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남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남파는 멕시코 남부의 소치밀코 호수와 찰코 호수 주변에서 사용된 인공 농업 방식으로, 아즈텍 제국 시대에 식량 생산을 위해 널리 활용되었다. 치남파는 얕은 호수 바닥에 흙을 쌓아 만든 밭으로, 옥수수, 콩, 호박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했으며, 테노치티틀란의 식량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스페인 정복 이후 댐과 수문 건설로 인해 쇠퇴했지만, 소치밀코 지역에서는 오늘날까지도 그 형태가 일부 유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간척 - 미누마
    미누마는 사이타마현 중앙부에 위치한 미누마 덴보를 중심으로 한 지역으로, 에도 시대 간척 사업을 통해 곡창 지대가 되었으나, 현재는 도시화와 환경 변화로 보전과 개발이 병행되고 있다.
  • 간척 - 인공섬
    인공섬은 자연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진 섬으로, 다양한 목적으로 건설되어 도시 확장, 해상 공항 건설 등에 활용되며, 해양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국제법적으로 영해나 배타적 경제수역을 가질 수 없다.
  • 아즈텍 사회 - 아마틀
    아마테는 멕시코의 전통 종이로 무화과 나무 껍질을 주재료로 하며, 과거 의례 및 기록용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수공예품으로 상업화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아즈텍 사회 - 시우아코아틀
    시우아코아틀은 아즈텍 제국에서 틀라카엘렐을 위해 만들어진 중요한 직위로, 틀라카엘렐을 시작으로 틀릴포톤카친, 틀라카엘렐 2세, 마트라친카친, 틀라코친 등이 역임했으며, 사이먼 레백의 역사 소설 시리즈에도 등장한다.
  • 인공섬 - 시랜드 공국
    영국 해안의 러프 요새에 세워진 시랜드 공국은 패디 로이 베이츠가 독립을 선언한 자칭 국가로, 국제적 승인은 받지 못했지만 자체적인 여권과 화폐를 발행하고 쿠데타 시도와 화재, 온라인 귀족 작위 판매 등 특이한 방식으로 유지되고 있다.
  • 인공섬 - 칼레
    칼레는 프랑스 북부 파드칼레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브리튼 섬을 잇는 중계지 역할을 했으며, 잉글랜드 점령과 프랑스 반환을 거쳐 주요 항구로서 페리 터미널과 채널 터널을 갖추고 있으며, 레이스 산업이 발달했다.
치남파
개요
치남파 세부 정보
치남파 세부 정보
중앙 멕시코의 호수 시스템
중앙 멕시코의 호수 시스템
정의
유형메소아메리카 농업
어원나와틀어: chināmitl (치나미틀)
발음국제음성기호: /tʃiˈnaːmitɬ/
설명메소아메리카에서 사용된 농업 기술
특징
위치멕시코 계곡의 호수 주변
구조얕은 호수 바닥에 진흙과 퇴적물을 쌓아 만든 인공 섬
크기일반적으로 30m x 2.5m
농업높은 생산성
일 년에 여러 번 수확 가능
다양한 작물 재배 (옥수수, 콩, 호박, 토마토, 아마란스, 고추)
환경적 이점지속 가능한 농업 시스템
토양 침식 방지
생물 다양성 보존
역사
기원기원전 1350년경
발전14세기 ~ 16세기 아즈텍 제국 시대에 가장 활발하게 사용
주요 지역소치밀코호
찰코호
기타 정보
현대적 활용소치밀코 지역에서 여전히 사용
관광 명소
문제점도시화
수질 오염
생태계 파괴 위협

2. 역사

치남파는 중기 후고전 시대인 1150년에서 1350년 사이에 소치밀코 호와 찰코 호 남쪽 기슭 근처 샘에서 주로 활용되었다. 아즈텍 제국은 이 지역을 군사적으로 정복하여 치남파를 확장하려 했다는 가설이 있는데, 이는 제국이 치수(治水)를 통해 권력을 유지한다는 수력 제국 이론과 관련이 있다. 치남파 건설과 관리에 아즈텍 제국이 직접 개입했다는 증거도 존재한다. 하지만 국가가 치남파를 직접 통제했다는 이론은 텍스코코호소금물이 치남파 농업 지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방이 필요했다는 가설에 의존한다. 그러나 치남파는 제방 건설 이전에도 제대로 농사가 되었다는 증거가 있어, 제방은 치남파 농업 규모를 키우기 위해 건설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58]

치남파 농장은 테노치티틀란 주변을 둘러쌌으며 점차 확장되었다. 텍스코코호 동쪽 기슭의 섬에 위치한 도시국가 살토칸 인근에도 소규모 치남파 농장이 있었다. 스페인 제국멕시코를 정복한 후 호수에 댐과 수문을 건설하면서 많은 치남파 농장은 버려졌지만, 많은 호숫가 마을은 식민 통치 시기가 끝날 때까지 고유의 치남파 농업 기법을 유지하였다.[59]

2. 1. 아즈텍 제국과 치남파

아즈텍 제국은 1325년 테노치티틀란 섬 위에 건립된 이후, 도심 성장은 토지 부족 문제를 불러왔다. 제국이 확대되면서 식량 요구량 또한 늘어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땅을 정복하거나 치남파를 확장하였다. 치남파가 확장될수록 아즈텍의 주요 식량 공급원이 되었다. 아즈텍 제국 기록에 따르면 치남파 농부가 바치던 공물은 비교적 적었는데, 이는 1년 동안 공물로 바쳐야 할 양이 주민들이 소비하는 양의 소량만이었기 때문이다.[60] 테노치티틀란이 식량을 어느 정도 치남파에 의존했는지는 여러 연구 주제가 되었다.[61][62][63][64]

치남파에서 기르던 주요 작물로는 옥수수, , 호박, 비름, 토마토, 고추와 꽃이다.[65] 옥수수는 '윅틀리'(huictli|wikt͡ɬinah)라는 나무 농기구를 이용해 심었다.[51][66]

스페인어 '치남파'(chinampa)라는 단어는 나와어 '치나미틀'(chināmitl)에서 유래하였다. 식민 통치 시기 스페인인들은 '카메요네스'(camelloneses)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하지만 프란치스코회 소속 탁발수도사는 나와어에서 유래된 치남파라는 단어를 쓰며 "('인도인'들은) 별다른 문제 없이 옥수수와 채소를 치남파라고 불리는 두둑에 심고 수확하며, 이는 물 위에 만들고 도랑으로 둘러싸여 따로 물을 줄 필요가 없게 만든 좁은 땅덩어리이다"라는 기록을 남겼다.[67]

치남파는 베르가라 문서(Codex Vergara), 웁살라(Uppsala) 지도라 불리는 산타마리아아순시온 문서(Codex Santa María Asunción),[68] 그리고 아스카포찰코(Azcapotzalco)의 마게이 도면(Maguey Plan) 등 여러 아즈텍 문서에 묘사되어 있다.[69] 나와어를 로마자로 기록한 16세기 후반 문서 '쿨우아칸의 유언장'(The Testaments of Culhuacan)에는 치남파를 사유 재산으로서 후손들에게 물려준다고 작성된 수많은 유언장이 존재한다.[70][71]

플로렌스 코덱스에 묘사된 아즈텍 옥수수 농업(경작자가 파는 막대기를 사용함)


가장 초기에 확실하게 연대가 확인된 밭은 중기 후고전 시대, 서기 1150년 – 1350년의 것이다. 치남파는 주로 멕시코 남부 호숫가에 있는 샘 근처의 소치밀코와 찰코에서 사용되었다. 아즈텍은 이 지역을 통제하기 위해 군사 작전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연구자들에 따르면 이들의 범위를 넓히기 위한 상당한 국가 주도의 노력을 기울였다.[17] 치남파 "확장"을 위한 국가 주도 운영을 시사하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 이것은 때때로 수력 제국과 직접 관련된 수력 가설이라고 불리며, 이는 물의 규제와 분배를 통해 권력과 통제를 유지하는 제국이다. 치남파를 건설, 전환 및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인력과 자재의 양이 주로 국가 개입에 대한 증거이다. 그러나 치남파에 대한 국가 통제에 대한 논쟁은 제방이 수위 조절에 필요하고 텍스코코 호수의 염수가 치남파 구역의 담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가정에 의존한다. 이는 그럴듯하지만, 치남파가 염수로부터 보호하는 제방 건설 전에 기능했다는 증거가 있다. 제방은 치남파 운영 규모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18]

치남파 농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히 확장된 아즈텍 수도 테노치티틀란을 둘러싸고 있었다. 섬 도시 잘토칸과 텍스코코 호수 동쪽에서도 소규모 농장이 확인되었다. 아즈텍 제국 정복 당시 댐과 수문이 파괴되면서 많은 치남파 밭이 버려졌다.[19] 그러나 많은 호숫가 마을은 식량이 노동 집약적이고 스페인인들이 획득하기에 덜 매력적이었기 때문에 식민지 시대 말까지 치남파를 유지했다.[20]

2. 2. 스페인 식민 통치와 치남파



치남파와 운하, 1912년


소치밀코의 트라히네라(Trajinera) 관광 보트


치남파는 소치밀코 호와 찰코 호 남쪽 기슭 근처 샘에서 주로 활용되었다. 아즈텍 제국은 이 지역에 대한 군사 정복을 감행했는데, 치남파 확장을 위해 이러한 정복 활동을 벌였다고 주장하는 가설이 있다. 이 가설은 제국이 치수(治水)를 통해 권력을 유지한다는 수력 제국 이론과 관련이 있다. 또한 치남파를 건설하고 관리하기 위한 인력과 자재에 아즈텍 제국이 직접 개입했다는 근거가 있다. 하지만 치남파를 국가가 직접 통제했다는 이론은 호수의 수위를 조절하고 텍스코코호소금물이 치남파 농업 지역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제방이 필요했다는 가설에 의존한다. 이 가설은 그럴듯하지만 치남파가 제방 건설 이전에도 제대로 농사가 되었다는 근거가 있다. 이는 제방이 치남파 농업의 규모를 키우기 위해 건설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58]

치남파 농장은 테노치티틀란 주변을 둘러쌌으며, 점점 확장되었다. 텍스코코호 동쪽 기슭의 섬에 위치한 도시국가 샬토칸 인근에도 소규모 치남파 농장이 존재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스페인 제국멕시코를 정복한 후 호수에 댐과 수문을 건설하면서 많은 치남파 농장은 버려졌지만, 많은 호수 기슭 마을이 식민 통치 시기가 끝날 때까지 고유의 치남파 농업 기법을 유지하였다.[59]

아즈텍 제국이 1325년 테노치티틀란 섬 위에 건립된 이후, 도심 성장은 토지 부족 문제를 불러왔다. 제국이 확대되면서 식량 요구량 또한 늘어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땅을 정복하거나 치남파를 확장하였다. 치남파가 확장될수록 치남파는 아즈텍의 주요 식량 공급원이 되었다. 아즈텍 제국 기록에 따르면 치남파 농부가 바치던 공물은 비교적 적었는데, 이는 1년 동안 공물로 바쳐야 할 양이 주민들이 소비하는 양의 소량만이었기 때문이다.[60] 테노치티틀란이 식량을 어느 정도 치남파에 의존했는지는 여러 연구 주제가 되었다.[61][62][63][64]

치남파에 기르던 주요 작물로는 옥수수, , 호박, 비름, 토마토, 고추와 꽃이다.[65] 옥수수는 ''윅틀리''(huictli|wikt͡ɬinah)라는 나무 농기구를 이용해 심었다.[51][66]

스페인어 ''치남파''(chinampa)라는 단어는 나와어 ''치나미틀''(chināmitl)에서 유래하였다. 식민 통치 시기 스페인인들은 ''카메요네스''(camelloneses)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하지만 프란치스코회 소속 탁발수도사 후안 데 토르케마다는 나와어에서 유래된 치남파라는 단어를 쓰며 "('인도인'들은) 별다른 문제 없이 옥수수와 채소를 치남파라고 불리는 두둑에 심고 수확하며, 이는 물 위에 만들고 도랑으로 둘러싸아놓아 따로 물 줄 필요를 없게 만든 좁은 땅덩어리이다"라는 기록을 남겼다.[67]

치남파는 베르가라 문서(Codex Vergara), 웁살라(Uppsala) 지도라 불리는 산타마리아아순시온 문서(Codex Santa María Asunción),[68] 그리고 아스카포찰코(Azcapotzalco)의 마게이 도면(Maguey Plan) 등 여러 아즈텍 문서에 묘사되어 있다.[69] 나와어를 로마자로 기록한 16세기 후반 문서 ''쿨우아칸의 유언장''(The Testaments of Culhuacan)에는 치남파를 사유 재산으로서 후손들에게 물려준다고 작성된 수많은 유언장이 존재한다.[70][71]

2. 3. 치남파 관련 기록

아즈텍 제국은 1325년 테노치티틀란 섬 위에 건립된 이후, 도심 성장은 토지 부족 문제를 불러왔다. 제국이 확대되면서 식량 요구량 또한 늘어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땅을 정복하거나 치남파를 확장하였다. 치남파가 확장될수록 아즈텍의 주요 식량 공급원이 되었다. 아즈텍 제국 기록에 따르면 치남파 농부가 바치던 공물은 비교적 적었는데, 이는 1년 동안 공물로 바쳐야 할 양이 주민들이 소비하는 양의 소량만이었기 때문이다.[60] 테노치티틀란이 식량을 어느 정도 치남파에 의존했는지는 여러 연구 주제가 되었다.[61][62][63][64]

치남파에서 기르던 주요 작물로는 옥수수, , 호박, 비름, 토마토, 고추와 꽃이다.[65] 옥수수는 ''윅틀리''(huictli|wikt͡ɬinah)라는 나무 농기구를 이용해 심었다.[51][66]

스페인어 ''치남파''(chinampa)라는 단어는 나와어 ''치나미틀''(chināmitl)에서 유래하였다. 식민 통치 시기 스페인인들은 ''카메요네스''(camelloneses)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하지만 프란치스코회 소속 탁발수도사 후안 데 토르케마다는 "('인도인'들은) 별다른 문제 없이 옥수수와 채소를 치남파라고 불리는 두둑에 심고 수확하며, 이는 물 위에 만들고 도랑으로 둘러싸아놓아 따로 물 줄 필요를 없게 만든 좁은 땅덩어리이다"라는 기록을 남기며 나와어에서 유래된 치남파라는 단어를 썼다.[67]

치남파는 베르가라 문서(Codex Vergara), 웁살라(Uppsala) 지도라 불리는 산타마리아아순시온 문서(Codex Santa María Asunción),[68] 그리고 아스카포찰코(Azcapotzalco)의 마게이 도면(Maguey Plan) 등 여러 아즈텍 문서에 묘사되어 있다.[69] 나와어를 로마자로 기록한 16세기 후반 문서 ''쿨우아칸의 유언장''(The Testaments of Culhuacan)에는 치남파를 사유 재산으로서 후손들에게 물려준다고 작성된 수많은 유언장이 존재한다.[70][71]

가장 초기에 확실하게 연대가 확인된 밭은 중기 후고전 시대, 서기 1150년 – 1350년의 것이다. 치남파는 주로 멕시코 남부 호숫가에 있는 샘 근처의 소치밀코와 찰코에서 사용되었다. 아즈텍은 이 지역을 통제하기 위해 군사 작전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연구자들에 따르면 이들의 범위를 넓히기 위한 상당한 국가 주도의 노력을 기울였다.[17] 치남파 "확장"을 위한 국가 주도 운영을 시사하는 강력한 증거가 있다. 이것은 때때로 수력 제국과 직접 관련된 수력 가설이라고 불리며, 이는 물의 규제와 분배를 통해 권력과 통제를 유지하는 제국이다. 치남파를 건설, 전환 및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인력과 자재의 양이 주로 국가 개입에 대한 증거이다. 그러나 치남파에 대한 국가 통제에 대한 논쟁은 제방이 수위 조절에 필요하고 텍스코코 호수의 염수가 치남파 구역의 담수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는 가정에 의존한다. 이는 그럴듯하지만, 치남파가 염수로부터 보호하는 제방 건설 전에 기능했다는 증거가 있다. 제방은 치남파 운영 규모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18]

치남파 농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히 확장된 아즈텍 수도 테노치티틀란을 둘러싸고 있었다. 섬 도시 잘토칸과 텍스코코 호수 동쪽에서도 소규모 농장이 확인되었다. 아즈텍 제국 정복 당시 댐과 수문이 파괴되면서 많은 치남파 밭이 버려졌다.[19] 그러나 많은 호숫가 마을은 식량이 노동 집약적이고 스페인인들이 획득하기에 덜 매력적이었기 때문에 식민지 시대 말까지 치남파를 유지했다.[20]

3. 치남파의 구조와 농업 방식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생성하고, 필요한 경우 수정하겠습니다.)

4. 현대의 치남파

현대 치남파의 대표적인 예시


263x263px


운하와 도랑을 매립한 치남파에서 소를 방목하는 모습


현대 치남파는 소치밀코 동쪽에 있는 산그레고리오, 산루이스, 틀라우악|Tláhuaces, 산안드레스미스킥|San Andrés Mixquices 등 작은 마을에 보존되어 있다.[72][35] 식민 통치 시대 이전부터 스페인 정복 이후까지 만들어져 관리된 많은 치남파 농지가 여전히 농업에 사용되고 있다.[73][72][36][35]

현존하는 많은 치남파에서 농부들은 잡초가 자라도록 방치한다.[35] 일부는 전통적인 방식대로 운하와 도랑에서 카누를 타고 농지에 가지만, 많은 농부들이 손수레와 자전거를 이용한다.[72][35] 산그레고리오나 산루이스 지역의 일부 치남파는 운하와 도랑을 흙으로 매립하여 여러 치남파가 하나로 합쳐지기도 했다.[72][35] 전통적인 방식은 아니지만, 치남파를 방목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72][35]

오늘날 치남파에서는 상추, 고수, 시금치, 근대(chard), 호박, 파슬리, 꽃양배추, 셀러리, 박하, 쪽파, 로즈메리, 옥수수, 무 등을 재배한다.[72][35] 소스 재료로 사용되는 켈리테|Quelitees와 킨토닐|quintoniles(비름의 일종)도 재배한다.[72][35] 전통에 따라 꽃도 재배하며,[72][35] 몇몇 치남파는 관광 명소로 활용된다.

4. 1. 소치밀코의 치남파



1998년을 기준으로 치남파는 소치밀코 동쪽에 있는 작은 마을인 산그레고리오(San Gregorio), 산루이스(San Luis), 틀라우악|Tláhuaces, 산안드레스미스킥|San Andrés Mixquices에 보존되어 있었다.[72][35] 많은 치남파가 식민 통치 시대 이전부터 스페인 정복 이후에 만들어지고 관리되어 왔지만, 아직도 많은 치남파 농지가 존재하며 농업에 쓰이고 있다.[73][72][36][35]

현존하는 많은 치남파에는 농부들이 잡초를 그냥 자라도록 놔두곤 한다.[35] 몇몇 농부들은 전통적인 방식대로 치남파 사이 운하와 도랑에서 카누를 타고 농지에 가지만, 많은 농부들이 손수레와 자전거를 이용한다.[72][35] 산그레고리오나 산루이스 지역의 몇몇 치남파는 운하와 도랑을 일부러 흙으로 매립하였다.[72][35] 이렇게 운하가 없어지면 여러 치남파는 자연스럽게 하나로 합쳐진다. 전통적인 방식은 아니지만, 치남파를 방목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72][35]

주변에 운하가 아직 남아있든 매립했든간에 오늘날 치남파에서는 상추, 고수, 시금치, 근대(chard), 호박, 파슬리, 꽃양배추, 셀러리, 박하, 쪽파, 로즈메리, 옥수수, 무 등을 재배한다.[72][35] 소스를 만들기 위한 켈리테|Quelitees와 킨토닐|quintoniles(비름의 일종)을 키우기도 한다.[72][35] 전통을 따라 꽃 또한 키운다.[72][35] 오늘날 몇몇 치남파는 관광 명소화 되었다.

4. 2. 치남파의 한계와 도전



현존하는 많은 치남파에서 농부들은 잡초가 자라도록 방치한다. 일부는 전통적인 방식대로 카누를 이용해 농지에 접근하지만, 많은 농부들은 손수레나 자전거를 사용한다. 산그레고리오나 산루이스 지역의 일부 치남파는 운하와 도랑을 흙으로 메워 여러 치남파가 하나로 합쳐지기도 했다. 전통적인 방식은 아니지만, 치남파를 방목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72]

스페인 제국멕시코 정복 이후 스페인은 Lake Xochimilco|소치밀코 호영어를 비롯한 많은 호수를 매립하여 치남파 농업 가능 면적이 줄어들었다.[75][76] 1985년에는 지진으로 인해 많은 운하가 손상되었다.[75] 오늘날 치남파를 위협하는 요소로는 물 공급 제한, 농약 이용, 기후 위기, 스프롤 현상, 유독성 폐기물과 처리되지 않은 하수로 인한 수질 오염 등이 있다.[75][77][74]

1970년대 멕시코에서는 Chontal Maya|촌탈 마야인영어에게 치남파 개발을 시도했지만, 기술자들이 촌탈인들의 이해를 맞춰주기 위해 목표를 수정하면서 실패하였다.[78]

많은 지역 주민과 농부들이 농업으로의 회귀를 반기고 있지만, 스페인 정복 기간 동안 많은 호수가 메말랐고, 소치밀코 호와 같이 농업 생산 능력이 제한되는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38][39] 또한, 1985년 지진으로 여러 운하가 추가로 파괴되었다.[38] 다른 어려움으로는 제한적인 수자원, 살충제 사용, 기후 변화, 도시 팽창, 그리고 정화되지 않은 하수와 유독 폐기물로 인한 수질 오염 등이 있다.[38][40][37]

참조

[1] 서적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 웹사이트 Chinampa Agriculture in the World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Zone in Xochimilco, Tláhuac and Milpa Alta https://www.fao.org/[...] 2022-09-19
[3] 논문 "''CHINAMPA'' AGRICULTURE, SURPLUS PRODUCTION, AND POLITICAL CHANGE AT XALTOCAN, MEXICO" 2016-06-03
[4] CiteSeerX The floating gardens in México Xochimilco, world heritage risk site
[5] 논문 A Hypothesi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xcoco Fabric-Marked Pottery, Tlateles, and Chinampa Agriculture
[6] 간행물 Mesoamerica UNESCO 1961
[7] 서적 Aztec Inca & Maya. A Dorling Kindersley Book: Singapore 1993
[8] 논문 Bacterial communities estimated by pyrosequencing in the soils of chinampa, a traditional sustainable agro-ecosystem in Mexico 2015-10-02
[9] 문서 Colonial Culhuacan
[10] 논문 Aztec arithmetic: positional notation and area calculation. 1980-10-31
[11] 논문 Mathematical accuracy of Aztec land surveys assessed from records in the Codex Vergara 2011-09-13
[12] 서적 Mysteries of the Mexican pyramids. Fitzhenry & Whiteside Limited: Toronto 1976
[13] 서적 Regions at risk: Comparisons of Threatened Environments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Taxodium mucronatum http://www.conifers.[...] The Gymnosperm Database 2009-10-12
[15] 문서 Colonial Culhuacan
[16] 학위논문 Prehispanic Settlement Patterns of the Ixtapalapa Peninsula Region, Mexico 1970
[17] 인용구
[18] 논문 The State and Wetland Agriculture in Mesoamerica 1998-06
[19] 논문 The chronology and collapse of pre-Aztec raised field (chinampa) agriculture in the northern Basin of Mexico https://www.research[...] 2014-06
[20] 서적 The Aztecs Under Spanish Ru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4
[21] 논문 The Potentiality and the Consequences of Surplus: Agricultural Production and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in the Northern Basin of Mexico https://anthrosource[...]
[22] 논문 Settlement Pattern and Chinampa Agriculture at Tenochtitlan 1972
[23] 간행물 The Organization of Urban Food Supply Systems: The Case of Tenochtitlan Sociedad Interamericana de Planificación 1975
[24] 간행물 El sistema de mercado de Tenochtitlan Editorial Nueva Imagen 1978
[25] 간행물 The Role of Chinampa Agriculture in the Food Supply of Aztec Tenochtitlan Academic Press 1976
[26] 서적 The Aztecs: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BC-CLIO, Inc. 2005
[27] 간행물 Agricultural Implements in Mesoamerica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1984
[28] 문서 Colonial Culhuacan
[29] 서적 Monarquia Indiana Editorial Porrúa 1975
[30] 서적 El valle y la ciudad de México en 1550. Relación histórico fundada sobre un mapa geográfico, que se conserva en la biblioteca de la Universidad de Uppsala [Sweden] Stockholm 1948
[31] 논문 The Localization of the 16th-century Map Called the Maguey Plan
[32] 서적 The Testaments of Culhuacan UCLA Latin American Center, Nahuatl Studies Series, vol. 1 1984
[33] 문서 Colonial Culhuacan
[34] 논문 The seduction of models. Chinampa agriculture in Mexico. 1988
[35] 웹사이트 Virtual Field Trip http://www.chinampas[...] 1999
[36] 웹사이트 Chinampa https://www.britanni[...] 2006-12-08
[37] 웹사이트 Mexico's Chinampas – Wetlands Turned into Gardens – Fight Extinction http://www.ipsnews.n[...] 2016-02-27
[38] 웹사이트 Mexico's Famous Floating Gardens Return to Their Agricultural Roots https://www.smithson[...] 2017-01-31
[39] 서적 Ancient Meso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논문 Review: The Chinampas 1992-06
[41] 서적 食糧の帝国:食物が決定づけた文明の勃興と崩壊 太田出版
[42] 웹사이트 The Aztecs of Mexico: A Zero Waste Society https://ourworld.unu[...] Our World (国連大学マガジン) 2014-04-21
[43] 웹사이트 Water Reuse: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and the Future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2018-05-11
[44] 웹인용 Chinampa Agriculture in the World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Zone in Xochimilco, Tláhuac and Milpa Alta https://www.fao.org/[...] 2022-09-19
[45] 문서 The floating gardens in México Xochimilco, world heritage risk site
[46] 서적 Regions at risk: Comparisons of Threatened Environments
[47] 웹인용 Taxodium mucronatum http://www.conifers.[...] The Gymnosperm Database 2009-10-12
[48] 저널
[49] 문서 Mesoamerica UNESCO
[50] 문서 Colonial Culhuacan
[51] 서적 Aztec Inca & Maya. A Dorling Kindersley Book Singapore
[52] 저널
[53] 문서 Colonial Culhuacan
[54] 저널
[55] 저널
[56] 서적 Mysteries of the Mexican pyramids. Fitzhenry & Whiteside Limited Toronto
[57] 문서 "Prehispanic Settlement Patterns of the Ixtapalapa Peninsula Region, Mexico."
[58] 저널
[59] 문서 The Aztecs Under Spanish Rule Stanford University Press
[60] 저널 https://anthrosource[...]
[61] 저널
[62] 문서 "The Organization of Urban Food Supply Systems: The Case of Tenochtitlan" Sociedad Interamericana de Planificación
[63] 문서 "El sistema de mercado de Tenochtitlan" Editorial Nueva Imagen
[64] 문서 "The Role of Chinampa Agriculture in the Food Supply of Aztec Tenochtitlan" Academic Press
[65] 문서 The Aztecs: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BC-CLIO, Inc.
[66] 문서 Agricultural Implements in Mesoamerica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67] 문서 Monarquia Indiana Editorial Porrúa
[68] 문서 El valle y la ciudad de México en 1550. Relación histórico fundada sobre un mapa geográfico, que se conserva en la biblioteca de la Universidad de Uppsala Sweden
[69] 저널
[70] 문서 The Testaments of Culhuacan UCLA Latin American Center, Nahuatl Studies Series, vol. 1
[71] 문서 Colonial Culhuacan
[72] 웹인용 Virtual Field Trip http://www.chinampas[...] 2017-10-01
[73] 웹인용 Chinampa https://www.britanni[...] 2017-10-01
[74] 웹인용 Mexico's Chinampas – Wetlands Turned into Gardens – Fight Extinction http://www.ipsnews.n[...] 2017-10-01
[75] 웹인용 Mexico's Famous Floating Gardens Return to Their Agricultural Roots https://www.smithson[...] 2017-01-10
[76] 서적 Ancient Meso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77] 저널 Review: The Chinampas 1992년 6월
[78] 저널 The seduction of models. Chinampa agriculture in Mexico.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