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름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름속(Amaranthus)은 "시들지 않는 꽃"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약 70~75종이 분포하는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 관목의 초본 식물이다. 비름속 식물은 꽃이 오랫동안 시들지 않는 특징을 가지며, 자웅동주 또는 자웅이주이다. 비름속은 비름과에 속하며, 크게 3개의 아속으로 나뉜다. 비름속 식물은 식량, 약재, 염료,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재배되어 왔으며, 씨앗과 잎 모두 식용으로 사용된다. 특히 씨앗은 곡물로 이용되며, 잎은 채소로 섭취된다. 일부 종은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하며, 뛰어난 환경 적응력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곡류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아곡류 - 퀴노아
퀴노아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원산의 곡물로, 고단백질, 낮은 나트륨과 글루텐 함량으로 건강식품으로 인정받아 FAO에 의해 '세계 퀴노아의 해'로 지정될 만큼 영양적 가치가 높지만, 수요 증가에 따른 가격 및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비름아과 - 가시비름
가시비름은 줄기의 가시가 특징인 비름과의 한해살이 풀로, 잎은 난형이며 여름부터 가을 사이 꽃이 피고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잡초로 방제되기도 한다. - 비름아과 - 쇠무릎
쇠무릎은 비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줄기 마디가 부풀어 오른 것이 특징이며, 어린순은 나물로, 뿌리는 우슬이라는 약재로 사용되어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비름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
속 | 히유속 (비름속) |
학명 | Amaranthus L. |
명명자 | L.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미분류) | 속씨식물군 |
강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석죽목 |
과 | 비름과 |
아과 | 비름아과 |
하위 분류 | |
아속 | Acnida Albersia Amaranthus |
기타 정보 | |
영어 이름 | Pigweed, Amaranth |
일본어 이름 | 히유 (莧), 아와 (粟) |
그리스어 이름 | Αμάρανθος (Amaranthos) |
2. 이름과 어원
ἀμάραντος|amárantos|아마란토스grc()는 "시들지 않는"이라는 뜻으로, 비름속의 학명 "Amaranthus"는 여기서 유래되었다. "꽃"을 뜻하는 ἄνθος|ánthos|안토스grc()가 합쳐져 "아마란스, 시들지 않는 꽃"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졌다.[28] ''Amarant''는 고어 형태이다. 이 이름은 처음에는 관련 식물인 ''Celosia''(''비름속''과 ''Celosia''는 오래 지속되는 마른 꽃을 공유한다)에 적용되었는데, 당시 유럽에는 ''비름속'' 식물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29]
비름속 식물은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며, 초본 식물이나 관목 형태를 띤다.[12] 종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곧게 서거나 옆으로 퍼지는 줄기를 가지고 있다. 잎은 대략 6.5cm에서 15cm 크기로,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종에 따라 마주나거나 어긋나게 배열된다. 대부분의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지만, 일부는 물결 모양을 띠기도 한다.[12]
비름속(''Amaranthus'')은 비름과(Amaranthaceae)에 속하며, 크게 3개의 아속(''Acnida'', ''Amaranthus'', ''Albersia'')으로 나뉜다. 전 세계적으로 약 70~75종이 분포하며, 종 내 변이와 잡종 형성이 빈번하여 분류학적으로 어려운 속으로 간주된다.[12][17][19]
비름속 식물은 고대부터 식량, 약재, 염료, 관상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재배되어 왔다. 특히, 잉카 문명, 아즈텍 문명 등에서 중요한 곡물 작물로 재배되었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곡물, 채소 등으로 이용된다.
학명()은 "무(無)", "시들다" 및 "꽃"에서 유래된 것으로, 문자 그대로 "시들지 않는 꽃"을 의미한다.[70] 건조된 비름은 3~4개월 동안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겨울에 감상하기 위해 건조시키는 경우가 많다.[70]
3. 형태 및 생태
꽃은 작고 빽빽하게 모여 수상꽃차례 또는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정단에서 축방향까지 다양하며, 색상과 성별이 다양한 큰 원추꽃차례 형태이다. 꽃차례의 술은 직립 또는 굽어 있으며 종에 따라 너비와 길이가 다르다. 꽃은 방사상 대칭이며 양성 또는 단성이고, 매우 작고 뻣뻣한 화피와 뾰족한 포엽을 가지고 있다.[13] 3개 또는 5개의 화피와 수술 유무에 따라 종간 차이를 보이며, 7개의 화분 구멍 구조는 과 전체에서 일관성을 유지한다.[12] 자웅동주(예: ''A. hybridus'') 또는 자웅이주(예: ''A. palmeri'')이다.[13]
열매는 성숙 시에 열리는 '단실'이라고 하는 캡슐 형태이다.[13] 단실의 상단(뚜껑)은 씨앗을 담고 있는 단지를 방출한다.[13] 씨앗은 직경 1~1.5mm의 원형이며, 매끄럽고 광택이 나는 씨앗 껍질과 함께 색상이 다양하다.[13] 원추꽃차례는 재배 후 200일 후에 수확되며, 그램당 약 1,000~3,000개의 씨앗이 수확된다.[14]
비름속은 C4 탄소 고정 경로를 통해 탄소를 효율적으로 고정하여 광합성 효율을 높인다.[12] 이는 척박한 환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깊게 뻗는 2차 섬유상 뿌리 구조를 가진 주근을 가지고 있다.[13]
4. 분류
1996년 모샤킨과 로버트슨은 비름속을 세 개의 아속으로 나누었다. ''Albersia'' 아속 추가는 세 개의 타원형에서 선형 꽃받침을 가진 개열되지 않는 열매가 이 아속 구성원에게 독점적인 특징이라는 점에 기인한다.[18] 이러한 분류는 꽃 특징, 생식 전략, 지리적 분포 및 분자 증거의 조합으로 뒷받침된다.[19][20][21]
최대 파벌과 베이즈 추론을 사용한 ''비름속''의 핵 유전자와 엽록체 유전자에 대한 계통 발생 연구는 이 속 내에 다섯 개의 클레이드가 있음을 시사한다.[20]
한국에는 비름, 개비름, 털비름, 가시비름, 미국비름 등 다양한 종이 자생하며, 일부는 귀화식물로 유입되었다.
비름속의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24][25]학명 한국명 기타 Amaranthus acanthochiton greenstripe영어 Amaranthus acutilobus Amaranthus viridis의 동의어[24] Amaranthus albus 흰비름, 좀흰비름 white pigweed, prostrate pigweed, pigweed amaranth영어 Amaranthus arenicola 좀청맨드라미 sandhill amaranth, torrey amaranth영어 Amaranthus australis southern amaranth영어 Amaranthus bigelovii Bigelow's amaranth영어 Amaranthus blitoides 미국비름, 털흰비름 mat amaranth, prostrate amaranth, prostrate pigweed영어 Amaranthus blitum 개비름 purple amaranth영어 (=Amaranthus lividus) Amaranthus brownii Brown's amaranth영어 Amaranthus californicus California amaranth, California pigweed영어 Amaranthus cannabinus tidalmarsh amaranth영어 Amaranthus caudatus 끈끈이비름, 센닌곡, 붉은조 love-lies-bleeding, quilete영어 Amaranthus chihuahuensis Chihuahuan amaranth영어 Amaranthus crassipes 참비름 spreading amaranth영어 Amaranthus crispus crispleaf amaranth영어 Amaranthus cruentus 스기모리맨드라미, 후지맨드라미 red amaranth영어 Amaranthus deflexus 비름 largefruit amaranth영어 Amaranthus dubius spleen amaranth영어 Amaranthus fimbriatus fringed amaranth, fringed pigweed영어 Amaranthus floridanus Florida amaranth영어 Amaranthus greggii Gregg's amaranth영어 Amaranthus hybridus 청비름 smooth amaranth, smooth pigweed영어 (=Amaranthus chlorostachys = Amaranthus patulus 가늘청비름) Amaranthus hypochondriacus Prince-of-Wales-feather영어 Amaranthus lineatus Australian amaranth영어 Amaranthus muricatus African amaranth영어 Amaranthus obcordatus Trans-Pecos amaranth영어 Amaranthus palmeri 왕청비름, 털청비름 carelessweed, Palmer's amaranth영어 Amaranthus polygonoides tropical amaranth영어 Amaranthus powellii 청비름, 가시비름 Powell amaranth, Powell pigweed영어 Amaranthus pringlei Pringle's amaranth영어 Amaranthus pumilus seaside amaranth영어 Amaranthus retroflexus 비름 red-root amaranth, redroot pigweed영어 Amaranthus rudis tall amaranth, common waterhemp영어 Amaranthus scleropoides bonebract amaranth영어 Amaranthus spinosus 가시비름 spiny amaranth영어 Amaranthus thunbergii Thunberg's amaranth영어 Amaranthus torreyi Torrey's amaranth영어 Amaranthus tricolor 연잎비름, 비름, 비름나물, 관상어 Joseph-coat영어 (=Amaranthus gangeticus'') Amaranthus tuberculatus 비름아재비 rough-fruit amaranth, tall waterhemp영어 Amaranthus viridis 개비름, 청비름 slender amaranth영어 Amaranthus watsonii Watson's amaranth영어 Amaranthus wrightii Wright's amaranth영어
5. 재배 및 이용
아즈텍인들은 비름을 huāuhtlinci라고 불렀으며,[45] 스페인 정복 이전에는 에너지 소비량의 최대 80%를 차지했을 정도로 중요한 작물이었다. 중앙 아메리카에서는 의례용 음료와 음식에도 사용되었다. 오늘날까지도 비름 종자는 팝콘처럼 구워 꿀, 당밀, 초콜릿 등과 섞어 알레그리아(스페인어로 "기쁨"을 의미)라는 간식을 만든다.
모든 종이 아메리카 원산이지만, 몇몇 종은 전 세계의 따뜻한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비름의 세계적인 분포는 콜럼버스 이전 대양 접촉의 증거 중 하나로 여겨지기도 한다.[46][47] 구세계에서 비름에 대한 가장 초기 고고학적 증거는 기원전 1000~800년경 인도 나르한의 발굴에서 발견되었다.[48]
1970년대에 들어 ''A. cruentus''와 ''A. hypochondriacus''를 중심으로 비름 종자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멕시코에서는 야생 품종에서 회수되어[49] 현재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초콜릿이나 쌀 튀밥과 섞은 간식 형태로 유럽과 북아메리카 등지로 확산되었다.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여러 종의 비름이 "곡물"로 재배된다. 비름과 퀴노아는 맛과 조리법이 곡물과 유사하여 가짜 곡물로 여겨진다. 곡물 비름은 가루로 내거나 팝콘처럼 튀기거나 오트밀처럼 플레이크 형태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50]
아마란스 곡물 씨앗은 4,500년 전 아르헨티나 북부 푸나 데 아타카마 사막의 카타마르카 주 안토파가스타 데 라 시에라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13] 멕시코 테우아칸의 한 동굴에서는 ''A. hypochondriacus'' 및 ''A. cruentus'' 씨앗의 고고학적 증거가 발견되어 1400년대 아즈텍 문명의 일부였음을 시사한다.[51]
현재 사용되는 고대 아마란스 곡물은 ''Amaranthus caudatus'', ''A. cruentus'', ''A. hypochondriacus''의 세 가지 종이다.[52]
비름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농촌 지역의 원주민이 재배할 수 있는 저렴한 토착 작물로 제안되었다.
미국에서는 주로 종자 생산에 비름 작물이 사용된다.
비름은 기원전 6세기부터 재배되었으며,[71] 아즈텍인에게는 "huauhtli"라고 불리며 주식이자 의식에 사용되는 중요한 곡물이었다. 그러나 스페인인에게 침략당하여 재배가 금지되기 전에는 에너지 소비량의 80%를 차지했다고 여겨진다.
비름은 pH, 염분, 환경, 온도 변화, 가뭄에 강한 튼튼한 식물이며,[72] 유전적 다양성과 환경 적응 능력이 뛰어나다.[73]
5. 1. 식용
비름속 식물의 씨앗은 곡물로 이용되며, 영양학적으로 우수하여 "슈퍼 곡물"로 불리기도 한다.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특히 라이신)이 풍부하고, 식이섬유, 미네랄(칼슘, 철, 마그네슘, 인 등)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80] 또한, 글루텐이 없어 글루텐 관련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 좋은 대안 식품이 될 수 있다.[83][84][85]
비름속 식물의 잎은 채소로 이용되며, 비타민 A, 비타민 C, 칼슘, 망간, 엽산 등이 풍부하다.[86] 한국에서는 비름, 개비름 등을 나물로 무쳐 먹거나 국, 찌개 등에 넣어 먹는다.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서는 청개비름의 잎을 식용으로 사용한다.[74][75] 자메이카에서는 callaloo영어라고 불리고, 몰디브에서도 massaagu디베히어라고 불리며 요리에 사용된다.[76] 그 외에도, 인도에서도 채소로 먹으며, 산스크리트어로 Tanduliyasa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아유르베다 의학의 허브로 이용되고 있다.[77]
일부 종은 떫은맛과 항영양소(수산, 질산염 등)를 함유하고 있어, 데치거나 삶는 등 적절한 조리 과정을 거쳐 섭취해야 한다.[71]
다음은 조리하지 않은 비름속 곡물의 영양 성분표이다.
5. 2. 약용
비름속 식물은 전통 의학에서 다양한 질병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인도 아유르베다 의학에서는 잎을 약재로 사용하며, 해열, 소염, 이뇨 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 민간요법에서는 비름을 종기, 피부병, 설사, 이질 등에 사용하였다.5. 3. 염료
일부 비름속 식물의 꽃에서는 붉은색 염료(베탈레인)를 추출한다. 호피족은 '호피 레드 다이' 품종의 꽃을 짙은 붉은색 염료의 원료로 사용했다.[65] "아마란스"라는 합성 염료는 베탈레인이라는 천연 아마란스 색소와 색상이 유사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합성 염료는 북미에서는 Red No. 2, 유럽 연합에서는 E123으로도 알려져 있다.[65]5. 4. 관상용

비름속에는 몇몇 잘 알려진 관상용 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튼튼하고 내한성이 강한 1년생 식물인 끈끈이비름(''A. caudatus'')은 멋지게 늘어진 이삭에 짙은 자주색 꽃이 빽빽하게 모여 있다. 또 다른 인도의 1년생 식물인 ''A. hypochondriacus'' (프린스 페더)는 잎맥이 깊고 창 모양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밑면은 보라색이고, 짙은 붉은색 꽃이 곧게 뻗은 이삭에 밀집되어 있다.[1]
관엽 식물로도 재배된다. 꽃에서는 빨강 계열의 염료(베타레인)가 채취되며, 그 색은 Amaranth (color)|아마란스 색영어이라고 불린다. 다만 합성 착색료의 적색 2호도 아마란스라고 명명되었지만, 색이 비슷할 뿐 무관한 물질이다.[1]
6. 생태 및 환경 문제
비름속 잡초 종은 발아 기간이 길고, 생장이 빠르며, 종자 생산률이 높아[3] 1990년대 중반부터 농부들에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는 경운 감소, 제초제 사용 감소, 그리고 제초제를 더 자주 사용한 몇몇 종에서 제초제 저항성이 진화했기 때문이다.[30]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A. albus'', ''A. blitoides'', ''A. hybridus'', ''A. palmeri'', ''A. powellii'', ''A. retroflexus'', ''A. spinosus'', ''A. tuberculatus'', ''A. viridis''의 9종이 침입성 및 유해 잡초로 간주된다.[31][32]
특히 ''A. palmeri''의 새로운 제초제 저항성 균주는 글리포세이트 저항성을 가져 해당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제초제로는 죽일 수 없다. 이 식물은 혹독한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으며, 콩 수확량을 17-68% 감소시킬 수 있다.[3] 팔머 비름은 미국 남동부에서 "가장 골치 아픈 잡초 5종" 중 하나이며, 이미 디니트로아닐린 제초제와 아세토락테이트 합성효소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진화시켰다.[33] 따라서 농업 종사자들은 묘목 단계에서 ''비름속'' 종을 적절하게 식별하고, 이 종이 작물 재배지에 정착하여 수확량 감소를 일으키기 전에 잡초 방제를 해야 한다.
비름속 내 약 90종은 C4 탄소 고정 경로를 획득하여 광합성 효율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마이오세에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4][35]
비름속은 pH, 염분, 환경, 온도 변화, 가뭄에 강하며,[72] 유전적 다양성과 환경 적응 능력이 뛰어나다.[73]
7. 한국의 비름속
Amaranthus영어는 한국에서 여러 종이 발견되며, 자생하거나 귀화하여 분포한다. 주요 종은 다음과 같다:
종 이름 | 학명 | 특징 및 이용 |
---|---|---|
비름 | Amaranthus mangostanus | 한국 토종으로,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전초는 약용한다.[24] |
개비름 | Amaranthus lividus |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어린 순은 식용한다. |
털비름 | Amaranthus retroflexus | 북미 원산의 귀화식물로, 농경지 잡초로 문제시된다. |
가시비름 | Amaranthus spinosus |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줄기에 가시가 있다. |
미국비름 | Amaranthus patulus | 북미 원산의 귀화식물로, 털비름과 유사하나 더 크다. |
가는비름 | Amaranthus viridis | |
긴털비름 | Amaranthus hybridus |
비름속 식물들은 전통적으로 식용, 약용 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나,[17] 일부 종은 농경지에서 제초제 저항성 잡초로 문제시되기도 한다. 특히 털비름, 미국비름 등은 농작물 생육에 피해를 주어 농민들에게 어려움을 초래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농업 현장의 문제를 인식하고, 제초제 저항성 잡초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개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8. 하위 종
참조
[1]
서적
The Secret Lives of Color
Penguin Group
2017-10-24
[2]
백과사전
Amaranthaceae {{!}} plant family
https://www.britanni[...]
2015-06-02
[3]
논문
Interference of redroot pigweed (''Amaranthus retroflexus''), Palmer amaranth (''A. palmeri''), and common waterhemp (''A. rudis'') in soybean
[4]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https://archive.org/[...]
Dorling Kindersley
[5]
논문
The Dioecious ''Amaranthus'' spp.: Here to Stay
2007-04
[6]
뉴스
Amaranth tastes as good as it looks
https://www.theguard[...]
2020-02-09
[7]
백과사전
μαραίνω
https://bailly.app/m[...]
2023-12-29
[8]
문서
Dioscorides
[9]
웹사이트
Histoire Amarante
http://www.amaranto.[...]
[10]
백과사전
An Analytical Dictionary of Nahuatl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1]
논문
La re-découverte des Amériques
https://www.persee.f[...]
1992-07
[12]
논문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2007-10-01
[13]
논문
''Amaranthus hybridus'' L. ssp. ''hybridus'' in an archaeological site from the initial mid-Holocene in the Southern Argentinian Puna
2013-09
[14]
논문
Amaranth: The Once and Future Crop
1986-01
[15]
웹사이트
Legacy: The Official Newsletter of Amaranth Institute
http://www.ars-grin.[...]
Amaranth Institute
2011-09-19
[16]
논문
Traditional food-processing and preparation practices to enhance the bioavailability of micronutrients in plant-based diets
[17]
논문
Stem Morphology and Anatomy in ''Amaranthus'' L. (Amaranthaceae), Taxonomic Significance
[18]
논문
New Infrageneric Taxa and Combinations in Chenopodium L. (Chenopodiaceae)
https://www.biodiver[...]
1996
[19]
논문
Analysi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genome size evolution of the ''Amaranthus'' genus using GBS indicates the ancestors of an ancient crop
2017-04
[20]
논문
A Phylogeny of the Genus ''Amaranthus'' (Amaranthaceae) Based on Several Low-Copy Nuclear Loci and Chloroplast Regions
2018-06-21
[21]
논문
The Amaranth Genome: Genome, Transcriptome, and Physical Map Assembly
2016
[22]
논문
New infrageneric taxa and combinations in ''Amaranthus'' (Amaranthaceae)
[23]
논문
From zero to her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grain amaranth breeding
2018-07-10
[24]
웹사이트
Search results—The Plant List
http://www.theplantl[...]
[25]
논문
Amaranthus saradhiana (Amaranthaceae)—a new species from southern Western Ghats of Kerala, India
2019-05-13
[26]
웹사이트
Type of Amaranthus interruptus R.Br. [family AMARANTHACEAE] on JSTOR
https://plants.jstor[...]
2020-10-08
[27]
웹사이트
Amaranthus muricatus (Moquin-Tandon) Hieronymus [family AMARANTHACEAE] on JSTOR
https://plants.jstor[...]
2020-10-08
[28]
문서
LSJ
[29]
논문
The Name of the Amaranth: Histories of Meaning
2003
[30]
문서
Wetzel et al. (1999). Use of PCR-based molecular markers to identify weedy ''Amaranthus'' species. Weed Science 47: 518–523.
[31]
웹사이트
USDA Plant Database. Plants Profile- ''Amaranthus'' L
http://plants.usda.g[...]
[32]
문서
Assad, R., Reshi, Z. A., Jan, S., & Rashid, I. (2017). "Biology of amaranths". The Botanical Review, 83(4), 382–436.
[33]
문서
Culpepper et al. (2006). Glyphosate-resistant Palmer amaranth (''Amaranthus palmeri'') confirmed in Georgia. Weed Science 54: 620–626.
[34]
논문
A portrait of the C4 photosynthetic family on the 50th anniversary of its discovery: species number, evolutionary lineages, and Hall of Fame
[35]
논문
The taxonomic distribution of C4 photosynthesis in Amaranthaceae sensu stricto
[36]
웹사이트
Diet for a hotter climate: five plants that could help feed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22-08-20
[37]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Edible Wild Plants
https://www.worldcat[...]
Skyhorse Publishing
[38]
논문
Oxalates in some Indian green leafy vegetables
https://pubmed.ncbi.[...]
2008
[39]
웹사이트
Amaranth grain, cooked, per 100 g
https://nutritiondat[...]
Nutritiondata.com, Conde Nast; from th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SR-21
2018
[40]
웹사이트
Amaranth leaves, cooked, boiled, drained, without salt, per 100 g
http://nutritiondata[...]
Nutritiondata.com, Conde Nast; from th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SR-21
2018
[41]
논문
Cereal-based gluten-free food: how to reconcile nutrition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of wheat proteins with safety for celiac disease patients
2014-01-29
[42]
논문
Gluten-free diet in children: an approach to a nutritionally adequate and balanced diet
2013-11-18
[43]
논문
Recent advances in the formulation of gluten-free cereal-based products
https://www.research[...]
[44]
문서
Amaranth
Oxford University Press
[45]
서적
America's First Cuisin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Texas Press
[46]
웹사이트
Singh Anurudh K (2017) Early History of Crop Introductions into India: II. ''Amaranthus'' (L.) spp. Asian Agri-History 21(4): 319-324
https://www.research[...]
[47]
논문
Scientific Evidence for Pre-Columbian Transoceanic Voyages
http://www.sino-plat[...]
2004-04
[48]
서적
Plant Economy at Ancient Narhan (ca. 1300 B.C.-300/400 A.D.) in Excavations at Narhan (1984-1989), Appendix IV
Department of Ancient Indian History, Culture and Archaeology, Banaras Hindu University
1994
[49]
웹사이트
Amaranth - May Grain of the Month
https://wholegrainsc[...]
[50]
웹사이트
Amaranth
http://corn.agronomy[...]
1989-11
[51]
간행물
Genetic Resources and Breeding of ''Amaranthus''
John Wiley & Sons, Inc.
2010-07-23
[52]
논문
Delimitation of ''Amaranthus cruentus'' L. and ''Amaranthus caudatus'' L. using micromorphology and AFLP analysis: an application in germplasm identification
2006-10-06
[53]
논문
Crossing Methods and Cultivation Conditions for Rapid Production of Segregating Populations in Three Grain Amaranth Species
2016-06-07
[54]
문서
Chapter 8: Ethnobotany
[55]
웹사이트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cooked amaranth grain per 100 grams; Full report
https://fdc.nal.usda[...]
2014
[56]
Youtube
How to puff amaranth
https://www.youtube.[...]
Green Healthy Cooking
2017-11-28
[57]
웹사이트
Amaranth: Alternative Agriculture
https://www.extensio[...]
Iowa State University
2013
[58]
문서
Notes on Economic Plants
[59]
encyclopedia
spinach
http://prpm.dbp.gov.[...]
Dewan Bahasa dan Pustaka
[60]
서적
Lost Crops of Africa: Volume II: Vegetables
http://books.nap.edu[...]
National Academies Press
2006-10-27
[61]
서적
Edible plants of Ugand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62]
논문
Culture: The missing nexus in ecological economics perspective
[63]
논문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Squalene from ''Amaranthus'' Grain
[64]
웹사이트
Squalene Market Size to Exceed USD 240 Million by 2022
http://www.prnewswir[...]
Global Market Insights Inc.
2016-04-27
[65]
웹사이트
The following color additives are not authorized for use in food products in the United States: (1) Amaranth (C.I. 16185, EEC No. E123, formerly certifiable as FD&C red No. 2);
http://www.cfsan.fda[...]
2007-09-29
[66]
논문
Anti-Spenserian Amaranth In Milton's Lycidas
https://academic.oup[...]
2022-02-25
[67]
논문
Milton's Amarant
https://www.jstor.or[...]
1957
[68]
서적
Paradise Lost
Penguin Books
2000
[69]
웹사이트
第3章 資料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70]
웹사이트
Modeling Thin Layer Drying of Amaranth Seeds under Open Sun and Natural Convection Solar Tent Dryer
https://www.academia[...]
[71]
웹사이트
Amaranth: Grain & Vegetable Types
https://c.ymcdn.com/[...]
ECHO Technical Note
2018-03-18
[72]
학술지
Structur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amaranth starch
https://doi.org/10.1[...]
2017-01-22
[73]
학술지
Amaranth: A new millennium crop of nutraceutical values
[74]
서적
写真で見る外来雑草
http://nilgs.naro.af[...]
畜産技術協会
[74]
서적
形とくらしの雑草図鑑 : 見分ける、身近な280種
전국농촌교육협회
[74]
서적
校庭の雑草
전국농촌교육협회
[74]
서적
花と葉で見わける野草
小学館
[75]
간행물
Plant Resources of Tropical Africa 2. Vegetables
PROTA Foundation, Wageningen; Backhuys, Leiden; CTA, Wageningen
[76]
서적
The Maldive Islanders, A Study of the Popular Culture of an Ancient Ocean Kingdom
Barcelona
[77]
서적
Controversial drug plants
https://books.google[...]
[78]
서적
Wild Herbs of Australia & New Zealand
Angus & Robertson Publishers
[79]
웹사이트
All About Amaranth
https://www.usaemerg[...]
2018-03-18
[80]
웹사이트
Amaranth - Alternative Field Crops Manual
http://www.hort.purd[...]
University of Wisconsin & University of Minneasota
2011-09-01
[81]
학술지
Limiting amino acids in raw and processed amaranth grain protein from biological tests
Kluwer Academic Publishers
[82]
학술지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bove-ground Biomass of Amaranthus cruentus and A. hypochondriacus
http://actavet.vfu.c[...]
[83]
Review
Cereal-based gluten-free food: how to reconcile nutritional and technological properties of wheat proteins with safety for celiac disease patients
2014-01-29
[84]
Review
Gluten-free diet in children: an approach to a nutritionally adequate and balanced diet
2013-11-18
[85]
Review
Recent advances in the formulation of gluten-free cereal-based products
https://www.research[...]
[86]
웹사이트
Amaranth leaves, cooked, boiled, drained, without salt, per 100 g
http://nutritiondata[...]
Conde Nast for th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release SR-21
2016-02-04
[87]
웹사이트
Amaranthus dubius
https://www.scienced[...]
2023-01-30
[88]
웹사이트
Traditional Food-Processing and Preparation Practices to Enhance the Bioavailability of Micronutrients in Plant-Based Diets
https://www.scienced[...]
2023-02-28
[89]
웹사이트
Squalene Market Size to Exceed USD 240 Million by 2022: Global Market Insights Inc.
https://www.prnewswi[...]
2023-06-20
[90]
웹사이트
NBCI Taxonomy Browser
http://www.ncbi.nlm.[...]
[90]
웹사이트
ITIS
http://www.itis.gov/[...]
[91]
학술지
New infrageneric taxa and combinations in Amaranthus (Amaranthaceae)
[92]
학술지
Electrophoretic characterization of Amaranthus L. seed proteins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
[93]
문서
Species Plantarum 2: 989
[94]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https://archive.org/[...]
Dorling Kindersley
[95]
웹사이트
Liddell &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s.v. ἀμάραντος
http://www.perseu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