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케플러 방정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플러 방정식은 천문학에서 행성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는 방정식으로, 1609년 케플러가 제시한 행성 운동 법칙을 기반으로 한다. 이 방정식은 평균 이상, 편심 이상, 이심률 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타원 궤도, 쌍곡선 궤도 등 궤도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다. 케플러 방정식은 초월 방정식이므로, 정확한 해를 구하기 어려워 수치 해석적인 방법이나 급수 전개를 통해 근사해를 구한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뉴턴 방법과 고정점 반복법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하네스 케플러 - 케플러 초신성
    케플러 초신성은 1604년에 관측된 밝은 초신성으로, 여러 문명에서 기록되었으며, Ia형 초신성으로 추정되고 천문학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 요하네스 케플러 - 1134 케플러
    1134 케플러는 태양을 약 4년 5개월 주기로 공전하는 S형 소행성으로, 행성 운동 법칙으로 유명한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의 300주기 사망 기념으로 명명되었으며 지름은 약 3~8km로 추정된다.
  • 궤도 - 궤도면
    궤도면은 인공위성과 발사체의 궤도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 지구 중력의 비구형성으로 인해 회전하며, 발사 시점은 목표 궤도면과 발사 기지의 교차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 궤도 - 다체 문제
    다체 문제는 상호작용하는 여러 물체의 운동을 다루는 문제로, 특히 중력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천체들의 운동을 예측하는 문제가 대표적이며, 삼체 문제부터는 해석적 해를 구하기 어려워 섭동 이론이나 수치 해석 등의 방법이 활용된다.
  • 방정식 -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변의 제곱의 합이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정리로, a² + b² = c²으로 표현되며,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고, 여러 지역에서 알려졌으나 피타고라스 학파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전해진다.
  • 방정식 - 라플라스 방정식
    라플라스 방정식은 리만 다양체에서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의 2차 편미분 방정식이며, 조화 함수를 해로 갖고 유체 역학, 정전기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케플러 방정식
개요
케플러 방정식의 기하학적 표현
케플러 방정식의 기하학적 표현
유형초월 방정식
분야천체역학
관련 개념케플러 행성 운동 법칙
궤도 요소
평균 이상각
이심률
이심 이상각
수식
형태M = E - e sin E
변수M: 평균 이상각
E: 이심 이상각
e: 궤도 이심률
설명
용도특정 시간에 대한 궤도상의 천체의 위치를 결정
해결 방법일반적으로 수치적 방법 (예: 뉴턴 방법) 사용
역사
창시자요하네스 케플러
발표 년도1609년 (신천문학)

2. 역사

케플러1609년에 발표한 저서 《신천문학》에서 현재 케플러 법칙으로 알려진 것 중, 제1법칙(행성은 태양을 하나의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그린다)과 제2법칙(면적 속도 일정의 법칙)을 발표했다.[21] 케플러 당시에는 미적분학이 없었기 때문에, 그의 수학적 표현은 기하학적인 것이었다. 케플러는 행성이 태양을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그리며, 면적 속도가 일정하다는 법칙을 발견했다.

오일러는 케플러 방정식을 평균 근점이각과 공전 주기를 이용하여 현대적인 형태로 재정립하였다.[22]

3. 방정식

'''케플러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M = E - e \sin E

여기서 M은 평균 이상, E는 편심 이상, e는 이심률이다.

'편심 이상' E케플러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점의 위치를 계산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천체가 시각 t = t_0에 좌표 x = a(1 - e), y = 0에서 근점을 통과한다면, 임의의 시각에서 천체의 위치를 찾으려면 먼저 시간과 평균 운동 n으로부터 공식 M = n(t - t_0)를 사용하여 평균 이상 M을 계산한 다음, 위의 케플러 방정식을 풀어 E를 구하고, 다음을 통해 좌표를 구한다.

: \begin{array}{lcl}

x & = & a (\cos E - e) \\

y & = & b \sin E

\end{array}



여기서 a는 장반축, b는 단반축이다.

케플러 방정식은 삼각함수인 사인 함수 때문에 초월 방정식이며, E에 대해 대수적으로 풀 수 없다. E를 평가하려면 일반적으로 수치 해석과 급수 전개가 필요하다.

점 ''M''은 행성의 위치, 점 ''N''은 태양의 위치(행성의 타원 궤도의 초점 중 하나에 해당), 점 ''A''는 원일점을 각각 나타낸다.


케플러1609년에 발표한 저서 「신천문학」에서 현재 케플러 법칙으로 알려진 것 중, 제1법칙(행성은 태양을 하나의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그린다)과 제2법칙(면적 속도 일정의 법칙)에 대해 서술했다.[21]

다만, 케플러 시대에는 미적분학이 없었기 때문에, 그 수학적 표현은 기하학적인 것이다. 케플러의 표현에서는,

: t \propto 삼각형 ''KHN'' + 부채꼴 ''KHA'' = \frac{ 1 }{ 2 } ( E - e \sin E),

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것이 현재 케플러의 제1, 제2법칙이라고 불리는 것을 집약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케플러는 말로 표현했고 수식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수식으로 표현하면 이렇게 된다).[22] 여기서 ''t''는 시간, e 이심률, ''E''는 이심 근점이각을 나타낸다. 후에, 이 식을 오일러는 다른 표현으로 고쳐 썼다.[22] 오일러는 공전 주기 ''T''를 사용하여, 등가적인 식

: \frac{ t }{ T } = \frac{ E - e \sin E }{ 2 \pi },

혹은, 평균 각속도 n := 2 \pi / T , 평균 근점이각 M := nt를 사용하여,

: M = E - e \sin E,

을 사용했다.[22] 일반적으로, 이 형태의 방정식을 '''케플러 방정식'''이라고 부른다.[22]

4. 여러 형태

케플러 방정식은 궤도의 이심률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타원 케플러 방정식''': 타원 궤도 (0 ≤ ''e'' < 1)에 사용되는 표준 형태이다.
  • '''쌍곡선 케플러 방정식''': 쌍곡선 궤적 (''e'' > 1)에 사용된다.
  • '''방사형 케플러 방정식''': 직선(방사형) 궤적 (''e'' = 1)에 사용된다.
  • '''포물선 궤적''': 바커의 방정식을 사용하여 포물선 궤적 (''e'' = 1)을 다룬다.


''e'' = 0일 때, 궤도는 원형이다. ''e''를 증가시키면 원이 타원형이 된다. ''e'' = 1일 때,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가능성이 있다.

  • 포물선 궤적,
  • 인력 중심에서 어떤 거리에 있는 점까지 선분을 따라 앞뒤로 이동하는 궤적,
  • 인력 중심에서 나오는 무한 광선을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궤적(속도는 거리에 따라 0에 가까워짐),
  • 또는 광선을 따라 이동하는 궤적(하지만 속도는 거리에 따라 0에 가까워지지 않음).


''e'' 값이 1보다 약간 클 경우, 회전각이 180도 미만인 쌍곡선 궤도가 된다. ''e''가 더 증가하면 회전각이 감소하고, ''e''가 무한대로 갈수록 궤도는 무한한 길이의 직선이 된다.

쌍곡 케플러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M = e \sinh H - H

여기서 H는 쌍곡 이심 이상이다. 이 방정식은 M을 타원 방정식의 우변에 −1의 제곱근을 곱한 것으로 재정의하여 유도된다.

: M = i \left( E - e \sin E \right)

(여기서 E는 이제 허수임) 그리고 EiH로 대체한다.

탈출에 충분한 에너지를 갖지 못한 물체의 경우 방사형 케플러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t(x) =\pm\biggr[ \sin^{-1}( \sqrt{ x } ) - \sqrt{ x ( 1 - x ) } \biggr]

여기서 t는 시간에 비례하고, x는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며, 최대 거리에서 값 1을 가진다. 이 방정식은 케플러 방정식에 1/2을 곱하고 e를 1로 설정하여 유도된다.

: t(x) = \frac{1}{2}\left[ E - \sin E \right].

그리고 다음 치환을 한다.

: E = 2 \sin^{-1}(\sqrt{ x }).

물체가 탈출할 만큼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경우의 방사형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t(x) = \pm \biggr[\sinh^{-1}( \sqrt{ x } ) - \sqrt{ x ( 1 + x ) } \biggr]

에너지가 탈출에 필요한 최소량일 때, 시간은 단순히 거리의 3/2 제곱에 비례한다.

5. 역문제

케플러 방정식의 역문제는 주어진 평균 이상 ''M''으로부터 편심 이상 ''E''를 구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닫힌 형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무한급수 표현을 사용하거나 수치적인 방법으로 근사해를 구해야 한다.[9]

케플러 자신도 일반적인 해를 찾을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10]

역 케플러 방정식의 해는 라그랑주 역함수 정리나 베셀 함수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해법은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다.

5. 1. 역 케플러 방정식 (라그랑주 역함수 정리)

라그랑주 역함수 정리를 이용하면 케플러 방정식의 해를 무한급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이 방법은 이심률이 작을 때 유용하다.[22] 케플러 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E = M + \sum_{m=1}^\infty \frac{2}{m} J_m(me) \sin(mM), \quad e\le 1, \quad M \in [-\pi,\pi].



여기서 J_m(me)베셀 함수를 나타낸다.

라그랑주 역함수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급수 전개를 얻을 수 있다.[22]

:

E =

\begin{cases} \displaystyle

s + \frac{1}{60} s^3 + \frac{1}{1400}s^5 + \frac{1}{25200}s^7 + \frac{43}{17248000}s^9 + \frac{ 1213}{7207200000 }s^{11} +

\frac{151439}{12713500800000 }s^{13}+ \cdots \text{ with }s = ( 6 M )^{1/3}

, & e = 1\\

\\

\displaystyle

\frac{1}{1-e} M

  • \frac{e}{(1-e)^4 } \frac{M^3}{3!}

+ \frac{(9 e^2 + e)}{(1-e)^7 } \frac{M^5}{5!}

  • \frac{(225 e^3 + 54 e^2 + e) }{(1-e)^{10} } \frac{M^7}{7!}

+ \frac{ (11025 e^4 + 4131 e^3 + 243 e^2 + e) }{(1-e)^{13} } \frac{M^9}{9!}+ \cdots

, & e \ne 1

\end{cases}

이 급수는 이심률 *e*가 작을 때 빠르게 수렴하여 케플러 방정식의 해를 근사하는 데 유용하다.

5. 2. 역 케플러 방정식 (베셀 함수)

베셀 함수를 사용하면 케플러 방정식의 해를 푸리에 급수 형태로 전개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이심률(e)이 클 때에도 적용 가능하다.

:E = M + \sum_{m=1}^\infty \frac{2}{m} J_m(me) \sin(mM), \quad e\le 1, \quad M \in [-\pi,\pi].

여기서, J_m(me)는 m차 베셀 함수이다.

이 식은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케플러 방정식 E = M + e \sin E에서 e \sin EM의 주기 함수이자 기함수이므로, 다음과 같이 푸리에 급수로 전개할 수 있다.[25]

:e \sin E = \sum^{ \infty }_{ n = 1 } A_{ n } \sin n M .

푸리에 계수 A_n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25]

:A_{ n } = \frac{ 2 }{ \pi } \int^{ \pi }_{ 0 } d M e \sin E \sin n M.

이 식을 부분 적분하고, 베셀 함수의 적분 표현[26]

:J_{ n } ( z ) = \frac{ 1 }{ \pi }\int^{ \pi }_{ 0 } d \theta \cos ( z \sin \theta - n \theta),

을 이용하면,

:A_n = \frac{2}{n} J_n(ne)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케플러 방정식의 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25][27]

:E = M + \sum^{ \infty }_{ n = 1 }\frac{ 2 }{ n } J_{ n } ( n e ) \sin n M .

이 결과는 케플러 방정식을 미분하여 푸리에 급수로 전개하고, 다시 적분하여 얻을 수도 있다.[22]

6. 역문제의 수치적 근사

주어진 E 값에 대한 M 계산은 간단하지만, M이 주어졌을 때 E를 구하는 것은 훨씬 어렵다. 닫힌 형식의 해는 존재하지 않으며, E를 구하는 것은 이심근점각 또는 이심근점각과 평균근점각의 차이(이른바 "케플러 방정식의 중심 방정식")를 구하는 것과 거의 동일하다.

라그랑주 역함수 정리를 이용해 케플러 방정식의 해에 대한 무한급수 표현을 작성할 수 있지만, 모든 e와 M의 조합에 대해 이 급수가 수렴하는 것은 아니다.

케플러 방정식의 해결 가능성에 대한 혼란은 4세기에 걸쳐 문헌에 지속되어 왔다.[9] 케플러 자신도 일반적인 해를 찾을 가능성에 대해 의구심을 표명했다.

베셀 함수를 사용한 푸리에 급수 전개(M에 대해)는 다음과 같다.[11][12][13]

:

E = M + \sum_{m=1}^\infty \frac{2}{m} J_m(me) \sin(mM), \quad e\le 1, \quad M \in [-\pi,\pi].



e에 대해서는 카프테인 급수이다.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역문제는 다음 함수의 근을 찾음으로써 수치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

f(E) = E - e \sin(E) - M(t)



이는 뉴턴 방법이나 고정점 반복 등을 통해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6. 1. 뉴턴 방법

뉴턴 방법을 사용하면 반복 계산을 통해 빠르게 수렴하는 근사해를 얻을 수 있다. 대부분의 타원 궤도의 경우 E0|E0영어 = M(t)의 초기값으로 충분하다. 이심률 e > 0.8 인 궤도의 경우 E0|E0영어 = π 의 초기값을 사용할 수 있다.[16]

:En+1|En+1영어 = En|En영어 - f(En)|f(En)/f'(En)영어 = En|En영어 - (En - e sin(En) - M(t))/(1 - e cos(En))|(En - e sin(En) - M(t))/(1 - e cos(En))영어

이 계산에서 E 와 M 은 라디안 단위이다. 이 반복은 원하는 정확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된다.[17]

e 가 1과 동일하다면, 뉴턴 방법의 분모에 있는 f 의 도함수가 0에 가까워질 수 있으며, 이는 뉴턴-랩슨, 할선 또는 레굴라 팔시 방법과 같은 도함수 기반 방법을 수치적으로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이분법은 특히 해를 작은 초기 구간으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보장된 수렴을 제공한다. 최신 컴퓨터에서는 17~18회의 반복으로 4자리 또는 5자리의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다.[17] 유사한 접근 방식을 케플러 방정식의 쌍곡선 형태에도 사용할 수 있다.[18] 포물선 궤적의 경우 바커의 방정식을 사용한다.

6. 2. 고정점 반복

관련된 방법은 E = M + e \sin{E}라는 점에 착안하여 시작한다. 오른쪽의 E에 대해 오른쪽의 식을 반복적으로 대입하면 E(e,M)을 계산하기 위한 간단한 고정점 반복 알고리즘이 생성된다. 이 방법은 케플러의 1621년 해법과 동일하다.[4] 의사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mathematica

function E(e, M, n)

E = M

for k = 1 to n

E = M + e*sin E

next k

return E

```

반복 횟수 ne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 쌍곡선 형태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H = \sinh^{-1}\left(\frac{H+M}{e}\right)이다.

이 방법은 뉴턴-랩슨 방법 해법과 관련이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E_{n+1} = E_{n} - \frac{E_{n} - e \sin(E_{n}) - M(t)}{ 1 - e \cos(E_{n})} = E_{n} + \frac {(M + e \sin{E_{n}} - E_{n})(1 + e \cos{E_{n}})}{1 - e^2 (\cos{E_{n}})^2}



작은 값 M-E_{n}e에 대해 1차 근사하면,

:E_{n+1} \approx M + e \sin{E_{n}}이다.

참조

[1] 서적 Astronomia Nova Aitiologētos, Seu Physica Coelestis, tradita commentariis De Motibus Stellæ Martis, Ex observationibus G. V. Tychonis Brahe 1609
[2] 서적 Episodes from the Early History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
[3] 서적 Epitome astronomiæ Copernicanæ usitatâ formâ Quæstionum & Responsionum conscripta, inq; VII. Libros digesta, quorum tres hi priores sunt de Doctrina Sphæricâ http://www.e-rara.ch[...] 1621
[4] 저널 Kepler's Iterative Solution to Kepler's Equation http://adsabs.harvar[...] 2000
[5] 서적 Solving Kepler's Equation Over Three Centuries https://books.google[...] Willmann-Bell 1993
[6] 저널 A note on "Kepler's equation". https://ui.adsabs.ha[...] 1997-07-01
[7] 서적 Cosmos: An Illustrated History of Astronomy and Cosm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07-15
[8] 서적 The Rise of Science in Islam and the West: From Shared Heritage to Parting of The Ways, 8th to 19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12-14
[9] 서적 Numerical Methods in Electromagnetism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0
[10] 저널 Kepler's Problem https://archive.org/[...] 1883-05-01
[11] 서적 Principles of celestial mechanics Academic Press
[12] 저널 Bessel Functions and Kepler's Equation 1992-01-01
[13] 저널 Rootfinding for a transcendental equation without a first guess: Polynomialization of Kepler's equation through Chebyshev polynomial equation of the sine
[14] 웹사이트 On The application of Lie-series to the problems of celestial mechanics https://ntrs.nasa.go[...] 1968-06-01
[15] 서적 Solving Kepler's Equation Over Three Centuries Willmann–Bell
[16] 저널 Procedures for solving Kepler's equation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7] 웹사이트 The Numerical Analysis of Finding the Height of a Circular Segment https://www.winemant[...] Wineman Technology, Inc. 2019-12-28
[18] 서적 Astronomy on the Personal Computer https://archive.org/[...] Springer 1998
[19] 문서 케플러 예상이 아닌, 행성의 궤도를 구하는 문제
[20] 웹사이트 케플러 방정식
[21] 서적 수학·물리 100개의 방정식 일본평론사
[22] 서적 수학·물리 100개의 방정식
[23] 서적 이와나미 수학 공식 II 이와나미 서점 1987
[24] 서적 A Treatise on the Theory of Bessel Functions(repri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25] 서적 A Treatise
[26] 서적 이와나미 수학 공식 III 이와나미 서점 1987
[27] 서적 이와나미 수학 공식 III
[28] 서적 Astronomia Nova Aitiologētos, Seu Physica Coelestis, tradita commentariis De Motibus Stellæ Martis, Ex observationibus G. V. Tychonis Brahe 1609
[29] 서적 Episodes from the Early History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1
[30] 서적 Epitome astronomiæ Copernicanæ usitatâ formâ Quæstionum & Responsionum conscripta, inq; VII. Libros digesta, quorum tres hi priores sunt de Doctrina Sphæricâ http://www.e-rara.ch[...] 1621
[31] 저널 Kepler's Iterative Solution to Kepler's Equation http://adsabs.harvar[...]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