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FLEC)은 1963년 결성된 단체로, 1885년 시물람부코 조약으로 포르투갈에 귀속된 카빈다 지역의 독립을 목표로 활동했다. 포르투갈 식민 전쟁 기간 동안 포르투갈군과 교전했으며, 1975년 카빈다의 독립을 선포했으나 분열되었다. 앙골라 내전 기간 중 앙골라 정부를 상대로 무장 투쟁을 벌였으며, 2010년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 버스 공격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빈다주 - 카빈다 분쟁
카빈다 분쟁은 1885년 포르투갈 식민지 이후 앙골라 독립 후에도 카빈다 지역에서 지속된 분리주의 무장 투쟁으로, 자결권, 석유 자원, 인권 침해 등을 쟁점으로 2006년 휴전 이후에도 무력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 1963년 설립된 정당 - 민중당 (1967년)
민중당 (1967년)은 1967년 대한민국에서 창당되어 군사정권의 탄압 속에서도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려 했으나 소멸된 정당이다. - 1963년 설립된 정당 - 재건당
재건당은 (주요 주제 1)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하위 주제 1.1)과 (하위 주제 1.2)에 대한 정책을 펼치고 (주요 주제 2)와 관련된 사안에도 관심을 기울이며 (하위 주제 2.1)과 (하위 주제 2.2)를 주요 공약으로 제시하고 (주요 주제 3)에 대한 입장도 밝힌다. - 앙골라 내전 - 모부투 세세 세코
모부투 세세 세코는 쿠데타로 콩고민주공화국(자이르 공화국)을 1965년부터 1997년까지 통치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일당 독재 체제 구축, 모부투주의를 통한 개인숭배 조장, 부정부패와 인권 탄압을 자행했으며, 냉전 시대 서방의 지원으로 장기 집권했으나 1990년대 실각 후 망명지에서 사망했다. - 앙골라 내전 - 앙골라 민족해방전선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은 콩고족 중심의 앙골라 북부 인민동맹(UPNA)에서 시작된 앙골라 정당으로, 독립 전쟁 중 무장 봉기 실패 후 자이르로 망명하여 재편되었으며, 미국과 자이르의 지원을 받으며 MPLA와 UNITA와 함께 독립 투쟁을 벌였고, 독립 후 MPLA와의 내전에서 패배 후 야당으로 활동하며 의회 진출에 성공했으나 지지율 하락을 겪었으며, 부족주의적 성향과 외부 세력 의존으로 비판받는다.
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 |
원어 이름 | Frente para a Libertação do Enclave de Cabinda |
다른 이름 | Movimento para a Libertação do Enclave de Cabinda |
약칭 | FLEC |
![]() | |
![]() | |
활동 시작 | 1963년 |
현재 상태 | 활동 중 |
주요 인물 | 안토니우 벤투 벰베 |
목표 및 이념 | |
목표 | 카빈다 주 독립 |
이념 | 분리주의 |
활동 지역 | |
주요 활동 지역 | 앙골라 카빈다 주 |
관련 단체 | |
하위 단체 | 카빈다군 카빈다 공산주의자 위원회 |
유래 단체 | MLEC CAUNC ALLIAMA |
동맹 단체 | 세계자유민주연맹 FLEC CCC |
동맹 국가 | 남아프리카 공화국 (1928년 ~) 프랑스 벨기에 중화인민공화국 (1975년) 자이르 (~1997) |
적대 단체 | MPLA ANC (~1991) UNITA (1991년) |
적대 국가 | 포르투갈 남아프리카 공화국 (1928년 ~) 쿠바 소련 동독 앙골라 |
활동 내역 | |
주요 전투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앙골라 독립 전쟁 앙골라 내전 카빈다 전쟁 |
기타 | |
웹사이트 | 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 위키백과 |
범죄 행위 |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 공격 |
2. 역사
1885년 시물람부코 조약으로 카빈다가 포르투갈의 보호령이 되었다.[2][3] 1963년 카빈다 앙클레이브 해방 운동(MLEC), 카빈다 국민연합 행동위원회(CAUNC), 마욤베 국민동맹(ALLIAMA)의 세 조직이 합쳐져 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FLEC)을 결성했다.[4]
포르투갈 식민 전쟁 기간 동안 FLEC는 포르투갈군과 싸웠다. 1974년 카네이션 혁명으로 에스타두 노보 정권이 몰락한 후, 1975년 FLEC은 임시 정부를 구성하여 카빈다의 독립을 선포하고 루이스 랑크 프랑크를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그러나 FLEC은 여러 파벌로 분열되었다. FLEC-랑크 프랑크, 엔지타가 이끄는 FLEC-엔지타, 프란시스코 자비에르 루보타가 이끄는 FLEC-루보타 외에도 1977년 카빈다 해방 군사 사령부, 1979년 카빈다 해방 인민 운동(MPLC), 1988년 카빈다 공산주의 위원회(CCC), 1990년대 카빈다 해방을 위한 전국 연합, 1996년 카빈다 주 해방 전선(FLEC (로페스)) 등 다양한 분파들이 생겨났다.
1980년대 FLEC은 앙골라 완전 독립을 위한 전국 연합(UNITA)과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2002년 앙골라군은 FLEC-레노바다를 사로잡았다고 발표했다.[5] FLEC-FAC는 카빈다 안팎에서 독립을 위한 투쟁을 계속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연합의 인권 및 소수민족 권리 위원회에 개입을 요청했다.
2010년에는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 버스가 FLEC의 공격을 받아 여러 명이 사망하거나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6]
2. 1. 카빈다의 역사와 포르투갈의 식민 지배
1885년 포르투갈 정부 대표와 은고요 왕국 관리들 사이에 체결된 시물람부코 조약[16][17]에 따라 카빈다는 포르투갈에 귀속되었다. 조약 체결 이전인 1885년 2월, 포르투갈 왕실은 카빈다의 관리들과 왕자들이 포르투갈의 보호를 요구했다고 주장했고,[18] 이를 근거로 카빈다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19] 시물람부코 조약을 통해 포르투갈의 카빈다 영유권이 인정되었으며, 분할되어 있던 은고요 왕국, 로앙고 왕국, 카콩고 왕국이 카빈다주로 통합되었다.카빈다주를 앙골라에 귀속시키려는 논의는 192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1933년의 포르투갈 헌법은 앙골라 식민지와 카빈다 보호령을 구분했지만, 1956년에 카빈다의 행정은 앙골라 총독에게 넘어갔다. 앙골라와 카빈다의 법적 지위 차이는 1971년 포르투갈 헌법에도 명시되어 있다.[20] 하지만 1951년 앙골라가 프로빈시아 우트라마리누로 승격되었을 때 카빈다는 앙골라의 주였던 것처럼 취급되었다.
2. 2. 단체 창립과 앙골라 독립 전쟁
1963년 카빈다 월경지 해방운동, 마욤베 민족동맹, 카빈다 민족연합 활동위원회가 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FLEC)을 창립했다.[21] 같은 시기 포르투갈령 앙골라에서는 독립 전쟁이 발발했고, FLEC는 포르투갈군과 맞서 싸웠다. 독립 전쟁은 약 10년 동안 계속되었다.[4]그러나 포르투갈 내부에서도 위리야무 학살 등으로 인해 전쟁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가 떨어졌고,[26][22][23][24][25] 좌익 학생들과 반전 운동가들은 징집을 피해 미국과 프랑스로 도주했다. 한편 이스타두 노부(포르투갈 제2공화국) 정권이 식민 전쟁에 많은 비용을 투입하면서, 포르투갈은 국제적으로 무기 엠바고를 비롯한 제재를 받았다.[26] 결국 포르투갈 국내외의 복합적인 요소로 인해 1974년 4월 25일 카네이션 혁명이 발발했고, 이스타두 노부에 반대하던 군인들이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교체하면서 1933년 포르투갈 헌법이 개정되었다. 이 혁명으로 포르투갈의 해외 식민지들도 모두 독립하게 되었다.[27][28]
카네이션 혁명 이후 포르투갈과 앙골라 독립 전쟁에 참전했던 앙골라 해방인민운동(MPLA), 앙골라 민족해방전선(FNLA),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UNITA)은 1974년 4월 25일부터 앙골라의 독립에 대해 논의했다. 이들 3개 세력의 지도자는 자이르 부카부에서 만나 하나의 정체(政體)를 만들기로 합의했고, 1975년 1월 5일 케냐 몸바사에서 서로 싸우지 않기로 합의했다. 1975년 1월 10일부터 15일까지 MPLA, FNLA, UNITA는 포르투갈 알보르에서 만나 알보르 합의에 서명했다.[29] 앙골라는 알보르 합의로 독립을 이룩했지만, 이 과정에서 FLEC는 제외되었고 카빈다 문제도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
2. 3. 분파 및 분할
엔리케 은지타 티아고가 카빈다의 독립을 위한 강경 무장 투쟁을 주장하면서, 이에 대한 의견 차이로 1970년대에 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FLEC)은 여러 파벌로 나뉘었다.[30]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FLEC-은지타: 엔리케 은지타 티아고가 이끄는 파벌
- FLEC-루보타: 프란시스쿠 자비에 루보타가 이끄는 파벌
1979년 6월에는 카빈다 해방인민운동이 FLEC에서 분리되어 창설되었다.[31] 1988년에는 카빈다 공산당 위원회가, 1996년에는 네덜란드에서 카빈다국 해방전선이 FLEC에서 떨어져 나왔다.[32][33]
2. 4. 앙골라 내전과 테러
1975년부터 2002년까지 이어진 앙골라 내전 기간 동안 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FLEC)은 앙골라 정부와 무력 충돌을 벌였다. FLEC은 여러 분파로 나뉘어 활동했는데, 특히 은지타가 이끄는 원래 FLEC 그룹은 1990년대부터 앙골라 정부를 상대로 테러를 자행했다.[34] FLEC-R은 앙골라 정부 관리와 지지자들의 귀와 코를 잘라내는 잔혹한 행위를 하기도 했다.[34] 1992년에는 FLEC 무장세력이 버스를 멈춰 세우고 셰브론 석유회사 직원들을 강제로 내보낸 뒤 버스에 불을 지르는 사건이 발생했고, 같은 해 말롱고에서는 FLEC와 경찰 사이에 대규모 전투가 벌어져 25발의 박격포탄이 인근 셰브론 단지를 강타하기도 했다.[35] 2002년 12월, 앙골라 정부군은 FLEC-R을 격파했다고 선언했다.[36]2. 4. 1.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 공격
2010년 1월 8일,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 버스가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으로 이동하던 중, 앙골라군의 호위를 받으며 분쟁 지역인 카빈다를 통과하다가 무장괴한들의 공격을 받았다. 이어진 총격전으로 수석 코치, 팀 대변인, 버스 운전사가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다.카빈다 해방전선(FLEC)의 분파가 이 공격의 배후를 자처했다. 카빈다 해방전선-군사부대(FLEC-PM)의 사무총장 로드리게스 밍가스는, 그의 전투원들이 카빈다를 통과하는 차량 행렬이 지나갈 때 경비병을 공격하려 했다고 밝혔다. 밍가스는 프랑스24 TV와의 인터뷰에서 "이 공격은 토고 선수들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행렬 선두의 앙골라군을 겨냥한 것이었다. 선수들이 총격을 맞은 것은 순전히 우연이었다. 우리는 토고와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아프리카 유족들과 토고 정부에 애도를 표한다. 우리는 카빈다의 완전한 해방을 위해 싸우고 있다."고 말했다.[6]
3. 납치
이 단체 구성원들은 카빈다에서 여러 외국인을 인질로 잡았다. 2000년 5월, FLEC-FAC는 포르투갈 계약업체의 외국인 직원 3명과 현지 직원 1명을 납치했고, 두 달 만에 이들을 석방했다.[5]
4. 외부 지원
프랑스는 앙골라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2009년 10월 새로운 해상 유전을 발견한 프랑스의 석유 대기업 토탈에너지는 앙골라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앙골라는 나이지리아 다음으로 토탈에너지 생산량에 두 번째로 크게 기여하는 국가이다.[7] 앙골라 언론에 따르면, 프랑스와 포르투갈은 2010년 토고 축구 국가대표팀 공격(FLEC이 책임을 주장한 사건) 이후 분리주의 운동 지도자들의 송환을 허용할 것이라고 한다.[8]
참조
[1]
서적
The Warrior Tradition in Modern Africa
[2]
웹사이트
UNPO Resolution Concerning the Cabinda Enclave
http://www.unpo.org/[...]
2005-07-07
[3]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gola
[5]
웹사이트
Global Security. Military. Cabinda
http://www.globalsec[...]
[6]
뉴스
Togo footballers were attacked by mistake, Angolan rebels say
https://www.theguard[...]
2010-01-11
[7]
뉴스
Togo Bus Rampage Exposes France's Angola Ties
https://www.nytimes.[...]
2010-01-12
[8]
뉴스
Portugal to hand over Cabinda separatist leaders?
http://www.the-news.[...]
2010-01-15
[9]
웹인용
All the Presidents Men
https://www.globalwi[...]
[10]
웹인용
RUMORED FRENCH AID TO CABINDA LIBERATION MOVEMENT
https://wikileaks.or[...]
1974-10-25
[11]
웹인용
CSIS Africa Notes
http://csis.org/file[...]
1992-06-01
[12]
웹인용
ANGOLA – SECOND, "DEFINITIVE" CEASE-FIRE SIGNED IN CABINDA
https://wikileaks.or[...]
2006-07-19
[13]
웹인용
Angola: Information on an anti-government group called Frente Liberaccion d'Enclave Cabinda (FLEC)
http://www.refworld.[...]
1995-11-01
[14]
웹인용
Война на чужбине
http://vecherka.done[...]
2014-02-15
[15]
서적
The Warrior Tradition in Modern Africa
[16]
웹인용
UNPO: UNPO Resolution Concerning the Cabinda Enclave
http://www.unpo.org/[...]
2017-07-12
[17]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18]
웹인용
Cabinda. Notes on a soon-to-be-forgotten war
http://www.iss.co.za[...]
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2009-10-15
[19]
웹인용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in the Angolan Enclave of Cabinda
http://www.africa.up[...]
[20]
웹인용
Portugal's Constitution of 1976 with Amendments through 2005
https://www.constitu[...]
[2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gola
https://archive.org/[...]
[22]
서적
Oa anos da Guerra Colonial – Wiriyamu, De Moçambique para o mundo
Lisboa
[23]
서적
Portugal's African Wars
N.Y.
[24]
서적
Massacres em África
A Esfera dos Livros, Lisbon
[25]
문서
Mozambique-Insurgency Against Portugal, 1963–1975
United States Marine Corps
2007-03-10
[26]
뉴스
Adrian Hastings
https://www.telegrap[...]
2001-06-26
[27]
웹사이트
Angola 1966–74
https://web.archive.[...]
[28]
서적
The Superpowers and Africa: The Constraints of a Rivalry:1960–1990
Univ. Of Chicago
[29]
서적
Managing Ethnic Conflict in Africa: Pressures and Incentives for Cooperation
https://archive.org/[...]
Brookings Institution Press
[30]
웹인용
FLEC: 50 anos a afirmar "Cabinda não é Angola"
https://www.dw.com/p[...]
DW
2013-02-08
[31]
웹사이트
Front for the Liberation of the Enclave of Cabinda (Frente para a Libertação do Enclave de Cabinda--FLEC)
http://www.globalsec[...]
[32]
웹사이트
Front for the Liberation of the Enclave of Cabinda (Frente para a Libertação do Enclave de Cabinda--FLEC)
http://www.globalsec[...]
[33]
서적
Africa: Terrorism and Para-Military Groups Handbook Volume 1 Strategic Information and Terrorist Groups
https://books.google[...]
IBP USA
2007
[34]
서적
The New Regionalism in Africa
Ashgate Publishing
[35]
서적
Significant Incidents of Political Violence Against Americans 1992
DIANE Publishing
[36]
웹사이트
Global Security. Military. Cabinda
http://www.globalse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