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방칼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방칼란은 필리핀 네그로스 옥시덴탈 주에 위치한 도시로, 1997년 시로 승격되었다. 역사는 지역의 풍부한 나무에서 유래된 이름과 초기 정착민들의 바랑가이 형태의 정부에서 시작되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와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기독교화, 민주주의 도입, 설탕 산업 발전을 경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의 점령을 겪었으며, 전후 재건 노력을 통해 농업과 상업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현재 카방칼란은 32개의 바랑가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힐리가이논어와 세부아노어를 주로 사용하고, 카롤라노어를 사용하는 유일한 지역이다. 주요 산업은 설탕 산업이며, 카방칼란-마비나이 고속도로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된다. 건설 중인 카방칼란 시 국내 공항은 네그로스 지역의 두 번째 공항이 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카방칼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카방칼란 대성당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대성당 본당
카방칼란 시의 기
카방칼란 시의 기
카방칼란 시의 문장
카방칼란 시의 문장
공식 명칭City of Kabankalan
별칭남쪽의 떠오르는 도시
명명 유래Nauclea orientalis (현지에서는 "Bangkal"이라고 함)
국가필리핀
지방서비사야
네그로스옥시덴탈 주
설립일1907년 3월 14일
시 승격일1997년 8월 2일
시장벤지 M. 미란다
부시장미겔 M. 자이코
하원 의원메르세데스 K. 알바레스
시 의회로저 M. 레갈리아
제나 코르도바-헤니제라
조스타르 B. 반도호
아돌포 T. 망가오 주니어
마카리오 Z. 자프라 3세
제르지 M. 관존
레이 G. 코르데로
호세 M. 두마게테
마리 빅 아나칸-라모스
조안 D. 카가페
유권자 수명 (2019년)
해발 고도27 m
최대 해발 고도1455 m
최소 해발 고도0 m
면적km2
인구 (2020년)
시간대PST
UTC 오프셋+8
웹사이트웹사이트
행정 구역
바랑가이 수32개 (Barangays 참조)
경제
빈곤율% ()
수입()
자산()
지출()
부채()
서비스 제공자
전기}}
기후
기타 정보

2. 역사

1830년, 세 명의 카피탄(Polito Moreno, Vicente Rojas, Mariano Vingal)이 힐라방안 강에 있던 자신들의 바랑가이를 오롱 지역으로 옮겨 마을을 건설해 달라고 정부에 청원했다. 그들은 일로일로의 티그바우안에서 이주해 온 레오카디오 타윰 이 그리고리오를 새 지도자로 선출했고, 그는 1년 동안 재임했다. 1856년, 에밀리오 사르비아 총독의 500명 위원과 경찰이 포블라시온에 주둔하여 카롤란에서 현지 추장 마냐보그의 "통나무로 만든" 요새를 공격했으나, 마냐보그는 오랫동안 스페인 포병에 맞섰다. 결국 유탄에 마냐보그가 사망하자, 지도자의 죽음을 본 그의 부하 300명은 부족 자살로 생을 마감했고, 반대편에서는 7명이 사망했다.

전쟁 후, 카방칼란은 다콩고곤과 소네드코 두 설탕 공장 설립을 통해 재건에 힘썼다. 이는 카방칼란을 농업 산업 개발의 중심지이자 남부 네그로스 상업 및 무역의 요지로 만들었다. 설탕 산업의 성장에 따라 은행, 금융 기관, 상업 시설들이 카방칼란에 지점과 사무실을 설립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초, 두 설탕 공장 설립은 카방칼란이 네그로스에서 가장 발전하는 마을 중 하나로 발돋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2. 1. 초기 역사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카방칼란의 첫 거주자는 인근 마을에서 온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이 지역에 많이 자라던 "방칼"(''Nauclea orientalis'') 나무의 이름을 따서 카방칼란이라고 불렀다. 정착민들은 각 그룹마다 지도자(Capitan이라고 불림)가 있는 바랑가이 형태의 정부를 수립했다.[3]

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66년, 아우구스티누스 선교사들이 비날바간(1575년), 탄자이(1580년), 일로그(1584년)에 선교 기지를 세우면서 네그로스 섬의 기독교화가 시작되었다.[3] 1622년에는 세부의 페드로 데 아르세 주교의 요청에 따라 레콜렉트 수도사들이 네그로스 섬에 복음을 전파하러 왔다.[3] 카방칼란을 포함한 비날바간의 영적 관리는 그들에게 양도되었다.[3]

일로그 선교 기지가 예수회에 넘어가면서 4개의 마을이 있었는데, 일로그가 주요 마을이었다.[3] 1630년 문서에 엔코미엔다의 중심지로 등장하는 카방칼란은 크리스토발 데 루고 이 몬탈보 제독의 중심지였다.[3] 세 번째는 지마 또는 시마였고, 네 번째는 아마 수아이였을 것이다.[3] 카방칼란에서 활동한 예수회는 에스테반 하이메 신부였다. 1767년 예수회가 필리핀에서 추방된 후, 도미니코회 선교사들이 네그로스의 영적 관리를 이어받았고, 1769년 마누엘 디에즈 신부가 카방칼란에 배정되었다. 스페인 통치 기간 동안 스페인 사람들은 사람들에게 스페인어를 가르치고 로마 가톨릭 종교를 소개했다.

2. 3. 혁명과 독립

1896년 중반까지 카방칼란, 일로그, 히마마일란, 수아이, 카우아얀의 아시엔데로들을 위해 카방칼란의 비니쿠일에 무기가 하역되었지만, 그들은 준비가 되지 않았고 승리에 대한 확신이 없다는 것을 알고 봉기에 참여하기를 자제했다.[3] 아니세토 락손과 같은 혁명 지도자들은 카티푸난에 가입하고 다른 사람들은 무장하는등 1898년 실제 봉기가 일어나기 전에 이미 은밀한 활동이 진행 중이었다. 1898년 11월 7일에야 카방칼란은 바콜로드가 스페인 당국으로부터 점령된 후 무기를 들었다. 칸토날 네그로스 공화국은 1898년 11월 5일에 선포되었다.

2. 4. 미국 통치 시대

미국인들이 오면서 민주주의 형태의 정부를 도입하였다. 이 시기에 마을에는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고, 미국인들이 지역 농부들에게 새로운 현대식 농업 기술을 도입하여 제품이 개선되었다. 1903년 4월 2일, 필리핀 위원회는 네그로스 옥시덴탈 주의 34개 지방 자치 단체를 21개로 줄이는 법률 제716호를 통과시켰고, 이에 따라 카방칼란 지방 자치 단체는 일로그에 병합되었다.[3] 1907년 3월 14일, 필리핀 위원회는 법률 제1612호를 통과시켜 네그로스 옥시덴탈의 지방 자치 단체 수를 21개에서 22개로 늘렸으며, 일로그에서 이전 카방칼란 지방 자치 단체를 분리하여 카방칼란이라는 이름으로 재구성했다. 1907년 중반, 파파 이시오가 이끄는 "풀라한"이라는 반군 집단이 마을을 습격하여 모든 가옥을 불태웠다. 그러나 카방칼란 사람들은 신속하게 복구하여 반군이 일으킨 파괴로부터 마을을 재건했다. 로렌조 자이코는 특별 선거에서 시장으로 선출되어 1908년 1월 2일 다른 선출된 관리들과 함께 취임 선서를 했다. 전쟁 전 카방칼란은 설탕 산업의 발전을 보였으며, 하시엔다 베아린과 하시엔다 산 이시드로에 설탕 공장이 세워졌다.

2. 5.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카방칼란은 일본 제국군에 의해 주둔 도시가 되었다. 설탕 공장이 파괴되고, 학교 건물은 철거되었으며, 가옥은 초토화되었다.[3] 이 시기에 필리핀 연방군의 인정받는 게릴라 부대와 현지 군대가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우기 위해 결성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일본군의 학대를 피해 산으로 도망갔다.[3] 미국인들이 연방군과 헌병대 소속 필리핀 군인들과 인정받는 게릴라를 지원하기 위해 섬으로 돌아왔을 때, 그들은 사람들이 일본의 점령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왔다.[3]

2. 6. 시 승격

피델 V. 라모스 당시 대통령에 의해 1997년 8월 2일 공화국 법 8297호에 따라 카방칼란은 시로 선포되었다.[1]

3. 지리

카방칼란은 네그로스 섬 남부 중앙에 위치하며, 마가소 폭포와 같은 주요 지형지물이 있다.

카방칼란의 월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1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303132333230292929293030
평균 최저 기온 (°C)222222242525252424242323
평균 강수량 (mm)3829556514121021217618018013070
평균 강우 일수9.07.211.113.525.628.428.927.326.927.721.813.8



마가소 폭포

3. 1. 위치

카방칼란은 네그로스 섬 남부 중앙에 있으며, 북위 10도, 동경 122도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히마마일란, 북서쪽으로는 파나이 만, 남서쪽으로는 일로그 시와 접하고, 남동쪽으로는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와 접한다. 바콜로드에서 88km, 두마게테에서 127km, 최남단 도시 히노바안에서 99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697.35km2로, 네그로스 옥시덴탈에서 가장 크며, 바야완 (699.08km2)에 이어 네그로스 섬 전체에서 두 번째로 크다.

3. 2. 기후

코로나스 기후 분류 시스템에 따르면 카방칼란은 유형 III에 속한다. 12월부터 5월까지는 건기이며, 6월부터 11월까지는 우기이다. 평균 기온은 26°C이다.[14]

3. 3. 바랑가이

카방칼란 시는 32개의 바랑가이로 정치적으로 세분화된다. 각 바랑가이는 푸로크로 구성되며 일부는 시티오를 가지고 있다.

바랑가이 이름
반타얀
비니쿠일
카만시
카밍아완
카무가오
카롤-안
다안 바누아
힐라모난
이나포이
리나오
로코탄
마그발로
오린가오
오롱
피나구인피난
바랑가이 5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6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7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8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9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1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2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3 (포블라시온)
바랑가이 4 (포블라시온)
살롱
타부곤
타고크
타구콘
탈루방기
탐팔론
탄-아완
타피


4. 인구

필리핀 통계청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카방칼란의 인구는 2020년 기준 200,198명이다.[1][2][3][4] 1903년 첫 인구 조사에서는 6,461명이었으며,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20년에는 20만 명을 넘어섰다.

카방칼란에서는 힐리가이논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세부아노어도 널리 사용된다. 이 두 언어는 일상생활에서 서로 바꿔가며 사용될 수 있다. 필리핀 영어와 필리피노어는 제2 언어로 사용된다.

특히 카방칼란은 카롤라노어가 사용되는 유일한 도시로, 이 언어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보존이 필요한 취약 언어로 분류된다. 카롤라노어는 카방칼란 원주민의 문화와 예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카방칼란시는 네그로스옥시덴탈주 내에서 시팔라이시, 에스칼란테시, 카디스시, 사가이시, 산 카를로스시 등과 함께 히노바안, 돈 살바도르 베네딕토, 라 카스텔라나, 모이세스 파디야, 토보소, 칼라트라바 등의 자치 도시와 더불어 세부아노어와 힐리가이논어를 모두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다.

4. 1. 인구 조사

카방칼란 인구 조사[1][2][3][4]
연도인구±% p.a.
19036,461
19187,5521.04%
193929,6026.71%
194847,8175.48%
196059,3411.84%
197089,6954.23%
197596,6261.51%
1980102,1651.12%
1990127,0002.19%
1995139,2821.81%
2000149,7691.57%
2007166,9701.51%
2010167,6660.15%
2015181,9771.58%
2020200,1981.89%



도시의 항공 사진, 중앙에 카방칼란 대성당이 보인다.


카방칼란의 주요 언어는 힐리가이논어이며, 세부아노어가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 두 언어는 일상생활에서 서로 바꿔가며 사용될 수 있다. 필리핀 영어와 필리피노어는 제2 언어로 사용된다.

카방칼란은 카롤라노어가 사용되는 유일한 도시이다. 카롤라노어는 사용 지역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취약 언어로 분류되어 보존이 시급하며, 카방칼란 원주민의 문화와 예술에 필수적인 언어이다.

카방칼란시는 시팔라이, 에스칼란테, 카디스, 사가이, 산 카를로스 시, 그리고 히노바안, 돈 살바도르 베네딕토, 라 카스텔라나, 모이세스 파디야, 토보소, 칼라트라바 등의 자치시와 함께 네그로스옥시덴탈주에서 세부아노어(비사야어)와 힐리가이논어(일롱고어)를 동시에 구사하고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이는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정착민들이 이 지역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4. 2. 언어

카방칼란의 주요 언어는 힐리가이논어이며, 세부아노어가 그 뒤를 잇는다. 이 두 언어는 일상생활에서 서로 바꿔가며 사용될 수 있다. 필리핀 영어와 필리피노어는 제2 언어로서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카방칼란은 카롤라노어가 사용되는 유일한 곳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카롤라노어는 사용 지역의 지리적 특성 때문에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어 보존이 시급하며, 카방칼란 원주민의 문화와 예술에 매우 중요하다.

카방칼란시는 네그로스옥시덴탈주에서 시팔라이시, 에스칼란테시, 카디스시, 사가이시, 산 카를로스시 등과 함께 히노바안, 돈 살바도르 베네딕토, 라 카스텔라나, 모이세스 파디야, 토보소, 칼라트라바 등의 자치 도시와 더불어 세부아노어(비사야어)와 힐리가이논어(일롱고어)를 동시에 사용하고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지역인데, 이는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정착민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왔기 때문이다.

5. 경제

카방칼란은 설탕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해왔다. 다콩고곤(Dacongcogon)과 소네드코(SONEDCO) 설탕 공장은 카방칼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필리핀 정부의 경제 정책은 카방칼란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빈곤 감소 정책은 카방칼란의 빈곤율을 낮추는 데 기여했지만, 빈곤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5. 1. 빈곤율

연도200620092012201520182021
빈곤율 (%)45.440.637.835.521.919.1



'''출처:''' 필리핀 통계청[5][8][9][10][11][12]

카방칼란의 빈곤율은 2006년 45.4%에서 2021년 19.1%로 꾸준히 감소하였다. 특히 2018년과 2021년 사이에 빈곤율이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필리핀 정부의 빈곤 감소 정책 효과로 분석된다. 그러나 카방칼란의 빈곤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므로, 지속적인 빈곤 감소 노력이 필요하다.

6. 사회 기반 시설

카방칼란은 바콜로드에서 남쪽으로 1시간(대중교통 이용 시 약 2시간) 거리에 위치하며, 네그로스 남부 경제 활동의 중심지이자 남쪽 지역으로 가는 관문이다. 바이스–카방칼란-마비나이 고속도로를 통해 두마게테와 연결된다. 현재 카방칼란 시 국내 공항이 건설 중이며, 완공 시 바콜로드-실라이 국제공항에 이어 이 지역의 두 번째 공항이 된다.

6. 1. 교통

카방칼란은 바콜로드에서 차로 1시간 이상 남쪽에 위치해 있다. 대중교통으로는 약 2시간 정도 걸린다. 네그로스 남부 경제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이 도시는 남쪽으로 향하는 다양한 목적지로 가는 출발점이기도 하며, 바이스–카방칼란-마비나이 고속도로를 통해 두마게테,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주도와 연결된다.

현재 건설 중인 카방칼란 시 국내 공항은 개항하면 바콜로드-실라이 국제공항에 이어 이 지역의 두 번째 공항이 될 것이다.

참조

[1] DILG detail
[2] 웹사이트 Kabankalan City is best performing city in WVisayas - PIA http://archives.pia.[...]
[3] 서적 Cuesta, 1980
[4] 웹사이트 Kabankal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07
[5] 웹사이트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6] 간행물 2000
[7] 간행물 2003
[8] 간행물 2006
[9] 간행물 2012
[10] 간행물 2015
[11] 간행물 2018
[12] 간행물 2021
[13] 뉴스 Zayco: Kabankalan airport work still on http://www.visayanda[...] The Daily Star 2015-11-25
[14] 웹인용 Kabankalan: Average Temperatures and Rainfall https://www.meteoblu[...] Meteoblue 2020-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