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커터 (범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커터는 18세기 초부터 속도를 위해 설계된 범선의 한 종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영국 해군은 밀수 단속, 통보선, 사략선에 대항하기 위해 커터를 건조했으며, 전형적인 커터는 넓은 선체와 붐이 선미로 뻗은 개프 메인세일, 사각 돛, 여러 헤드세일을 갖춘 형태였다. 18세기에는 빠른 속도를 가진 선박 보트에도 커터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19세기에는 범장(sailing rig)의 한 종류로 정의되었다. 현대에는 로잉 커터, 파일럿 커터, 세관 서비스(감시정) 등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했으며, 특히 세관 감시정은 불법 화물 단속에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범선 유형 - 캐러벨
    캐러벨은 15세기경 개발된 소형 범선으로, 삼각돛을 사용하여 역풍 항해가 가능하고 연안 항해에 유리하여 대항해시대에 기여했으나, 이후 카라크에 자리를 내주었으며, 돛 형태에 따라 카라벨 라티나와 카라벨 레돈다로 나뉜다.
  • 범선 유형 - 정크 (선박)
    정크는 중국에서 유래한 독특한 구조의 범선으로, 좁아지는 뗏목에서 진화한 격벽 구조, 조절 가능한 타, 배턴을 사용한 돛을 특징으로 하며, 아시아 해상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서양 조선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커터 (범선)
선박 종류
종류단돛배
용도순찰
통관
엽총 사격
경주
여가
역사
기원18세기
기원 국가영국
주요 사용 시기18세기 ~ 현재
특징
돛대 수단일 돛대
가프 돛 또는 버뮤다 돛
선수재1개 이상의 현수범
선체좁고 길쭉한 선체
조작성뛰어난 조작성
강도튼튼한 구조
모든 기상 조건에 적합
종류별 특징
전통적인 커터더 무거운 구조와 더 큰 돛 면적을 가짐
현대적인 커터가벼운 재료와 더 효율적인 돛 디자인을 사용
활용
군사적 활용해군 및 세관에서 순찰 및 통관 목적으로 사용
스포츠 및 여가 활용요트 경주 및 여가 활동에 사용
추가 정보
관련 용어슬루프
요트
범선

2. 역사적 배경

커터의 역사는 18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커터는 빠른 속도를 위해 설계된 선체 유형을 지칭하는 용어였다. 19세기에는 클리퍼와 유사한 방식으로 커터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 1781년경부터 1807년까지는 "커터 빌트"라는 용어가 이러한 유형의 선체에 적용되었고, "커터"라는 단어는 곧 단일 마스트 리깅과 연관되었다.[3]

커터는 빠른 속도 때문에 밀수와 같은 불법적인 목적에 자주 사용되었고, 이러한 불법 행위를 막으려는 당국에서도 사용되었다. 영국 해군은 밀수를 통제하고 통보선(파견물 운반) 또는 사략선에 대항하기 위해 다수의 커터를 구입하고 건조했다.[4]

18세기에는 항해용 갑판 커터와 함께 새로운 종류의 선박 보트에도 커터라는 용어가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 선박 보트는 노를 젓는 데 최적화된 클링커 공법으로 건조된 오픈 보트였다. 당시의 다른 보트들보다 날렵한 선체와 트랜섬 선미를 가졌으며, 워시스트레이크에 로울록이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7]

영국 해군에서 커터는 딜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1740년까지 상당수의 커터가 딜의 보트 제작자로부터 해군 함선에 장비하기 위해 구매되었다. 7년 전쟁 동안 커터는 항해와 승선에 유용하여 순항선에 특히 유용했다. 그러나 커터는 더 무거운 보트보다 손상되기 쉬웠고, 닻이나 물통과 같은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았다.[7]

오늘날 "커터"라고 불리는 배에는 소형 범선, 커터보트(단정), 초계함・순시선 등이 있다. 이러한 "커터"라는 용어는 영국 세관이 밀수 단속을 위해 배치한, 작으면서도 어느 정도 외양 항해가 가능한 범선을 부르던 데서 유래한다. 미국 해안경비대가 장비하는 경비함을 커터라고 칭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해안경비대의 전신은 Revenue Cutter Service영어 (세관 감시정국)이며, 해안경비대 함정명으로서의 커터는 1915년 해안경비대 창설 초기부터 사용되었다.[13]

2. 1. 18-19세기 갑판 커터

18세기 초부터 커터라는 용어는 빠른 속도를 위해 설계된 선체 유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특징은 다음 세기의 클리퍼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 이름이 사용되게 하였다. 1781년경부터 1807년까지는 "커터 빌트"라는 용어가 이러한 유형의 속도를 위해 설계된 선체에 적용되었고, 수정되지 않은 "커터"라는 단어는 곧 단일 마스트 리깅과 연관되었다.[3]

빠른 선박은 밀수와 같은 불법적인 목적으로 자주 사용되거나, 이러한 불법 행위를 막으려는 당국에 의해 사용되었다. 따라서 커터는 양쪽 모두에 사용되었다. 영국 해군은 밀수를 통제하고 "통보선"(파견물 운반) 또는 사략선에 대항하기 위해 다수를 구입하고 건조했다.[4]

전형적인 커터 선체 모양은 넓었으며, 많은 배가 길이 대 폭 비율이 3:1이었다. 데드리이즈가 많고 선이 가늘었다. 이러한 선체에는 엄청난 양의 돛을 달 수 있었다. 리깅은 하나의 마스트, 개프 리깅된 메인세일, 사각 돛, 여러 헤드세일과 함께 모든 종류의 가벼운 날씨 돛을 갖도록 표준화되었다. 메인세일에는 선미 너머로 뻗어 있는 붐이 있었고, 사각 돛은 코스, 톱세일 및 톱갤런트 세일로 구성되었다. 초기(1800년 이전) 톱세일의 발에는 많은 양의 로치가 있었고, 메인 야드 아래에 설치된 별도의 야드로 시트되었다.[5] 헤드세일은 포스테이에 설치된 스테이세일, 지브, 보우스프릿의 여행자에 날아가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대부분 플라잉 지브도 날아가는 방식으로 설치되지만 마스트의 더 높은 지점에 설치되었다. 커터에는 런닝 보우스프릿이 있어 거친 날씨나 항구에서 안쪽으로 가져올 수 있었다. 보우스프릿은 일반적으로 길이가 매우 길어 때로는 선체보다 더 길었다. 표준 좋은 날씨 돛은 메인세일에 링테일과 사각 돛에 스터딩 세일로 구성되었다. 커터가 리칭할 때 러그세일을 설정하기 위해 제거 가능한 미즌 마스트를 사용하는 것도 드문 일이 아니었다. 메인세일의 붐이 선미 위로 돌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마스트는 태킹하거나 자이빙하기 위해 제거해야 했다.

1763년 영국 해군이 구입한 18세기 커터의 크기는 갑판 길이 약 14.33m, 빔 약 6.10m, 약 78톤 bm이었다. 밀수 커터는 30톤에서 140톤까지 다양했다. 관세 커터는 잡으려는 선박에 맞게 크기가 증가했으며, 1778년에 건조된 210톤의 ''Repulse''가 있었다.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은 긴 붐이 있는 큰 개프 메인세일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선원의 수였다. 영국 해군이 구입한 더 큰 커터는 때때로 더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브리그로 개조되었지만 여전히 빠른 선체를 활용했다.[6]

2. 2. 선박 보트

18세기에 빠른 속도로 항해하는 데크형 커터가 등장하면서, 이 용어는 새로운 종류의 선박 보트에도 적용되었다. 이 선박 보트는 노를 저을 수 있도록 최적화되었지만, 클링커 공법으로 건조된 오픈 보트였다. 당시의 보트보다 날렵한 선체를 가지고 있었고, 트랜섬 선미를 가지고 있었다. 특징적인 것은 워시스트레이크에 노가 들어가는 구멍(로울록)이 있었다는 점이다. 당시 대부분의 보트가 노의 회전축으로 톨핀을 사용했던 것과는 달랐다.[7]

영국 해군에서 커터는 딜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1722년에는 다른 배가 인도 항해를 위해 커터를 지급받았고, 1740년까지 상당한 수의 커터가 딜의 보트 제작업자로부터 해군 함선에 장비하기 위해 구매되었다. 7년 전쟁 동안 커터는 순항선에 특히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항해에 적합하고 승선에 유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그들을 대체한 더 무거운 보트보다 손상되기 쉽고 닻이나 물통과 같은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데 훨씬 덜 적합했다.[7]

1880년 32피트 영국 해군 커터의 돛대 배치도


1817년까지 발급된 커터는 17가지 다른 길이로 제공되었다. 영국 해군의 군함이 증기 추진으로 전환되면서 이러한 다양한 크기는 줄어들었다. 1877년부터 1900년까지의 표준 커터는 11가지 다른 길이로 제공되었다. 이는 1914년에 5가지 크기로 줄어들었다.[7]

1896년의 25 또는 26피트 커터의 도면. 돛대 배치도의 스케치 도면이 있다. 10개의 노를 젓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중열로 배치되어 있다.


선박 보트로 사용된 커터의 돛대 배치는 일반적으로 2개의 돛대였다. 1761년, 더 큰 딜에서 제작된 커터는 이 돛대에 스프리트 세일을 설치했고, 곧 다이핑 러그 앞 돛과 스프리트 미즌으로 전환했다. 19세기 대부분과 20세기까지 커터는 앞 돛대에 다이핑 러그를, 미즌에 스탠딩 러그를 설치했다. 1887년에 나타난 이 돛대 배치의 변형은 두 개의 다이핑 러그를 갖는 것이었다.[8]

노를 젓는 수는 보트의 크기에 따라 달랐다. 1886년의 선박 보트 일정에는 34~30피트 커터가 12개의 노를 젓고, 28피트는 10개의 노, 26~20피트는 8개의 노, 가장 작은 두 크기 18피트와 16피트는 6개의 노를 젓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더 작은 보트는 단열로 운용할 수 있었지만, 더 크고 더 나중의 예는 일반적으로 이중열로 운용되었다.

1864년부터 증기 동력 선박 보트가 영국 해군에 서서히 도입되었다. 그러나 1차 세계 대전까지, 사용된 보트의 대다수는 돛과 노에 의해서만 추진되었다. 영국 해군은 여전히 돛이나 노로 운용할 수 있는 커터를 가지고 있다.

손으로 젓는 커터는 18세기에 군함에 탑재되기 시작했으며, 뱃사공은 벤치에 두 줄로 앉아 각자 한 개의 노를 젓는다. 마찬가지로 군함에 탑재되는 "장정"에 비해 폭이 넓고 둥근 형태를 하고 있다. 한국어로는 "단정"이라고 한다.

2. 3. 범장(Sailing rig)

커터의 범장은 앞뒤 돛을 갖춘 단일 돛대가 있고, 여러 개의 헤드세일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메인 세일(돛대 뒤, 또는 뒤쪽에 설치됨)은 개프 돛, 버뮤다 돛, 스탠딩 러그 또는 건터 돛으로 장비될 수 있다.[3]

커터의 돛 장비도


미국 해역에서는 더 복잡한 정의가 적용될 수 있는데, 두 개의 헤드세일을 가진 보트는 돛대가 더 앞쪽에 있고 붐이 영구적으로 설치된 경우 슬루프로 불린다. 프렌드십 슬루프가 그 예이다. 반면, 전통적인 커터는 러닝 붐을 가지고 있으며, 지브는 여행자에 의해 붐 끝까지 끌어 올려져 비행한다. 브리스톨 채널 파일럿 커터와 같은 선박에서는 스톰 지브가 리프된 붐에 설치될 수 있으며, 붐은 완전히 확장된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들어간다.[9]

범선으로서의 커터는 가장 소형이다. 노를 젓는 커터에도 돛을 장비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와 달리 범선으로서의 커터는 선실 등을 갖추고 있다. 1개의 마스트를 가진 돛 장비로는 전통적인 슬루프 돛 장비가 있지만, 슬루프의 경우 마스트가 돛 장비의 앞쪽 약 70% 위치에 있다. 반면 커터는 마스트가 그보다 뒤쪽인 대략 50%에서 70% 위치에 있으며, 때로는 중앙보다 뒤에 있는 경우도 있다.

2. 4. 기타 유형

오늘날 "커터"라고 불리는 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1개의 마스트를 가진 소형 범선: 마스트의 앞뒤에 종범을 갖추고, 바우스프릿에 1~2장의 앞 돛을 가진다. 슬루프 등에 비하면, 마스트가 배의 중앙에서 후부 쪽에 위치한다.
  • 커터보트(단정): 대형 선박에 탑재되는 보트로, 인원이나 경화물 운반에 사용한다. 노를 이용한 수동 노젓기 추진이 일반적이지만, 돛 장비나 발동기를 갖는 경우도 있다.
  • 초계함・순시선: 중형(프리깃 정도) 이하 크기의 배로, 무장하는 경우도 많다. 미국 해안 경비대의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형의 "커터"는 영국 세관이 밀수 단속을 위해 배치한, 작으면서도 어느 정도 외양 항해가 가능한 범선을 부르던 데서 유래한다. 미국 해안경비대(현재는 미국 국토안보부 소속 군사 조직이지만, 창설 당시에는 미국 재무부 관할이었음)가 장비하는 경비함을 커터라고 칭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해안경비대의 전신은 Revenue Cutter Service영어 (세관 감시정국)이며, 해안경비대 함정명으로서의 커터는 1915년 해안경비대 창설 초기부터 사용되었다.[13] 미국 해군 협회에서는 미국 해안경비대 함선 외에도 해상보안청의 순시선을 영어로 번역할 때 커터라는 단어를 사용한다.[14]

2. 4. 1. 로잉 커터

선버리 아마추어 레가타의 커터 경주


18세기 런던의 뱃사공들은 17세기와 18세기의 템스강을 묘사한 역사적 판화와 그림에 나오는 보트와 비슷한 보트를 사용했다. 현대 뱃사공의 커터는 이러한 보트의 도면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길이는 약 10.36m, 폭은 약 1.22m이다. 최대 6명의 노를 젓는 사람(로잉 또는 스컬링)이 탑승할 수 있으며, 콕스와 승객을 태울 수 있다. 그레이트 리버 레이스 주최측은 1980년대에 현대식 버전을 개발했으며, 현재 24척의 함대가 이 "강의 마라톤"에 매년 참가한다. 뱃사공의 커터는 런던 항구 챌린지, 항구 제독 챌린지에도 매년 참가한다. 커터 경주는 다양한 도시 로잉 및 스키핑 레가타에서도 볼 수 있다. 또한 커터는 특별한 경우에 캐노피와 문장이 새겨진 깃발을 휘날리며 의식용 리버리 컴퍼니 바지선의 역할을 수행한다.[10]

커터는 기록 경신 시도에도 사용되었는데, 1996년에는 영국 해협을 스컬링으로 건너는 기록(2시간 42분)을 세웠고, 1999년에는 런던에서 파리까지 논스톱 스컬링하는 기록(4일 15분)을 세웠다.[11]

2. 4. 2. 파일럿 커터

브레스트에서 항해 중인 나무로 만든 파일럿 커터 ''Lizzie May''


'''파일럿 커터'''는 해상 파일럿을 항구에서 대형 무역선으로 빠르게 수송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개발되었다.

대부분의 초창기 파일럿들은 지역 어부와 파일럿 일을 겸했다. 파일럿들은 항구의 허가를 받아 관할 구역 내에서 운영했지만, 일반적으로 자영업자였고, 가장 빠른 운송 수단은 더 많은 수입을 의미했다. 당시 어선은 무거운 작업용 배였고 어구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유형의 배가 필요했다. 초기 배는 단일 마스트 어업용 커터 디자인과 이중 마스트 요트에서 개발되었고, 나중에는 전문 파일럿 커터로 발전했다.

브리스톨 해협의 자연적인 위험은 수년에 걸쳐 전문 브리스톨 해협 파일럿 커터의 개발을 가져왔다. 현재 브리스톨 박물관에 소장된 필, 서머셋의 기록에 따르면, 최초의 공식 브리스톨 해협 파일럿은 1497년 5월 브리스톨 시에서 존 캐벗의 Matthew|매튜영어 호를 브리스톨 항구에서 외해까지 안내하도록 임명된 바지선 선장 조지 제임스 레이였다. 1837년 파일럿 조지 레이는 브루넬의 Great Western|그레이트 웨스턴영어 호를 인도했고, 1844년 윌리엄 레이는 더 큰 Great Britain|그레이트 브리튼영어 호의 처녀 항해를 안내했다.[12]

2. 4. 3. 세관 서비스 (감시정)

"커터"라는 용어는 영국 국경청, 미국 해안 경비대(세관 커터 서비스에서 유래), 그리고 다른 국가의 세관에서 법 집행 업무에 사용되는 모든 항해 가능한 선박을 지칭한다.

미국에서는 초기 세관 커터 서비스가 스쿠너나 브리그와 같은 세관 커터를 운영했다. 영국에서는 세관 위원회가 ''항해'' (항해)에 정의된 대로 장비를 갖춘 커터를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조수 크릭과 같은 장소에 정박된 헐크도 사용했다. 세관 공무원은 작은 보트에서 헐크에서 일했다.

오늘날 한국에서 "커터"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선박으로는 해양경찰청의 경비함과 관세청의 감시정이 있다. 해양경찰청 경비함은 불법 어업, 밀수, 해적 행위 등을 단속하고, 독도이어도 등 한국 해양 영토를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관세청 감시정은 해상을 통한 마약, 무기류 등의 밀수를 단속한다.

영국 국경청(영국 국경 기관 및 HM 세관 및 소비세의 후신)은 현재 영국 영해 전역에서 불법 화물을 검사하기 위해 42m 코르벳형 선박 1척을 국경 커터로 운용하고 있다.

미국 해안 경비대의 "커터"는 공식적으로 배속된 승무원과 거주 설비를 갖춘 모든 경비함을 지칭한다.[15] 관용적으로는 길이 약 19.81m 이상인 경비함을 지칭한다.[13] 커터 중 전장 약 54.86m를 초과하는 대형 커터는 방면대(대서양 방면 또는 태평양 방면)의 관리하에 있으며, 그 미만의 소형 커터는 관구대의 지휘를 받는다.[16]

3. 한국의 해양 경비와 커터

오늘날 "커터"라고 불리는 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1개의 마스트를 가진 소형 범선. 마스트의 앞뒤에 종범을 갖추고, 바우스프릿에 1~2장의 앞 돛을 가진다. 슬루프 등에 비하면, 마스트가 배의 중앙에서 후부 쪽에 위치한다.
  • 대형 선박에 탑재되는 보트. 커터보트. 한국어로는 "단정"이라고 하며, 인원이나 경화물의 운반에 사용한다. 노를 이용한 수동 노젓기 추진이 일반적이지만, 돛 장비나 발동기를 갖는 경우도 있다.
  • 초계함・순시선. 중형(프리깃 정도) 이하 크기의 배로, 무장하는 경우도 많다. 미국 해안 경비대의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 유형의 "커터"의 기원은 영국 세관이 밀수 단속을 위해 배치한, 소형이면서도 어느 정도 외양 항해가 가능한 범선을 그렇게 부른 데서 시작된다. 미국 해안경비대(현재는 미국 국토안보부에 소속된 군사 조직이지만, 창설 당시에는 미국 재무부의 관할이었다)가 그들이 장비하는 경비함을 커터라고 칭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해안경비대의 전신 조직은 Revenue Cutter Service|세관 감시정국영어이며, 해안경비대의 함정명으로서의 커터는 해안경비대 창설 초창기인 1915년부터 사용하고 있다[13]. 또한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미국 해군 협회영어에서는 미국 해안경비대의 함선 외에도 해상보안청의 순시선의 영어 번역으로도 커터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14].

4. 현대적 응용

오늘날 "커터"라고 불리는 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1개의 마스트(돛대)를 가진 소형 범선. 마스트의 앞뒤에 종범(세로돛)을 갖추고, 바우스프릿(뱃머리에 튀어나온 부분)에 1~2장의 앞 돛을 가진다. 슬루프 등에 비하면, 마스트가 배의 중앙에서 뒤쪽에 위치한다.
  • 대형 선박에 탑재되는 보트. 커터보트라고 하며, 한국어로는 "단정"이라고 한다. 인원이나 가벼운 화물의 운반에 사용한다. 노를 이용한 수동 추진이 일반적이지만, 돛 장비나 엔진을 갖는 경우도 있다.
  • 초계함, 순시선. 중형(프리깃 정도) 이하 크기의 배로, 무장하는 경우도 많다. 미국 해안 경비대의 것이 잘 알려져 있다.

5. 결론

오늘날 "커터"라고 불리는 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1개의 마스트(돛대)를 가진 소형 범선. 마스트 앞뒤에 종범(세로돛)을 갖추고, 바우스프릿(뱃머리에 튀어나온 부분)에 1~2장의 앞 돛을 가진다. 슬루프 등에 비하면, 마스트가 배의 중앙보다 뒤쪽에 위치한다.
  • 대형 선박에 탑재되는 보트. 커터보트라고 불리며, 한국어로는 "단정"이라고 한다. 인원이나 가벼운 화물을 운반하는 데 사용한다. 노를 이용해 젓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돛 장비나 엔진을 갖는 경우도 있다.
  • 초계함・순시선. 중형(프리깃 정도) 이하 크기의 배로, 무장하는 경우도 많다. 미국 해안 경비대의 커터가 잘 알려져 있다.

참조

[1] 서적 The Boats of Men-of-war Caxton Editions 2003
[2] 서적 Gaff Rig Adlard Coles Limited 1970
[3] 서적 Fast Sailing Ships, their design and construction, 1775-1875 Conway Maritime Press 1988
[4] 서적 Sailing Rigs, an Illustrated Guide Chatham Publishing 2005
[5] 서적 The language of sailing Fitzroy Dearborn 2000
[6] 서적 British warships in the age of sail, 1714–1792: design, construction, careers and fates Seaforth / MBI 2007
[7] 서적 Admiralty Manual of Seamanship HMSO 1937
[8] 서적 Spritsails and Lugsails International Marine Publishing Company 1979
[9] 웹사이트 F https://www.pbo.co.u[...] 2014-11-11
[10] 웹사이트 Thames Traditional Rowing Association http://www.tradition[...]
[11] 문서 Guinness World Records
[12] 웹사이트 History of Pilot Cutters http://www.annabel-j[...] Annabel J 2009-06-04
[13] 웹사이트 USCG. FAQ What is a Cutter? http://www.uscg.mil/[...] 2008-09-17
[14]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Combat Fleets of the World, 16th Edition Naval Institute Press
[15] 웹사이트 United States Coast Guard Regulations http://www.uscg.mil/[...] 2011-08-07
[16] 웹사이트 USCG. Aircraft, Boats, and Cutters http://www.uscg.mil/[...] 2007-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