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하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하어는 1036년에 제정된 서하 문자로 표기되었으며,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서하 주화, 비석, 법화경 번역본 등에서 당어 문자가 해독되면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주요 연구자로는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네프스키가 있으며, 그는 최초의 서하어 사전을 편찬했다. 서하어는 시나-티베트어족에 속하며, 걀롱어파 언어와 가까운 관계에 있다. 서하어의 음운론은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며, 음절은 CV 구조를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세어 - 고대 프랑스어
고대 프랑스어는 서로마 제국 통속 라틴어에서 파생되어 갈리아어와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사용되다가 중세 프랑스어로 발전했다. - 중세어 - 중세 프랑스어
중세 프랑스어는 9세기부터 14세기까지 프랑스에서 사용되었으며, 11세기 잉글랜드 정복에 영향을 주고 현대 프랑스어의 기반을 형성했으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다가 14세기 왕실 방언을 중심으로 표준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서하어 | |
|---|---|
| 언어 정보 | |
| 이름 | 서하어 |
| 다른 이름 | 시-샤어 |
| 고유 이름 | 𗼇𗟲 (2mi4 1ngwu'1) |
![]() | |
| 사용 국가 | 서하 |
| 민족 | 탕구트족 |
| 사용 시기 | 기원후 1036년–1502년 (문헌 증거 기준) |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 하위 어족 | 티베트-버마어파 |
| 하위 어파 | 창어군 |
| 더 하위 어파 | 걀롱어군 |
| 서부 걀롱어군 | 호르파어 |
| 문자 | 서하 문자 |
| ISO 639-3 | txg |
| Glottolog | tang1334 |
| Linguist List | txg |
2. 표기 체계
서하 문자는 1036년에 제정되었으며, 중국티베트어족에 가까운 언어 특성상 단음절, 성조어로서의 언어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12] 서하 문자와 서하어 발음의 관계는 한자와 현대 중국어보다 더 빈약하여, 서하어 발음 재구를 위해서는 문자 이외의 자료가 필요하다.
thumb
서하어와 중국어의 이중 언어 어휘집인 『번한합시장중주』의 발견으로 서하어 음절 두 자음 재구 및 비교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 다른 자료는 서하어를 티베트 문자로 전사한 것이다.
하지만 이 두 종류의 자료로는 서하어의 체계적인 재구에는 부족하여, 현대의 재구는 서하어만으로 쓰여진 사전(『문해』, 『동음』, 『문해잡편』 등)을 기본으로 한다. 이 사전들은 중국 사전의 전통을 차용한 반절을 사용하여 발음을 기록하고 있으며, 모두 105운의 체계를 사용한다.
니콜라이 네프스키는 서하어 문법을 재구하고 최초의 서하어·영어·러시아어 사전을 편찬했다. 이후 니시다 타츠오, 궁황성 등에 의해 재구가 이루어졌으며, 마크 미야케는 서하어 음운론과 통시론에 관한 책을 출판했다[12]。
2. 1. 서하 문자
1036년에 서하 문자가 만들어졌다. 중국 고전을 활발하게 번역하는 작업 덕분에 현존하는 자료가 비교적 넉넉한 편이며, 중국티베트어족에 가까운 언어 특성상 단음절, 성조어로서의 언어적 특징도 문자에 반영되었다.3. 재발견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S. W. 부셸, 가브리엘 데베리아, 조르주 모리스는 서하 주화에서 발견된 여러 당어 문자를 해독하고, 우웨이, 간쑤에 있는 중국어-당어 이중 언어 비문과 법화경의 당어 번역본을 연구하면서 서하어 연구를 시작했다.[7]
3. 1. 하라호토 문서
1909년 표트르 코즐로프가 하라호토에서 발굴한 문서들은 서하 왕국의 것으로 밝혀졌다. 이 문서들은 현재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양 고문서 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다.[7] 약 10,000권에 달하는 이 컬렉션은 주로 11세기 중반부터 13세기 초까지의 불교 텍스트, 법전 및 법적 문서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발견된 불교 텍스트 중에는 중국어 또는 티베트어 버전으로는 알려지지 않은 여러 고유한 편찬물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불교 경전, 중국 고전, 그리고 서하어로 쓰여진 많은 토착 텍스트가 보존되어 있다.[11]3. 2. 주요 연구자
S. W. 부셸, 가브리엘 데베리아, 조르주 모리스는 서하 주화에서 발견된 여러 당어 문자를 해독했다. 이들은 우웨이, 간쑤에 있는 중국어-당어 이중 언어 비문과 법화경의 당어 번역본을 연구하기도 했다. 표트르 코즐로프가 하라호토에서 발굴한 당어 텍스트는 대부분 서하 왕국의 문자임이 밝혀졌다. 알렉세이 이바노비치 이바노프, 이시하마 준타로(石濱純太郎|이시하마 준타로일본어), 베르톨트 라우퍼, 뤄푸창(), 뤄푸청(), 왕징루() 등이 당어 연구에 기여했다.[7][11]러시아 학자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네프스키(1892–1937)는 최초의 당어 사전을 편찬하고 여러 당어 문법 조사의 의미를 재구성하여 서하어 연구에 가장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의 학문적 업적은 사후 1960년 ''Tangutskaya Filologiya''(당어 문헌학)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으며, 사후에 레닌상을 수상했다.[7][11]
크세니아 케핑은 ''당어의 형태론''(모스크바: 나우카, 1985)을 통해 서하어 형태론을 연구했고, 니시다 다쓰오는 ''서하어 연구'' 등을 통해 문법을 연구했다. 그러나 당어의 통사 구조는 아직 대부분 탐구되지 않았다.[7][11]
4. 계통
서하어는 시나-티베트어족에 속하며, 특히 강어파 언어 또는 걀롱어파 언어와 가까운 관계에 있다는 것이 탕구트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3][4]
해독 초기부터 서하어가 시나-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로로-버마어군 및 창어군과 가깝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Laufer|로퍼|1916영어는 서하어와 다른 언어들을 비교 연구하여 로로어와 Naxi language|나시어영어를 서하어와 함께 묶는 것을 제안했다. 당시에는 자료와 역사 언어학적 지식 부족으로 인해 제시된 데이터는 현재 유용하지 않지만, 시나-티베트어족 내에서 로로-버마어와 서하어가 (중국어나 티베트어 등에 비해) 가깝다는 인식은 더욱 확고해졌다.[3][4] 이후 王静如|왕징루|1933중국어는 서하어와 Muya language|무야어영어 및 창어와의 관계를, 西田|니시다|1976일본어는 서하어와 Tosu language|토스어영어 (Ersuic languages|얼수어군영어)의 관련성을 지적했다.
4. 1. 강어군 (창어군)
쑨훙카이가 창어군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그 과정에서 서하어가 창어군에 포함된다는 것을 제안한 이후, 그 사실은 대체로 컨센서스를 얻고 있다.[3][4] 쑨훙카이와 Jacques|자크|Michaud|미쇼영어의 견해에서 거의 일치하는 부분의 계통도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둘 다 서하어를 창어군 내의 다소 애매한 위치에 배치하고 있지만, 자크와 미쇼는 Pumi language|푸미어영어가 서하어와 가장 유사하다고 언급하고 있다.)4. 2. 걀롱어군 (걀롱어파)
2010년대 이후, 탕구트학자들은 탕구트어(서하어)를 일반적으로 강어파 언어 또는 걀롱어파 언어로 분류한다.[3][4] 형태론적 증거와 어휘적 증거를 바탕으로, 라이 등(2020)은 탕구트어를 서걀롱어군으로 분류하며,[5] 보두앙(2023)은 호르파어로 분류한다.[6]걀롱어군은 중국쓰촨성 서부의 산악 지대에 분포하는 여러 언어로 구성된 그룹이다.
서하어와 갤론어의 근연성을 처음 제안한 사람은 이다. 그는 서하어의 티베트 문자로의 전사와 갤론어(보다 구체적으로는 에 속할 것으로 보이는 방언) 및 티베트 문어의 어휘를 비교하여 티베트 문자가 나타내는 두 자음 클러스터가 갤론어의 형태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서하어 화자가 남쪽으로 도망친 후예가 갤론어 화자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 제시된 유사성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우연의 산물이었으며, 현재는 서하어 계통의 증거로 간주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인용된 티베트어 문자 전사 예시의 대부분은 g/d로 시작하지만, 오늘날에는 이 g/d가 서하어에 존재하는 두 자음 클러스터를 표현한 것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
21세기에 들어 갤론어에 대한 다수의 현지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더 많은 증거를 바탕으로 서하어와 갤론어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는 의 서하어가 푸미어에 가깝다는 생각을 유지하면서도, 서하어와 자푸어 간의 대규모 어휘 비교를 수행했으며, 특히 서하어의 통시적 음운론을 고찰했다.
, , 등은 와 를 다른 갤론어와는 다른 그룹으로 분리하고 있으며, 그중 는 서하어가 홀파어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점도 언급하고 있다. 이후 는 이 그룹을 (반대로 자푸어와 수투어 등이 속하는 그룹은 동갤론어군)라고 부르며, 공통적인 음운 변화, 어휘, 형태론, 통사론을 여러 개 제시함으로써, 서하어가 서갤론어군에 속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게다가 , 는 최신 홀파어 현지 조사 데이터(, , 등)를 이용하여, 어휘 외에도 동사의 복잡한 접사 패턴과 명사화사, 처격형태소에 관한 차용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특징이 일치한다는 점에서, 서하어는 서갤론어 중에서도 홀파어군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 rowspan="3" | | 서하어 | 서갤론어군 | 동갤론어군 | 비고 | ||
|---|---|---|---|---|---|---|
| 홀파어군 | 토스캬프어 | 자푸어 | ||||
| 스타우어 | 게시차어 | |||||
| 연기 | 𗜐𗿉 mə̱¹ɣju¹ | mkʰə | mkʰə | mkʰə́ | tɤ-kʰɯ | 서갤론어만 m-을 가짐 |
| 개 | 𗃞𗗿 kə¹ta¹ | kʰətæ | kəta | kətɑ́ | kʰɯna | 서갤론어만 -ta를 가짐 |
| 친구 | 𗑟𘎆 .wjɨ̣¹dźjwɨ¹ | vdʑə | vdʑæ | vdʑə́ | (tɤ-rɣa) | 서갤론어 특유의 어휘 |
| 끌다 | 𗺍𗩳 dźiwə¹dźiwe¹ | ndʑədʑə | ɳʂʈʰæʈʂʰæ | dʑə̂dʑə | (nɤkʰɯkʰrɯt) | 서갤론어 특유의 첩어 |
| 1 | 𘈩 lew¹ | ro | rəu | rɑ̂ɣ | tɤɣ | 홀파어만 어미가 -w로 약화 |
| 만나다 | 𘄏 dźju² | dʑə | dʑə | (rdû) | (atɯɣ) | 홀파어 특유의 어휘 |
| 말 | 𘆝 rjijr¹ | rji | rji | (bró) | (mbro) | 〃 |
이러한 연구에 따르면 서하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 갤론어군
- * 동갤론어군(자푸어, 수투어 등)
- *
- 서갤론어군
- ** 토스캬프어
- **
- 홀파어군
게시차어
스타우어
5. 음운론
서하어 음절은 CV 구조를 가지며, 평성과 상성의 두 가지 성조를 가진다.[1] 중국의 음운학 전통에 따라, 음절은 성모(음절의 머리 자음)와 운모(음절에서 성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로 나뉜다.[1]
5. 1. 자음
서하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 중국어 명칭 | 현대어 | 아라카와 | 궝 | 미야케 |
|---|---|---|---|---|
| 중순음류(重脣音類) | 양순음 | p, ph, b, m | p, ph, b, m | p, ph, b, m |
| 경순음류(輕脣音類) | 순치음 | f, v, w | v | |
| 설두음류(舌頭音類) | 치음 | t, th, d, n | t, th, d, n | t, th, d, n |
| 설상음류(舌上音類) | 치경음 | ty, thy, dy', ny' | tʂ, tʂh, dʐ, ʂ | |
| 아음류(牙音類) | 연구개음 | k, kh, g, ng | k, kh, g, ŋ | k, kh, g, ŋ |
| 치두음류(齒頭音類) | 치경 파찰음 및 마찰음 | ts, tsh, dz, s | ts, tsh, dz, s | ts, tsh, dz, s |
| 정치음류(正齒音類) | 경구개 파찰음 및 마찰음 | c, ch, j, sh | tɕ, tɕh, dʑ, ɕ | |
| 후음류(喉音類) | 후두음 | ', h | ., x, ɣ | ʔ, x, ɣ |
| 류풍음류(流風音類) | 공명음 | l, lh, ld, z, r, zz | l, lh, z, r, ʑ | ɫ, ɬ, z, ɽr, r |
5. 2. 모음
- ek
*ukew ɛw ɨew iew ɨiw iw eʳw i(e)ʳw *o o ɔ ɨo io wɨo oo ɔɔ ɨoo ioo õ ɔ̃ ɨõ iõ ɔ̃ɔ̃ ɨõõ iõõ ọ ɔ̣ ɨọ iọ oʳ ɔʳ ɨoʳ ioʳ ooʳ iooʳ õʳ iõʳ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