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촉진 확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촉진 확산은 확산의 한 형태로서, 생체 내에서 여러 대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사 인자가 DNA의 표적 부위에 결합하는 주요 메커니즘이며, 시험관 내 모델과 생체 내 모델 모두에서 연구되었다. 촉진 확산은 세포질 내에서 3차원 및 1차원 확산 패턴을 통해 일어나며, 혼잡 단백질과 입체 효과가 결합에 영향을 미친다. 산소, 일산화탄소, 포도당 등 다양한 분자들의 이동에 관여하며, 운반체 단백질의 도움을 받아 농도 기울기에 따라 물질을 수송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확산 - 크누센 확산
    크누센 확산은 기체 분자의 평균 자유 경로가 용기 크기보다 클 때 나타나는 확산 현상으로,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보다 용기 벽과 더 자주 충돌하며, 확산 계수는 기공 직경, 분자의 몰 질량, 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 확산 - 리제강 고리
    리제강 고리는 화학 반응에서 주기적인 침전 현상으로 나타나는 고리 형태의 구조로, 용액 내 화학 반응과 확산 현상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젤 내에서 형성되며, 시간, 폭, 간격 법칙 등 규칙성을 보인다.
  • 수송 단백질 - 수소-칼륨 ATP가수분해효소
    수소-칼륨 ATP가수분해효소는 위벽세포 막에 있는 효소로, 위산 분비의 핵심 역할을 하며 수소 이온을 위 내강으로, 칼륨 이온을 세포질로 능동수송하는 양성자 펌프로 작용하고, 위식도 역류 질환이나 소화성 궤양 치료를 위해 프로톤 펌프 억제제로 억제될 수 있다.
  • 수송 단백질 - 양성자 펌프
    양성자 펌프는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세포막 등에서 양성자를 능동적으로 수송하여 ATP 합성, 영양분 흡수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단백질 복합체 또는 효소이다.
촉진 확산
개요
촉진 확산 모식도
촉진 확산 모식도
유형막 수송
하위 유형수동 수송
상세 정보
관련 과정수동 수송
관련 질병시스틴뇨증
프락토스 불내성
외부 링크
MeSHD004733

2. 촉진 확산의 생체 내 모델

촉진 확산은 전사 인자가 DNA 분자의 특정 표적 부위에 결합하는 주된 메커니즘이다. 시험관 내 모델은 살아있는 세포 외부에서 일어나는 촉진 확산을 설명하는데, 세포질에서의 3차원 확산과 DNA 윤곽을 따르는 1차원 확산을 포함한다.[4] 이 메커니즘은 세포 외부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생체 내, 즉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도 일어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Bauer & Metzler (2013)[4]는 세균 유전체를 이용해 전사 인자와 DNA 결합 시간을 조사하는 실험을 수행했고, 시험관 내와 생체 내에서 전사 인자의 DNA 결합 및 해리 속도가 유사함을 밝혔다. DNA 윤곽선에서는 움직임이 느려 표적 부위를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세포질에서는 움직임이 빨라도 전사 인자가 표적에 덜 민감하여 결합이 제한된다.

2. 1. 세포 내 촉진 확산

세포 내 촉진 확산은 전사 인자가 DNA의 특정 표적 부위에 결합하는 주요 기작이다. 시험관 내(in vitro) 모델과 생체 내(in vivo) 실험을 통해 이 기작이 세포 내에서도 유사하게 작동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2. 1. 1. 전사 인자의 DNA 결합 과정

많은 물리적 및 생화학적 과정은 확산에 의해 조절된다.[3] 촉진 확산은 확산의 한 형태이며 여러 대사 과정에서 중요하다. 촉진 확산은 전사 인자(TF)가 DNA 분자의 지정된 표적 부위에 결합하는 주요 메커니즘이다. 살아있는 세포 외부에서 일어나는 잘 알려진 촉진 확산 방법인 시험관 내 모델은 세포질에서 3차원 확산 패턴과 DNA 윤곽선을 따라 1차원 확산을 설명한다.[4] 세포 밖에서 일어나는 과정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후 이 메커니즘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이 메커니즘이 생체 내, 즉 살아있는 세포 내부에서 일어날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Bauer & Metzler (2013)[4]는 TF - DNA 결합이 발생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조사하는 세균 유전체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했다. TF가 박테리아 DNA의 윤곽선과 세포질을 가로질러 확산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분석한 결과,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 TF의 DNA 결합 및 해리 속도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유사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DNA 윤곽선에서는 움직임이 느리고 표적 부위를 쉽게 찾을 수 있는 반면, 세포질에서는 움직임이 더 빠르지만 TF는 표적에 민감하지 않아 결합이 제한된다.

단분자 이미징은 살아있는 세포 내 전사 인자 결합 메커니즘 연구에 필요한 이상적인 해상도를 제공하는 이미징 기술이다.[5] 원핵생물인 ''대장균''(E. coli)과 같은 세균 세포에서 조절 단백질이 DNA 염기쌍의 표적 부위를 찾아 결합하려면 촉진 확산이 필요하다.[3][5][6] 여기에는 두 가지 주요 단계가 포함된다. 단백질이 DNA의 비특이적 부위에 결합한 다음 표적 부위를 찾을 때까지 DNA 사슬을 따라 확산되는 과정을 슬라이딩이라고 한다.[3] Brackley 외(2013)에 따르면, 단백질 슬라이딩 과정에서 단백질은 3차원 및 1차원 확산 패턴을 사용하여 DNA 사슬 전체를 검색한다. 3차원 확산 동안, 혼잡 단백질의 높은 발생률은 삼투압을 생성하여 탐색 단백질(예: Lac Repressor)을 DNA에 더 가깝게 하여 인력을 증가시키고 결합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이 영역(Lac operator 영역)에서 혼잡 단백질을 배제하는 입체 효과를 일으킨다. 차단 단백질은 1차원 확산에만 관여한다. 즉, DNA 윤곽에 결합하여 따라 확산되며 세포질에서는 확산하지 않는다.

2. 2. 염색질에서의 단백질 촉진 확산

진핵 세포에서도 촉진 확산은 핵질염색질 섬유에서 발생하며, 이는 단백질이 염색질 가닥에 결합되어 있거나 핵질 내에서 자유롭게 확산될 때의 전환 역학에 의해 설명된다.[7] 염색질 분자가 단편화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 프랙탈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염색질 프랙탈 구조에서 3차원 및 1차원 확산 단계를 번갈아 가며 표적 단백질의 탐색 시간을 계산한 결과, 진핵 세포에서의 촉진 확산은 DNA-단백질 친화성을 증가시켜 탐색 과정을 가속화하고 탐색 시간을 최소화한다는 결론이 나왔다.[7]

3. 촉진 확산의 예시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의 촉진 확산이 일어난다. 일산화 탄소 또한 헤모글로빈미오글로빈과 결합하여 촉진 확산된다. 포도당은 큰 분자이므로 세포막을 통한 확산이 어려워 농도 기울기를 따라 운반 단백질의 도움을 받아 촉진 확산된다.

3. 1. 산소의 촉진 확산

적혈구 표면의 헤모글로빈과의 산소 친화력은 이러한 결합 능력을 향상시킨다.[8] 산소 촉진 확산 시스템에서 산소인 리간드헤모글로빈 또는 미오글로빈인 운반체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9] 헤모글로빈 또는 미오글로빈에 의한 산소 촉진 확산의 이러한 메커니즘은 비텐버그와 숄란더에 의해 발견되어 시작되었다.[10] 그들은 다양한 압력에서 산소 확산의 정상 상태를 테스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 산소 촉진 확산은 산소 압력을 비교적 제어할 수 있는 균질 환경에서 발생한다.[11] 산소 확산이 발생하려면 의 한쪽에는 완전 포화 압력(높음)이, 막의 다른 쪽에는 완전 감소 압력(낮음)이 있어야 한다. 즉, 막의 한쪽은 농도가 더 높아야 한다. 촉진 확산 동안 헤모글로빈은 산소의 일정 확산 속도를 증가시키며, 옥시헤모글로빈 분자가 무작위로 이동할 때 촉진 확산이 발생한다.

3. 2. 일산화탄소의 촉진 확산

일산화 탄소의 촉진 확산은 산소의 촉진 확산과 유사하다. 일산화 탄소는 헤모글로빈미오글로빈과 결합하지만, 산소보다 100배 낮은 분리 속도를 보인다. 미오글로빈에 대한 친화력은 산소보다 40배 높고, 헤모글로빈에 대한 친화력은 250배 더 높다.[13]

3. 3. 포도당의 촉진 확산

포도당은 큰 분자이므로, 을 통한 확산이 어렵다.[14] 따라서, 농도 기울기를 따라 촉진 확산을 통해 막을 가로질러 확산된다. 막에 있는 운반 단백질은 포도당에 결합하여 형태를 변화시켜 쉽게 수송될 수 있도록 한다.[15] 포도당의 세포 내 이동은 막을 가로지르는 단백질의 수에 따라 빠르거나 느릴 수 있다. 세포 내 다른 포도당 분자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의존성 포도당 공동수송체에 의해 농도 기울기에 반하여 수송된다. 촉진 확산은 축적된 포도당을 혈관 모세혈관에 인접한 세포 외 공간으로 방출하는 데 도움이 된다.[15]

참조

[1] 서적 Fundamentals of biochemistry upgrade Wiley
[2] 서적 Principles and models of biological transport Springer 2008
[3] 학술지 Facilitated Diffusion of DNA-Binding Proteins
[4] 학술지 In vivo facilitated diffusion model 2013
[5] 학술지 The lac Repressor Displays Facilitated Diffusion in Living Cells
[6] 학술지 Intracellular facilitated diffusion: searchers, crowders, and blockers 2013-09
[7] 학술지 Facilitated diffusion of proteins on chromatin 2011-01
[8] 학술지 Facilitated diffusion of oxygen and its possible significance; a review
[9] 학술지 Hemoglobin-facilitated diffusion of oxygen: interfacial and thickness effects https://deepblue.lib[...] 1972-06
[10] 학술지 The facilitated diffusion of oxygen by hemoglobin and myoglobin 1977-04
[11] 학술지 Factors influencing facilitated diffusion of oxygen in the presence of hemoglobin and myoglobin 1972-05
[12] 학술지 The molecular mechanism of hemoglobin-facilitated oxygen diffusion 1966-01
[13] 학술지 Facilitated diffusion. The case of carbon monoxide 1971-10
[14] 학술지 Facilitated glucose transporters in eithelial cells 1993
[15] 학술지 Facilitated diffusion of glucose
[16] 서적 Fundamentals of biochemistry upgrade Wi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