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창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어군은 중국 쓰촨성 서부와 윈난성 북서부에서 사용되는 언어군으로, 학자들 간에 분류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손홍카이는 창어군을 북부와 남부로 나누어 분류했으며, 자크와 미쇼는 나-창어군 분파를 주장하기도 했다. 창어군 언어는 걀롱어, 창어, 푸미어 등을 포함하며, 탕구트어는 사멸했다. 언어 사용자들은 주로 티베트족으로, 한족 문화와의 접촉으로 사회문화적 변화를 겪고 있으며, 언어 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창어군의 유전적 단위로서의 타당성, 스싱어와 나무지어의 분류 문제 등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언어 보존을 위한 기록, 교육, 정책 수립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티베트버마어파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티베트버마어파 - 구룽어
    구룽어는 티베트-부르마어족의 구룽어파에 속하며 네팔과 인도에서 사용되는 성조 언어이다.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중국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창어군
언어 정보
이름치앙어군 (羌語群)
다른 이름르마어군 (Rmaic)
지역중국 쓰촨성
어족시노-티베트어족
어파티베트-미얀마어파
어계버마-치앙어계(?)
티베트 지도; 치앙어군 언어는 녹색 지역에서 사용됨
티베트 지도; 치앙어군 언어는 녹색 지역에서 사용됨
하위 언어
언어 코드
글롯토로그naqi1236 (나-치앙어군)

2. 분류

창어군은 학자마다 다양하게 분류된다. 주요 학자들의 분류를 간략하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손홍카이(Sun Hongkai, 2001): 창어군을 북부와 남부로 나누고, 서하어와 걀롱어군 등을 포함시켰다.
  • Matisoff (2004): 자롱어군을 창어군의 한 분파로 보았다.
  • Thurgood & La Polla (2003): 창어, 푸미어, 무야어는 창어군에 속하지만, 서하어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 Jacques중국어 & Michaud중국어 (2011): 나이어군과 함께 버마-창어군을 이루는 나-창어군을 제안했다.
  • Chirkova (2012): 창어군을 언어 확산 지역으로 간주하고, 일부 언어를 다른 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보았다.


티베트-버마어 지도의 지도. 창어군을 사용하는 지역은 동쪽의 적갈색 지역이다.


쓰촨성 서부의 민족 주랑에서는 캄-티베트어와 암도 티베트어가 사용되며, 동쪽으로는 중국어, 남동쪽으로는 이족 언어의 화자가 분포한다.

2. 1. 손홍카이의 분류 (2001)

손홍카이(Sun Hongkai)는 2001년에 창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30]

구분하위 언어군언어
북부서하어서하어
창어창어
푸미어
무야어
걀롱어군걀롱어
Horpa
Lavrung
남부얼수어
구이충어
스싱어
나무이어
춰요어
nDrapa






일부 학자들은 나시어군을 창어군과 함께 분류하기도 한다. 손홍카이는 1983년에 북부와 남부의 두 분파를 제안했다.[6]

손홍카이에 따르면 창어군에 속하는 언어는 다음과 같이 더 세분화할 수 있다.


  • 북부
  • 걀롱
  • 걀롱어
  • Khroskyabs language|라우룽어sit
  • Horpa language|다오푸어sit (아르곤어라고도 불리지만 멸칭이므로 부적절하다.)
  • Qiang language|창어sit
  • Muya language|무야어sit
  • Pumi language|푸미어sit
  • 서하
  • 서하어 (소멸)
  • 남부
  • 자바
  • Zhaba language|자바어sit
  • 구이충
  • Guiqiong language|구이충어sit
  • Choyo language|취위어sit
  • Shixing language|스싱어sit
  • 얼스
  • Namuyi language|나무이sit
  • Ersu language|얼수어sit


걀롱어와 창어는 10만 명 정도의 화자가 있다. 그 외의 언어 화자 수는 수천 명에서 수만 명대이다. 대부분은 다른 지역 사람과 대화할 때 캄-티베트어나 중국어를 사용한다.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스스로를 티베트족으로 간주한다. 창족 (창어)과 푸미족 (푸미어)은 독립적인 중국의 소수 민족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나머지는 티베트족으로 여겨진다.

2. 2. Matisoff (2004)의 분류

Matisoff (2004)는 자롱어군이 창어군의 또 다른 분파라고 언급한다.[30]

Matisoff (2004)는 원시 티베트-버마어 *-a > -i가 많은 창어군 언어에서 전형적인 음운 변화라고 설명하며, 이 모음의 상승을 "밝아짐"이라고 지칭한다. Yu (2012)는 또한 "밝아짐"이 얼수어군의 재구된 조상 언어인 원시 얼수어군에서 정의적인 혁신이라고 언급한다.

2. 3. Thurgood & La Polla (2003)의 분류

Thurgood와 La Polla (2003)는 창어군에 속하는 창어, 프린미, 무야의 포함은 잘 뒷받침되지만, 탕구트어 포함에 대한 쑨(Sun)의 주장은 따르지 않는다고 언급한다.[8] 하지만, Matisoff (2004)는 탕구트어가 명확한 관계를 보여준다고 주장한다.[8] 분류되지 않은 언어인 바이마어 또한 창어군에 속하거나, 화자들이 티베트어로 전환된 후 창어군 기층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9]

그 외에 잘 알려지지 않은, 분류되지 않은 창어군 민족과 언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10]

  • '''Bolozi 玻璃哦子/博罗子''' (볼로지):** 2,000명; 쑹판 서쪽의 샤오허수이 촌 小河水村에 거주; 웬촨 향 汶川乡까지 남쪽으로 분포.[11] 쑨홍카이(Sun Hongkai, 2013:80–82)[12]는 볼로지 博罗子를 북부 창어 방언으로, 츠무린 茨木林 방언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한다.
  • '''Ming 命''' (밍):** 10,000명; 쓰촨성 마오 현과 원촨 현의 중국인과 혼합된 집단[13]
  • '''Xiangcheng 乡城''' (샹청):** 간쯔 자치주 샹청 향 乡城 주변에 10,000명 거주.[14][15]

2. 4. Jacques & Michaud (2011)의 분류

Jacques중국어와 Michaud중국어 (2011)[17]는 나-창어군 분파가 버마-창어군을 형성한다고 주장하며, 이는 롤로-버마어군과 함께한다. 나-창어군은 얼수어군, 나이어군, 그리고 [핵심] 창어군이라는 세 개의 주요 분파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데이비드 브래들리(2008)[18]도 버믹어군(롤로-버마어군)과 창어군을 포함하는 동부 티베토-버만어군 분파를 제안했다. 귀충어의 위치는 언급되지 않았다.

나-창어군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나-창어군

|-

|

얼수어군



|-

|

나이어군



|-

|

창어군



|}

2. 5. Chirkova (2012)의 비판적 관점

Chirkova (2012)는 창어군이 일관성 있는 분파라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며, 대신 창어군을 언어 확산 지역으로 간주한다. 그녀는 다음 4개의 언어를 각각 다른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것으로 여긴다.[19]

  • 리즈어 (얼수어군)
  • 스싱어 ("나이어군")
  • 나무지어 ("나이어군")
  • 푸미어


스싱어와 나무지어는 모두 Jacques & Michaud (2011)에 의해 나이어군(나시)으로 분류되지만, Chirkova의 분류 체계에서 나이어군은 유효한 유전적 단위가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Chirkova는 스싱어와 나무지어가 단일 분파에 속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2. 6. Yu (2012)의 관점

Yu (2012)는 얼수어파와 나이어파 언어가 롤로-버마어 또는 "핵심" 창어(창어, 프린미어, 미냐크어)에서 발견되지 않는 일부 형태를 공유한다고 언급한다.[7] 그 결과, "남부 창어"(얼수어파, 나무이어, 스싱어)는 "핵심" 창어보다 나이어파에 더 가까울 수 있다. 남부 창어와 나이어파는 함께 남쪽의 롤로-버마어와 북쪽의 다른 창어에 모두 연결된 더 넓은 "나이어"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3. 분포

창어군은 주로 중국 쓰촨성 서부와 윈난성 북서부에서 사용된다. 걀롱어와 창어는 10만 명 정도의 화자가 있으며, 그 외의 언어 화자 수는 수천 명에서 수만 명대이다.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스스로를 티베트족으로 간주한다. 창족 (창어)과 푸미족 (푸미어)은 독립적인 중국의 소수 민족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나머지는 티베트족으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창어군 화자는 다른 지역 사람과 대화할 때 캄-티베트어나 중국어를 사용한다.

쓰촨성 서부의 민족 주랑에서는 캄-티베트어와 암도 티베트어가 사용되며, 동쪽으로는 중국어, 남동쪽으로는 이족 언어 화자가 분포한다.

3. 1. 쓰촐성 서부 및 윈난성 북서부

쑨홍카이(Sun Hongkai, 2013)에 따르면, 창어군은 주로 중국 쓰촨성 서부와 윈난성 북서부에서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유역(강 시스템)과 그곳에서 사용되는 창어군 언어가 있다.[12]

유역창어군 언어
상류 자링강 유역바이마어
민강 유역창어 (볼루오쯔 포함)
다두강 유역구이충어, 어수어
야룽강 유역얼공어, 자바어, 무야어, 나무이어
진사강 유역스싱어, 푸미어



자링강 유역


민강 및 다두강 유역


야룽강진사강 유역


양쯔강 유역

3. 2. 주요 유역별 분포

쓰촨성 서부와 윈난성 북서부에서 주로 사용되는 창어군은 쑨홍카이(Sun Hongkai, 2013)에 의해 다음과 같은 유역별 분포를 보인다.[12]

유역언어
상류 자링강 유역바이마어
민강 유역창어 (볼루오쯔 포함)
다두강 유역구이충어, 어수어
야룽강 유역얼공어, 자바어, 무야어, 나무이어
진사강 유역스싱어, 푸미어



4. 역사적 배경

이전의 출력에서는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섹션 내용을 생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으므로 빈 출력을 반환합니다.

5. 언어적 특징

손홍카이(Sun Hongkai)에 따르면 창어군에 속하는 언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

언어
북부걀롱어
Khroskyabs language영어(라우룽어)
Horpa language영어(다오푸어). 아르곤어라고도 불리지만 멸칭이므로 부적절하다.
창어
Muya language영어(무야어)
푸미어
서하어 (소멸)
남부Zhaba language영어(자바어)
Guiqiong language영어(구이충어)
Choyo language영어(취위어)
Shixing language영어(스싱어)
Namuyi language영어(나무이어)
Ersu language영어(얼수어)



황부판(Huang Bufan)은 손홍카이가 얼수어의 방언으로 여기는 Lizu language영어(뤼수어)를 독립 언어로 간주한다.[1]

걀롱어와 창어는 10만 명 정도의 화자가 있다. 그 외의 언어 화자 수는 수천 명에서 수만 명대이다. 대부분 다른 지역 사람과 대화할 때 캄-티베트어나 중국어를 사용한다.[1]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스스로를 티베트족으로 간주한다. 창족(창어)과 푸미족(푸미어)은 독립적인 중국의 소수 민족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나머지는 티베트족으로 여겨진다.[1]

쓰촨성 서부의 민족 주랑에서는 캄-티베트어와 암도 티베트어가 사용되며, 동쪽으로는 중국어, 남동쪽으로는 이족 언어의 화자가 분포한다.[1]

6. 사회언어학적 측면

이전 단계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창어군'의 '사회언어학적 측면' 섹션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맞게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하고, 필요한 경우 수정까지 완료하여 제공해드리겠습니다.

7. 창어군 관련 논쟁점

창어군과 관련된 논쟁점으로는 특정 언어의 분류 문제가 있다.

7. 1. 특정 언어의 분류 문제

손홍카이(Sun Hongkai)에 따르면 창어군(Qiangic)에 속하는 언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북부
  • 걀롱
  • 걀롱어
  • Khroskyabs language|라우룽어|영어
  • Horpa language|다오푸어|영어. 아르곤어라고도 불리지만 멸칭이므로 부적절하다.
  • Qiang language|창어|영어
  • Muya language|무야어|영어
  • Pumi language|푸미어|영어
  • 서하
  • 서하어 - 소멸
  • 남부
  • 자바
  • Zhaba language|자바어|영어
  • 구이충
  • Guiqiong language|구이충어|영어
  • Choyo language|취위어|영어
  • Shixing language|스싱어|영어
  • 얼스
  • Namuyi language|나무이|영어
  • Ersu language|얼수어|영어


황부판(Huang Bufan)은 손홍카이가 얼수어의 방언으로 여기는 Lizu language|뤼수어|영어를 독립 언어로 간주한다.

걀롱어와 창어는 10만 명 정도의 화자가 있다. 그 외의 언어 화자 수는 수천 명에서 수만 명대이다. 대부분은 다른 지역 사람과 대화할 때 캄-티베트어나 중국어를 사용한다.

이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스스로를 티베트족으로 간주한다. 창족(창어)과 푸미족(푸미어)은 독립적인 중국의 소수 민족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나머지는 티베트족으로 여겨진다.

쓰촨성 서부의 민족 주랑에서는 캄-티베트어와 암도 티베트어가 사용되며, 동쪽으로는 중국어, 남동쪽으로는 이족 언어의 화자가 분포한다.

참조

[1] 서적 The Tibetic Languages: an introduction to the family of languages derived from Old Tibetan https://lacito.cnrs.[...] LACITO 2023
[2] 논문 "Brightening" and the place of Xixia (Tangut) in the Qiangic subgroup of Tibeto-Burman https://web.archive.[...] 2004
[3] 간행물 Historical relationship among three non-Tibetic languages in Chamdo, TAR http://hdl.handle.ne[...] Kyoto University 2018
[4] 간행물 A brief introduction to Zlarong, a newly recognized language in Mdzo sgang, TAR http://hdl.handle.ne[...] Kyoto University 2018
[5] 문서 Les journées d'études sur les langues du Sichuan https://panchr.hypot[...] 2016
[6] 간행물 The nationality languages in the six valleys and their language branches 1983
[7] 학위논문 Proto-Ersuic https://linguis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Department of Linguistics 2012
[8] 논문 "Brightening" and the place of Xixia (Tangut) in the Qiangic subgroup of Tibeto-Burman http://stedt.berkele[...] 2004
[9] 문서 "On the position of Báimǎ within Tibetan" 2008
[10] 웹사이트 China http://asiaharvest.o[...]
[11] 웹사이트 Bolozi https://people-group[...] 2021-11-01
[12] 서적 Tibeto-Burman languages of eight watersheds China Social Sciences Academy Press 2013
[13] 웹사이트 Ming https://people-group[...] 2021-11-01
[14] 웹사이트 Xiangcheng https://people-group[...] 2021-11-01
[15] 웹사이트 Xiangcheng https://people-group[...] 2021-11-01
[16] 논문 論藏緬語族中的羌語支語言 Lùn Zàng-Miǎn yǔzú zhōng de Qiāngyǔzhī yǔyán [On language of the Qiangic branch in Tibeto-Burman] 2001
[17] 논문 "Approaching the historical phonology of three highly eroded Sino-Tibetan languages." https://shs.hal.scie[...] 2011
[18] 문서 The Position of Namuyi in Tibeto-Burman 2008
[19] 학술지 The Qiangic subgroup from an areal perspective: a case study of languages of Muli http://www.ling.sini[...] 2018-05-07
[20] 문서 Such as Barley (1997) http://www.brill.com[...]
[21] 문서 UC Berkeley 1992
[22] 문서
[23] 학술지 Tangut as a West Gyalrongic language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논문 論藏緬語族中的羌語支語言 Lùn Zàng-Miǎn yǔzú zhōng de Qiāngyǔzhī yǔyán [On language of the Qiangic branch in Tibeto-Burman]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