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르누테스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르누테스족은 고대 갈리아의 켈트족 부족으로, 현재 프랑스 외르-에-루아르, 루아레, 루아-에-셰르 데파르트망에 해당하는 지역에 거주했다. '뿔 달린 자들'을 의미하는 그들의 이름은 전투 헬멧에서 유래되었으며, 샤르트르는 그들의 주요 도시였다. 카르누테스족은 기원전 1세기에 로마와 갈리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로마에 저항하다가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자치권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의 부족 - 네르비족
    네르비족은 고대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에 거주하며 용맹한 벨가이족으로 알려졌으나, 로마에 저항하다 프랑크족에 동화되었다.
  • 갈리아의 부족 - 트레베리족
    트레베리족은 켈트-게르만 문화의 혼합 양상을 보이며 로마와 협력하여 자치 도시 지위를 얻고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나, 3세기 위기 이후 쇠퇴한 고대 민족이다.
  • 갈리아 전쟁 - 갈리아 전기
    《갈리아 전기》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원정을 기록한 라틴어 저서이며,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집필되었고, 갈리아 및 게르만족의 문화와 풍습을 묘사하고 있다.
  • 갈리아 전쟁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은 갈리아 전쟁의 일환으로 기원전 55년과 54년에 걸쳐 두 차례 발생했으며, 브리튼 섬을 로마의 영향력 아래 두고 이후 로마의 브리타니아 속주화 기반을 마련했다.
  • 고대 로마 -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부터 로마에 의한 합병까지의 시기로, 그리스인들의 시야 확장과 새로운 헬레니즘 도시로의 이주, 도시 국가들의 연합 노력, 마케도니아와 후계 왕국들의 패권 다툼, 그리고 로마의 개입과 지배로 특징지어진다.
  • 고대 로마 - 누마 폼필리우스
    누마 폼필리우스는 로마의 두 번째 왕으로, 종교 개혁과 사회 정책을 통해 로마의 종교 제도와 역법을 개혁하고 야누스 신전을 건립했으며, 로마력 개혁을 이끌었다.
카르누테스족
기본 정보
기원전 1세기 갈리아 부족 지도; 카르누테스족은 원으로 표시됨.
기원전 1세기 갈리아 부족 지도; 카르누테스족은 원으로 표시됨.
민족
민족갈리아인
지리
위치갈리아의 센 강과 루아르 강 사이
주요 정착지케나붐 (오늘날의 오를레앙)
오트리쿰 (오늘날의 샤르트르)
역사
기원기원전 3세기
벨가 전쟁 참여기원전 57년
베르킨게토릭스의 반란기원전 52년
사회
종교켈트족의 다신교
드루이드교드루이드교의 중요한 중심지
기타
언어갈리아어

2. 명칭

율리우스 카이사르(기원전 1세기 중반)와 리비우스(기원전 1세기 후반)는 카르누테스족을 ''Carnutes''로 언급했고,[1] 티불루스(기원전 1세기 후반)는 ''Carnūti''로,[2] 스트라보(기원 1세기 초)는 ''Karnoútōn''(Καρνούτων)과 ''Karnoúntōn''(Καρνούντων)으로,[3] 프톨레마이오스(2세기)는 ''Karnoũtai''(Καρνοῦται)로,[4] ''노티티아 디그니타툼''(5세기)에서는 ''Carnunta''로 언급했다.[5][6]

골족 민족명 ''Carnutes''는 문자 그대로 '뿔 달린 자들'을 의미하며, 이는 아마도 그들의 전투 헬멧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명칭은 골어 어근 ''carno-''('뿔')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시 원시 켈트어 *''karno-''('뿔, 발굽', 중세 웨일스어 ''carn'' '발굽' 참고)에서 파생되었다. ''Carnutes''라는 이름은 브리튼어군의 ''*Kornouii'', 웨일스어의 ''Kernyw''와 언어학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콘월(Cornwall) 지역을 지칭한다.

기원 400년경에 ''Carnotum''으로 기록된 샤르트르(650년경 ''Carnotis'', 930년 ''Cartis'')는 골족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지리

카르누테스족의 영토는 후에 샤르트르 주교구, 오를레앙 주교구, 블루아 주교구로 조직되었으며,[7] 이는 오늘날 데파르트망 중 외르-에-루아르, 루아레, 루아-에-셰르의 대부분에 해당한다. 로마 관찰자들에게 카르누테스족의 영토는 갈리아 민족의 정치적, 종교적 중심지로 여겨졌다. 주요 요새 도시로는 루아르 강을 건너는 다리가 있던 현대의 오를레앙인 ''세나붐''(잘못 표기된 "제나붐")과 ''아우트리쿰''(또는 ''카르누테스'', 즉 샤르트르)이 있었다. 카이사르가 언급한 대규모 연례 드루이드 집회는 이 두 도시 중 한 곳에서 열렸다. 리비우스의 역사에는 카르누테스족이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통치 시대에 벨로베수스가 이탈리아를 침공할 때 동행한 부족 중 하나였다는 전설이 기록되어 있다.

4. 역사

카르누테스족은 기원전 1세기에 주화를 주조했으며, 주화에는 도상학적으로 다양한 특징이 있었다. 카이사르 시대에는 레미의 속국이었으나, 베르킨게토릭스의 반란에 가담하여 로마에 저항했다. 카이사르는 이들의 중심지인 케나붐을 파괴하고 주민들을 학살하거나 노예로 팔았다. 이후 카르누테스족은 알레시아 전투에도 참여했으나 패배했다.

아우구스투스 통치 시기에는 포에데라티 지위를 얻어 자치를 유지했지만, 로마 제국에 군사적 봉사를 제공해야 했다. 3세기에 아우트리쿰(샤르트르)이 수도가 되었고, 275년 아우렐리아누스는 케나붐을 재건하여 시비타스로 승격시키고 아우렐리아눔(오를레앙)으로 명명했다.

4. 1. 초기 역사

카르누테스족은 기원전 1세기에 주화를 주조했는데, 보통 다이(die)로 찍어냈지만 때로는 '포틴'이라고 불리는 높은 주석 함량의 합금으로 주조하기도 했다. 카르누테스족의 주화는 고향 지역 밖에서도 무더기로 발견되었으며, 어떤 경우에는 발견된 지역이 너무 넓게 분포되어 주조 장소가 불확실하다. 카르누테스족 화폐학도상학은 전통적인 켈트족 토르크가 있는 머리, 별이 있는 늑대, 질주하는 말, 트리스켈리온 모티프를 포함한다. 많은 주화는 달의 초승달, 뱀, 6개 또는 4개의 바퀴살이 있는 바퀴, 오각별 모양의 별, 또는 열매가 달린 가지를 든 손 아래에 있는 호랑가시나무를 가진 독수리를 보여준다. 4개의 바퀴살이 있는 바퀴는 신석기 시대부터 거의 보편적인 이미지인 원 안의 십자가를 형성하며, 때로는 원이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진 고리이기도 하다. 켈트족 사이에서 고리와 바퀴살은 문화에서 흔히 사용되는 태양보다는 4계절로 나뉜 연간 주기를 나타낼 수 있다. 십자가 참조.

카이사르 시대에 카르누테스족은 레미의 속국이었고, 레미는 한때 카르누테스족을 위해 중재했다. 기원전 58~57년 겨울, 카이사르는 카르누테스족에 보호령을 부과하고 지배 씨족에서 선택된 타세게티우스를 왕으로 임명했다. 3년 이내에 카르누테스족은 꼭두각시 왕을 암살했다. 기원전 53년 2월 13일, 케나붐의 카르누테스족은 도시에 주둔한 모든 로마 상인과 카이사르의 식량 보급 장교 중 한 명을 학살했고, 이 반란은 베르킨게토릭스의 지도 아래 갈리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카이사르는 케나붐을 불태우고 그곳에서 남자들을 죽이고 여자와 아이들을 노예로 팔았으며, 약탈물은 그의 군인들에게 분배되어 갈리아 정복 자금을 조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되었다. 그 후 벌어진 전쟁에서 카르누테스족은 알레시아를 구원하기 위해 12,000명의 병사를 파견했지만 갈리아 군대의 패배를 함께했다. 카르누테스족은 도움을 요청한 비투리게스 큐비를 공격하여 굴복해야 했다. 케나붐은 수년 동안 폐허로 남아 있었고, 두 개의 로마 군단이 주둔했다.

아우구스투스 치하에서 카르누테스족은 평정되었지만 로마화되지는 않았으며,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민족 중 하나로서 ''시비타스 소시아'' 또는 ''포에데라티'' 지위로 승격되었다. 카르누테스족은 자치 기관을 유지하고 주화를 주조했으며, 그들의 유일한 의무는 황제에게 군사적 봉사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3세기까지 아우트리쿰(나중에는 Carnutesla, 즉 샤르트르)이 수도였다. 275년 아우렐리아누스는 케나붐을 재건하여 더 이상 ''비쿠스''가 아닌 ''시비타스''로 선포했으며, 이를 ''Aurelianumla'' 또는 ''Aurelianensis urbsla''(결국 ''오를레앙''이 됨)라고 명명했다.

4. 2. 갈리아 전쟁

기원전 58~57년 겨울, 카이사르는 카르누테스족에 보호령을 부과하고 지배 씨족에서 선택된 타세게티우스를 왕으로 임명했다. 3년 안에 카르누테스족은 이 꼭두각시 왕을 암살했다. 기원전 53년 2월 13일, 케나붐(Cenabum)의 카르누테스족은 도시에 주둔한 모든 로마 상인과 카이사르의 식량 보급 장교 중 한 명을 학살했으며, 이 반란은 베르킨게토릭스의 지도 아래 갈리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카이사르는 케나붐을 불태우고 그곳의 남자들을 죽이고 여자와 아이들을 노예로 팔았으며, 약탈물은 그의 군인들에게 분배되어 갈리아 정복 자금을 조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되었다. 이후 벌어진 전쟁에서 카르누테스족은 알레시아를 구원하기 위해 12,000명의 병사를 파견했지만, 갈리아 군대의 패배를 함께했다. 이들은 도움을 요청한 비투리게스 큐비를 공격하여 굴복해야 했다. 케나붐은 수년 동안 폐허로 남아 있었고, 두 개의 로마 군단이 주둔했다.

4. 3. 로마 시대

기원전 1세기에 카르누테스족은 주화를 주조했는데, 주로 다이(die)로 찍었지만 때로는 '포틴'이라고 불리는 주석 함량이 높은 합금으로 주조하기도 했다. 이들의 주화는 고향 지역 밖에서도 많이 발견되었으며, 발견 지역이 넓게 분포되어 주조 장소가 불확실한 경우도 있다. 카르누테스족 화폐학도상학은 전통적인 켈트족 토르크가 있는 머리, 별이 있는 늑대, 질주하는 말, 트리스켈리온 모티프 등을 포함한다. 많은 주화에는 달의 초승달, 뱀, 4개 또는 6개의 바퀴살이 있는 바퀴, 오각별 모양의 별, 열매가 달린 가지를 든 손 아래에 있는 호랑가시나무를 가진 독수리 등이 나타난다. 4개의 바퀴살이 있는 바퀴는 신석기 시대부터 보편적인 이미지인 원 안의 십자가를 형성하며, 때로는 원이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진 고리이기도 하다. 켈트족 사이에서 고리와 바퀴살은 문화에서 흔히 사용되는 태양보다는 4계절로 나뉜 연간 주기를 나타낼 수 있다.

카이사르 시대에 카르누테스족은 레미의 속국이었으며, 레미족은 한때 그들을 위해 중재하기도 했다. 기원전 58~57년 겨울, 카이사르는 카르누테스족에게 보호령을 부과하고 지배 씨족에서 선택된 타세게티우스를 왕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3년 안에 카르누테스족은 이 꼭두각시 왕을 암살했다. 기원전 53년 2월 13일, 케나붐(Cenabum)의 카르누테스족은 도시에 주둔한 모든 로마 상인과 카이사르의 식량 보급 장교 중 한 명을 학살했고, 이 반란은 베르킨게토릭스의 지도 아래 갈리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카이사르는 케나붐을 불태우고 남자들을 죽이고 여자와 아이들을 노예로 팔았으며, 약탈물은 그의 군인들에게 분배되어 갈리아 정복 자금을 조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되었다. 이후 벌어진 전쟁에서 카르누테스족은 알레시아를 구원하기 위해 12,000명의 병사를 파견했지만 갈리아 군대의 패배를 함께했다. 그들은 도움을 요청한 비투리게스 큐비를 공격하여 굴복해야 했다. 케나붐은 수년 동안 폐허로 남아 있었고, 두 개의 로마 군단이 주둔했다.

아우구스투스 통치하에 평정되었지만 로마화되지는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카르누테스족은 갈리아 루그두넨시스의 민족 중 하나로서 ''시비타스 소시아''(civitas socia) 또는 ''포에데라티'' 지위로 승격되었다. 그들은 자치 기관을 유지하고 주화를 주조했으며, 황제에게 군사적 봉사를 제공하는 것이 유일한 의무였다. 3세기까지 아우트리쿰(Autricum, 나중에는 카르누테스, 즉 샤르트르)이 수도였다. 275년 아우렐리아누스는 케나붐을 재건하여 더 이상 ''비쿠스''(vicus)가 아닌 ''시비타스''로 선포하고, ''아우렐리아눔''(Aurelianum) 또는 ''아우렐리아넨시스 우르브스''(Aurelianensis Urbs, 결국 ''오를레앙''이 됨)라고 명명했다.

참조

[1]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1] 서적 Ab Urbe Condita Libri
[2] 기타
[3] 서적 Geōgraphiká
[4] 서적 Geōgraphikḕ Hyphḗgēsis
[5] 서적 Notitia Dignitatum
[6] 논문 Carnutes 2010
[7] 간행물 Carnutes EB1911
[8] 웹사이트 Monnaies http://www.cgb.fr/mo[...] CG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