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관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경궁 관천대는 창경궁에 위치한 천문 관측 시설이다. 《서운관지》에 따르면, 관상감은 경복궁과 북부 광화방에 있었으며, 관천대는 창경궁 금호문 밖과 경희궁 개양문 밖에 새로 설치되었다. 화강암 석대 위에 돌난간이 둘러져 있고, 돌계단으로 올라갈 수 있으며, 소간의를 설치할 수 있도록 돌대가 놓여 있었으나 현재 소간의는 없다. 관천대 위에 설치된 소간의는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는 기구로, 적도환, 백각환, 사유환의 3개의 환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경궁 - 홍화문
홍화문은 창경궁의 정문으로, 조선 시대에 지어진 후 소실과 재건, 훼손과 복원을 거쳐 현재는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문의 좌우 행각, 옥천교 등과 함께 홍화문 권역을 이룬다. - 창경궁 - 명정전
명정전은 창경궁의 정전으로, 조선 성종 때 건립되어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광해군 때 재건되었으며, 조선 초기의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다포계 단층 팔작지붕의 동향 건물이다. - 한국의 천문학사 - 첨성대
첨성대는 신라 시대에 지어진 천문 관측소로, 362개의 화강암 벽돌로 원통형을 이루며 높이 9.4미터이고, 1년의 일수와 절기 등을 상징하며, 2016년 지진으로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한국의 천문학사 - 개성 첨성대
개성 첨성대는 고려 시대 개성에 위치했던 천문 관측 시설로, 고려의 과학 기술 발전과 자주적인 국가 운영 의지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 대한민국의 천문대 - 국립과천과학관
국립과천과학관은 2008년 경기도 과천시에 개관한 미래지향적 디자인의 과학관으로, 기초과학, 자연사, 전통과학, 첨단기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천문우주관과 야외 전시관을 포함하고 전국 과학관 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수행하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에 있다. - 대한민국의 천문대 - 천안홍대용과학관
천안홍대용과학관은 2014년에 개관한 과학관으로, 3D 천체투영관, 상설전시실, 별빛전망대 등을 갖추고 전시 관람, 천체 관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창경궁 관천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유형 | 보물 |
| 지정 번호 | 851 |
| 지정일 | 1985년 8월 9일 |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창경궁) |
| 시대 | 조선시대 |
| 소유자 | 국유(문화재청) |
| 관리자 |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
| 수량 | 1기 |
| 문화재청 지정 번호 | 12,08510000,11 |
2. 역사 및 특징
《서운관지》에 관상감과 관천대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관상감은 경복궁 영추문 안과 북부 광화방에 있었는데, 광화방에 관천대가 있었다. 전쟁을 거치면서 창경궁 금호문 밖과 경희궁 개양문 밖에 새로 설치되었고, 모두 관천대가 있었다. 흔히 첨성대라 불렸다. 숙종 무진년(1688)에 영감사 남구만이 터를 살펴 관가를 처음 세웠는데, 이것이 금호문 밖의 본감이다. 하늘을 살펴 숙직하는 제도가 한때 성하게 갖추어졌고, 대의 설치 규모는 대략 같고, 청사 동서쪽의 집은 작았다. 이때 김창집이 본감을 감독했다.
세월이 오래되어 건물이 무너지고 황폐해지자, 임금이 신미년에 건물을 세워 측후하는 곳을 갖추었다. 무인년에는 문과 곁채를 세우고 호조에서 관천대를 수리하였다. 동쪽과 서쪽방과 청사가 7칸 반이고 이 청이 3칸이며 대문 좌우의 행랑이 각각 1칸이고, 해시계와 측우대가 있다. 관천대는 청사 남쪽에 돌을 쌓아 대를 만들고 돌난간을 둘러 평방석을 올려놓았는데, 천체를 관측할 때에는 그 위에 소간의를 설치하였으므로, 소간의대라고도 한다.
창경궁 관천대는 화강암 석대 위에 돌난간이 둘려 있고, 돌계단으로 올라가게 되어 있다. 대의 한 가운데에는 다시 돌대가 놓여 있어, 그 위에 소간의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었으나, 현재 소간의는 없다.
2. 1. 서운관지와 관천대
《서운관지》에 관상감과 관천대에 대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관상감은 경복궁 영추문 안과 북부 광화방에 있었는데, 광화방에 관천대가 있었다. 전쟁을 거치면서 창경궁 금호문 밖과 경희궁 개양문 밖에 새로 설치되었고, 모두 관천대가 있었다. 흔히 첨성대라 불렸다. 숙종 무진년(1688)에 영감사 남구만이 터를 살펴 관가를 처음 세웠는데, 이것이 금호문 밖의 본감이다. 하늘을 살펴 숙직하는 제도가 한때 성하게 갖추어졌고, 대의 설치 규모는 대략 같고, 청사 동서쪽의 집은 작았다. 이때 김창집이 본감을 감독했다.
세월이 오래되어 건물이 무너지고 황폐해지자, 임금이 신미년에 건물을 세워 측후하는 곳을 갖추었다. 무인년에는 문과 곁채를 세우고 호조에서 관천대를 수리하였다. 동쪽과 서쪽방과 청사가 7칸 반이고 이 청이 3칸이며 대문 좌우의 행랑이 각각 1칸이고, 해시계와 측우대가 있다. 관천대는 청사 남쪽에 돌을 쌓아 대를 만들고 돌난간을 둘러 평방석을 올려놓았는데, 천체를 관측할 때에는 그 위에 소간의를 설치하였으므로, 소간의대라고도 한다.
창경궁 관천대는 화강암 석대 위에 돌난간이 둘려 있고, 돌계단으로 올라가게 되어 있다. 대의 한 가운데에는 다시 돌대가 놓여 있어, 그 위에 소간의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었으나, 현재 소간의는 없다.
2. 2. 창경궁 관천대의 구조
창경궁 관천대는 화강암 석대 위에 돌난간이 둘려 있고, 돌계단으로 올라가게 되어 있다. 대의 한 가운데에는 다시 돌대가 놓여 있어, 그 위에 소간의(小簡儀)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현재 소간의는 없다. 《서운관지(書雲觀志)》에 따르면, 관천대는 청사 남쪽에 돌을 쌓아 대를 만들고 돌난간을 둘러 평방석(平方石)을 올려놓았으며, 천체를 관측할 때에는 그 위에 소간의를 설치하였으므로, 소간의대라고도 불렀다고 한다.3. 소간의
관천대 위에 설치한 소간의는 천체들의 자리를 관측하는 천문관측기구인 간의를 보다 작고 편리하게 만든 것이다. 소간의는 적도환, 백각환, 사유환의 3개의 환으로 이루어졌다.
3. 1. 소간의의 구조와 원리
관천대 위에 설치한 소간의는 천체들의 자리를 관측하는 천문관측기구인 간의를 보다 작고 편리하게 만든 것이다. 소간의는 적도환, 백각환, 사유환의 3개의 환으로 이루어졌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