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렌 호나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렌 호나이는 독일 출신의 정신분석학자로서, 프로이트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계승하여 신프로이트학파를 형성했다. 여성 심리학의 창시자이기도 하며, 신경증에 대한 독자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호나이는 아동기 경험과 사회문화적 요인이 성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했으며, 여성의 심리적 특성과 사회적 지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페미니즘에도 영향을 미쳤다. 주요 저서로는 『우리 시대의 신경증적 성격』, 『신경증과 인간 성장』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계 독일인 - 베네딕트 회베데스
베네딕트 회베데스는 FC 샬케 04의 주장을 역임하고 DFB-포칼 우승 등을 이끌었으며, 2014 FIFA 월드컵 우승을 경험한 독일의 다재다능한 전 축구 선수이다. - 노르웨이계 독일인 - 마티아스 브란트
마티아스 브란트는 독일의 배우이며, 전 독일 총리 빌리 브란트의 아들로, 1989년 데뷔 이후 영화와 TV 시리즈에 출연하며 활동하고, 2024년 카를 추크마이어 메달을 수상했다. - 자아심리학 - 자기혐오
자기혐오는 자신을 혐오하는 감정으로, 낮은 자존감과 자기 결함 인지로 인해 우울증, 불안 등을 유발하고 자해 및 자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사회적 혐오가 내면화되어 특정 집단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 자아심리학 - 또 다른 자아
또 다른 자아는 철학, 심리학, 대중문화에서 탐구되는 개념으로, 한 사람이 가지는 또 다른 인격 또는 정체성을 의미하며, 고대 로마 시대부터 현대 대중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여성과 심리학 -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도한 감정 표현, 타인의 관심에 대한 갈망, 피상적인 행동을 특징으로 하며, 심리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정신 질환이다. - 여성과 심리학 - 팜 파탈
팜 파탈은 서구 문화에서 유행한 서사적 기법으로, 신화와 역사 속 인물에서 원형을 찾아볼 수 있는 파멸을 초래하는 매혹적인 여성을 의미하며, 영화, 드라마, 만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매력적인 악녀 캐릭터로 나타난다.
카렌 호나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카렌 다니엘센 |
출생 | 1885년 9월 16일 |
출생지 | 독일 블랑케네제 |
사망 | 1952년 12월 4일 |
사망지 | 미국 뉴욕 |
국적 | 독일, 미국 |
배우자 | 오스카 호나이 |
자녀 | 3명 (브리기테 호나이 포함) |
학문 분야 | |
연구 분야 | 정신분석학, 심리학 |
주요 관심사 | 의학(정신 의학)・심리학 |
영향 | 알프레드 아들러 |
영향 받은 인물 | 지그문트 프로이트 |
주목할 만한 업적 | 신경증적 욕구 이론, 여성 심리학 |
경력 | |
직업 | 정신 분석가 |
근무 기관 | 베를린 정신분석 연구소, 뉴욕 의과대학 |
학력 | |
수상 | |
기타 정보 |
2. 생애
카렌 호나이는 1885년 9월 16일 독일 함부르크 교외 블랑케네제에서 플란데런계(네덜란드계) 가정에서 태어났다.[32][33] 아버지는 선장이었고, 엄격하고 권위적인 인물이었던 반면,[35] 어머니는 개방적이었지만 우울하고 예민했다.[33]
2. 1. 초창기
1885년 9월 16일 독일 함부르크 근교 블랑케네스에서 노르웨이 출신 선장 베른트 바켈스 다니엘센(Berndt Wackels Danielsen, 1836–1910)과 네덜란드 출신 클로틸데 반 론젤렌(Clotilde van Ronzelen, 1853–1911)의 딸로 태어났다.[32][33] 아버지는 엄격하고 권위적인 인물이었고,[35] 어머니는 개방적이었지만 우울하고 예민했다.[33]호나이는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애정 결핍과 차별을 경험하며 심리적 갈등을 겪었다. 9살 무렵, 자신이 예쁘지 않다고 생각하여 지적 능력에 힘을 쏟기로 결심했지만,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이 그녀를 아름답다고 생각했다. 이 시기에 오빠에게 반했으나 거절당하면서 처음으로 우울감을 느꼈고, 이는 평생 그녀를 따라다니는 문제가 되었다.[35]
1904년, 호나이가 19세였을 때 어머니는 아이들을 데리고 남편 곁을 떠났다.[35]
2. 2. 대학 시기와 결혼
1906년, 호나이는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프라이부르크 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하였다.[36] 프라이부르크 대학교는 독일에서 여성에게 의학을 포함한 고등 교육 기회를 제공한 선구적인 대학 중 하나였다.[14] 1908년, 호나이는 괴팅겐 대학교로 옮겼다가 다시 베를린 대학교로 옮겨 1913년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당시에는 기본적인 의학 교육을 받기 위해 여러 대학을 다니는 것이 흔한 일이었다.호나이는 동료 학생이자 훗날 정신분석학자가 되는 카를 뮐러-브라운슈바이크를 통해 경영학을 전공하던 오스카 호나이를 만났고, 1909년에 결혼하였다.[37][38] 결혼 후, 부부는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남편 오스카는 회사에서 일하고, 호나이는 샤리테 의과대학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같은 해, 호나이는 첫 아이를 출산하고 부모를 모두 여의었다. 이후 호나이는 정신분석학에 입문하여 1910년 카를 아브라함에게서 처음 정신분석을 받았고, 이후 한스 작스에게서 정신분석을 받았다.[15]
호나이와 오스카 사이에는 세 딸이 있었다. 1911년에 태어난 첫째 딸 브리기테 호나이는 훗날 유명한 배우가 되었다.[39]
2. 3. 독일에서의 삶
1920년, 호나이는 베를린 정신분석 연구소의 창립 멤버로 참여하여 강의를 진행하였다.[40] 호나이는 사회 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지휘하였으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정신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호나이는 자신의 정신분석학 강의 학기 동안에도 환자를 보았으며 병원에서도 계속 일하였다.[41]1923년, 남편 오스카가 다니던 회사가 파산하면서 오스카는 곧바로 뇌수막염에 걸렸다. 오스카는 적대감을 품거나 침울했으며 사람들에게 시비를 거는 성격으로 돌변하였다. 같은 해, 호나이의 오빠가 감염성 폐질환으로 사망하였다. 두 사건은 호나이의 정신 건강을 악화시켰고, 두 번째 우울을 맞이하게 되었다. 호나이는 휴가에서 먼 바다로 헤엄쳐 가서 자살을 생각하였다.
1926년, 호나이와 남편은 별거하였고, 1937년에 이혼하였다. 호나이와 세 딸은 오스카의 집에서 나왔다. 오스카는 호나이의 아버지처럼 권위적인 성격을 보였다. 정신분석학 이론을 공부한 이후 호나이는 딸들이 어렸을 때 남편이 딸들을 지배하게 한 것을 후회하였다.
2. 4. 미국에서의 삶
1932년, 카렌 호나이는 프란츠 알렉산더의 초청으로 시카고 정신분석 연구소에서 일하기 위해 미국으로 이주했다.[1] 2년 후, 뉴욕 브루클린으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정신분석학자 해리 스택 설리번과 에리히 프롬과 교류하였다. 특히 프롬과는 연인 관계로 발전하기도 했으나,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맞았다.[43]브루클린에서 호나이는 뉴욕 정신분석 연구소와 뉴 스쿨 등에서 강의하며 정신분석학자들을 양성했다.[43] 이 시기 정신 요법 경험을 바탕으로 신경증과 성격 심리학에 관한 이론을 발전시켰다. 1937년, 자신의 첫 저서인 『우리 시대의 신경증적 성격』(한국어판: 카렌 호나이 지음, 정명진 옮김, 『우리 시대는 신경증일까?』, 부글북스, 2015.)을 출간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43]
1941년, 기존 정신분석학계의 엄격함에 불만을 느껴 미국 정신분석 연구원을 설립하고 초대 학장을 역임했다. 프로이트 학파와의 결별 이후, 뉴욕 의과대학에서 강의하며 『미국 정신분석학 잡지』를 창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1952년 사망할 때까지 정신과 의사로서 진료 활동을 계속했다.[43]
3. 이론
카렌 호나이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 중 남성 중심적인 부분, 특히 여아의 남근 선망 등에 대해 비판했다. 그녀는 자신의 저서 《신경증과 인간 성장》에서 신경증적 욕구와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는 페미니즘에도 영향을 미쳤다.
호나이는 10가지 신경증적 욕구를 세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범주 | 세부 욕구 | 설명 |
---|---|---|
순응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경향) | | | |
확장/공격성 (사람들에게 대항하는 경향) | | | |
분리/철수 (사람들로부터 멀어지는 경향) | | |
호나이의 저작은 일본에서도 주목받아, 아즈마 요, 야스다 이치로가 편집하고 세이신 서방에서 출판한 《호나이 전집》 전 7권이 있다.
3. 1. 신경증 이론
카렌 호나이는 당시 다른 정신분석학자들과는 다른 시각으로 신경증을 바라보았다.[44] 호나이는 신경증을 한 개인에게 있어 산발적으로, 흔하게 발생하는 끊임없는 과정으로 이해하였다. 이는 신경증을 사별, 이혼, 유년기 및 청소년기 부정적 경험 등의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발생하는 정신 기능 부전으로 생각한 당시 동료 학자들과는 다른 것이었다.호나이는 어린 시절을 제외하고는 이러한 외부 자극들의 중요성이 낮다고 보았다. 대신 아이에 대한 부모의 무관심에 중점을 두었는데, 부모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아이가 사건을 인지하는 방식이 한 개인의 신경증을 이해하는 핵심이라고 생각하였다. 예를 들어,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조롱하면 아이는 따뜻함과 애정을 잃은 듯한 느낌을 받는다. 부모는 가볍게 약속을 어길 수도 있지만, 이는 아이의 정신 상태에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3. 1. 1. 10가지 신경증적 욕구
호나이는 환자들로부터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10가지 신경증적 욕구 유형을 정리하였다.[45] 이러한 욕구는 모든 인간이 삶에서 성취하려는 것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지만, 신경증 환자에게서는 더욱 강렬하고 융통성 없이 나타난다. 호나이는 10가지 욕구를 세 가지 범주로 압축하였다.[46]범주 | 세부 욕구 | 설명 |
---|---|---|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경향 (순응) | | | |
사람들을 적대하는 경향 (공격성) | | | |
사람들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 (철수) | | |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이러한 신경증적 욕구는 경쟁적인 사회 분위기, 체면을 중시하는 문화, 불안정한 사회 시스템 등과 맞물려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도한 학벌주의, 외모지상주의, 성공 지향적인 가치관 등은 개인에게 끊임없이 타인과의 비교를 강요하고, 인정 욕구와 완벽주의를 부추길 수 있다.
3. 1. 2. 욕구의 세 범주
호나이는 10가지 신경증적 욕구를 세 가지 범주로 분류했다.[46]'''1. 순응(Compliance)'''
1~3번 욕구(애정과 인정, 파트너, 힘)는 '사람들에게 다가가는 경향'으로도 불린다.[47] 이 범주는 참여, 복종, 자기 말소(self-effacement) 과정에서 보인다.[47] 무력감과 버려질 것에 대한 두려움이 발생하는데, 호나이는 이를 '기본적 불안(basic anxiety)'이라고 불렀다.[47] 순응 성향은 동년배들로부터 애정과 인정을 받길 원하며, 삶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줄 파트너를 찾는다.[47] 이들은 눈에 띄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인다.[47]
- 참고: 한국 사회에서 순응형은 유교적 전통, 집단주의 문화와 관련될 수 있다.*
'''2. 확장/공격성(Expansion/Aggression)'''
4~8번 욕구(타인을 이용함, 사회인정, 인격적 존경, 개인적 성취, 자족)는 '사람들을 향해서 진격하는 경향' 혹은 '확장적인 해결책'으로도 불린다.[48] 이들은 주변 사람들에게 분노나 기본적 적대(basic hostility)를 보이며, 힘, 타인 통제 및 이용, 전능하다는 허세를 유지하려는 욕구를 보인다.[48] 타인을 조종하고, 부하나 동료들에게 알려지거나 경외받기 위해 사회적 인정을 바라며, 개인적 존경과 자기 성취에 대한 욕구를 갖는다.[48] 이들은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해 타인을 해치는 것에 거리낌이 없다.[48]
- 참고: 한국 사회에서 공격형은 경쟁 사회, 성공 지향적인 가치관과 연결될 수 있다.*
'''3. 무관심/철수(Detachment/Withdrawal)'''
9~10번 욕구는 '사람들로부터 멀어지려는 경향', '해결 단념', '무심한 성격'으로 불린다.[49] 이들은 자족적이 되려 하며, 고독이나 독립과 관련되어 비공격적 방식으로 타인을 버린다.[49] 완벽에 대한 절박한 욕구 때문에 결점이 발생하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며, 타인에 대한 모든 감정, 특히 사랑과 증오를 억누르거나 외면한다.[49]
- 참고: 한국 사회에서 고립형은 개인주의 심화, 사회적 관계 단절, '혼밥', '혼술' 문화 등과 연관될 수 있다.*
3. 2. 자기 이론
호나이는 인간이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존재라고 보았다.[59] '자아(self)'는 개인의 존재와 잠재력의 핵심이다.[60] 호나이는 자아를 정확히 이해하면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원하는 것을 성취할 수 있다고 믿었다. 자아실현은 건강한 사람이 평생 추구하는 목표이며, 신경증 환자가 핵심 욕구에 집착하는 것과는 다르다.호나이는 '현실 자아(real self)'와 '이상적 자아(ideal self)'를 구분했다. 현실 자아는 현재 자신의 모습이고, 이상적 자아는 '되어야 한다'고 느끼는 모습이다. 현실 자아는 성장, 행복, 의지, 재능 실현의 잠재력을 가지지만 결함도 있다. 이상적 자아는 현실 자아가 잠재력을 발휘하고 자아실현을 이루도록 돕는 모델 역할을 한다.
신경증 환자의 자아는 이상화된 자아와 현실 자아로 분열된다.[61] 이들은 이상적 자아에 부응하지 못한다고 느끼며, 현실 자아를 '경멸스러운 자아(despised self)'로 여기고 자기혐오에 빠진다. 호나이는 이를 '당위의 폭정'이라 불렀고,[62] 신경증 환자의 절망을 '영광을 좇는 탐색(search for glory)'이라고 칭했다.[63][64] 이러한 상태는 치료나 인생의 교훈을 통해 극복되지 않으면 개인의 잠재력 실현을 영원히 막는다고 보았다.
3. 3. 여성 심리학
호나이는 여성 정신의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다.[53][54] 1922년부터 1937년 사이에 쓴 14편의 글을 모아 『여성 심리학(Feminine Psychology)』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호나이는 여성 행동의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그동안 무시되어 온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했다. 특히 "여성 피학성(masochism)의 문제"라는 에세이에서, 전 세계 문화와 사회에서 여성이 남성에게 의존하도록 장려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여성을 매력과 아름다움의 대상으로만 여기는 것은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인 자기 실현과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호나이는 "The Distrust Between the Sexes"라는 에세이에서 여성이 전통적으로 자녀와 가정을 통해서만 자신의 가치를 얻는다는 생각에 대해 깊이 있게 다루었다. 이 에세이에서 부부 관계를 부모-자식 관계에 비유하며, 이러한 관계가 오해를 낳고 신경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았다. "The Problem of the Monogamous Ideal"을 포함한 6편의 에세이는 결혼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고, "Maternal Conflicts"는 청소년 자녀를 둔 여성이 겪는 문제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려 했다.
호나이는 남성과 여성 모두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인간이 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여성은 임신과 출산을 통해 이러한 욕구를 자연스럽게 충족시킬 수 있지만, 남성은 외부적인 방식으로만 충족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호나이는 남성이 일이나 다른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는 것은 출산 능력의 부재에 대한 보상 심리로 해석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1946년, 호나이는 『정신 분석을 고려하고 있습니까?』라는 자기계발서를 출간하여, 남녀 모두 비교적 가벼운 신경증적 문제를 가진 경우 스스로 정신과 의사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자기 인식이 더 나은 인간이 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4. 신프로이트학파
카렌 호나이는 알프레드 아들러와 함께 신프로이트학파(the Neo-Freudian discipline)를 형성하였다.the Neo-Freudian discipline영어[42] 호나이는 프로이트와 여러 문제 의식을 공유하고 동의했지만, 몇 가지 핵심적인 믿음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프로이트 비판자들과 마찬가지로, 호나이도 성과 공격성이 개인의 성격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라는 프로이트의 이론에 반대하였다. 아들러와 함께 호나이는 억압된 성욕이 아니라 유년기 사회적 관계 요인이 성격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이들은 잠재의식의 억압뿐만 아니라 의식적인 마음이 인간 성격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더 주목하였다.[51] 특히 프로이트의 '남근선망' 개념은 많은 비판을 받았다.[52] 호나이는 프로이트가 남성의 힘에 대한 여성의 질투를 우연히 발견한 것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신경증적 여성에게서 종종 남근선망이 나타나지만, 남성에게도 '자궁선망'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즉, 남성은 아이를 임신하고 낳을 수 없기에 사회적 성공에 강한 의욕을 보인다는 것이다. 또한 여성은 '존재'만으로도 사회적 지위를 수행하는 반면, 남성은 부양 능력에 따라 남성성을 달성한다는 점에서 남성이 여성을 질투한다고 보았다.
호나이는 정신과 의사들이 남성 생식기를 과도하게 강조하는 경향에 의문을 제기했다. 성적 요소에 기반한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를 수정하여, 아이가 부모 중 한 쪽에 집착하고 다른 쪽을 질투하는 것은 부모-자녀 관계 문제로 발생한 불안의 결과일 뿐이라고 보았다.
프로이트 학파의 시각을 변형하면서도, 호나이는 프로이트 사상을 재구성하여 문화적, 사회적 차이를 강조하는 전체론적, 인본주의적 개인 심리관을 제시했다.
모삭(1989)은 알프레드 아들러와 호나이가 서로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없지만, 유사한 이론적 이해에 도달했다고 주장한다.[7]
5. 저서
호나이는 자신의 이론을 담은 다양한 저서를 출간했다. 특히, 『우리 시대의 신경증적 성격』, 『신경증과 인간 성장』 등은 현대인의 심리적 갈등과 자기실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많은 독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호나이의 저서는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간되었으며, 정신분석학, 여성학, 심리학 분야의 필독서로 꼽힌다.
일본에서도 그녀의 저작은 주목받아, 『호나이 전집』 전 7권 (아즈마 요일본어, 야스다 이치로일본어 편, 세이신 서방일본어)이 있다.
6. 영향 및 평가
카렌 호나이는 정신분석학, 페미니즘 심리학, 자기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호나이의 이론은 인간의 심리적 갈등을 이해하고, 건강한 자기실현을 돕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호나이의 이론은 한국 사회의 가부장적 문화, 경쟁적인 사회 분위기, 불안정한 사회 시스템 등과 맞물려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호나이의 관점은 개인의 심리적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건강성을 증진하는 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55] 다만, 호나이의 이론이 지나치게 개인의 심리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사회 구조적인 문제를 간과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56]
호나이는 인간은 자아실현(self-actualization)을 위하여 분투해야 한다는 에이브러햄 매슬로의 관점을 인용하기도 했다. '자아(self)'를 통하여 한 개인의 존재와 잠재력에 대한 핵심을 이해하였다.[60] 호나이는 우리 자아에 관하여 정확히 이해한다면, 우리는 합리적인 경계 안에서 자신의 잠재력과 우리가 바라는 성취를 마음껏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호나이는 자기실현은 핵심 욕구(key needs)에 집착하는 신경증 환자가 아니라, 건강한 사람이 평생토록 가지고 갈 목표라고 하였다.
호나이에 따르면, 우리는 '현실 자아(real self)'와 '이상적 자아(ideal self)'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현실 자아는 우리가 실제로 존재하는 그 자체이다. 이상적 자아는 우리가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느끼는 것이다. 현실 자아는 성장, 행복, 의지, 재능 실현 등에 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결함도 존재한다. 이상적 자아는 현실 자아가 잠재력을 발달시키고 자기실현을 달성하는데 있어 도움을 주는 모델로서 사용된다. 하지만 현실 자아와 이상적 자아 간의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신경증 성향 개인의 자아는 이상화된 자아(idealized self)[61]와 현실 자아로 나뉘어 있다. 신경증 성향 개인들은 자신이 이상적 자아에 부응하며 살지 않는다고 느낀다. 이들은 자신이 그렇게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상화된 자아에 비교했을 때, 실제로 자신은 어딘가 결함이 있다고 생각한다. 신경증 환자들이 설정한 목표는 비현실적이다. 현실 자아는 '경멸스러운 자아(despised self)'로 퇴보한다. 신경증 성향 개인은 이것이 바로 진정한 자아(true self)라고 설정한다. 때문에 신경증 환자는 시계추처럼 잘못된 완벽함과 자기혐오(self-hate) 사이를 오고 간다. 호나이는 이러한 현상을 '당위의 폭정(tyranny of the shoulds)'으로,[62] 그리고 신경증 환자의 절망은 '영광을 좇는 탐색(search for glory)'이라고 지칭하였다.[63][64] 호나이는 치료를 통해서 혹은 심각성이 덜한 경우에는 살면서 배우게 되는 교훈들(life lessons)을 통해서 신경증 사이클이 어떻게든 파괴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뿌리 깊은 정신적 특성은 개인의 잠재력이 실현되는 것을 영원히 차단할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정신 분석의 남성 중심적인 부분(여아의 남근 갈망 등)을 비판했고, 페미니즘에도 영향을 미쳤다.
일본에서도 그녀의 저작은 주목받아, 『호나이 전집』 전 7권 (아즈마 요, 야스다 이치로 편, 세이신 서방)이 있다.
참조
[1]
서적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for Self-Understanding
Yale University Press
1994
[2]
웹사이트
Say How? A Pronunciation Guide to Names of Public Figures
https://www.loc.gov/[...]
loc.gov
2010-04-07
[3]
웹사이트
Merriam-Webster onlin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10-04-07
[4]
서적
Psychology
https://archive.org/[...]
Worth Publishers
[5]
서적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for Self-Understanding
Yale University Press
1994
[6]
서적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Cengage Limited
2020
[7]
서적
Adlerian Psychotherapy: An Advanced Approach to Individual Psychology
Routledge
2003
[8]
웹사이트
Karen Horney
http://webspace.ship[...]
2016-02-17
[9]
문서
The feminist legacy of Karen Horney
Marcia Westcott
1986
[10]
문서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Paris
[11]
문서
Mind of her own
Quinn
[12]
문서
Karen Horney: gentle rebel
Rubins
[13]
간행물
Karen Horney: a portrait
2006
[14]
웹사이트
Psychology History
http://www.muskingum[...]
2010-10-14
[15]
웹사이트
Karen Horney
https://feministvoic[...]
Feministvoices.com
[16]
문서
Self-Analysis
Horney
[17]
문서
Our inner conflicts
Horney
[18]
문서
Personality and Personal Growth
Paris, Bernard J
1998
[19]
문서
Psychology 10th edition
Myers
[20]
문서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Chapter 10. The masculinity complex
Paris
[21]
문서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Part 2. The Freudian phase and feminine psychology
Paris
[22]
문서
The feminist legacy of Karen Horney
Marcia Westcott
1986
[23]
간행물
Karen Horney and Feminism
Dee Garrison
1981-Summer
[24]
문서
Paris
[25]
문서
Paris
[26]
문서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Part 5. Horney's mature theory
Paris
[27]
문서
Neurosis and human growth. Chapter 6. Alienation from self
Horney
[28]
문서
Neurosis and human growth. Chaps. 1–5
Horney
[29]
웹사이트
Codependency Is About Your Relationship With Yourself
https://psychcentral[...]
2020-08-23
[30]
논문
A report on the Karen Horney Clinic
[31]
서적
Psychology
Worth Publishers
[32]
문서
Karen Horney
Boeree, Dr. C. George
2016-02-17
[33]
문서
The feminist legacy of Karen Horney
Marcia Westcott
1986
[34]
문서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Paris
[35]
문서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Paris
[36]
웹사이트
Psychology History
http://web.archive.o[...]
2010-10-14
[37]
웹사이트
Karen Horney
2016-02-17
[38]
웹사이트
Psychology History
http://web.archive.o[...]
2010-10-14
[39]
웹사이트
Karen Horney
[40]
웹사이트
Psychology History
http://web.archive.o[...]
2010-10-14
[41]
웹사이트
Karen Horney
[42]
웹사이트
Karen Horney
[43]
웹사이트
Karen Horney
[44]
서적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45]
서적
Self-Analysis
[46]
서적
Our inner conflicts
[47]
서적
내가 나를 치유한다
연암서가
[48]
서적
내가 나를 치유한다
[49]
서적
내가 나를 치유한다
[50]
서적
Personality and Personal Growth
[51]
서적
Psychology 10th edition
[52]
서적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Chapter 10. The masculinity complex
[53]
서적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Part 2. The Freudian phase and feminine psychology.
[54]
서적
The feminist legacy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Karen Horney: a psychoanalyst's search. Part 5. Horney's mature theory.
[58]
서적
내가 나를 치유한다
[59]
서적
내가 나를 치유한다
[60]
서적
Neurosis and human growth. Chapter 6. Alienation from self.
[61]
서적
내가 나를 치유한다
[62]
서적
내가 나를 치유한다
[63]
서적
내가 나를 치유한다
[64]
서적
Neurosis and human growth. Chaps. 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