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창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족은 스스로를 "르마" 또는 "주메"라고 부르며, 중국 쓰촨성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다. 고대 강족의 후예로 3,0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며, 1950년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해 공식 소수민족으로 인정받았다. 창족은 교착어인 창어를 사용하며, 2008년 쓰촨 대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문화 복원 노력을 통해 전통을 보존하려 노력하고 있다. 그들은 애니미즘을 기반으로 한 다신교 신앙을 가지며, 샤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창족은 산악 지형에 적응하여 독특한 생활 방식을 유지하며, 전통 가옥과 의복, 음식 문화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족 - 걀롱어
    걀롱어는 중국 쓰촐성의 아바 지역에서 사용되는 티베트-버마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뉘며 다합성어적 특징, 복잡한 접두사 시스템, SOV 어순, 역어 표시, 의성어 사용 및 동사 어간 변화를 보이는 언어이다.
  • 창족 - 등지 (오호 십육국)
    등지는 오호 십육국 시대에 강족이 세운 국가로, 430년부터 554년까지 여러 군주들이 통치하며 존속했으며, 그 역사 기록은 『위서』, 『양서』, 『주서』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칭하이성 - 암도 티베트어
    암도 티베트어는 티베트어의 주요 방언 중 하나로, 중국 칭하이성과 간쑤성 등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지역 방언으로 나뉘고 음운 체계에 변이가 존재하며, 중국 칭하이 티베트 라디오와 자유아시아방송에서 방송이 제공된다.
  • 칭하이성 - 차이다무 분지
    차이다무 분지는 칭하이-티베트 고원 북동부의 내륙 분지로, 염호와 플라야가 발달한 건조한 고원 지대이며, 막대한 자원과 화성 유사 환경으로 인해 중요한 자원 중심지이자 화성 탐사 연구 지역으로 활용된다.
  • 칭하이성의 역사 - 서하
    서하는 1038년부터 1227년까지 중국 북서부에 존재했던 탕구트족의 왕조로, 이원호가 건국하여 송, 요와 대립하며 불교를 숭상하고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몽골 제국 침입으로 멸망했다.
  • 칭하이성의 역사 - 코슈트 칸국
    17세기 구시 칸이 칭하이 지역을 장악하고 티베트를 정복하여 칸 칭호를 받은 후 겔룩파 중심의 통치 체제를 확립했으나, 준가르 침공과 청나라 원정으로 멸망한 국가이다.
창족
기본 정보
이름창족
토착 이름Rrmea
기타 이름Ch'iang
Chiang-Min
Erma
인구300,000명 이상
거주지쓰촨성
언어창어군
중국어 서남 방언
종교창족 민간 신앙
도교
티베트 불교
기독교
민족
창족
창족
기타 정보
관련 민족티베트족

2. 명칭

창족은 스스로를 "르마(Rma)"( 尔玛중국어, 중국어로는 ''erma'', 창족 표기법으로는 ''RRmea'') 또는 "주메"() 등으로 부르며, 이는 "사람" 또는 "민족"을 의미한다.[3] "창(羌)"이라는 명칭은 중국에서 사용되는 외부 명칭으로, 20세기 초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3]

역사적으로 "강(羌)"은 한족 정착민들의 서쪽 경계를 지칭하는 유동적인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특정 공동체를 지칭하기보다는 다양한 집단을 포괄하는 명칭이었다.[3] 전국 시대의 중국 철학자들은 한족 영토 서쪽 변두리에 거주하는 '적창(Di-Qiang)' 민족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그들은 화장 풍습으로 알려져 있었다.

"강족"으로 불리는 사람들은 3,000년 전 갑골문에 처음 등장한 이후 고대 중국 문헌에 언급되었다. '시조 문화'로 인정받으며, 기원전 16~11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중국 북서부의 강족에 대한 증거가 있으며, 그들은 상 왕조에 조공을 바쳤다고 기록되어 있다.[3][4]

그러나 "강"이라는 이름은 현대 강족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집단에 적용되었다. 이전에는 "강"으로 지정되었던 많은 사람들은 한화되거나 재분류되면서 중국 문헌에서 점차 이 범주에서 제외되었다. 청나라에 이르러 "강"이라는 용어는 상부 민강 계곡과 베이촨 지역에 거주하는 비한족만을 지칭했는데, 이곳은 현재 현대 강족이 점령하고 있는 지역이다.[5]

3. 역사

창족은 3,000년 전 갑골문에도 등장하는 등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고대 강족(羌族)의 후예로 여겨진다.[3][4] 고대 강족은 중국 서북부, 서남부, 중원 일부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일부는 현재의 티베트-버마어족 내의 각 민족으로 발전했고, 일부는 한족 등 다른 민족과 융합되었다.

강족 망루


전국 시대 중국 철학자들은 한족 영토 서쪽 변두리에 거주하는 '적창(Di-Qiang)' 민족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들은 화장 풍습으로 알려져 있었다.

시대에는 "강(羌)"이라는 용어가 민강 상류 계곡과 베이촨 지역에 거주하는 비한족만을 지칭하게 되었는데, 이곳은 현재 창족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이다.[5]

1950년, 창족은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해 공식적인 소수민족으로 인정받았다.[5] 이후 차별 금지 정책과 경제적 보조금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창족 지위를 얻으려 했고, 1982년부터 2000년 사이에 20만 명의 한족이 창족으로 민족을 변경하여 2010년에는 창족 인구가 30만 명에 이르렀다.[6]

3. 1. 2008년 쓰촨 대지진과 문화 복원

2008년 쓰촨 지진으로 창족은 큰 피해를 입었는데, 총 사망 및 실종자 86,693명 중 3만 명 이상이 창족이었다(전체 창족 인구의 10%).[7][8][9] 지진 이후 창족 문화 보존 및 복원 사업이 국제 사회와 중국 정부의 지원 하에 진행되었다. 특히, 문자가 없는 창족 언어 보존을 위해 '시비(또는 두안공)'에 의해서만 기억되는 이야기를 보존하기 위한 기록 보관소가 만들어졌다.[4]

유네스코의 전통 문화 및 민속 보호에 관한 권고(1989)에 따라,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최대화하는 방식으로 문화 복원이 이루어졌다. 베이징 문화유산 보호 센터(CHP)는 창족 문화 중심지 중 하나인 아얼 마을에서 복구 노력을 기울였고, 아얼 석탑은 2012년 아얼 마을 주민들이 진품 재료와 기술을 사용하여 복원했다.[4]

4. 언어

창족은 시나-티베트어족의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창어를 사용한다.[10] 창어는 북창어와 남창어의 두 방언군으로 나뉘지만, 실제로는 여러 방언이 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방언 연속체를 이룬다. 방언 간 차이가 커서 서로 의사소통이 어려울 때는 만다린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1980년대 후반,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창어 문자 체계가 개발되었으나, 복잡한 음성 체계와 방언 간 차이, 읽을 자료 부족 등으로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창어(주로 북창어)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고유 문자인 창 문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5. 인구

1964년 중국 전국 제1차 인구 조사에 따르면 창족의 인구는 48,261명이었다.[6] 1993년에는 약 20만 명,[6] 2000년 제5차 전국 인구 조사 통계에서는 306,072명으로 증가하여[6] 중국 정부가 공인하는 56개 민족 중 28번째로 많았다. 이러한 인구 증가는 소수민족 우대 정책으로 인해 다른 민족에서 창족으로 민족 정체성을 변경한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다.[5][6]

창족은 주로 쓰촨성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베이촨 창족 자치현마오, 원촨, 리, 헤이수이, 송판에 거주한다.[6]

6. 생활

창족은 주로 농업과 목축업을 겸하며 척박한 산악 지형에서 살아가는 데 적합한 생활 방식을 발전시켜 왔다. 산 개울을 따라 좁은 충적 평야를 경작하고, 인근 숲에서 동물을 사냥하거나 버섯과 약초를 채집하며, 산꼭대기 목초지에서 야크와 말을 기른다.[4] 북서부 지역은 축산업에 더 의존하여 유제품과 육류 소비가 많고, 남동부 지역은 농업을 선호하여 곡물과 밀 소비가 많다.[2]

쓰촨성 마오시안 바오딩거우 자연 보호구역에 있는 전통 창족 가옥


우물 파기와 석조 건축물 구조 기술이 뛰어나며, 특히 돌을 쌓아 만든 망루와 집은 창족 건축의 특징이다.[12] 각 마을에는 하나 이상의 석탑이 있었을 수 있으며, 이러한 히말라야 타워는 여전히 일부 창족 마을에 남아 있다.[12] 역사적으로 여러 방어 메커니즘을 갖춘 요새 정착지로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기능은 1949년 공산 정부 수립 이후 국가 통일 정책의 일환으로 철거되었다.[4] 전통 가옥은 2~3층의 화강암 석조 건물로, 1층은 가축 우리, 2층은 주거 공간, 3층은 곡물 저장 공간으로 사용된다. 3층이 없는 경우 곡물은 1층 또는 2층에 보관한다.[4]

양털은 의복 제작의 주요 재료이며, 흰색은 신성한 색으로 여겨진다.[2] 남성과 여성 모두 거친 천, , 실크로 만든 가운을 입고 소매 없는 양털 재킷을 입는다. 창족은 혹독한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 다리 가리개를 묶고, "터우 파"(천 머리 덮개)를 쓰고, 허리띠와 앞치마를 매고, "윈윈 슈"(뾰족하고 자수된 신발)를 착용한다. 여성의 드레스는 레이스로 장식하고 칼라는 은 장식으로 꾸민다.[13]

수수, 고산 보리, 감자, 겨울 밀, 메밀은 창족의 주요 식량이다. 술을 마시고 난초 잎을 피우는 것도 인기가 있다.

도로와 대나무 다리 건설에 능숙한 창족은 가장 바위가 많은 절벽과 가장 빠른 강에 다리를 건설할 수 있다. 나무판과 교각만 사용하여 최대 100미터까지 다리를 놓을 수 있다. 훌륭한 석공들은 우물을 파는 데 능숙하며, 특히 농사가 어려운 계절에는 인근 지역을 방문하여 조각과 파기 작업을 한다.

자수와 드로잉 작업은 어떤 디자인 없이 즉흥적으로 이루어진다. 술과 산과 같은 주제와 관련된 전통 노래는 춤과 가죽 북과 같은 전통 악기의 음악이 동반된다.

창족은 전통적인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종교 생활에서의 금기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태어나면 귀신을 데려올 수 있다고 여겨 낯선 사람의 방문을 꺼리고, 붉은 깃발을 걸어 출입을 금지한다. 가축이 새끼를 낳으면 태어난 가축의 수만큼 막대기를 문지방에 묶어 낯선 사람의 출입을 막는다. 낯선 사람이 들어오면 어미 가축의 젖이 나오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액운을 막기 위해 구리 거울을 걸고 모자에 소라를 달며, 낯선 사람은 이 물건들을 만져서는 안 된다. 부엌의 쇠솥 받침을 밟으면 천신을 노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샤먼을 불러 병자를 위해 귀신을 쫓는 의식을 할 때는 짚으로 만든 인형이나 말을 문 앞에 놓아 다른 사람의 출입을 막는다. 무(무)의 날에는 밭을 갈면 흙을 범한다고 여겨 밭을 갈지 않는다. 이처럼 "애니미즘" 신앙은 창족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문화

베이촨현의 창족 민속 박물관


창족은 지리적으로 한족, 티베트족과 인접해 있어 이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또한 무슬림, 기독교의 영향도 받아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3] 창족 문화는 언어 장벽과 지형적 어려움으로 인해 지역 간 상당한 다양성을 보인다.

대부분의 창족은 수호 산신을 포함하는 범신론 종교를 따른다.[3][2] 일부 마을들은 인접성으로 인해 더 높은 수준의 산신을 공유하기도 한다. 이러한 신들은 종교적 우상일 뿐만 아니라 자원 권리와 영토 경계를 보호하는 역할도 했다.

역사적으로 티베트 왕국의 동쪽 가장자리에서 한 제국에 이르는 지역에 거주했기 때문에, 북서쪽에 사는 창족은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남쪽과 동쪽에 사는 창족은 한족 문화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2] 서부 티베트 불교 판테온의 최하위 계층에는 마을의 수호신으로 숭배되는 산신이 포함되었고, 동쪽에는 도교와 중국 불교 사찰이 있었다. 동부 사찰에서는 산신이 사라지고 종교적 관행이 한족과 구별하기 어려워졌다.

창족은 애니미즘을 실천하며 자연신과 조상신을 숭배하고, 특정 흰색 돌(주로 망루 꼭대기에 놓임)을 신의 대표자로 숭배한다. 마을에서는 다섯 명의 위대한 신과 열두 명의 작은 신을 숭배하지만, 판테온은 거의 모든 사회적 기능에 헌신하는 신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최고의 신은 ''Abamubita''(천국의 신)로 여겨진다.[11]

창족 마을에서 문화는 주로 창족어로 ''bi''로 알려진 ''duangong''(샤먼)에 의해 기억되고 실천된다. 이들은 창족 유산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별 제한은 없지만, 현재 여성 ''duangong''은 존재하지 않는다.[3] 이들은 창족 종교의 중요한 상징인 양가죽 북과 ''AbaMullah''로 알려진 원숭이 두개골을 소유한다.[3]

''Duangong''은 사제, 학자, 약초사, 마을 원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은 평범한 일상 생활을 하며, ''duangong'' 도구를 소유한다는 것은 마을의 영적 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나타낸다. ''duangong''은 장례식, 치유 의식 등 거의 모든 의식을 수행하며, 영혼과 유령의 세계와 소통하는 신비한 힘을 가진 것으로 믿어진다. ''duangong''은 자신의 지위로 생계를 유지하지 않고, 다른 직업으로 생계를 유지한다.[3] 무당은 '신에 의해 선택'되지만, ''duangong''은 훈련을 받으면 누구나 될 수 있다는 것이 큰 차이점이다.

''Duangong''이 되기 위해서는 마을의 확인을 받고 원숭이 가죽 모자, 양가죽 북, 성스러운 지팡이, ''AbaMullah'' 등의 ''duangong'' 도구 세트를 받는 ''gaigua''라는 의식을 통과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의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많은 도구들이 사라졌고, 현재 완전한 세트를 소유한 무당은 없다. 이러한 실종은 중국 정부 수색팀에 의한 압수 때문으로 여겨지지만, 일부 도구는 마을 주민들에 의해 숨겨져 있다고 추정된다.[3]

대부분의 창족 마을에서는 특정 의식을 통해 신의 힘이 부여되었다고 믿어지는 흰색 돌이 행운의 상징으로 탑 꼭대기에 놓인다. 이러한 사각형 돌탑은 전통적으로 창족 마을의 가장자리와 인근 언덕 꼭대기에 위치한다.[4]

羌族(羌)은 고대 은나라 시대 갑골문에 기록될 정도로 오랜 역사를 가진 민족이다. 고대 강족은 중국 서북, 서남, 중원 일부 지역에서 활동했으며, 일부는 티베트-버마어족 내 각 민족으로 발전했고, 다른 일부는 기타 민족, 특히 한족과 융합했다. 민강 상류 유역의 계곡에 사는 일부 강족은 오늘날까지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2008년 쓰촨성 대지진으로 창족 문화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보호 복구 사업의 대상이 되었다.

창족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목축업도 겸한다. 우물 파기와 석조 건축물 구조 기술이 뛰어나다. 창족의 종교 생활에는 금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아이가 태어나면 귀신을 막기 위해 입구에 붉은 깃발을 걸어 모르는 사람의 출입을 금지한다. 가축이 새끼를 낳으면 태어난 가축 수만큼 막대기를 문지방에 묶어 둔다. 아이들은 액운을 막기 위해 구리 거울을 걸고 모자에 소라를 단다. 부엌의 쇠솥 받침을 발로 밟으면 천신을 노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샤먼("쉬")을 불러 귀신을 쫓는 의식을 할 경우, 다른 사람은 실내에 들어갈 수 없으며, 문 앞에 짚 인형이나 말을 놓아둔다. 무(무)의 날에는 밭을 갈면 흙을 범한다고 생각한다.

7. 1. 종교

창족은 애니미즘(정령 숭배)을 기반으로 한 다신교 신앙을 가지고 있으며, 천신(태양신)을 주신으로 숭배한다.[11] 흰 돌(석영)은 신의 상징으로 숭배되는데, 이는 "백석 전설"과 관련이 있다.[4] 이 전설에 따르면, 창족은 신의 계시로 적을 물리치고, 형체가 없는 신을 대신하여 꿈에서 본 석영을 숭배하게 되었다고 한다.

샤먼(무당)("쉬" 또는 "두안공")은 창족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3] 이들은 종교 의식, 질병 치료, 민족 역사 전승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16] 신과 소통하고 악마와 접촉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샤먼은 제자제를 통해 양성되며, 경전 없이 스승의 구전을 통해 주문과 의식을 전수받는다.

티베트족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티베트 불교의 영향이 나타난다.[2] 일부 창족은 티베트 불교를 신앙하며, 샤먼과 라마승이 공존하는 경우도 있다.

19세기 말부터 프랑스 선교사들에 의해 가톨릭, 개신교기독교가 전파되었으나,[3] 창족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선교사들은 학교 설립, 의료 제공 등으로 신자를 늘리려 했지만, 창족의 애니미즘 신앙은 굳건했다.

7. 2. 결혼

창족의 혼인 형태는 기본적으로 일부일처제이지만, 일부다처제도 존재한다.[17] 창족은 동족 내에서 결혼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민족과의 결혼도 배척하지 않는다. 실제로 한족과 함께 사는 사람은 한족과, 티베트족과 함께 사는 사람은 티베트족과 결혼하기도 한다.[17]

근친혼 풍습이 존재하며, 특정 씨족 간에는 고정된 통혼 관계가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동(동)씨와 곤(쿤)씨는 고정된 통혼 관계를 맺는 씨족이다.

레비레이트 혼(형사취수혼) 풍습이 존재하며, 이는 재산을 다른 성씨로 넘기지 않으려는 목적과 관련이 있다. 남편이 사망하면 아내는 남편의 형제와 결혼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전방(촨팡)"이라고 부른다. 남편의 형제가 아내를 데려가지 않을 경우에만 다른 성씨의 남자와 재혼할 수 있다.

7. 3. 장례

창족은 영혼이 불멸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장례식에서 다양한 의례를 행했다. 예를 들어, 죽은 사람에게 6벌의 옷을 입히고, 입에는 은, 돼지고기, 채소를 넣었으며, 샤먼(창족 말로 '쉬')에게 부탁해 받은 "통행증"을 옷 주머니에 넣어두었다. 이는 영혼을 무사히 저승으로 보내기 위한 것이었다. 노인이 사망하면 가족들은 양 한 마리를 죽여 영혼을 안내했는데, 양 내장의 손상된 부분을 찾아 노인의 사망 원인, 즉 질병이 있던 부위라고 판단했다. 유족은 양고기를 먹지 않았지만, 다른 사람들은 먹을 수 있었다.

절벽에서 떨어져 죽은 사람의 경우에는 가족들이 샤먼에게 의뢰하여 영혼을 불러오게 하고, '대신하는 영혼'으로 양 한 마리를 망자가 떨어진 절벽에서 떨어뜨렸다. 만약 양이 죽지 않고 돌아오면 매우 불길하게 여겨 두 번째 사고자가 나올 수 있다고 믿었다. 횡사한 사람은 모두 화장했는데, 화장 날짜와 시간은 가족 구성원의 생일 및 시간과 겹치지 않도록 했다. 만약 겹칠 경우, 해당 가족 구성원은 높은 곳에 올라가 숨어야 했다. 죽은 사람보다 높은 곳에 있으면 흉한 일을 길한 일로 바꿀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16]

참조

[1]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 >> 第五次人口普查数据 http://www.stats.gov[...] 2019-05-04
[2] 논문 Searching for Qiang Cul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dx.doi.org/10[...] 2002
[3] 논문 First Look: The Qiang People of Sichuan http://www.tandfonli[...] 2002-01
[4] 논문 Cultural revitalisation after catastrophe: the Qiang culture in A'er http://www.tandfonli[...] 2016-01-02
[5] 웹사이트 From the Qiang Barbarians to the Qiang Nationality: The Making of a New Chinese Boundary http://ultra.ihp.sin[...]
[6] 웹사이트 Qiang, Cimulin https://web.archive.[...]
[7] 논문 The Relationship of Acculturation Strategies to Resilience: The Moderating Impact of Social Support among Qiang Ethnicity following the 2008 Chinese Earthquake 2016-10-14
[8] 뉴스 Quake threatens a culture's future https://www.latimes.[...] 2008-05-21
[9] 웹사이트 Nearly wiped out by quake, China's Qiang minority lives on https://www.france24[...] 2018-05-11
[10]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10
[11] 웹사이트 Mountain gods - Tibetan Buddhist Encyclopedia https://tibetanbuddh[...] 2024-04-16
[12] 웹사이트 The inside info on China's ancient watchtowers http://www.lonelypla[...] 2010-08-19
[13] 서적 Proceedings of the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ity, Education and Social Science Atlantis Press 2016-08
[14] 논문 Genetic Structure of Qiangic Populations Residing in the Western Sichuan Corridor 2014
[15] 문서 zh:中華人民共和国第五次全国人口普查
[16] 문서 許(シュイ)は衣裳として白いスカートをはき、上半身に羊の皮で作ったチョッキ或いは普段着を着る。豹の皮をひっかけ、頭にサルの皮の帽子をかぶる許もいる。
[17] 문서 明清代、少数民族地区に間接統治をまかせていた土司,土官を廃止して、流官(中央より任を受けた役人)を派遣して直接統治に切り替えていった政策ならびにその措施。
[18] 문서 子供の誕生前から親同士で婚約を整える一種の幼児間の婚約。
[19] 문서 チベット系民族の民間舞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