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성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성학은 여성의 경험과 젠더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로, 인문학, 사회과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방법론을 활용한다. 20세기 후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대학에 여성학과가 설치되었으며, 1970년대 중반 이후 아시아 지역에서도 제도적인 학문으로 자리 잡았다. 여성 참정권 운동을 중심으로 한 페미니즘의 발전과 함께, 성차별, 성 역할, 자기 결정권 등의 문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여성학은 페미니즘 이론, 교차성, 관점 이론 등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사회 정의를 핵심 요소로 삼아 교육과 사회 개혁에도 기여한다. 그러나 학문 분과로서의 정체성, 국내 여성학의 위기, 종교적·영성적인 측면 등 다양한 비판과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주의 - 여성의당
    여성의당은 2020년 3월 8일 국제 여성의 날에 창당된 대한민국 정당으로, 여성의 안전과 권익 보장, 성평등한 사회 구현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을 유지하고 있으나, 트랜스젠더 배제적 입장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 여성주의 - 생태여성주의
    생태여성주의는 여성 억압과 환경 파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이원론적 사고, 가부장제, 남성 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여성 해방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추구하는 이론 및 운동이다.
  • 여성학 - 여성주의
    여성주의는 성차별적 사회 구조 비판을 토대로 여성의 권리 및 사회적 평등을 지향하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 평등을 추구하는 이론이자 사회 운동이다.
  • 여성학 - 백래시 (사회학)
    백래시는 사회적 변화에 대한 반발 현상으로, 역사적으로 짐 크로 법, 평등권 수정 헌법안 반대, 젠더 백래시 운동 등이 있었으며, 현대에는 미투 운동, 성소수자 권리, 흑인 생명도 소중하다 운동, 자전거 이용 확대 등에 대한 반발이 나타나 사회적 갈등 심화, 논쟁, 소송 등을 야기한다.
  • 인문학 - 도서관학
    도서관학은 도서관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핵심 분야와 주변 영역을 포괄하는 학문으로, 도서관 경영, 이용, 서비스, 미디어, 자료, 역사 등을 포함하며 평생교육, 정보서비스, 정보검색, 커뮤니케이션 등과 관련된다.
  • 인문학 - 디지털 인문학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학 연구에 디지털 기술과 방법론을 적용하여 텍스트 분석, 데이터 시각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등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학문적 연구, 지식 생산, 문화 분석, 사회 문제 해결에 기여하며 오픈 액세스와 공유를 지향하는 융합 학문 분야이다.
여성학
학문 분야
분야학제적
학문적 초점여성의 삶과 경험을 연구의 중심에 두는 학문 분야
주요 특징
중심 주제여성의 경험, 성별과 사회적 불평등
연구 방법질적 연구
양적 연구
역사적 분석
비판적 이론
이론적 기반페미니즘
젠더 연구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문학비평
심리학
정치학
목표여성의 지위 향상
사회적 불평등 해소
지식 생산의 다양성 확보
연구 대상여성의 역사
여성의 사회적 역할
여성의 문화적 표현
여성의 경제적 지위
여성의 정치적 참여
성차별
젠더 기반 폭력
관련 분야
관련 학문 분야페미니즘 이론
젠더 연구
남성학
퀴어 이론
비판적 인종 이론
장애학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문학비평
심리학
정치학
주요 저서
주요 저서Women's voices, feminist visions: classic and contemporary readings
Oxford Handbook of Feminist Theory
Feminist research practice: a primer
Women's studies on its own: a next wave reader in institutional change
Transforming Scholarship: Why Women's and Gender Studies Students Are Changing Themselves and the World
역사
발전 과정196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여성 해방 운동에서 비롯됨
초기 단계여성의 경험과 관점을 학문적으로 연구하기 시작
현재다양한 분야에서 여성과 젠더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사회적 변화를 추구하는 학문 분야로 발전
교육
교육 기관전 세계 대학에서 여성학 프로그램을 제공
교육 내용여성의 역사와 문화
성별과 사회적 불평등
페미니스트 이론과 실천
교육 목표젠더 감수성 향상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
사회 변화를 위한 실천적 능력 배양
연구 분야
세부 연구 분야페미니스트 경제학
페미니스트 인식론
페미니스트 신학
페미니스트 성 과학
페미니스트 사회학
페미니스트 법 이론
페미니스트 미술 운동
페미니스트 문학 비평
페미니스트 영화 이론
페미니스트 정치 생태학
페미니스트 현대 건축
페미니스트 인류학
페미니스트 고고학
범죄학 페미니스트 학파
페미니스트 지리학
페미니스트 철학
페미니스트 심리학
페미니즘 국제 관계
페미니스트 실존주의
작문 연구에서의 페미니스트 이론
페미니스트 역사
여성사
관련 주제여성의 권리
여성의 건강
여성의 역사
성차별
젠더 기반 폭력
인터섹셔널리티
퀴어 이론
젠더 주류화
남성학
페미니즘 운동
외부 링크
관련 링크페미니즘 이론
젠더 연구
남성학

2. 역사

20세기 말, 전 세계적으로 많은 대학들이 여성학과를 개설했다. 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 내에 395여 개의 프로그램이 있다고 한다.[103] 아시아 지역에서 여성학은 1970년대 중반 이후 제도적인 학문으로 자리 잡았다.[104]

여성 참정권 운동을 중심으로 여성의 권리·지위 향상, 남녀평등을 목표로 한 제1파 페미니즘에 대하여, 문화·사회에 깊이 뿌리내린 의식과 습관에 의한 성차별과 싸우고, 주로 성역할 분업의 폐지, 성과 생식에 있어서의 자기결정권 등을 주장한 것이 제2파 페미니즘이다.[84]

1960년대에는 권위주의적인 기성 질서에 항의하고, 대학 개혁을 요구하는 학생운동(대학 분쟁)이 일어났다. 그 결과, 대학 교육에서 교육과정과 교육 방법이 개선되고, 새로운 학문·연구 강좌가 개설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여성들은 기존의 학문·연구가 남성의 경험, 문제·관심에 기초하여 구성된 남성 중심주의적인 것이며, 여성의 경험 등을 무시한 것으로 인식했다. 이에 따라 기존 학문 영역에서 여성의 경험 등에 기반한 연구를 수행하고, 잊혀진 여성의 역사, 예술, 문학 등을 발굴·복원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85] 남성이 만들어 온 전통적인 학문 분야에서 "여성"이라는 테마를 다루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며, 남성 중심의 사고방식 자체를 뒤엎고, 모든 것을 여성 중심의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새로운 학문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었다.[86]

시몬 드 보부아르1949년 출판된 『제2의 성』에서 생물학, 문학, 정신분석학, 인류학, 철학 등의 연구에 기초하여 여성의 억압, 타자성을 체계적으로 논했다. 이를 계승하거나 비판적으로 해석하여, 성차별 구조의 더욱 심층적인 해명을 목표로 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84]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전반에 걸친 여성 해방 운동을 백인 중산층이성애·기혼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는 운동이라고 비판한 다른 인종, 계층, 성적 지향, 기타 문화적·사회적 입장의 여성들을 중심으로, 대상의 확대와 방법론의 재검토, 이러한 요소들을 통합한 이론화가 이루어지고 있다.[85]

여성, 여성성, 젠더, 성차별, 기타 소수자 문제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현대 사회의 분석과 이해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의 장이기도 한 대학의 교육에 여성학을 도입하는 것은 제도 및 사회 전체의 개혁을 준비하는 것이며, 정치·사회·문화 활동과 연계될 수 있는 것이다.[87]

2. 1. 미국

1969년 코넬 대학교에서 최초의 여성학 강좌가 개설되었고,[105] 1970년 샌디에이고 주 대학에서 미국 최초의 여성학 프로그램이 설립되었다.[12][13] 이는 당시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던 여성해방 운동과 더불어, 대학생들과 학내 커뮤니티 멤버들이 여성학 개설을 위한 임시 위원회를 세운 결과였다.[14] 1974년까지 샌디에이고 주 대학 교수진들은 흩어져있던 여성학 관련 학과의 통합을 위해서 전국적인 캠페인을 벌였다.[109]

최초로 학제적 분야로서 여성학을 다뤘던 대학 저널은 페미니스트 스터디즈로 1972년에 발간되었고,[110] 미국 여성학 협회(The National Women's Studies Association)는 1977년에 설립되었다.[111]

2. 2. 한국

1977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국내 최초로 여성학 강좌가 개설되었고, 1982년에는 동 대학원에 여성학 석사 과정이 개설되었다.[114] 1984년에는 한국여성학회가 발족했다.

2016년 기준 국내 23개 대학의 여성학 관련 강의 개설 현황은 다음과 같다.[117]

학교구분학교명여성학과 개설여부여성학 수업 필수과목 여부여성학 수업 개설 현황
여대이화여대사회학부내 연계전공X여성학, 젠더의 역사 외 15개
숙명여대사회심리학과 내 협동전공X여성학, 문화텍스트로 읽는 여성콤플렉스 외 15개
덕성여대XX여성과 남성 외 5개
서울여대XX여성학과 남성학
남녀공학성균관대문과대학 내 여성학 전공학부전공 성의 사회학성의 사회학 외 8개
서강대사회과학부 내 연계전공X여성학 이론 외 4개
한양대X전공핵심 여성사회학여성사회학, 미디어로 읽는 여성사, 젠더와 문학
중앙대X전공 기초 현대사회와 여성섹슈얼리티와 문화
서울대XX페미니즘의 이해 외 9개
고려대XX여성사회학, 여성학 개론, 여성과 법률, 여성과 문학
연세대XX성과 사회, 성과 문화, 성의 역할
건국대XX여성학, 여성과 법률
세종대XX여성학, 한국사회와 여성문제
숭실대XX여성학, 여성복지론
홍익대XX여성학, 성과 사회
경희대XX젠더와 역사
국민대XX성과 사회
단국대XX여성의 이해
동국대XX법여성학
시립대XX여성학의 이해
한국외대XX여성과 사회
포스텍XXX
서울과기대XX여성학



2017년 4월 기준 국내 5개 대학 내 여성주의 저널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이름매체 종류소속 대학트위터페이스북웹사이트
녹지교지중앙대@cau_nocji
석순교지고려대@kusuksoon@kusuksoon1983
오프너교지동국대@openher2015
정정헌교지성균관대@skkujjh/
웹진경희대@magazinesoon2magazinesoon.com



2017년 4월 기준 국내 대학 내 20개의 여성주의 그룹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지역이름소속 대학트위터페이스북
서울국문과 페미니즘 소모임 흰경희대@khukukmoonheen
관악여성주의학회 달서울대@lalunefeminist
반성폭력 반성차별 모임 월담한양대@hyuwoldam@hyuwoldam/
여성주의 동아리 NOON성신여대
여성주의 소모임 노라덕성여대@nora_feminist
여성주의 모임 닻별성균관대@anchorfemi/
여성주의 모임 모여 (율전 여성주의 모임)성균관대@skku.fm
여성주의 모임 보라경기대@kgu_bora@kgubora/
여성주의 학회 주디한국외대@hufsjudi@hufsjudi/
여성주의 학회 여백중앙대@cauyeobaek
여성주의 학회 틀깸서강대@sogangfeminism
여성학 학술 중앙동아리 S.F.A숙명여대@Sookmyung_sfa@sookmyungfeministsassociation/
여성학회 #Rights서울과기대@hashtag_rights
이화여성위원회이화여대@ewhalovewom이화여성위원회 페이지
페미니즘 동아리 WTF동덕여대@dongduk_wtf
페미니스트 & 퀴어 공동체 FUQ (Feminists Unite with Queers)중앙대@caufuq@caufuq/
여성주의 독서모임 레드북클럽명지대@redbook_club(인스타그램)
부산페미니즘 동아리 여명부산대@womensdawn/
여성주의 공부모임 고민중동아대
전남여성주의 소모임 로제(路GE)전남대@jnuroge
대전여성주의 연구회 마고카이스트@Aliceinfeminism
울산여성주의 소모임 오프코르셋유니스트@offcorset


2. 2. 1. 최초의 여성학

1934년,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여성 참정권 운동가인 메리 리터 비어드(Mary Ritter Beard)는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치경제적 변화』라는 제목의 저서를 발표했다.[88] 이는 56페이지에 달하는 여성학 강좌의 상세한 강의계획서였으며, 그녀는 이를 대학교육에 도입하려고 노력했다. 비록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이를 통해 비어드는 여성학 개념의 최초 제창자로 여겨지고 있다.[86][89]

여성학 강좌의 특수한 사례로는 화가이자 철학·사회학 전문 페미니스트 저술가인 마르그리트 뒤레-달케(Marguerite Soure-Dalké)가 사회과학자유대학(Collège libre des sciences sociales)에서 1900년부터 1905년까지 가르쳤던 페미놀로지(여성학 또는 여성과학)가 있다.[90]

1969년 출판된 안 코트(Anne Koedt)의 『질 오르가슴의 신화(The Myth of the Vaginal Orgasm)』에서 코트는 여성의 성(性)에 관한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여러 개념을 비판하였다. 1970년에는 케이트 밀렛(Kate Millett)의 『성의 정치학(Sexual Politics)』, 저메인 그리어(Germaine Greer)의 『세상을 바꾼 여성의 책(The Female Eunuch)』, 슐라미스 파이어스톤(Shulamith Firestone)의 『성의 변증법(The Dialectic of Sex)』, 로빈 모건(Robin Morgan)의 『자매애는 힘이다(Sisterhood is Powerful)』 등 2차 여성주의(New feminism) 운동의 고전들이 출판되었다.[90] 이러한 운동과 함께 1960년대 후반에 처음으로 여성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미국에서는 1966년 뉴올리언스 프리 스쿨(New Orleans Free School)에서 캐시 케이드(Cathy Cade)와 페기 도빈스(Peggy Dobins)가 여성 사회학 강좌를 개설하였다. 시카고 대학교에서는 나오미 바이스타인(Naomi Weisstein)이 여성학을, 버나드 칼리지(Barnard College)에서는 아네트 벡스터(Annette Baxter)가 여성사를 담당하였다.[87][91]

영국에서는 1968년 C. L. R. 제임스(C. L. R. James), 스토클리 카르마이클(Stokely Carmichael), 로널드 D. 레인(Ronald D. Laing), 스튜어트 홀(Stuart Hall), 줄리엣 미첼(Juliet Mitchell) 등이 기존의 교육 제도와 의료 제도를 비판하며 설립한 런던 반대학교(Anti-University of London)[92]에서 정신분석가 줄리엣 미첼이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이라는 강좌를 담당하였다.[93]

연구자가 개별적으로 개설·담당한 강좌 외에 여성학 프로그램이 공식적으로 처음 개설된 것은 1970년 샌디에이고 주립대학교(San Diego State University)이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는 1977년 9월 국내 최초로 '여성학' 과목을 학부 과정에 개설했고, 1982년에는 아시아 최초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 여성학 석사 과정이 개설되었다.[114]

2. 2. 2. 여성학과 학내 여성주의

2016년 기준으로 국내 23개 대학의 여성학 관련 강의 개설 현황은 다음과 같다.[117]

학교구분학교명여성학과 개설여부여성학 수업 필수과목 여부여성학 수업 개설 현황
여대이화여대사회학부내 연계전공X여성학, 젠더의 역사 외 15개
숙명여대사회심리학과 내 협동전공X여성학, 문화텍스트로 읽는 여성콤플렉스 외 15개
덕성여대XX여성과 남성 외 5개
서울여대XX여성학과 남성학
남녀공학성균관대문과대학 내 여성학 전공학부전공 성의 사회학성의 사회학 외 8개
서강대사회과학부 내 연계전공X여성학 이론 외 4개
한양대X전공핵심 여성사회학여성사회학, 미디어로 읽는 여성사, 젠더와 문학
중앙대X전공 기초 현대사회와 여성섹슈얼리티와 문화
서울대XX페미니즘의 이해 외 9개
고려대XX여성사회학, 여성학 개론, 여성과 법률, 여성과 문학
연세대XX성과 사회, 성과 문화, 성의 역할
건국대XX여성학, 여성과 법률
세종대XX여성학, 한국사회와 여성문제
숭실대XX여성학, 여성복지론
홍익대XX여성학, 성과 사회
경희대XX젠더와 역사
국민대XX성과 사회
단국대XX여성의 이해
동국대XX법여성학
시립대XX여성학의 이해
한국외대XX여성과 사회
포스텍XXX
서울과기대XX여성학



2017년 4월 기준으로 국내 5개 대학 내 여성주의 저널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이름매체 종류소속 대학트위터페이스북웹사이트
녹지교지중앙대@cau_nocji
석순교지고려대@kusuksoon@kusuksoon1983
오프너교지동국대@openher2015
정정헌교지성균관대@skkujjh/
웹진경희대@magazinesoon2magazinesoon.com



2017년 4월 기준으로 국내 대학 내 20개의 여성주의 그룹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지역이름소속 대학트위터페이스북
서울국문과 페미니즘 소모임 흰경희대@khukukmoonheen
관악여성주의학회 달서울대@lalunefeminist
반성폭력 반성차별 모임 월담한양대@hyuwoldam@hyuwoldam/
여성주의 동아리 NOON성신여대
여성주의 소모임 노라덕성여대@nora_feminist
여성주의 모임 닻별성균관대@anchorfemi/
여성주의 모임 모여 (율전 여성주의 모임)성균관대@skku.fm
여성주의 모임 보라경기대@kgu_bora@kgubora/
여성주의 학회 주디한국외대@hufsjudi@hufsjudi/
여성주의 학회 여백중앙대@cauyeobaek
여성주의 학회 틀깸서강대@sogangfeminism
여성학 학술 중앙동아리 S.F.A숙명여대@Sookmyung_sfa@sookmyungfeministsassociation/
여성학회 #Rights서울과기대@hashtag_rights
이화여성위원회이화여대@ewhalovewom이화여성위원회 페이지
페미니즘 동아리 WTF동덕여대@dongduk_wtf
페미니스트 & 퀴어 공동체 FUQ (Feminists Unite with Queers)중앙대@caufuq@caufuq/
여성주의 독서모임 레드북클럽명지대@redbook_club(인스타그램)
부산페미니즘 동아리 여명부산대@womensdawn/
여성주의 공부모임 고민중동아대
전남여성주의 소모임 로제(路GE)전남대@jnuroge
대전여성주의 연구회 마고카이스트@Aliceinfeminism
울산여성주의 소모임 오프코르셋유니스트@offcorset


2. 3. 아프리카

1980년대부터 여성학이 등장하여 식민주의와 탈식민화 이후 아프리카에 남은 "가부장적 사회 시스템"으로 인해 아프리카 역사에서 여성들이 잊혀진 것을 회복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6] 남학생 교육을 여학생 교육보다 우선시하는 시스템 때문에 독립 이후에는 읽고 쓸 줄 아는 여성이 거의 없었다. 읽고 쓸 줄 아는 여성들도 전문직에 종사하지 못하고,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여성들이 직면한 교육적 불이익 등을 해결하기 위해 활동가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1세대 학자들은 아프리카의 식민지 이전 역사를 확립하고 정당화하는 데 집중했다.[6] 또한 서구의 성별 개념이 아프리카에 적용되는지, 아니면 식민지 이전 아프리카에 성별 개념이 존재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6]

이피 아마디우메의 저서 "남성 딸, 여성 남편"(1987)과 오예롱케 오예우미의 저서 "여성의 발명"(1997)은 아프리카의 성별 인식을 조사하려고 시도한 최초의 연구 중 일부이다.[6] 1977년, 아프리카 여성 연구 및 개발 협회(AAWORD)가 아프리카 여성에 의한 아프리카 여성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여성을 위한 새로운 시대의 개발 대안(DAWN)은 1984년에 설립된, 북반구와 남반구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페미니스트 학자 및 활동가 네트워크이다.[6][7]

AAWORD 설립 당시 관련 학자 및 DAWN 창립 멤버 중 아프리카 학자는 다음과 같다.[6]

AAWORD 설립 당시 관련 학자[6]DAWN 창립 멤버 중 아프리카 학자[8]



이러한 학자들은 루도 가이잔와(짐바브웨), 아예샤 이맘(나이지리아), 패트리샤 맥퍼든(에스와티니), 아미나 마마(나이지리아), 타키와 마누(가나), 마리아 즈모(케냐), 샤르메인 페레이라(나이지리아) 등을 포함한 2세대 연구자 및 활동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6]

2. 4. 유럽

1968년 영국에서는 기존의 교육 및 의료 제도를 비판하며 C. L. R. 제임스, 스토클리 카르마이클, 로널드 D. 레인, 스튜어트 홀, 줄리엣 미첼 등이 주도하여 설립한 런던 반대학교[92]에서 정신분석가 줄리엣 미첼이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이라는 강좌를 담당하였다.[93]

프랑스에서는 1970년대에 들어 대학에서 여성학 센터 설립이 잇따랐다. 1972년 (현 엑스-마르세유 대학교 내) 프로방스 대학교 여성학 센터(CEFUP)가 설립되었고, 1974년에는 1968년 5월 혁명의 정신을 이어받아 새로운 학문 분야에 개방된 대학으로 설립된 뱅센 대학교의 후신인 파리 제8대학교에 엘렌 시수가 여성학 센터를 설립했다.[96] 1975년에는 파리 제7대학교에 프랑스 여성사 연구의 제1인자 미셸 페로를 중심으로 한 여성학 그룹(GEF)이 결성되었고, 1976년에는 리옹 여성학 센터가 설립되었다.[97]

2. 5. 아시아

아시아 지역에서 여성학은 1970년대 중반 이후 제도적인 학문으로 자리 잡았다.[104] 2015년 카불 대학교에서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성별 및 여성학 석사 과정이 시작되었다.[49]

3. 방법론

여성학은 인문학, 사회과학, 과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여성의 경험과 젠더 관계를 연구한다.[118][119] 페미니즘 이론, 교차성, 관점 이론, 초국가적 페미니즘, 사회 정의 등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한다.[3]


  • '''페미니즘 이론''': 여성의 삶의 경험과 조건을 분석하고 성차별과 불평등을 다룬다.[59] 벨 훅스, 시몬 드 보부아르, 패트리샤 힐 콜린스, 앨리스 워커 등의 이론가들은 유색인종 여성들의 경험에서 인종과 성별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켰다.[60][61]
  • '''교차성''': 킴벌리 크렌쇼가 제시한 이론으로, 성별, 인종, 나이, 성적 지향 등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정체성과 사회적 차별의 관계를 설명한다.[63]
  • '''관점 이론''': 1980년대에 발전한 이론으로, 지식은 사회적으로 위치하며 소외된 집단의 관점이 지식 생산에서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66]
  • '''초국가적 페미니즘''': 국경을 넘어 여성과 남성의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평등에 관심을 가지며, 세계화, 신자유주의,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한다.[68]
  • '''사회 정의''': 여성학은 사회 정의와 연관되어 있으며, 이론뿐만 아니라 교실 밖에서의 활동을 통해 여성의 삶에서 억압이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여성학 연구는 양적, 질적 및 혼합 방법을 사용하여 여성과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은 지식 생산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정하고 연구자와 연구 대상 간의 관계를 명확히 밝힌다.[3] 1970년대 이후 여성학자들은 포스트모더니즘적 접근 방식을 통해 성과 인종, 계급, 민족성, 섹슈얼리티, 종교, 연령, 장애여부의 교차점을 이해하고, 사회 내 권력 구조를 파악한다.[58]

4. 교육

전 세계 많은 대학에서 여성학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여성학 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여성학 교육은 연구, 이론, 실천을 결합한 삼각 모델에 기초하며,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사회 정의 활동을 장려한다.[78][79]

여성학 프로그램과 교육과정은 젠더, 인종, 섹슈얼리티, 계급 등 다양한 정체성과 사회적 관념들의 교차성을 탐험할 수 있도록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고안되었다. 여성학 수업의 보편적인 주제는 권력 및 권력 불균형과 연관이 깊다. 여성학 수업을 듣는 학생들은 젠더, 인종, 계급, 섹슈얼리티 등을 분석하는데, 이것들은 일상적으로 사회적 권력 관계를 좌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80]

1970년대 이후로 여성학 학자들은 포스트모더니즘적 접근 방식을 통해 성, 인종, 계급, 민족, 성적 지향, 종교, 연령, 장애와의 교차점을 이해하고 사회 내에서 권력 구조를 생성하고 유지하는 방식을 이해해 왔다. 이러한 전환과 함께 언어, 주관성, 사회적 헤게모니, 그리고 주체들의 삶(그들이 어떻게 정체성을 규정하든)이 구성되는 방식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러한 이론의 핵심에는 개인이 어떻게 정체성을 규정하든 성별, 성, 성적 지향은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개념이 있다.[58]

여성학 강좌에서 사용되는 주요 이론에는 페미니즘 이론, 교차성, 관점 이론, 초국가적 페미니즘, 사회 정의가 포함된다. 여성학과 관련된 연구 관행은 양적, 질적 및 혼합 방법을 사용하여 여성과 여성의 경험을 탐구의 중심에 둔다.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은 지식 생산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정하고 연구자와 연구 대상 간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밝힌다.[3]

여성학은 가정 폭력, 직장 내 차별, 가사 노동 분담의 성별 차이와 같은 개념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개념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며, 이는 여성의 더 나은 삶을 위한 첫걸음이다.[74]

대부분의 교육기관에서 여성학 강좌는 연구, 이론, 실천이 균등하게 결합된 삼각 모델의 페미니스트 교육학을 활용한다. 지식의 원천으로서 교수의 중심화를 해체하는 것은 여성학 수업 문화의 근본적인 요소이다.[78] 학생들은 자신의 교육을 “주장”하고 자신과 학습 과정에 대한 책임을 지는 적극적인 역할을 장려받는다.[79] 여성학 프로그램과 강좌는 정체성 정치와 사회적 규범에 관여하는 성별, 인종, 성적 지향, 계급 등의 교차성을 페미니스트적 관점에서 탐구하도록 설계되었다. 여성학 강좌는 미디어 리터러시, 성, 인종과 민족, 여성 관련 역사, 퀴어 이론, 다문화주의 및 기타 밀접하게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중점을 둔다. 교수진은 대중문화, 경제 활동 여성, 생식 및 환경 정의, 평생에 걸친 여성 건강 등 다양한 주제의 수업에 이러한 요소들을 통합한다.[80]

여성학 프로그램은 사회 정의 활동에 참여하며, 종종 교실 밖의 이론과 행동주의가 통합된 교육 과정을 설계한다. 일부 여성학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특권과 억압의 제도적 구조가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지역 사회 기반 인턴십을 제공한다. 여성학 교육 과정은 종종 학생들이 강의 자료에 대한 토론과 성찰 외에도 봉사 학습 활동에 참여하도록 장려한다. 그러나 매사추세츠대학교 앰허스트 캠퍼스의 다프네 파타이는 여성학 프로그램의 이러한 측면을 비판하며, 교육보다 정치를 우선시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프로그램의 교수진의 전략에는 무례한 언어에 대한 단속, 여성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연구 방법(정량적 방법보다 정성적 방법)을 지지하고, 수업을 마치 치료 세션처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고 말한다.[81] 여성학 학생들은 성별, 인종, 계급, 성적 지향을 포함한 정체성 표식을 분석하기 때문에 이는 종종 제도화된 권력 구조를 해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교육학의 결과로 여성학 학생들은 사회 변화를 만들고 사회의 권력 불평등에 대해 무언가를 할 수 있는 도구를 갖추고 대학을 졸업한다.[82]

하이파 대학교 여성 및 성 연구 학생들

5. 비판 및 논란

『페미니즘 고백하기: 여성학의 교육과 세뇌』라는 책에서 여성학 학자 30명이 모여 "많은 여성학 프로그램에 내재된 것으로 보이는 건강하지 못한 환경과 자기 파괴적인 경향"을 비판했다. 교수들은 여성학과 다른 교수들과 "이러한 공격적인 반지성주의에 대한 우려를 논의할 수 없었다"고 말했으며, "학생과 교수 모두에게서 정치적 순수성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것"에 대한 주장도 제기했다.[83]

5. 1. 학문분과로서의 논란

샌드라 코이너(Sandra Coyner)는 1979년 7월 캔자스주 로렌스에서 개최된 '미국 여성학회 연차 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에서, 토마스 쿤이 제시한 학문 분과 모형을 바탕으로 여성학이 패러다임이 아닌 예비 패러다임 단계에 머물러 있어 독립된 학문 분과로서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121][122]

코이너는 여성학이 학제성만 유지한다면 흑인학(Black Studies, Africana Studies)이나 가정학과 같이 게토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코이너는 여성학이 기존 학문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이고 표준화된 학문 분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했다.

  • 여성학의 연구 결과는 기존 패러다임에 맞지 않고, 연구 우선순위도 다르게 분류된다.
  • 여성학은 여성의 평등할 권리를 증진시킨다.
  • 여성이 사회에 온전히 참여하지 않으면, 어떤 인간의 문제도 이해될 수 없다.


코이너는 여성학을 학문 분과로 설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기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다른 분야들의 총합이 되어서는 안 된다.
  • 여성학자들은 '기초 연구'를 경시하지 않고 넓은 안목을 가져야 한다.
  • 지적인 힘과 여성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능력을 중요시해야 한다.


『페미니즘 고백하기: 여성학의 교육과 세뇌』라는 책에서는 여성학 학자 30명이 모여 여성학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정치적 순수성을 강조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83]

5. 2. 국내 여성학의 위기

이화여자대학교는 1950-60년대에 '여성과 직업', '여성운동사', '여성 사회학' 과목을 개설했고, 1977년 9월에는 국내 최초로 '여성학' 과목을 학부 과정에 개설했다. 당시 '여성학 연구위원회'와 '한국여성연구소(현 http://www.ewha.ac.kr/mbs/ewhakr/subview.jsp?id=ewhakr_040301340000 한국여성연구원)'가 교과 과정 개설 및 운영을 담당했다.[113] 1982년에는 아시아 최초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 여성학 석사 과정이 개설되었다.[114]

1984년에는 http://www.kaws.or.kr/ 한국여성학회가 창립되었고, 2005년에는 아시아 최초로 세계여성학대회가 한국에서 개최되었다.[115][116] 1990년대에는 약 69개 대학에 여성학이 개설되었으나, 2000년대 들어 한국 대학 내 여성학 관련 강의, 프로그램, 석사 과정은 급격히 축소되거나 폐지되기 시작했다.[117]

여성신문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115]

국내 여성학자들은 한국 여성학 발전과 대학 내 안정적 지위 확보를 위해 학부에 여성학과 설치, 협동과정의 학과화, 여성학 전담 교수 충원 등을 과제로 제시한다.[123]

『페미니즘 고백하기: 여성학의 교육과 세뇌』라는 책에서 여성학 학자 30명은 "많은 여성학 프로그램에 내재된 것으로 보이는 건강하지 못한 환경과 자기 파괴적인 경향"을 비판했다. 이들은 여성학과 다른 교수들과 "이러한 공격적인 반지성주의에 대한 우려를 논의할 수 없었다"고 말했으며, "학생과 교수 모두에게서 정치적 순수성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것"에 대한 주장도 제기했다.[83]

5. 3. 종교적이고 영성적인 면

'여성학과 젠더학 다시 생각하기(Rethinking Women's and Gender Studies)'의 저자 카를린 크로울리(Karlyn Crowley)는 종교적이고 영성적인 측면이 여성학 분야에서 다중적인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은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124] 크로울리는 자신의 저서 '세속적인 것(Secularity)' 챕터에서 세속적인 것이 혁신적인 것보다 낫다고 받아들여지는 곳에서 "분기점(bifurcation)"이 생겨난다고 지적한다.

크로울리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 이러한 선과 악, 세속과 혁신, 인종적·문화적·식민주의적 추진력에 관한 카테고리를 추궁하지 않음으로서, WGS(Criticisms within women's and gender studies)는 다음의 두 가지 담론을 쉽게 따르는 경향이 있다. (1) 영성/종교는 다른 표준적인 전제들이 설전을 벌이는 동안에, 겉보기에는 텅 비어있거나 태만한 것처럼 보인다. (2) 영성/종교는 손쉬운 이분법적 논리 사이에 자리하는 동시에 후퇴해 있다.

이러한 비평을 고찰하며, 크로울리는 안나루이스 키팅(AnaLouise Keating)의 연구를 언급한다. 이 연구는 영성과 종교가 대화와 토론, 여성학 분야에서 교환되는 모든 형식의 행위들 속에서 불러일으키는 폭발력이 얼마나 구조적이고 생산적이며 의미 있는 결속을 만드는지 실험하고자 한다.

크로울리가 인용하는 키팅의 말은 다음과 같다.

> 사회 운동의 영성은, "뉴 에이지(New Age)"식의 영성처럼 배타적으로 한 개인에게 집중해서 부의 증진, 행복한 인생 혹은 자기중심적이고 물질주의적인 목표를 추구하게 만들지 않는다. 사회 운동의 영성은 '우리'의 급진적인 상호연관성을 인정하며 앞으로 나아가려는 개인들과 시작되었다. 이 영성은 사회 변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이 영성은 '우리'의 많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공통성을 고수하고 그 공통성을 사회 변혁을 위한 카타르시스로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

> 대조적인 것: 정체성 정치가 여러 정체성들 중 구체적인 카테고리를 붙잡도록 요구한다면, 사회운동적인 영성은 '우리가 그것들을 놓아주도록 (we let them go)' 요구한다.

키팅은 현재의 여성학 담론들이 한 개인의 인종적·정치적·사회적·종교적·경제적 배경을 이루는 정체성들의 경계선에 머물러있는 경향이 있다고 밝힌다. 그녀는 각기 다른 영성적이고 종교적인 이데올로기의 지지를 받는 접근법들을 고려한다. 이 방법은 환경 생태계와 인간의 번영을 위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람들 간의 상호연관성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키팅과 크로울리는 영성적이고 종교적인 측면이 여성학계와 연관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심각한 고려 없이 주장을 펼쳤다. 이들의 실험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가설은 사회적 정의와 변화로의 혁신에 있어 제약을 만들 수 있으며, 정확히 알 수 없는 종류의 후퇴 또한 초래할 수 있다.

6. 관련 인물

다음은 여성학 관련 인물 일부이다. 여성학의 구체적인 연구 대상 및 연구 내용을 보여주기 위해 여성학 관련 저서를 제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항목을 참조 바란다.

인물저서
시몬 드 보부아르제2의 성
베티 프리댄『새로운 여성의 창조』
벨 훅스『페미니즘 이론: 주변에서 중심으로(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앨리스 워커『어머니들의 정원을 찾아서(In Search of Our Mothers' Gardens)』
샬럿 번치
패트리샤 힐 콜린스『흑인 페미니스트 사상: 지식, 의식 그리고 권한 부여의 정치(Black Feminist Thought: Knowledge, Consciousness, and the Politics of Empowerment)』
앤젤라 데이비스
셰리 모라가
오드리 로드
애드리엔 리치『거짓, 비밀, 침묵』, 『피, 빵, 시』, 『여성으로부터 태어나다』
바바라 랜스비
다카구미 이츠에『모계제의 연구』, 『초혼의 연구』
앤 코트『질 오르가슴의 신화』
저메인 그리어『거세된 여자』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섹스의 변증법』
케이트 밀렛『섹스의 정치학』
캐롤 길리건『또 다른 목소리 ― 남녀의 도덕관의 차이와 여성의 정체성』
글로리아 스타이넘『진정한 자아를 찾아서 ― 자존감과 사랑의 혁명』
메리 데일리『교회와 제2의 성』
캐서린 매키넌『페미니즘과 표현의 자유』
틸리 올슨『침묵』, 『어머니와 딸, 그 특이성』
카렌 호르나이『여성의 심리』
마가렛 미드『남성과 여성 ― 변화하는 세계에서의 남녀 연구』,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 ― 그 초상과 작품』
존 머니『섹스의 서명 ― 다시 묻는 남성과 여성의 의미』
모니크 위티히『여성 게릴라들』
크리스틴 델피『무엇이 여성의 주요한 적인가 ― 급진적 유물론적 분석』
앙투아네트 후크『성은 둘이다 ― 페미놀로지론』 (미번역)
엘렌 시수『내부』, 『메두사의 웃음』
뤼스 이리가라이『하나가 아닌 여성의 성』, 『차이의 문화를 위하여 ― 나, 너, 우리』
엘리자베트 바단테르『모성이라는 신화』 (역사서는 미번역이나 여성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것이 많다.)
미셸 페로『역사의 침묵 ― 말해지지 않은 여성들의 기록』, 미셸 페로 편 『여성사는 가능한가』, 조르주 뒤비, 미셸 페로 감수 『여성의 역사』
줄리아 크리스테바『중국의 여성들』, 『여성의 시간』, 『한나 아렌트 ― 〈생〉은 하나의 서술이다』, 『멜라니 클라인 ― 고통과 창조성의 어머니 살해』, 『보부아르』
사라 코프먼프리드리히 니체와 은유』, 『여성의 수수께끼 ― 프로이트의 여성론』
주디스 버틀러『젠더 트러블 ― 페미니즘과 정체성의 혼란』
수잔 브라운 밀러『강간 ― 짓밟힌 의지』
안드레아 드워킨『성교 ― 성적 행위의 정치학』
오구라 치카코『섹스 신화 해체 신서』, 『성역할의 심리』, 『남류 문학론』(공저)
이와오 토시미코『여성학 입문』(공저)
미즈타 무네코『히로인으로부터 히어로에게 ― 여성의 자아와 표현』, 『페미니즘 저편 여성 표현의 심층』, 『여성학과의 만남』, 『오바 미나코 ― 기억의 문학』
우에노 치즈코자본주의와 가사노동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문제 설정』,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지평』, 『민족주의와 젠더』, 『차이의 정치학』
에하라 유미코『장치로서의 성 지배』
코마자키 키미『마녀적 문학론』, 『무라사키 시키부의 메시지』, 『요시야 신코 ― 숨겨진 페미니스트』
오히나타 마사미『모성의 연구 ― 그 형성과 변용의 과정: 전통적 모성관에 대한 반증』, 『미디어에 숨겨진 모성애 신화』
하라 히로코『여성학 입문』(공저) 외 다수
후카에 세이코『여성과 남성의 경제학 ― 생활과 에로스』, 「전전의 농촌 여성들」
미즈타 타마에『여성 해방 사상사』, 『여성론의 계보』
미쓰이 마리코
와타나베 마유코
마키무라 히사코『여성들의 유럽』
이누에 테루코『여성학과 그 주변』, 『여성학으로의 초대 ― 변화하는/변화하지 않는 여성의 일생』
카나이 요시코『포스트모던 페미니즘』, 『페미니즘 문제의 전환』, 『윤리학과 페미니즘』
키모토 키미코『젠더와 사회 ― 남성사·군대·섹슈얼리티』(공편저)
카츠가타=이나후쿠 에이코『미국 문학의 여성상』(공저), 『젠더와 미국 문학 ― 인종과 역사의 표상』(공저)
정영혜(鄭暎惠)『〈민이 대〉제창 ― 정체성·국가·젠더』
모로사와 요코『여성의 전후사』, 『여성·부락·오키나와』
이토 야스코『전후 일본 여성사』, 『싸우는 여성의 20세기』, 『풀뿌리 여성 해방 운동사』, 『풀뿌리 여성 참정권 운동사』
카노 미키요『총후사 노트』, 『총후사 노트 전후편』, 『여성이 히로시마를 말한다』(공저)
니시카와 유코『숲의 집의 무녀 ― 다카구미 이츠에』, 『꽃의 여동생 ― 기시다 토시코 전』, 『자기 이야기 히구치 이치요』, 『근대 국가와 가족 모델』
아리가 나츠키『미국 페미니즘의 사회사』
오기노 미호『「가족계획」의 길 ― 근대 일본의 생식을 둘러싼 정치』, 『젠더화되는 신체』, 『여성의 몸 ― 페미니즘 이후』
미야기 하루미(宮城晴美)『나하·여성의 발자취』 전3권 (나하 여성사 전근대편·근대편·전후편), 『어머니가 남긴 것 ― 오키나와·자마미섬 「집단 자결」의 새로운 증언』
사카모토 히로코『중국 민족주의의 신화 ― 인종·신체·젠더』, 『연쇄하는 중국 근대의 “지”』
타케무라 카즈코『사랑에 관하여 ― 정체성과 욕망의 정치학』, 『그녀는 무엇을 보고 있는가 ― 영상 표상과 욕망의 심층』


참조

[1] 서적 Women's voices, feminist visions: classic and contemporary readings McGraw-Hill 2014-04-23
[2] 서적 Oxford Handbook of Feminist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Feminist research practice: a primer SAGE Publications 2013-07-18
[4] 서적 Women's studies on its own: a next wave reader in institutional change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2002
[5] 서적 Transforming Scholarship: Why Women's and Gender Studies Students Are Changing Themselves and the World Routledge
[6]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African Women's Studies Palgrave Macmillan 2021
[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ransnational Feminist Mov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Development, Crises, and Alternative Visions: Third World Women's Perspectives https://dawnnet.org/[...] Monthly Review Press 1987
[9] 학술지 Women's Studies in Ghana https://www.jstor.or[...] Feminist Press 1996-04-01
[10] 서적 Africa after Gender? Indiana University Press 2007
[11] 서적 The Encyclopedia of Stress and Stress-related Diseases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12] 학술지 San Diego State 1970: The Initial Year of the Nation's First Women's Studies Program http://www.feminists[...] 2011-11-01
[13] 웹사이트 SDSU Women's Studies Department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History:: Department of Women's Studies at San Diego State University http://womensstudies[...]
[15] 문서 Chinyere Okafor citing from The Center for Women's Studies' papers at WSU
[16] 학술지 Women's studies as women's history 2002-09-01
[17] 서적 The Evolution of American Women's Studies: Reflections on Triumphs, Controversies, and Change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18] 서적 Transforming Scholarship: Why Women's and Gender Studies Students Are Changing Themselves and the World Routledge
[19]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eminists[...] Feminist Studies
[20] 웹사이트 NWSA http://www.nwsa.org/[...]
[21] 학술지 A National Census of Women's Studies Programs https://www.nwsa.org[...] 2007-12-01
[22] 뉴스 El feminism llevado a la práctica https://gpa.eastview[...] 1990-09-03
[23] 서적 The evolution of American women's studies: reflections on triumphs, controversies, and change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24] 백과사전 Women's Studies https://www.thecanad[...]
[25] 학술지 Los estudios de género en la UBA y la UNAM: una conquista del feminismo académico https://www.redalyc.[...] Unión de Universidades de América Latina 2019-10-01
[26] 뉴스 Reconoce el Colmex a tres pioneras de los estudios de género https://www.jornada.[...] 2021-03-11
[27] 웹사이트 Fuimos pioneras en investigación de género en Chile https://cem.cl/nosot[...] 2021-01-18
[28] 학술지 Gender Studies in Peru https://archive.org/[...] City University of New York 1996-04-01
[29] 웹사이트 Virginia Guzmán del CEM: "Una Constitución con mujeres va a entender de otra manera la igualdad» https://oge.cl/entre[...] Friedrich Ebert Foundation 2019-12-16
[30] 서적 Notable Twentieth-Century Latin American Women: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31] 서적 Feminismos y estudios de género en Colombia: un campo académico y político en movimiento http://www.codajic.o[...] National University of Colombia Press 2018
[32] 웹사이트 Florence Thomas https://cienciagora.[...] Universia 2008-03-07
[33] 뉴스 Murió Hilda Habichayn, reconocida docente de la UNR y activista por la igualdad de género https://www.lacapita[...] 2021-05-12
[34] 뉴스 Académicas con la lupa en el género https://www.pagina12[...] 2019-03-09
[35] 웹사이트 Dia de la mujer paraguaya 24 de ferbrero http://corredordelas[...] Corridor of Ideas of the Southern Cone-X International Colloquium of Political Philosophy 2020-03-01
[36] 서적 Estudios de Género y Ciencias Sociales en Paraguay http://biblioteca.cl[...] Biblioteca Clacso 2013
[37] 학술지 Simpósio: cinco questões sobre os estudos de gênero na América Latina https://www.scielo.b[...] Centro de Pesquisa e Documentação da História Contemporânea do Brasil 2022-04-25
[38] 웹사이트 Revista Estudos Feministas https://www.scielo.b[...] São Paulo Research Foundation 2022-01-31
[39] 학술지 Colaboradores https://www.jstor.or[...] Interdisciplinar de Estudos Contemporâneos da Escola de Comunicação da Universidade Federal do Rio de Janeiro 2023-04-09
[40] 서적 Women's Studies on the Edge Duke University Press
[41] 웹사이트 Women's, Gender, and Sexuality Studies http://www.gs.emory.[...] 2014-10-06
[42] 웹사이트 NWSA http://nwsa.org/AF_i[...] 2015-07-26
[43] 웹사이트 Artemis Guide to Women's Studies in the U.S http://www.artemisgu[...] 2014-10-06
[44] 웹사이트 UC Santa Cruz – Feminist Studies http://feministstudi[...] 2016-08-22
[45] 웹사이트 PHD Program {{!}} Gender & Women's Studies https://gws.as.uky.e[...] 2016-08-22
[46] 웹사이트 Women's, Gender, and Sexuality Studies http://www.stonybroo[...] 2016-08-22
[47] 웹사이트 PhD in Women, Gender, and Sexuality Studies! {{!}} College of Liberal Arts {{!}} Oregon State University http://liberalarts.o[...] 2016-08-22
[48] 웹사이트 Ardent warrior for women's rights http://www.smh.com.a[...] 2003-07-31
[49] 웹사이트 Kabul University unlikely host for first Afghan women's studies programme http://blogs.reuters[...] 2015-11-02
[50] 학술지 Women's studies and the women's movement in Britain: origins and evolution, 1970–2000 2003-06-01
[51] 서적 Sweet Freedom: the struggle for women's liberation Pan Macmillan
[52] 서적 Feminisms: a reader Harvester Wheatsheaf
[53] 서적 Women's Studies Courses in the United Kingdom Margarita Rendel
[54] 웹사이트 Veronica Beechey obituary http://www.theguardi[...] 2022-01-27
[55] 웹사이트 Universities and Colleges Admissions Service, United Kingdom http://www.ucas.com 2014-10-06
[56] 서적 The Evolution of American Women's Studies Palgrave MacMillan
[57] 서적 The evolution of American women's studies: reflections on triumphs, controversies, and change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58] 웹사이트 Questions for A New Century: Women's Studies and Integrative Learning http://www.nwsa.org/[...] 2017-11-18
[59] 서적 Feminist theory: a reader McGraw-Hill Higher Education
[60] 서적 The Womanist reader Routledge 2006
[61] 서적 Black feminist thought: knowledge, consciousness, and the politics of empowerment
[62] 서적 Intersectionality Polity Press
[6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Feminist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64] 학술지 The Concept of Intersectionality in Feminist Theory https://www.research[...]
[65] 학술지 Loyalism, Women and Standpoint Theory
[66] 서적 The feminist standpoint theory reader: intellectual and political controversies Routledge
[67] 학술지 Truth and Method: Feminist Standpoint Theory Revisited
[68] 서적 Women worldwide: transnational feminist perspectives on women McGraw-Hill 2011
[69] 서적 Rethinking women's and gender studies Routledge
[70] 서적 Between Woman and Nation: Nationalisms, Transnational Feminisms, and the Stat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71] 논문 Transnational Femin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The Communication Review, 9(4), 255–267.
[72] 서적 Social Justice: Theories, Issues, and Movement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73] 논문 Social Justice for (University) Credit? The Women's and Gender Studies Practicum in the Neoliberal University. (Report)
[74] 웹사이트 Women's and Gender Studies https://www.depts.tt[...]
[75] 서적 Cultural Studies: Theory and Practice Sage
[76] 논문 Agency, Anticipation and Indeterminacy in Feminist Theory. Feminist Theory, 4(2), 139–148
[77] 웹사이트 Materialist Feminism: A Reader in Class, Difference, and Women's Lives: Canadian Journal of Communication https://www.cjc-onli[...]
[78] 논문 What is feminist pedagogy? 1987-09-00
[78] 논문 What is feminist pedagogy? 1993-09-00
[79] 서적 Open Questions Bedford/St. Martin's
[80] 서적 Transforming Scholarship Routledge 2015
[81] 논문 Why Not A Feminist Overhaul of Higher Education? http://userpages.umb[...] 2007-05-04
[82] 논문 Activist Learning vs. Service Learning in a Women's Studies Classroom
[83] 서적 Professing feminism: education and indoctrination in women's studies HarperCollins
[84] 서적 岩波 女性学事典 岩波書店
[85] 서적 コロンビア大学 現代文学・文化批評用語辞典 松柏社
[86] 서적 フェミニズム事典 明石書店
[87] 서적 フェミニズム理論辞典 明石書店
[88] 서적 A changing political economy as it affects women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women
[89] 웹사이트 Mary Ritter Beard https://spartacus-ed[...] 2019-05-16
[90] 서적 フェミニズム歴史事典 明石書店
[91] 서적 Academic Pathfinders: Knowledge Creation and Feminist Scholarship Praeger
[92] 웹사이트 ABOUT - antiuniversity http://www.antiunive[...] 2019-05-16
[93] 논문 '1968' and the formation of the feminist subject
[94] 뉴스 Tillie Olsen, Feminist Writer,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07-01-03
[95] 웹사이트 Tillie Olsen American author https://www.britanni[...] 2019-05-26
[96] 웹사이트 Département d'études de genre - Université Paris 8 http://www.genre.uni[...] Université Paris 8 2019-05-16
[97] 논문 Les études féministes en France : une institutionnalisation problématique. https://www.anef.org[...]
[98] 논문 女性学の視座について ― 女性学が拓いた地平と今後の課題 http://libir.josai.a[...]
[99] 웹사이트 井上輝子さん 『ジェンダー研究を継承する』アーカイブ特設サイト http://gender.soc.hi[...] ジェンダー社会科学研究センター - 一橋大学 2019-05-16
[100] 웹사이트 ジェンダー学際研究専攻 http://www.ocha.ac.j[...] お茶の水女子大学 2019-05-16
[101] 서적 男性学の新展開
[102] 서적 男性学の新展開
[103] 웹사이트 Artemis Guide to Women's Studies in the U.S. http://www.artemisgu[...]
[104] 웹인용 교과과정개발 http://ewhawoman.or.[...] 2009-01-14
[105] 서적 The Encyclopedia of Stress and Stress-Related Diseases,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06-01-01
[106] 간행물 San Diego State 1970: The Initial Year of the Nation's First Women's Studies Program http://www.feminists[...] Feminist Studies, Inc 2011-11
[107] 웹사이트 SDSU Women's Studies Department http://www-rohan.sds[...] 2014-10-06
[108] 웹사이트 History :: Department of Women's Studies at San Diego State University http://womensstudies[...] 2015-12-09
[109] 간행물 Women's studies as women's history https://www.jstor.or[...] The Feminist Press 2002
[110]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eminists[...] 2014-05-30
[111] 웹사이트 NWSA http://www.nwsa.org/[...] 2015-07-26
[112] 웹사이트 Women's, Gender, and Sexuality Studies http://www.gs.emory.[...] 2014-10-06
[113] 웹인용 이대학보 http://inews.ewha.ac[...] 2017-04-03
[114] 웹인용 한국여성연구원 http://www.ewha.ac.k[...] 2017-04-03
[115] 웹인용 숙명여대 대학원 여성학 협동과정 폐지 결정 http://www.womennews[...] 2017-04-03
[116] 웹인용 아시아 최초 ‘세계여성학대회’ 막 오르다 http://www.scienceti[...] 2017-04-04
[117] 뉴스 [젠더이슈, 대학이 나서자②]대학 여성학 교육의 어제와 오늘 - 한국대학신문 http://news.unn.net/[...] 2017-04-03
[118] 간행물 What is feminist pedagogy? https://www.jstor.or[...] The Feminist Press 1987
[119] 간행물 What is feminist pedagogy? https://www.jstor.or[...] The Feminist Press 1993
[120] 뉴스 Why Not A Feminist Overhaul of Higher Education? http://userpages.umb[...]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07-05-04
[121] 서적 Women’s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Why and How to Do It Routledge 1983
[122] 서적 여성학의 이론 을유문화사 1986
[123] 웹인용 숙명여대 대학원 여성학 협동과정 폐지 결정 http://www.womennews[...] 2017-04-03
[124] 서적 Secularity Routledge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