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타스 시미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스타스 시미티스는 1936년 피레아스에서 태어난 그리스의 정치인으로, 독일과 영국에서 법학과 경제학을 공부했다. 1960년대 군사 정권에 반대하여 망명 생활을 했으며, 귀국 후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PASOK)을 창당하고 여러 정부 요직을 거쳐 1996년부터 2004년까지 그리스 총리를 역임했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유로존 가입을 위한 경제 개혁과 사회 개혁,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추진했지만, 지멘스 뇌물 스캔들, 경제 데이터 조작 의혹 등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2004년 총선 패배 후 정계에서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교육장관 - 요안니스 메탁사스
그리스의 장군이자 정치인이었던 요안니스 메탁사스는 1936년부터 1941년 사망할 때까지 그리스의 독재자로 통치하며 권위주의적인 정치를 펼쳤고, 이탈리아의 최후통첩을 거부하며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다. - 그리스의 교육장관 -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
알렉산드로스 쿠문두로스는 19세기 그리스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총 10차례 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으로, 육군 복원, 국유 농지 분배, 코린토스 지협 건설 승인, 테살리아와 아르타 지역의 그리스 병합 등에 기여했고 민주주의 체제 장려에 힘썼으나 권위주의적인 통치 방식에 대한 비판도 있다. - 그리스의 경제학자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그리스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는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을 창당하여 총리를 역임하며 사회 개혁, 복지 확대, 독립 외교를 추구했으나, 경제난과 부패 스캔들로 비판받기도 하며 그리스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리스의 경제학자 - 야니스 바루파키스
그리스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인 야니스 바루파키스는 아테네 대학교 경제 이론 교수, 밸브 코퍼레이션 경제 자문, 그리스 재무장관 등을 역임하며 그리스 부채 위기 협상을 주도하고 유럽 민주주의 운동 2025(DiEM25)를 창립하여 유럽연합의 민주화를 주장하는 인물이다.
코스타스 시미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콘스탄티노스 "코스타스" 시미티스 |
원어명 | Κωνσταντίνος "Κώστας" Σημίτης |
로마자 표기 | Konstantinos "Kostas" Simitis |
![]() | |
출생일 | 1936년 6월 23일 |
출생지 | 피레아스, 그리스 |
국적 | 그리스 |
자녀 | 피오나, 마릴레나 |
학력 | 마르부르크 대학교,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
웹사이트 | http://costas-simitis.gr |
형제자매 | 스피로스 시미티스 (형제)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PASOK – 운동을 위한 변화 |
국회의원 지역구 | 피레아스 A |
국회의원 임기 시작 | 1985년 6월 2일 |
국회의원 임기 종료 | 2009년 9월 7일 |
주요 직책 | |
대통령 | 코스티스 스테파노풀로스 |
임기 시작 | 1996년 1월 22일 |
임기 종료 | 2004년 3월 10일 |
이전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
이후 | 코스타스 카라만리스 |
임기 시작 | 1996년 6월 30일 |
임기 종료 | 2004년 2월 8일 |
이전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
이후 |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
장관 경력 | |
총리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
임기 시작 | 1993년 10월 13일 |
임기 종료 | 1995년 9월 15일 |
이전 | 바실레이오스 콘토기안노풀로스 |
이후 | 아나스타시오스 페포니스 |
총리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
임기 시작 | 1993년 10월 13일 |
임기 종료 | 1995년 9월 15일 |
이전 | 바실레이오스 콘토기안노풀로스 |
이후 | 니콜라오스 아크리티디스 |
총리 | 크세노폰 졸로타스 |
임기 시작 | 1989년 11월 23일 |
임기 종료 | 1990년 2월 13일 |
이전 | 콘스탄티노스 데스포토풀로스 |
이후 | 콘스탄티노스 데스포토풀로스 |
총리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
임기 시작 | 1985년 7월 26일 |
임기 종료 | 1987년 11월 27일 |
이전 | 게라시모스 아르세니스 |
이후 | 파나기오티스 루멜리오티스 |
총리 |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
임기 시작 | 1981년 10월 21일 |
이전 | 아타나시오스 카넬로풀로스 |
임기 종료 | 1985년 7월 26일 |
이후 | 이오아니스 포타키스 |
2. 생애
코스타스 시미티스는 1936년 6월 23일 피레아스에서 태어났다.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법학을,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다. 1965년 그리스로 귀국하여 알렉산드로스 파파나스타시우 정치 연구 그룹을 설립했다. 이 그룹은 1967년 그리스 군사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 "민주 방어"로 이름을 바꾸었다. 시미티스는 아테네 가로수에 폭탄을 설치한 후 해외로 망명하여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가 이끄는 범그리스 해방 운동에 입당했다.
1974년 아테네로 귀환하면서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PASOK)을 공동 설립했다. 1977년에는 아테네의 판테이온 대학교 강사가 되었다. 1981년부터 1985년까지 그리스 농업부 장관을 역임했고, 1985년 그리스 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85년부터 1987년까지 그리스 국가경제부 장관, 1989년부터 1990년까지 그리스 국가 교육·종교부 장관, 1993년부터 1995년까지 그리스 무역부 장관 및 그리스 산업·에너지·연구·기술부 장관을 역임했다.
1996년 1월 16일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가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하면서, 시미티스는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소속 의원들의 투표를 통해 그리스의 총리로 선출되었다. 그는 2004년 3월 10일까지 총리직을 수행했으며, 1996년 6월 30일부터 2004년 2월 8일까지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의 대표를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36년 6월 23일 그리스 피레아스에서 아테네 경제경영대학교 교수 게오르기오스 시미티스와 그의 아내 파니 크리스토풀루 사이에서 태어났다.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에서 경제학을 전공했다. 그의 형제인 스피로스 시미티스는 독일에서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전문으로 하는 법학자였다.2. 2. 정치 입문 전 활동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교와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교를 졸업했다. 1965년 그리스로 귀국한 후 알렉산드로스 파파나스타시우 정치 연구 그룹 설립에 참여했다.[1] 1967년 4월 21일에 수립된 그리스 군사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 이 그룹은 민주 수호(Democratic Defense)로 개칭했다.[1] 시미티스는 아테네 거리에 폭탄을 설치한 후 해외로 망명하여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가 이끌던 범그리스 해방 운동(PAK)에 합류했다.[1]2. 3.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PASOK) 창당과 초기 정치 활동
1965년 그리스로 귀국한 후, 알렉산드로스 파파나스타시우 정치 연구 그룹을 설립했다.[1] 이 그룹은 1967년 4월 21일 그리스 군사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 "민주 방어"로 이름을 바꾸고,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가 이끄는 범그리스 해방 운동에 입당했다.[1] 아테네 가로수에 폭탄을 설치한 후 해외로 망명했다.[1]1974년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PASOK)을 공동 설립하고 아테네로 귀환했다.[1] 1977년 아테네의 판테이온 대학교 강사가 되었다.[1] 1981년 10월 21일 PASOK 정부에서 농업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1981년 총선에는 출마하지 않았다.[2][3] 1985년 총선에서 그리스 의회 의원으로 당선된 후, 국민 경제부 장관으로서 인플레이션 억제 및 적자 감축을 위한 안정화 프로그램을 추진했으나, 1987년 사임했다.[2][3]
2. 4. 장관직 역임
1985년 7월 26일부터 1987년 11월 27일까지 그리스 국가경제부 장관을, 1989년 11월 23일부터 1990년 2월 13일까지 그리스 국가 교육·종교부 장관을 역임했다.[3] 1993년 10월 13일부터 1995년 9월 15일까지는 그리스 무역부 장관과 그리스 산업·에너지·연구·기술부 장관을 겸임했다.[3] 그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적자를 줄이려는 안정화 프로그램을 수행했지만, 자신의 정책이 훼손되고 있다고 느껴 1987년에 국가경제부 장관직에서 사임했다.[4]3. 총리 재임 (1996-2004)
1996년 1월 16일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가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하면서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소속 의원들의 투표를 통해 그리스의 총리로 선출되었으며, 2004년 3월 10일까지 총리직을 역임했다.[4] 1996년 6월 30일부터 2004년 2월 8일까지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의 대표를 역임했다.[4] 총리 재임 기간은 8년으로 그리스 역사상 최장이었다.
시미티스는 유럽에서는 널리 지지를 받았지만, 국내에서는 일부 그리스인들에게 재미없는 테크노크라트로 여겨졌으며, 파판드레우와 같은 카리스마는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3. 1. 총리 선출 과정
1996년 1월 16일,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총리가 건강상의 이유로 사임하면서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PASOK) 소속 의원들의 투표를 통해 그리스의 총리로 선출되었다.[4] 아키스 초하초풀로스, 게라시모스 아르세니스, 이오안니스 하랄람포풀로스를 제치고 총리로 당선되었다.[5] 1996년 6월 30일, 파판드레우 사망 이후 치러진 PASOK 전당대회에서 아키스 초하초풀로스를 꺾고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5]3. 2. 주요 정책 및 업적
시미티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여러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정책과 업적이 있었다.경제:시미티스는 '엑시크로니즈모스'(현대화)라는 정치 철학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공공 투자와 인프라 사업, 경제 및 노동 개혁을 추진했다.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그리스는 유로존 가입에 성공했다. 공식 자료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은 15%에서 3%로, 공공 적자는 14%에서 3%로 감소했으며, 연평균 4%의 GDP 성장률과 연 3%의 실질 노동 소득 증가를 기록했다. 그러나 2004년 신민주주의 정부는 시미티스 정부의 거시 경제 데이터에 의문을 제기했다.[7]
사회:다양한 사회 개혁이 이루어졌다. 소득 심사 연금 보충금인 EKAS가 도입되어 최저 연금과 최저 임금의 연계를 복원했으며, 연금 대체율은 최근 5년간 임금의 70%로 설정되었다. 근속 연금과 농민을 위한 기여 연금 제도도 도입되었다.[7]
1999년 법률 2738/1999는 공무원의 단체 교섭권을 규정했고,[8] 2000년 법률 2874/2000은 노동 관계와 관련된 문제를, 법률 2839/2000은 공공 부문에 성 할당제를 도입했다.[9] 2003년에는 고용, 산업 안전 보건, 사회 보장 관련 입법 활동이 활발했다.[10]
인프라:'엑시크로니즈모스 시대' 동안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아테네 국제공항, 리오-안티리오 다리, 아테네 지하철, A2 고속도로(에그나티아 오도스) 등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수행되거나 시작되었다.
외교:시미티스는 키프로스 분쟁과 마케도니아 명칭 분쟁과 같은 문제에 대해 온건한 입장을 취했다. 이는 전통적인 범그리스 사회주의 운동 지지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그의 지지자들은 이를 '현대화'의 긍정적인 요소로 평가했다.
2003년 상반기에는 그리스 총리로서 유럽 연합 이사회 의장을 역임했다.

3. 3. 논란과 비판

시미티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발생한 여러 사건들은 정치적 논란과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 '''지멘스 그리스 뇌물 스캔들''': 시미티스 정부 시절 지멘스사의 뇌물 제공 의혹이 제기되어 큰 논란이 되었다. 지멘스 CEO 미칼리스 크리스토포라코스는 독일에서의 재판에서 신민주주의당(ND)과 PASOK에 뇌물을 제공했다고 증언했다.[11] 시미티스는 2018년 기준으로 이 사건과 관련하여 검찰 조사를 받았으나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 '''경제 데이터 조작 의혹''': 신민주주의당은 시미티스 정부가 유로존 가입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경제 데이터를 조작했다고 비판했다. 특히 1997년부터 2003년까지의 국방비 규모를 원가 계산 규정을 변경하여 수정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14]
- '''1999년 그리스 주식 시장 붕괴''': 1999년 그리스 주식 시장 붕괴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었다.
- '''압둘라 오잘란 체포 사건''': 터키와의 외교 관계에서 쿠르드족 지도자 압둘라 오잘란 체포 과정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 '''이마 사건''': 터키와의 영토 분쟁에 대한 대응이 미흡했다는 비판이 있었다.
- '''그리스 정교회와의 갈등''': 국가 신분증에서 종교 항목 삭제 문제로 그리스 정교회와 갈등을 빚었다. 아테네의 크리스토둘로스 대주교는 정부의 조치가 그리스 국민의 종교적 정체성을 제거하려는 시도라고 비판하며 대규모 시위를 조직했다.[11]
신민주주의당 대표 코스타스 카라만리스는 시미티스를 "정실 자본주의의 대사제"라고 비난하기도 했다.[17] 그러나 카라만리스는 4년 후 자신의 발언이 과장되었으며 시미티스의 개인적인 청렴함에 대해서는 의심한 적이 없다고 인정했다.[18]
4. 총리 퇴임 이후
2004년 총선 패배 이후 시미티스는 헬레니즘 의회의 피레아스 지역구 의원으로 남아 국가 방위 및 외교 위원회에서 활동했다.[5][6] 2007년 그리스 총선에서 재선되었으나, PASOK 지도자이자 자신의 후임자인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우와 당의 정치적 선택을 두고 갈등을 겪었다. 2008년 6월, 리스본 조약에 대한 국민투표를 지지하는 파판드레우의 입장에 반대하여 PASOK 의원단에서 제명되었다.[5][6] 그는 아마토 그룹의 일원으로서 조약 초안 작성에 기여했다. 당에서 공식적으로 제명된 것은 아니지만, 지도부와 거리를 두었고, 2009년 총선에서 후보가 되기 위해 파판드레우와 화해하지 못하고 결국 피레아스 지역구 의원직에서 물러나 정계에서 은퇴했다.
5. 저서
- "구조적 반대" (1979)
- "정치, 정부, 법" (1981)
- "금융 안정 정치" (N. 가르가나스, T. 토모풀로스, 코스타스 시미티스, G. 스프로스 공저, 서문-머리말: 코스타스 시미티스, 1989, 아테네, 그노시 출판)
- "포퓰리즘과 정치" (N. 무젤리스, T. 리포바치, M. 스포르달라키스 공저, 서문 코스타스 시미티스, 1989, 아테네, 그노시 출판)
- "그리스 사회의 발전과 현대화" (1989, 아테네, 그노시 출판)
- "PASOK의 정치 전략에 대한 견해" (1990, 아테네)
- "또 다른 정치를 위한 제안" (1992, 아테네, 그노시 출판)
- "민족주의 포퓰리즘 또는 국가 전략" (1992, 아테네, 그노시 출판)
- "감히 단결하자" (1994, 아테네)
- "강력한 사회와 강력한 그리스를 위하여" (1995, 아테네, 플레트론 출판)
- "재정적으로 강하고 사회적으로 공정한 그리스를 위하여" (2002, 아테네, 카스타니오티 출판)
- "유럽과 세계에서 강한 그리스를 위하여" (2002, 아테네, 카스타니오티 출판)
- "강력하고, 현대적이며 민주적인 그리스를 위하여" (2002, 아테네, 카스타니오티 출판)
- "창조적인 그리스를 위한 정치 1996–2004" (Πολιτική για μια Δημιουργική Ελλάδα 1996–2004|폴리티키 야 미아 디미우르이키 엘라다 1996–2004el) (2005, 아테네, 폴리스 출판)
- "목표, 전략 및 관점" (2007, 아테네, 폴리스 출판)
- "위기의 민주주의?" (2007, 아테네, 폴리스 출판)
참조
[1]
뉴스
Simitis victory allows him to chart his own course
https://www.politico[...]
[2]
뉴스
Greece GDP over the years
https://www.macrotre[...]
[3]
서적
Modern Greece From the War of Independence to the Present
https://www.google.c[...]
Bloomsbury Publishing
2016
[4]
서적
Prime Ministers in Greece, The Paradox of Power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5]
뉴스
Simitis Ousted from Parliamentary Group
http://www.xpatathen[...]
2008-06-13
[6]
뉴스
Simitis out of Par'l group
http://www.hri.org/n[...]
2008-06-12
[7]
서적
Ideologues, Partisans and Loyalists Ministers and Policymaking in Parliamentary Cabinets
[8]
간행물
1999 Annual Review for Greece
https://www.eurofoun[...]
[9]
간행물
2000 Annual Review for Greece
https://www.eurofoun[...]
[10]
간행물
2002 Annual Review for Greece
https://www.eurofoun[...]
[11]
뉴스
Psycho, To tris examartein
http://archive.enet.[...]
1996-11-19
[12]
웹사이트
Siemens: φορτισμένη απολογία Τσουκάτου{{!}} Kathimerini
http://www.kathimeri[...]
2019-02-14
[13]
웹사이트
Ανοίγουν τους λογαριασμούς Σημίτη | Η ΚΑΘΗΜΕΡΙΝΗ
https://www.kathimer[...]
2018-11-14
[14]
뉴스
To Vima
http://tovima.dolnet[...]
2006-03-12
[15]
웹사이트
EMU History
http://ec.europa.eu/[...]
[16]
웹사이트
Statistical Annex of European Economy - Autumn 2012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12-10-12
[17]
웹사이트
"Όχι" στην πρόταση της ΝΔ για τη διαφάνεια | BBC Greek
http://www.bbc.co.uk[...]
[18]
웹사이트
kathimerini.gr | Αποφασισμένος για μεταρρυθμίσεις (II)
http://news.kathimer[...]
2011-09-28
[19]
문서
아테네를 장악하지 못한 대립 정부의 수반
[20]
문서
군사/독재 정권 수반
[21]
문서
비상시 또는 과도 정부 수반
[22]
문서
제2차 세계 대전 때 추축국이 그리스를 점령할 당시 점령군에 협조한 그리스국의 수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