에서 3월 사이이며, 북쪽으로 이동할 때는 해안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이동하기 때문에 최적기로 여겨지지 않는다.[366]

매년 10월경 베링해와 척치해에서 출발한 동태평양 귀신고래 무리는 2~3개월에 걸쳐 약 8000km에서 11000km를 이동하여 멕시코의 바하 캘리포니아 반도와 남쪽 캘리포니아만의 따뜻한 석호에 도착한다. 이 여정은 캐나다, 미국, 멕시코 서해안을 따라 이어진다.[96] 밤낮없이 이동하며 하루 평균 약 120km를 이동하고, 평균 속도는 시속 8km 정도이다. 왕복 16000km에서 22000km에 달하는 이 연간 이동 거리는 포유류 중 가장 긴 것으로 여겨진다.[97] 12월 중순부터 1월 초 사이에는 대부분의 귀신고래가 몬터레이와 샌디에이고 사이 해역(예: 모로 베이)에서 발견되며, 해안에서도 종종 관찰된다.[95] 고래 관찰 산업은 생태관광객과 해양 포유류 애호가들에게 귀신고래의 이동을 가까이에서 볼 기회를 제공한다.

12월 말부터 1월 초가 되면 동부 귀신고래들은 바하 캘리포니아 수르주 서해안의 번식지인 석호와 만에 도착하기 시작한다. 주요 번식지로는 산 이그나시오 석호, 마그달레나 만, 그리고 라구나 오호 데 리에브레(과거 고래잡이꾼 찰스 멜빌 스캐몬의 이름을 딴 스캐몬 석호)가 있다.[98][99] 바하의 석호에서는 고래들이 관광객이 쓰다듬을 수 있을 정도로 배에 가까이 다가오는 경우가 많아 고래 관찰이 특히 인기가 높다.[102]

산업으로서의 고래 관광은 1950년대 샌디에이고 인근에서 어부들이 귀신고래를 대상으로 시작한 투어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진다.[295] 귀신고래는 캘리포니아주의 동물로 지정되어 오랫동안 주민들의 사랑을 받아왔는데, 이는 캘리포니아주에서 고래 관광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296] 세계자연유산인 엘 비스카이노 생물권보호구역에서는 귀신고래가 스스로 보트에 다가와 사람들과 교류하는 모습이 두드러지며, 이곳에서는 고래가 스스로 다가오는 경우에 한해 고래를 만지는 것이 법적으로 허용된다.[210]

엘 비스카이노 생물권보호구역에서의 관찰


귀신고래 관찰은 관광객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에 기여하고 생물 교육의 좋은 현장으로 평가받는다.[302] 하지만 과도한 고래 관광 활동이 고래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어, 선박은 고래와 가까워지면 엔진을 꺼야 하며 최근에는 관찰 가능 지역도 제한되고 있다.[302]

8. 3. 사육되는 귀신고래

귀신고래는 크기가 크고 이동성이 강해 사육이 매우 어렵다. 지금까지 성공적인 장기 사육 사례는 없으며, 기록된 세 번의 사육 시도는 모두 씨월드 샌디에이고SeaWorld San Diegoeng에서 이루어졌다.[367][298]

  • 기기 (Gigi): 1965년 스캐먼 라군Ojo de Liebre Lagooneng에서 포획 계획이 실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인 포경업자가 고용되어 어미 고래를 죽이고 새끼를 포획했다.[298] '기기'(Gigieng)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 암컷 새끼는 씨월드 샌디에이고로 옮겨졌으나, 포획 당시 입은 작살 상처와 감염으로 인해 약 두 달 만에 사망했다.[181][298]
    씨월드로 옮겨진 새끼 귀신고래 '기기'
  • 기기 2세 (Gigi II): 1971년, 씨월드는 다시 스캐먼 라군에서 암컷 새끼를 포획했다. 포획 과정에서 어미 고래가 새끼를 보호하려 여러 차례 배를 공격하며 강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새끼는 어미와 분리되었다.[302][298] '기기 2세'(Gigi IIeng)로 명명된 이 새끼는 처음 2개월 동안 먹이를 거부하여 체중이 68kg이나 줄었으나, 강제 급여를 시작으로 점차 먹이를 먹으며 빠르게 성장했다.[302] 포획 당시 몸길이는 약 5.5m였으나, 1년 만에 급격히 성장하여 사육 시설이 감당하기 어려워졌다.[298][299] 결국 1972년, 몸길이 8m에 달했을 때 바다로 방사되었다.[182][302] 조련사와 반려 돌고래에게 친근한 태도를 보였다고 기록되어 있다.[302] 어미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방사되었기 때문에 야생에서의 생존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298][299]
  • J.J. : 1997년 캘리포니아주 마리나 델 레이 해변에 좌초된 암컷 새끼가 발견되었다. 바다로 돌려보내려는 시도가 실패하고 어미도 찾을 수 없어 사육이 결정되었다.[300] 'J.J.'(J.J.eng)로 명명된 이 개체는 처음에는 쇠약했으나 곧 회복하여 씨월드 샌디에이고에서 14개월간 사육되었다. J.J.는 큰 화제를 모으며 인기를 얻었지만, 역시 빠른 성장으로 인해 사육 환경에 한계가 왔다.[300] 시간당 0.5kg씩 성장할 정도로 성장 속도가 빨랐다.[302] 결국 1998년, 미국 해안 경비대의 협조 아래 바다로 방사되었다.[300] 방류 당시 몸길이는 9.4m, 몸무게는 8.7ton에 달했으며, 이는 인류가 사육한 해양 포유류 중 가장 큰 개체 기록이다.[183][300] --


귀신고래는 밍크고래라이스고래Rice's whaleeng와 함께 수염고래류 중 드물게 수족관 사육 기록이 있는 종이다.

참조

[1] MSW3
[2] 논문 New records of fossil fur seals and walruses (Carnivora: Pinnipedia) from the late Neogene of Northern California
[3] IUCN Eschrichtius robustus 2021-11-19
[4]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5] 서적 Britannica Micro.
[6] 웹사이트 Recovery Strategy for the Gre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Atlantic Population, in Canada http://dsp-psd.pwgsc[...] 2012-12-20
[7] 웹사이트 Gray Whale NOAA Fisheries https://www.fisherie[...] 2020-06-29
[8] 웹사이트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Gray Whale http://www.worldwild[...] 2012-12-20
[10]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Academic Press
[11] 뉴스 What is a whale native to the North Pacific doing off New England? Climate change could be the key https://apnews.com/a[...] 2024-03-27
[12] 뉴스 Gray whale spotted off Florida coast. Here's why the sighting is so unusual https://www.palmbeac[...] 2024-03-27
[13] 뉴스 Lost in the Mediterranean, a starving grey whale must find his way home soon https://www.reuters.[...] 2024-03-27
[14] 웹사이트 The Paleobiology Database Eschrichtiidae entry https://paleobiodb.o[...] 2010-12-26
[15] 논문 A new species of the genus Eschrichtius (Cetacea: Mysticeti) from the Early Pleistocene of Japan
[16] 논문 Radiation of extant cetaceans driven by restructuring of the ocean 2009-12-00
[17] 논문 Cetacean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sequences of all extant baleen whales and two sperm whale species
[18] 논문 Mitochondrial phylogenetics and evolution of mysticete whales
[19] 논문 Phylogenomic Resolution of the Cetacean Tree of Life Using Target Sequence Capture 2019-10-21
[20] 논문 Whole-genome sequencing of the blue whale and other rorquals finds signatures for introgressive gene flow
[21] 웹사이트 Explore the Database https://www.mammaldi[...] 2021-08-20
[22] 논문 Eschrichtius
[23] 논문 What happened to gray whales during the Pleistocene? The ecological impact of sea-level change on benthic feeding areas in the North Pacific Ocean
[24] 논문 Rhachianectes https://www.biodiver[...]
[25] 논문 A subfossil gray whale discovered in Sweden in 1859
[26] 서적 The Gray Whale Academic Press
[27] 논문 Dating remains of gray whales from the eastern North Atlantic
[28] 논문 Ecotourism and the desert whale: An interview with Dr. Emily Young http://ag.arizona.ed[...]
[29] ITIS 2006-03-18
[30] Harvnb Balaena gibbosa
[31] Harvnb
[32] Harvnb
[33] Harvnb
[34] Harvnb
[35] Harvnb
[36] 논문
[37] 서적 The marine mammals of the north-western coast of North America
[38] 논문
[39] 웹사이트 How to Spot Whales from Shore https://thewhaletrai[...] 2011-02-13
[40] 서적 Animal: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the World's Wildlife DK Adult
[41] 논문 日本沿岸域に近年(1990–2005 年)出現したコククジラEschrichtius robustus の骨学的特徴,特に頭骨形状から見た北太平洋西部系群と東部系群交流の可能性 https://www.jstage.j[...] The Mammal Society of Japan, Cetacean Research Laboratory in Marine environmental sec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Tokyo University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J-STAGE 2015-01-16
[42] 웹사이트 Observation of the gray whale in the Laptev Sea http://kit.sevin-exp[...] Standing expedition of IE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43] 웹사이트 Gray Whale https://www.fisherie[...] NOAA Fisheries 2024-11-22
[44] 간행물 Report of the Scientific Committee, Tromsø, Norway, 30 May to 11 June 2011 Annex F: Sub-Committee on Bowhead, Right and Gray Whale http://www.iwcoffice[...]
[45] IUCN Eschrichtius robustus (western subpopulation) 2021-06-02
[46] 뉴스 Fin whale, mountain gorilla populations rise amid conservation action https://phys.org/new[...] 2018-11-25
[47] 뉴스 Whale Conservation Success Highlighted in IUCN Red List Update https://www.maritime[...] 2018-11-25
[48] 서적 Marine Mammals of the World. Systematics and Distribution. Special Publication Number 4. The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49] 서적 The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7-09-05
[50] 웹사이트 Occurrence Detail 1322462463 https://www.gbif.org[...] 2017-09-21
[51] 웹사이트 Regional Species Extinctions – Examples of regional species extinctions over the last 1000 years and more http://www.fmap.ca/r[...]
[52] 웹사이트 Grey Whale (Atlantic population) Eschrichtius robustus http://www.dfo-mpo.g[...] Fisheries and Oceans Canada 2017-08-15
[53] 논문 Did the Gray Whale calve in the Mediterranean? https://archive.org/[...]
[54] 웹사이트 Ancient whale exploitation in the Mediterranean: species matters http://morse.cefe.cn[...]
[55] 논문 Forgotten Mediterranean calving grounds of grey and North Atlantic right whales: evidence from Roman archaeological records 2018-07-11
[56] 서적 The History of Nantucket:being a compendious account of the first settlement of the island by the English:together with the rise and progress of the whale fishery, and other historical facts relative to said island and its inhabitants:in two parts https://babel.hathit[...] Hilliard, Gray & Co.
[57] 논문 Recent and older finds of the gray whale in the Atlantic
[58] 논문 An essay upon the natural history of whales https://archive.org/[...]
[59] 뉴스 The Gray Whale Sneaks Back into the Atlantic, Two Centuries Later https://www.wnyc.org[...] WNYC 2015-10-08
[60] 잡지 Why Are Gray Whales Moving to the Ocean Next Door? http://discovermagaz[...] 2016-02-25
[61] 논문 Climate impacts on transocean dispersal and habitat in gray whales from the Pleistocene to 2100 https://publishup.un[...] 2015-03-09
[62] 웹사이트 Grijze walvis gemeld bij Marokko https://www.sosdolfi[...] SOS Dolfijn
[63] 웹사이트 2021-04-04, Archive – Yasutaka Imai https://observation.[...]
[64] 뉴스 Gray whale sighted off New England 200 years after species' Atlantic extinction https://www.theguard[...] 2024-03-06
[65] 논문 Pre-Whaling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Ecology in Eastern Pacific Gray Whales: Insights from Ancient DNA and Stable Isotopes 2012-05
[66] 논문 DNA evidence for historic population size and past ecosystem impacts of gray whales 2007-09-11
[67] 웹사이트 Gray Whale Population Studies http://swfsc.noaa.go[...] NOA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Southwest Fisheries Science Center, Protected Resource Division
[68] 웹사이트 Automatic Whale Detector http://www.fisheries[...] NOAA,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Southwest Fisheries Science Center, Protected Resource Division
[69] 웹사이트 Western Pacific Gray Whale, Sakhalin Island 2010 http://mmi.oregonsta[...] Oregon State University, Marine Mammal Institute 2011-02
[70] 보고서 Status Report of Conservation and Researches on the Western North Pacific Gray Whales in Japan, May 2013 – April 2014 https://archive.iwc.[...]
[71] 논문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Sightings in Eastern Beaufort Sea http://pubs.aina.uca[...] 1981-06-01
[72] 논문 Observation of the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in the Laptev Sea
[73] 웹사이트 Летом в Арктике стало меньше льда http://www.rgo.ru/ru[...] Russian Geographical Society 2014-05-24
[74] 웹사이트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sighting in Namibia (SE Atlantic) – first record for Southern Hemisphere http://www.namibiand[...] Mammal Research Institute, the University of Pretoria and the Namibian Dolphin Project 2014-05-18
[75] 웹사이트 לווייתן אפור נצפה בפעם הראשונה מול חופי ישראל – מדע וסביבה – הארץ http://www.haaretz.c[...] Haaretz.co.il 2010-05-08
[76] 웹사이트 Satellites witness lowest Arctic ice coverage in history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77] 뉴스 Mystery gray whale sighted again off Spain coast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5-30
[78] 블로그 A rare and mysterious visitor in Walvis Bay http://namibiandolph[...] Namibiandolphinproject.blogspot.ch 2013-05-14
[79] 웹사이트 Ponza, a gray whale sighted for the first time in Italy https://www.italy24n[...] Italy24 News English 2021-04-15
[80] 뉴스 Gray whale spotted off Florida coast. Here's why the sighting is so unusual https://www.palmbeac[...] The Palm Beach Post 2023-12-21
[81] 논문 The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http://spo.nmfs.noaa[...]
[82] 논문 The Reproductive Cycle in Gray Whales Based on Photographic Resightings of Females on the Breeding Grounds from 1977–82 http://lsiecosystem.[...]
[83] 논문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population and stock identity http://lsiecosystem.[...]
[84] 웹사이트 Gray Whale https://www.marinema[...] The Marine Mammal Center
[85] 웹사이트 The Gray Whale Foundation http://www.graywhale[...]
[86] 웹사이트 Conjoined gray whale calves discovered in Mexican lagoon could be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2014-01-08
[87] 웹사이트 Eschrichtius robustus (gray whale) https://animaldivers[...]
[88] 논문 A Comparison of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Feeding in the Bering Sea and Baja California
[89] 논문 Unusual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feeding in the summer of 2005 off the central Oregon Coast 2006-11-30
[90] 논문 Foraging patterns of gray whales in central Clayoquot Sound, British Columbia, Canada
[91] 논문 Gray Whale Occurrence and Forage Southeast of Kodiak, Island, Alaska 2007-04-01
[92] 웹사이트 GRAY WHALE: ZoomWhales.com http://www.enchanted[...] Enchantedlearning.com
[93] 웹사이트 Benthos and prey studies in feeding grounds of the Okhotsk-Korean population of gray whales http://www.sakhaline[...] Marine Biology Institute, Vladivostok
[94] 논문 Climate impacts on transocean dispersal and habitat in gray whales from the Pleistocene to 2100 https://publishup.un[...]
[95]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Mammals
[96] 논문 Migration and Feeding of the Gray Whale (''Eschrichtius gibbosus'') 1962-05-01
[97] 웹사이트 Map of the Gray Whale Migration - Baja Ecotours https://www.bajaecot[...] 2022-10-18
[98] 웹사이트 Recovery of the Gray Whale http://www.gi.alaska[...] Alaska Science Forum 1979-09-06
[99] 서적 Baja Legends https://books.google[...] Sunbelt Publications
[100] 논문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at calving sites in the Gulf of California, México https://www.research[...]
[101] 서적 Handbook of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Bloomsbury Publishing
[102] 웹사이트 Close Encounters With Baja’s Gray Whales https://www.oceanics[...] Oceanic Society 2016-03-24
[103] 웹사이트 Demographic distinctness of the Pacific Coast Feeding Group of Gray Whales (''Eschrictius robustus'') http://swfsc.noaa.go[...] NOAA Fisheries Service, Protected Resource Division, Southwest Fisheries Science Center 2011-01-19
[104] 웹사이트 中村宏治 コククジラ撮影秘話! https://www.youtube.[...] Japan Underwater Films
[105] 웹사이트 コククジラが三河湾を回遊/絶滅恐れ、3月に1頭 http://www.shikoku-n[...] 四国新聞社
[106] 웹사이트 서비스終了のお知らせ http://1topi.jp/cura[...] 2015-05-14
[107] 웹사이트 Daegokcheon Stream Petroglyphs https://whc.unesco.o[...]
[108] 논문 Strandings and sightings of the western Pacific stock of the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in Chinese coastal waters. Paper SC/50lAS5 presented to the IWC Scientific Committee, April 1998, Oman
[109] 뉴스 Краснокнижный серый кит приплыл под окна офиса заповедника «Командорский» http://news.zapoved.[...] 2017-03-09
[110] 논문 New observations on Gray whales, ''Eschrichtius robustus'', from Central Japan, Sea of Japan
[111] 웹사이트 西部系群コククジラ ''Eschrictius robustus'' の記録集成と通過海峡 http://www.h6.dion.n[...]
[112] 웹사이트 珍客コククジラ 静岡沖で潮吹き http://www.geocities[...] geocities.jp 2014-05-09
[113] 논문 Quaternary Fossil Gray Whales from Taiwan
[114] 웹사이트 Conservation Plan for Western North Pacific Gray Whales (''Eschrichtius robustus'') https://portals.iucn[...]
[115] 뉴스 Chuẩn hóa lại tên cá voi xám trong bộ sưu tập mẫu vật của bảo tàng lịch sử tỉnh Quảng Ninh http://www.cesti.gov[...] 2017-03-09
[116] 뉴스 Bí ẩn những con cá khổng lồ dạt vào biển Việt Nam http://grobest.com.v[...] 2017-03-09
[117] 웹사이트 Tags > Pingtan gray whale http://www.whatsonxi[...] 2014-11-24
[118] 웹사이트 濒危物种数据库 – 灰鲸 Eschrichtius robustus (Lilljeborg, 1861) http://www.cites.org[...] 中华人民共和国濒危物种科学委员会 2014-11-24
[119] 웹사이트 コククジラは大隅海峡を通るのか? 2014-05-11
[120] 웹사이트 海棲哺乳類情報データベース http://svrsh1.kahaku[...] 2015-05-14
[121] 웹사이트 連鎖の崩壊 第3部 命のふるさと 2−四国新聞社 http://www.shikoku-n[...] 2015-05-14
[122] 웹사이트 Report of Gray Whale Sighting Survey off Korean waters from 2003 to 2011 https://archive.iwc.[...] Cetacean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14-05-18
[123] 웹사이트 Disappearing Whales: Korea's Inconvenient Truth http://www.greenpeac[...] Greenpeace
[124] 논문 Possible occurrence of a Gray Whale off Korea in 2015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125] 논문 Short Note: Insights from a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Bycaught in the Taiwan Strait Off China in 2011 https://www.research[...]
[126] 웹사이트 A Gray Area: On the Matter of Gray Whale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https://www.research[...] 2015-05-07
[127] 논문 Records of the western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its distribution and migration http://hkd.a.la9.jp/[...] 2015-10-15
[128] 웹사이트 Western gray whale activity in the East China Sea from acoustic data: Memorandum for Dr. Brandon Southall https://www.iucn.org[...]
[129] 보고서 Status Report of Conservation and Researches on the Western North Pacific Gray Whales in Japan, May 2014 – April 2015 https://archive.iwc.[...] 2016-02-23
[130] 웹사이트 Japan Underwater Films http://www.juf.co.jp[...] 2015-05-14
[131] 웹사이트 Marine Mammals Stranding DataBase https://web.archive.[...]
[132] 웹사이트 footage http://www.beachland[...] Beachland.jp 2017-01-06
[133] 웹사이트 2012 年に漂着した海棲哺乳類につい http://www.beachland[...]
[134] 웹사이트 伊勢湾でクジラ発見!! http://www.beachland[...] Beachland.jp 2017-01-06
[135] 웹사이트 "プリン展"から"コククジラ展"へ http://www.beachland[...] www.beachland.jp 2017-01-06
[136] Youtube 2014年 日本海に出現したコククジラ / Grey whale 2014 Sea of Japan https://www.youtube.[...] YouTube 2015-10-14
[137] 논문 2014年春に新潟県信濃川大河津分水路河口付近に出現したコククジラの観察
[138] 웹사이트 寺泊沖にクジラ現る・長岡 「生きたまま初めて見た」地元驚き http://www.47news.jp[...] The 47NEWS 2015-05-14
[139] 웹사이트 Nearly extinct western gray whale sighted again in coastal waters off Niigata http://newsonjapan.c[...]
[140] 뉴스 絶滅危惧のコククジラ、2年連続で現れた 新潟・長岡 http://www.asahi.com[...] 2015-10-13
[141] 웹사이트 【フォトギャラリー】伊豆諸島で見つかった希少なコククジラ http://natgeo.nikkei[...] National Geographic (Japanese office) 2015-10-14
[142] 웹사이트 コククジラ in 日本(超貴重)Western Gray Whale sightings (Extremely Rare!) https://www.youtube.[...] YouTube 2015-10-14
[143] 웹사이트 ダイビング中にコククジラと遭遇のミラクル! ~房総半島・西川名と伊豆半島・赤沢で相次ぐ~ | オーシャナ https://oceana.ne.jp[...] Oceana.ne.jp 2016-01-19
[144] 학회발표 Photographic match of a western gray whale between Sakhalin Island, Russia, and the Pacific Coast of Japan. Paper SC/66a/BRG/17 https://archive.iwc.[...]
[145] 웹사이트 Ryo Okamoto – 伊良湖岬で釣りしてたら、クジラ出現。... https://www.facebook[...] Facebook 2015-03-23
[146] 웹사이트 今日のコククジラ 館山 西川名 201601f https://www.youtube.[...] YouTube 2016-01-09
[147] 웹사이트 Young Gray Whale Sighted near Tokyo Islands https://web.archive.[...] IUCN SSC – Cetacean Specialist Group 2015-04-16
[148] 웹사이트 赤沢 コククジラ 2016.1.14 https://www.youtube.[...] YouTube
[149] 웹사이트 伊豆のダイビングサービス | ダイビングサービス mieux -みう- | クジラが~!! http://www.ds-mieux.[...] Ds-mieux.com 2016-01-14
[150] 웹사이트 動画っす(`_´)ゞ – ダイビングサービス mieux – みう https://www.facebook[...] Facebook 2016-01-13
[151] 웹사이트 絶滅心配 コククジラの死骸 千葉・南房総で見つかる https://web.archive.[...] nhk.or.jp 2015-05-03
[152] 웹사이트 伊豆新聞デジタル – IZU SHIMBUN DIGITAL -- https://digital.izu-[...]
[153] 뉴스 東京湾で目撃相次ぐクジラ カメラが捉えた|日テレNEWS NNN https://news.ntv.co.[...] 日本テレビ 2024-11-22
[154] 영상매체 ゴムボート東京湾ホエールウォッチング❗ https://www.youtube.[...] 2017-03-26
[155] 뉴스 撮影成功! 姿現した「東京湾クジラ」 http://www.fnn-news.[...] Fuji News Network 2017-04-22
[156] 웹사이트 Gray Whales, Eschrichtius robustus http://marinebio.org[...]
[157] 서적 Men & Whales at Scammon's Lagoon (Publisher information needed)
[158] 서적 Journal aboard the bark Ocean Bird on a whaling voyage to Scammon's Lagoon, winter of 1858–59 (Publisher information needed)
[159] 서적 The History of Modern Whal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160] 논문 The floating factory ship California operations in Californian waters, 1932–1937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Scientific Committee
[161] 서적 Japanese whaling Academic Press
[162] 학술지 The western gray whale: a review of past exploitation, current status and potential threats http://digitalcommon[...]
[163] 서적 Ein stutt udirrietting um Íslands adskiljanlegu náttúrur Cornell University Library
[164] 웹사이트 Russian Federation https://iwc.int/russ[...]
[165] 뉴스 Gray whale shot, killed in rogue tribal hunt http://seattletimes.[...] The Seattle Times 2007-09-09
[166] 웹사이트 - 문화재검색결과 상세보기 – 문화재검색 http://www.cha.go.kr[...]
[167] 웹사이트 Gray Whale Migration Site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 http://english.visit[...] Official Korea Tourism Organization
[168] 잡지 Moving Whales Across the World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5-07-23
[169] 뉴스 US whales may be brought to UK http://news.bbc.co.u[...] BBC News 2005-07-18
[170] 서적 Feral: Searching for Enchantment on the Frontiers of Rewilding Allen Lane
[171] 웹사이트 The Grey Whale (Eastern North Pacific Population) http://www.dfo-mpo.g[...] dfo-mpo.gc.ca
[172] 웹사이트 Marine Mammals Stranding DataBase – Gray Whale http://svrsh2.kahaku[...] National Museum of Nature and Science
[173] 학술지 Gray Whale Products Sold in Commercial Markets Along the Pacific Coast of Japan
[174] 웹사이트 2019-2023 Eastern North Pacific Gray Whale UME (CLOSED) NOAA Fisheries https://www.fisherie[...] 2024-11-04
[175] 웹사이트 NOAA Is Investigating 70 Gray Whale Deaths Along the West Coast https://www.smithson[...]
[176] 웹사이트 Solar Storms Might Be Causing Gray Whales to Get Lost https://www.livescie[...] 2020-01-10
[177] 논문 Solar storms may trigger sperm whale strandings: explanation approaches for multiple strandings in the North Sea in 2016 2017-08-15
[178] 뉴스 Unusual Number of Killer Whales Sighted Bay Area News Group 2018-05-08
[179] 웹사이트 Deadly Killer Whale Moments (BBC Earth) https://www.youtube.[...]
[180] 논문 Killer Whales Earn Their Name 2011-01-20
[181] 논문 The California gray whale: papers presented at the California Gray Whale Workshop,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https://archive.org/[...]
[182] 논문 Growth of two captive gray whale calves http://www.aquaticma[...]
[183] 뉴스 Rescued Whale J.J. Begins Long Journey Home https://www.latimes.[...]
[184] 간행물 I, II and III (valid from 28 August 2020) https://cites.org/si[...] 2020-12-10
[185] 웹사이트 Eschrichtius robustus https://www.speciesp[...] UNEP 2020-12-10
[186] 웹사이트 Eschrichtius robustus 2020-12-10
[187] 서적 Order Cetacea https://www.depart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88] 서적 コククジラ 講談社
[189] 서적 片道6000キロの長い旅 コククジラ 朝日新聞社
[190] 서적 大辞林 4.0 三省堂
[191] 논문 市川の鯨 1982-07
[192] 웹사이트 【童話作家のこぼれ話〈60〉鬼神クジラとワカメスープ】 http://www.mdsweb.jp[...]
[193] 웹사이트 [횡설수설/정성희]귀신고래 https://www.donga.co[...]
[194] 서적 From Devil-Fish to Friendly Whale? Encountering Gray Whales on The California Coast White Horse Press
[195] 문서 鯨類学
[196] 웹사이트 雑記 - 進化・分類学 ヒゲクジラの系統も SINE 法で〆(2006.08.01) http://www2.tba.t-co[...]
[197] 논문 Phylogenomic Resolution of the Cetacean Tree of Life Using Target Sequence Capture 2019-10-21
[198] 서적 Animal: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the World's Wildlife DK Adult
[199] 서적 Animal: The Definitive Visual Guide to the World's Wildlife DK Adult
[200] 웹사이트 5000年前のコククジラの骨格化石標本 https://www.oceandic[...]
[201] 웹사이트 Gray Whale - Eschrichtius robustus https://us.whales.or[...]
[202] 웹사이트 How to pet a gray whale https://us.whales.or[...] 2023-05-20
[203] 웹사이트 Gray whales feeding along the Pacific Northwest coast are smaller than their counterparts who travel farther to forage https://phys.org/new[...] 2023-08-09
[204] 웹사이트 Pacific coast grey whales grow 13% shorter in the past 20-30 years https://cosmosmagazi[...] 2024-06-13
[205] 웹사이트 コククジラ、温暖化で急速に小型化 体長13%縮小 研究 https://www.afpbb.co[...] 2024-06-14
[206] 웹사이트 Can We Have More Whales and Fewer Whale Strikes? https://baynature.or[...] 2022-09-23
[207] 웹사이트 Watch the Elaborate Courtship of Three Gray Whales https://www.national[...] 2017-02-11
[208] 웹사이트 Knowledge Base - Gray Whales https://www.orcanetw[...]
[209] 웹사이트 Whale dies after weeks in river, and after calf left https://www.nbcnews.[...] 2011-08-17
[210] 방송 世界遺産 TBSテレビ 2017-04-16
[211] 간행물 The Incidence of Killer Whale Tooth Rakes on Western Gray Whales off Sakhalin Island, Russia 국제포경위원회 2009
[212] 웹사이트 In rare attack, 30 orcas 'badly wounded' 2 adult gray whales in California https://www.livescie[...] 2023-07-10
[213] 웹사이트 Humpbacks Block Killer Whale Feeding Frenzy in Wild Video https://www.livescie[...] 2023-07-10
[214] 웹사이트 ザトウクジラはシャチから他の動物を守る、研究報告 https://natgeo.nikke[...] 2023-07-10
[215] 웹사이트 Gray whale in Viet Nam https://www.research[...] 2023-06-18
[216] 웹사이트 Western gray whale activity in the East China Sea from acoustic data: Memorandum for Dr. Brandon Southall https://www.iucn.org[...] 2016-12-24
[217] 웹사이트 Report of the Scientific Committee - Bled, Slovenia, 9-21 May 2017 http://awsassets.wwf[...] 2023-06-18
[218] 웹사이트 A Gray Whale Sighting Off Hawai'i Island: The First Record for the Central Tropical Pacific https://cascadiarese[...] 2023-06-18
[219] 논문 An Early Pleistocene gray whale (Cetacea: Eschrichtiidae) from the Rio Dell Formation of Northern California 2015-01
[220] 웹사이트 The Sounders (NPS gray whales) https://cascadiarese[...] 2023-06-19
[221] 논문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at calving sites in the Gulf of California, México https://www.research[...] 2002
[222] 서적 Handbook of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Bloomsbury Publishing 2019
[223] 웹사이트 A dead specimen of gray whale in El Salvador: a southernmost distribution record https://www.cambridg[...] 2023-08-28
[224]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the gray whale (Eschrichtius gibbosus) off the coast of China http://www.mammal.cn[...] 2023-11-15
[225] 웹사이트 Quaternary Fossil Gray Whales from Taiwan https://bioone.org/j[...] 2023-11-15
[226] 웹사이트 A Gray Area: On the Matter of Gray Whales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https://www.research[...] 2017-01-06
[227] 논문 아시아계 코쿠쿠지라의 기록―그 분포와 회유― https://doi.org/10.5[...] 2010
[228] 웹사이트 서부계군 코쿠쿠지라 Eschrictius robustus 의 기록집성과 통과 해협 https://nodaiweb.uni[...] 2023-11-17
[229] 웹사이트 駿河湾にくじらが・・・! http://www.geocities[...] 2022-10-04
[230] 논문 2019년 봄에 일본해의 후쿠이현 및 이시카와현 연안에 출현한 코쿠쿠지라 https://doi.org/10.5[...] 2022-12
[231] 논문 중부 일본의 일본해 측에 있어서의 코쿠쿠지라에 관한 새로운 관찰 정보 2014
[232] 웹사이트 Possible migration route of the Gray whale on the coast of Japan https://www.icrwhale[...] 1974
[233] 웹사이트 連鎖の崩壊 http://www.shikoku-n[...] 2022-10-04
[234] 논문 今川了俊의 기행문 『도유키부리』에 보이는 고래섬 : 세토나이카이에 있어서의 고래의 회유 https://www.ritsumei[...] 2020-03
[235] 간행물 코쿠쿠지라는 오스미 해협을 통과하는가? 일본세트로지연구회 뉴스레터 25호 2014-05-11
[236] 웹사이트 http://svrsh1.kahaku[...]
[237] 서적 The Gray Whale Academic Press 1984
[238] 웹사이트 Grey Whale (Atlantic population) Eschrichtius robustus http://www.dfo-mpo.g[...] 캐나다 수산해양부 2017-08-15
[239] 서적 The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7-09-05
[240] 웹사이트 Occurrence Detail 1322462463 https://www.gbif.org[...] 지구규모 생물다양성 정보기구 2017-09-21
[241] 웹사이트 Regional Species Extinctions – Examples of regional species extinctions over the last 1000 years and more http://www.fmap.ca/r[...] 2014-07-05
[242] 논문 Climate impacts on transocean dispersal and habitat in gray whales from the Pleistocene to 2100 https://publishup.un[...] 2015-03-09
[243] 서적 Marine Mammals of the World. Systematics and Distribution. Special Publication Number 4. The Society for Marine Mammalogy 1998
[244] 논문 Forgotten Mediterranean calving grounds of grey and North Atlantic right whales: evidence from Roman archaeological records 2018-07-11
[245] 웹사이트 Medieval Whalers in the Netherlands and Flanders: Zooarchaeological Analysis of Medieval Cetacean Remains https://www.tandfonl[...] 2023-06-19
[246] 웹사이트 Some Whales May Have Been Wiped Out by Medieval Europeans https://www.nytimes.[...] 2023-09-15
[247] 논문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Sightings in Eastern Beaufort Sea https://doi.org/10.1[...] The Arctic Institute of North America 1981
[248] 논문 Observation of the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in the Laptev Sea 2013
[249] 논문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sighting in Namibia (SE Atlantic):first record for Southern Hemisphere https://www.research[...] 2013
[250] 웹사이트 Satellites witness lowest Arctic ice coverage in history http://www.esa.int/e[...]
[251] 웹사이트 לווייתן אפור נצפה בפעם הראשונה מול חופי ישראל – מדע וסביבה – הארץ http://www.haaretz.c[...] 2010-05-08
[252] 뉴스 Mystery gray whale sighted again off Spain coast http://news.bbc.co.u[...] 2010-05-30
[253] 블로그 A rare and mysterious visitor in Walvis Bay http://namibiandolph[...] 2013-05-14
[254] 웹사이트 Ponza, a gray whale sighted for the first time in Italy https://www.italy24n[...] 2021-04-15
[255] 웹사이트 Grijze walvis gemeld bij Marokko https://www.sosdolfi[...] SOS Dolfijn 2021
[256] 웹사이트 2021-04-04, Archive – Yasutaka Imai https://observation.[...]
[257] 웹사이트 Extremely rare and ‘special' whale sighting near South Florida coast https://www.nbcmiami[...] 2023-12-19
[258] 웹사이트 Massachusetts researchers spot gray whale, species extinct in Atlantic Ocean for 200 years https://www.cbsnews.[...] 2024-03-05
[259] 잡지 Moving Whales Across the World https://www.newscien[...] 2005-07-23
[260] 뉴스 US whales may be brought to UK http://news.bbc.co.u[...] 2005-07-18
[261] 서적 Feral: Searching for Enchantment on the Frontiers of Rewilding Allen Lane 2013
[262] 서적 クジラ&イルカ生態ビジュアル図鑑 株式会社誠文堂新光社 2013
[263] 웹사이트 2019-2023 Gray Whale Unusual Mortality Event along the West Coast and Alaska https://www.fisherie[...] 미국해양대기청 2023
[264] 웹사이트 Bellwethers of change: population modelling of North Pacific humpback whales from 2002 through 2021 reveals shift from recovery to climate response https://royalsociety[...] 2024-02-28
[265] 논문 Pre-Whaling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Ecology in Eastern Pacific Gray Whales: Insights from Ancient DNA and Stable Isotopes 2012-05
[266] 웹사이트 希少な「コククジラ」 東京 青ヶ島沖で撮影 https://web.archive.[...] 2018-02-20
[267] 논문 中華圏における鯨文化についてーなぜ中国では大規模な捕鯨が行われていなかったのかー https://oacis.repo.n[...] 東京海洋大学 2021
[268] 논문 明清時代の中国における鯨資源の利用 http://repository.se[...] 西南学院大学博物館 2015-03
[269] 논문 護る神から守られる神へ : 韓国とベトナムの鯨神信仰を中心に https://minpaku.repo[...] 国立民族学博物館 2019-06
[270] 웹사이트 コククジラ https://www.biodic.g[...] 환경성 1998-03
[271] 논문 日本沿岸域に近年(1990-2005年)出現したコククジラ''Eschrichtius robustus''の骨学的特徴,特に頭骨形状から見た北太平洋西部系群と東部系群交流の可能性 https://doi.org/10.1[...] 일본포유류학회 2014
[272] 웹사이트 山口県鯨類目録 https://web.archive.[...] 2014
[273] 논문 What Happened to Gray Whales during the Pleistocene? The Ecological Impact of Sea-Level Change on Benthic Feeding Areas in the North Pacific Ocean 2011-07-06
[274] 논문 Status Report of Conservation and Researches on the Western North Pacific Gray Whales in Japan, May 2013 – April 2014 [document SC/65b/BRG12] https://archive.iwc.[...] 2014
[275] 보고서 Gray Whale, Western North Pacific Distinct Population Segment (Eschrichtius robustus) 5-Year Review: Summary and Evaluation https://media.fisher[...] 미국해양대기청 2023
[276] 웹사이트 Gray Whales in the Eastern North Pacific https://www.fisherie[...]
[277] 웹사이트 Site-fidelity and spatial movements of western North Pacific gray whales on their summer range off Sakhalin, Russia https://journals.plo[...] 2020-08-14
[278] 논문 Report of Gray Whale Sighting Survey off Korean waters from 2003 to 2011 https://archive.iwc.[...] Cetacean Research Institute, 국립수산과학원 2013
[279] 논문 Possible occurrence of a Gray Whale off Korea in 2015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2018
[280] 논문 Short Note: Insights from a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Bycaught in the Taiwan Strait Off China in 2011 https://www.research[...] 2015
[281] 논문 Eastern and Western North Pacific Gray Whales https://www.st.nmfs.[...] 미국해양대기청
[282] 웹사이트 科博登録ID 1886 https://www.kahaku.g[...] 2023-07-10
[283] Youtube https://www.youtube.[...] 2020-12
[284] 웹사이트 伊豆大島のコククジラ騒動(『海のはくぶつかん』1993年11月号) http://www.scc.u-tok[...] 2022-10-04
[285] 웹사이트 http://www.beachland[...] 2020-12
[286] 웹사이트 https://events.iwc.i[...] 2020-12
[287] 뉴스 http://www.niigata-n[...] 2020-12
[288] 저널 2015年春に新潟県沿岸に出現したコククジラ https://doi.org/10.5[...] 日本セトロジー研究会 2024-07-29
[289] 저널 2019年春に日本海の福井県及び石川県沿岸に出現したコククジラ https://doi.org/10.5[...] 日本セトロジー研究会 2022-12
[290] 논문 Recent record of gray whale in the adjacent waters of Japan and a consideration on its migration http://www.icrwhale.[...]
[291] 저널 Gray Whale Products Sold in Commercial Markets Along the Pacific Coast of Japan
[292] 웹사이트 セミクジラ https://www.biodic.g[...] 2023-12-07
[293] 간행물 海の生物多様性保全とクジラと私たち https://www.jawan.jp[...] 日本湿地ネットワーク
[294] 뉴스 Scientists find strong evidence of black market for whale meat https://www.deseret.[...] 2023-08-06
[295] 서적 第10章 ホエールウォッチング 村山司(編者)「鯨類学」 東海大学出版会 2008-05-20
[296] 논문 Whale Watching 2001: Worldwide Tourism Numbers, Expenditures, and Expanding Socioeconomic Benefits https://www.research[...] International Fund for Animal Welfare
[297] 저널 Vocalizations of a captive juvenile and free-ranging adult-calf pairs of Bryde's whales, Balaenoptera edeni https://www.research[...]
[298] 저널 The California gray whale: papers presented at the California Gray Whale Workshop,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https://archive.org/[...]
[299] 저널 Growth of two captive gray whale calves https://www.research[...] EUROPEAN ASSOCIATION FOR AQUATIC MAMMALS
[300] 뉴스 Rescued Whale J.J. Begins Long Journey Home http://articles.lati[...] 2016-01-29
[301] IUCN Eschrichtius robustus 2013-01-18
[302]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03] MSW3 Cetacea
[304] 서적 大辞林 4.0 三省堂
[305] 서적 Пятиязычный словарь названий животных. Латинский, русский, английский, немецкий, французский. 5391 назв. Млекопитающие. Русский язык
[306] 서적 Отряд Китообразные (Cetacea) Просвещение
[307] 서적 Полная иллюстрирован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Млекопитающие» Кн. 2 = The New Encyclopedia of Mammals Омега
[308] 서적 Пятиязычный словарь названий животных. Латинский, русский, английский, немецкий, французский. 5391 назв. Млекопитающие. Русский язык
[309] 웹인용 귀신고래 https://web.archive.[...] 울산 MBC 2008-09-12
[310] 서적 귀신고래 뉴욕시 2008-07-19
[311] 저널 Balaenoptera robusta
[312] 저널 Eschrichtius
[313] 서적 Gray Whale(귀신고래) 버팔로, 뉴욕주
[314] 저널 Rhachianectes
[315] 저널 A subfossil gray whale discovered in Sweden in 1859
[316] 서적 귀신고래(The Gray Whale) Academic Press
[317] 저널 ''Balaena gibbosa''
[318] 논문 A phylogenetic blueprint for a modern whale https://www.montclai[...] 2013-02-01
[319] 웹인용 ITIS (Eschrichtius robustus) http://www.itis.gov/[...] 2008-06-26
[320]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21] 웹사이트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으로 명칭 개정 공고 http://news.sbs.co.k[...]
[322] 뉴스 [횡설수설/정성희]귀신고래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1-10
[323] 서적 Gray whales- Wandering Giants Orca Book Publishers
[324] 웹인용 GRAY WHALE Eschrichtius robustus http://www.enchanted[...] EnchantedLearning.com 2008-07-22
[325] 서적 Gray whales- Wandering Giants Orca Book Publishers
[326] 서적 Whales and Dolphins of the world MIT 출판 2008-07-23
[327] 웹인용 귀신고래 (Eschrichtius robustus) http://www.acsonline[...] American Cetacean Society 2008-07-23
[328] 서적 Gray whales- Wandering Giants Orca Book Publishers
[329]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30] 서적 Gray whales- Wandering Giants Orca Book Publishers
[331]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32]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33] 뉴스 Three gray whales fight off killers in ocean battle (3마리의 귀신고래가 바다의 싸움에서 범고래를 물리치다 San Diego Union 2008-06-23
[334] 웹인용 Gray Whale http://www.adfg.stat[...] Alask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2008-07-23
[335] 웹인용 Gray whale vocalization http://www.dolphinea[...] 2008-07-23
[336] 저널 Past and present research on gray whale vocalizations http://adsabs.harvar[...]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2008-06-23
[337]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38] 서적 Gray whales- Wandering Giants Orca Book Publishers
[339] 문서 따개비 정보
[340]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41]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42] 웹인용 Gray Whales-Current Status and Strandings (귀신고래 - 현황) http://www.fws.gov/d[...] San Francisco Bay National Refuge Complex 2008-07-27
[343] 서적 Gray whales- Wandering Giants Orca Book Publishers
[344]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45]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46] 웹인용 울산 귀신고래 회유해면으로 불러주세요 http://news.sbs.co.k[...] SBS 2008-10-04
[347] 웹사이트 지정당시에는 울산 극경 회유해면이었다 http://news.sbs.co.k[...]
[348] 웹인용 돌아오지 않는 귀신고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7-21
[349] 논문 Possible occurrence of a Gray Whale off Korea in 2015 https://archive.iwc.[...]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350]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51] 뉴스 북서태평양에 한국계 귀신고래 130마리 생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10-02
[352] 뉴스 한국계 귀신고래 연 3% 증가 https://news.naver.c[...]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2008-07-23
[353] 서적 Eye of the Whale (고래의 눈) Simon & Schuster
[354] 문서 비슷한 예로 암컷이 상대적으로 적은 북대서양참고래의 생존에도 매년 암컷 2마리가 죽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긴수염고래속#보전상태의 마지막 문장의 주를 참고
[355] 뉴스 귀신고래 몸엔 따개비와 이가 산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8-10-29
[356] 웹인용 ETWP; Final Rule to Remove the Eastern North Pacific Population of the Gray Whale From the List of Endangered Wildlife http://ecos.fws.gov/[...]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2008-07-27
[357] 웹인용 CATCH LIMITS FOR ABORIGINAL SUBSISTENCE WHALING http://www.iwcoffice[...] 국제포경위원회 2008-07-27
[358] 서적 Whales-Touching the Mystery NewSage Press
[359] 서적 Marine Mammals of the World. Systematics and Distribution. Special Publication Number 4. The Society for Marine Mamalogy
[360] 저널 Dating Remains of Gray Whales from the Eastern North Atlantic
[361] 웹사이트 BBC News http://news.bbc.co.u[...]
[362] 서적 Gray whales- Wandering Giants Orca Book Publishers
[363] 뉴스 길에서 띄우는 편지 7,000년을 고래와 함께한 울산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8-07-28
[364] 뉴스 귀신고래는 돌아와야 한다 http://media.ulsan.a[...] 울산대학교 신문 2012-01-23
[365] 서적 Gray whales- Wandering Giants Orca Book Publishers
[366] 웹인용 Gray Whale Migration: witness the annual winter journey... http://www.nps.gov/a[...] 2008-07-23
[367] 서적 Gray whales- Wandering Giants Orca Book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