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네 지하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테네 지하철은 그리스 아테네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1869년 개통한 1호선을 시작으로 2호선, 3호선까지 총 3개의 노선과 66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1호선은 지상 구간이 많고, 2호선과 3호선은 지하로 운행된다. 1990년대 교통 체증 해결을 위해 2, 3호선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2000년에 개통되었다. 현재 STASY S.A.가 운영하며, 1호선은 1869년부터, 2, 3호선은 2000년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2022년 10월 발표된 마스터 플랜에 따라 4호선 건설 및 노선 연장 계획이 진행 중이며, 2040년까지 총 141.7km로 확장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광주선
광주선은 호남선 열차가 경전선을 경유하여 광주역까지 운행하는 11.9km의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전남선의 일부로 개통되어 노선 변경과 이설을 거쳤으며, 현재는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운행되고 있다.
아테네 지하철 | |
---|---|
기본 정보 | |
본명 | 그리스 아테네 지하철 (Μετρό Αθήνας, Metro Athinas) |
위치 | 아테네 광역권 |
교통 유형 | 도시 철도 |
노선 수 | 3개 노선 (1개 노선 4호선 건설 중) |
역 수 | 66개 역 (62개 역 소유) |
일일 승객 수 | 1,353,000명 |
연간 승객 수 | 493,800,000명 (2013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개통일 | 1869년 2월 27일 |
운영 | STASY |
차량 수 | 108량 |
시스템 길이 | 91.7 km (20.7 km 교외 철도 공동 사용 구간 포함) |
궤간 | 표준궤 |
전철화 |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 교류 25 kV 가공 전차선 (두키시스 플라켄티아스 역과 아테네 국제공항 역 구간) |
최고 속도 | 80 km/h |
![]() | |
![]() | |
노선 정보 | |
![]() | |
![]() |
2. 역사
아테네 지하철의 역사는 1869년 2월 27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대한민국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1899년 개통)보다 30년 앞선 것이다. 당시 아테네-피레우스 철도 회사(SAP)는 피레우스와 티시오를 잇는 증기 기관차 기반의 단선 노선을 개통했는데, 이것이 현재 1호선(그린 라인)의 시초이다. 이 노선은 1904년에 전철화되었고, 이후 점차 북쪽으로 확장되어 키피시아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1호선의 운영 주체는 SAP에서 헬레닉 전기 철도(EIS, 1926-1976), 그리고 국유화된 아테네-피레우스 전기 철도 회사(ISAP, 1976-2011)로 변경되었다.[9]
1990년대에 이르러 아테네는 심각한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 문제에 직면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지하철 노선 건설이 추진되었다.[7][8] 1992년 11월, 아티코 메트로 S.A.(Attiko Metro S.A.)의 주도로 2호선(레드 라인)과 3호선(블루 라인) 건설이 시작되었다.[8] 두 노선 모두 지하로 계획되었으나, 공사 중 아테네 시내 곳곳에서 고대 유적이 발견되면서 공사 기간이 연장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2000년 1월, 2호선과 3호선이 동시에 개통되어 운행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아티코 메트로 운영 회사(Attiko Metro Operations Company)가 운영을 맡았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개최에 맞춰 3호선은 아테네 국제공항까지 연장되었고,[8] 2호선은 2013년 안토우폴리와 엘리니코까지 연장되었다.[8]
2011년, 그리스 정부는 법률 3920/2011을 통해 아테네 대중교통 시스템 운영을 효율화하고자 했다.[11] 이에 따라 기존의 1호선 운영사 ISAP, 2·3호선 운영사 AMEL, 그리고 트램 운영사 Tram S.A.가 도시 철도 운송 S.A.(STASY S.A.)라는 단일 회사로 통합되었다. STASY S.A.는 아테네 도시 교통 기구(OASA S.A.)의 자회사가 되어 현재까지 아테네 지하철과 트램 운영을 총괄하고 있다.[12] 이후에도 2호선과 3호선은 꾸준히 연장 공사가 진행되어 노선망을 넓혀가고 있다.
2. 1. 1호선 (그린 라인)
1호선(노선 색상: 녹색)은 1869년 2월 27일 아테네와 피레우스를 잇는 증기 기관차를 사용하는 단선 철도로 처음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에는 아테네-피레우스 철도 회사(SAP)가 운영했으며, 피레우스와 티시오 사이를 운행하며 화물과 여객을 함께 운송했다. 이 노선은 1904년에 전철화되었다. 이후 노선은 점차 확장되어 북쪽 교외 지역인 키피시아까지 운행하게 되었으며, 현재 총 연장은 약 26km에 달한다. 전 구간 운행 시간은 약 45분이다.개통 당시 증기 철도였던 역사 때문에 대부분의 구간이 지상으로 운행되며, 지하 구간은 오모니아에서 빅토리아 사이의 일부 구간에 불과하다.
1869년부터 1926년까지는 SAP가, 1926년부터 1976년까지는 헬레닉 전기 철도(EIS)가 운영했다. 1976년 EIS는 국유화되어 아테네-피레우스 전기 철도 회사(ISAP, Ηλεκτρικοί Σιδηρόδρομοι Αθηνών-Πειραιώς|일렉트리키 시디로드로미 아티논-피레오스gre)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ISAP는 2011년 6월 16일까지 1호선을 운영했다.[9] 비록 2호선, 3호선과는 운영 주체가 달랐지만, 승차권은 공용으로 사용되었고 안내 방송 등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는 통합 운영되었다.
과거에는 1925년에 제조된 목조 전동차나 1969년 이전에 제작된 강철제 차량, 1985년에 제조된 독일제 차량 등이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폐차되었다.[40] 현재 운행되는 차량은 1984년부터 2004년 사이에 독일의 지멘스나 아드란츠(Adtranz)에서 제작되었거나, 이들 회사의 전기 장치를 사용하여 그리스 내에서 제작된 차량들이다. 총 245량이 제작되었으나, 2009년 3월 2일 발생한 테러 공격으로 9량이 파괴되어 현재는 236량이 운행 중이다. 차량에는 냉방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일부 차량에만 송풍 장치가 있다. 또한, 차량 간 이동 통로가 없다.
역명 (한국어) | 역명 (그리스어) | 비고 |
---|---|---|
피레아스 | Πειραιάς | 피레우스 항구 최단역, 아테네 근교 철도 프로아스티아코스 환승 가능, 국철 피레아스 역 연결 |
네오 팔리로 | Νέο Φάληρο | 피스 & 프렌드십 스타디움(Στάδιο Ειρήνης και Φιλίας|스타디오 이리니스 케 필리아스gre, SEF) 최단역, 트램 환승 가능, 차량 기지 인접 |
모스하토 | Μοσχάτο | |
칼리테아 | Καλλιθέα | |
타브로스 | Ταύρος | 열차 회차 시설 있음 |
페트랄로나 | Πετράλωνα | |
티시오 | Θησείο | 차량 기지 및 차량 공장 인접 |
모나스티라키 | Μοναστηράκι | 3호선(파랑) 환승 가능 |
오모니아 | Ομόνοια | 2호선(빨강) 환승 가능 (지하 구간 시작) |
빅토리아 | Βικτώρια | (지하 구간 끝) |
아티키 | Αττική | 2호선(빨강) 환승 가능 |
아요스 니콜라오스 | Άγιος Νικόλαος | |
카토 파티시아 | Κάτω Πατήσια | |
아요스 엘레프테리오스 | Άγιος Ελευθέριος | |
아노 파티시아 | Άνω Πατήσια | 열차 회차 시설 있음 |
페리소스 | Περισσός | |
페브카키아 | Πευκάκια | |
네아 이오니아 | Νέα Ιωνία | 열차 회차 시설 있음 |
이라클리오 | Ηράκλειο | 열차 회차 시설 있음 |
이리니 | Ειρήνη | 아테네 올림픽 스포츠 단지 최단역 |
네란치오티사 | Νεραντζιώτισσα | 아테네 근교 철도 프로아스티아코스 환승 가능, 국철 네란치오티사 역 연결 |
마루시 | Μαρούσι | |
K.A.T. | Κ.Α.Τ. | 외상 치료 센터(KAT) 인근 |
키피시아 | Κηφισιά |
2. 2. 2호선 (레드 라인) 및 3호선 (블루 라인)
1990년대 아테네는 심각한 교통 체증과 스모그 문제에 직면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2호선과 3호선 건설이 추진되었다.[7][8] 1992년 11월, 아티코 메트로 S.A.(Attiko Metro S.A.) 주도로 두 노선의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모두 지하로 계획되었다.[8] 공사 중 아테네 시내 곳곳에서 고대 유적이 발견되어 조사가 진행되면서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비용도 증가하는 어려움을 겪었다.2000년 1월, 2호선(빨간색 라인)과 3호선(파란색 라인)이 동시에 개통되었다. 초기에는 아티코 메트로 운영 회사(Attiko Metro Operations Company)가 운영을 맡았으나, 2011년부터는 STASY S.A.로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개최에 맞춰 3호선은 아테네 국제공항까지 연장 운행을 시작했다.[8] 이후 2호선은 2013년에 안토우폴리와 엘리니코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8] 2호선과 3호선 모두 추가 연장 계획이 있으며, 일부 구간은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아테네 지하철의 모든 노선은 프로아스티아코스(아테네 근교 철도)와 연결된다.
=== 2호선 (레드 라인) ===
2호선은 총 길이 11.6km이며, 안토우폴리에서 엘리니코까지 운행한다. 주요 환승역으로는 아티키역(1호선), 오모니아역(1호선), 신타그마역(3호선) 등이 있다.
역명 (한국어) | 역명 (그리스어) | 환승 및 비고 |
---|---|---|
안토우폴리역 | Ανθούπολη | |
페리스테리역 | Περιστέρι | |
아요스 안토니오스 역 | Άγιος Αντώνιος | |
세폴리아 역 | Σεπόλια | |
아티키 역 | Αττική | 1호선 환승 |
스타트모스 라리시스 역 | Σταθμός Λαρίσης | 그리스 철도(OSE), 프로아스티아코스 아테네 중앙역 연결 |
메탁수르이오 역 | Μεταξουργείο | |
오모니아 역 | Ομόνοια | 1호선 환승, 오모니아 광장 인근 |
파네피스티미오 역 | Πανεπιστήμιο | 아테네 대학교 인근 |
신타그마 역 | Σύνταγμα | 3호선, 아테네 트램 환승, 그리스 국회의사당, 신타그마 광장 인근 |
아크로폴리 역 | Ακρόπολη | 아크로폴리스 인근 |
싱그루-픽스 역 | Συγγρού-Φιξ | 아테네 트램 환승 |
네오스 코스모스 역 | Νέος Κόσμος | 아테네 트램 환승 |
아요스 얀니스 역 | Άγιος Ιωάννης | |
다프니 역 | Δάφνη | |
아요스 디미트리오스 역 | Άγιος Δημήτριος/Αλέξανδρος Παναγούλης | |
일리우폴리역 | Ηλιούπολη | |
알리모스역 | Άλιμος | |
아르이루폴리역 | Αργυρούπολη | |
엘리니코역 | Ελληνικό |
=== 3호선 (블루 라인) ===
3호선은 아테네 국제공항과 도심의 신타그마 광장, 모나스티라키역 등 주요 지역 및 관광 명소를 연결하여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다. 총 길이는 공항 직통 근교 철도 구간을 제외하고 16.4km이다. 모나스티라키역(1호선)과 신타그마역(2호선)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에갈레오 역에서 에트니키 아미나 역까지는 일반 승차권(당시 1EUR)으로 이용 가능했지만, 아테네 국제공항까지 가려면 별도의 요금이 적용되는 표를 구입해야 했다.
역명 (한국어) | 역명 (그리스어) | 환승 및 비고 |
---|---|---|
디모티코 테아트로역 | Δημοτικό Θέατρο | |
피레아스역 | Πειραιάς | 1호선, 프로아스티아코스 환승 |
마니아티카역 | Μανιάτικα | |
니카이아역 | Νίκαια | |
코리달로스역 | Κορυδαλλός | |
아이아 바르바라역 | Αγία Βαρβάρα | |
에갈레오 역 | Αιγάλεω | |
엘레오나스 역 | Ελαιώνας | |
케라미코스 역 | Κεραμεικός | |
모나스티라키 역 | Μοναστηράκι | 1호선 환승 |
신타그마 역 | Σύνταγμα | 2호선, 아테네 트램 환승, 신타그마 광장 인근 |
에반겔리스모스 역 | Ευαγγελισμός | 힐튼 아테네, 국립미술관 인근 |
메가로 무시키스 역 | Μέγαρο Μουσικής | 아테네 콘서트홀(메가로 무시키) 인근 |
아벨로키피 역 | Αμπελόκηποι | |
파노르무 역 | Πανόρμου | |
카테하키 역 | Κατεχάκη | |
에스니끼 아미나 역 | Εθνική Άμυνα | 그리스 국방부 인근 |
홀라르고스 역 | Χολαργός | |
노미스마토코피오 역 | Νομισματοκοπείο | |
아기아 파라스케비 역 | Αγία Παρασκευή | |
할란드리 역 | Χαλάνδρι | |
두키시스 플라켄티아스 역 | Δουκίσσης Πλακεντίας | 프로아스티아코스 환승 |
팔리니 역 | Παλλήνη | 프로아스티아코스와 역/선로 공용 |
페아니아-칸차 역 | Παιανία-Κάντζα | 프로아스티아코스와 역/선로 공용 |
코로피 역 | Κορωπί | 프로아스티아코스와 역/선로 공용 |
아테네 국제공항 역 | Διεθνής Αερολιμένας Αθηνών | 프로아스티아코스와 역/선로 공용, 아테네 국제공항 연결 |
에스니키 아미나 - 아테네 국제공항 구간의 공사는 완료되어 운행 중이지만, 홀라르고스, 노미스마토코피오, 아기아 파라스케비 역 등은 계획보다 늦게 개통되었다.
2. 3. 노선 통합
2011년 6월 17일까지 아테네 지하철 노선 운영 관리는 여러 회사로 나뉘어 있었다.[9] 이전에도 그리스 정부는 법률 2669/1998에 따라 1호선 운영사인 ISAP을 2, 3호선 운영사인 아티코 메트로 운영 회사(AMEL)에 흡수하여 통합 운영을 시도했으나, 이 계획은 성공하지 못했다.[10]이후 2011년, 그리스 정부는 법률 3920/2011을 통해 아테네 대중교통 운영 회사들을 통합했다.[11] 이 법에 따라 기존의 지하철 2, 3호선 운영사 AMEL, 1호선 운영사 ISAP, 그리고 트램 운영사인 Tram S.A.가 도시 철도 운송 S.A.(STASY S.A., ΣΤΑΣΥ Α.Ε.el)라는 하나의 회사로 합병되었다. 새롭게 설립된 STASY S.A.는 아테네 도시 교통 기구(OASA S.A.)의 자회사가 되었다.[12]
2. 4. 연표
1호선은 2000년 1월 28일까지 아테네의 유일한 급행 노선이었다. 1869년 2월 27일 아테네-피레우스 철도 회사(SAP)가 피레우스와 티시오 사이를 운행하는 증기 기관차 기반의 단선 노선을 개통한 것이 시초이다. 이 노선은 1904년에 전철화되었다. 1885년 2월 4일에는 라브리온 광장-스트로필리 간 증기 기관차 협궤 철도 노선이 개통되어 아티키 광장에서 이라클리오를 거쳐 키피시아까지 운행되었다. 이 노선들은 점차 통합되어 현재의 1호선 시스템으로 발전했으며, 키피시아-스트로필리 구간은 폐선되었다.운영 주체는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1869년부터 1926년까지는 SAP가, 1926년부터 1976년까지는 헬레닉 전기 철도(EIS)가 운영했다. 1976년 EIS가 국유화되면서 아테네-피레우스 전기 철도 회사(ISAP)로 변경되었고, ISAP는 2011년 6월 16일까지 1호선을 운영했다.[9]
1호선 개통 이후, 정부는 1963년 14개 노선 계획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지하철망 확장을 제안했다.[7] 교통 혼잡 완화와 대기 질 개선을 목표로 2호선과 3호선 건설이 1992년 11월 시작되었다.[8] 두 노선 모두 지하로 건설되었으며, 아티코 메트로 S.A.가 건설하고 2011년까지 아티코 메트로 운영 회사가 운영했다. 각각 빨간색과 파란색 노선으로 알려진 2호선과 3호선은 2000년 1월에 개통되었다. 이후 3호선은 2004년 여름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국제공항까지, 2호선은 2013년 안토우폴리와 엘리니코까지 연장되었다.
'''아테네 지하철 노선 개통 연표'''
아테네 지하철은 총 3개의 노선과 66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노선 길이는 91.7km에 달한다.[4] 이 중 STASY가 62개 역을 소유 및 운영하고, 나머지 3개 역(팔리니, 페아니아-칸차, 코로피)은 GAIAOSE가 소유하며, 아테네 국제공항 역은 아테네 국제공항 운영사가 소유한다.[4]
1호선(녹색 라인)은 총 연장 약 26km이며, 대부분 구간이 지상으로 운행된다. 지하 구간은 아테네 시내 일부에 한정된다. 2호선(빨간색 라인)과 3호선(파란색 라인)은 1991년 아티카 메트로사에 의해 건설이 시작되었다. 공사 중 유적 발견으로 지연과 비용 증가를 겪었으나, 2000년 1월 개통했다. 아테네 올림픽 개최에 맞춰 3호선은 아테네 국제공항까지 연장 운행을 시작했다.
현재 2호선과 3호선은 추가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며, 세 노선 모두 아테네 근교 철도와 연계된다. 노선 길이는 3호선(공항 직통 구간 제외) 16.4km, 2호선 약 11km이며, 3개 노선 총 영업 길이는 약 77km이다. 모든 노선은 통합 운영되며 티켓 시스템도 공용이다.
3. 노선 및 역
아테네 지하철의 세 노선은 2010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약 135만 명의 승객을 수송했다.[1]노선 색상아테네 지하철 관련 기관들은 공식적인 웹 또는 인쇄용 색상 값을 지정하지 않았지만, 노선 식별을 위한 일반적인 색상 체계에는 동의한다.[14][15] 개통일 최종 연장일 유형 역 수 길이 종착역 참고 1호선 녹색 1869년 2월 27일 1957년 8월 10일 지상/지하 혼용 24 25.7km 피레아스 / 키피시아 [17] 2호선 빨간색 2000년 1월 28일 2013년 7월 26일 심층 20 18.7km 안토폴리 / 엘리니코 [18][19] 3호선 파란색 2000년 1월 28일 2022년 10월 10일 심층 27 47.3km 디모티코 테아트로 / 두키시스 플라켄티아스 / 아테네 공항 [18][20] 총합: 66 91.7km colspan="2" |
2호선은 전 구간이 지하로 운행된다. 1호선은 모나스티라키 역과 아티키 역 사이, 그리고 카토 파티시아 역 주변의 일부 지하 구간을 제외하면 대부분 지상으로 운행된다. 3호선 역시 대부분 지하로 운행되지만, 두키시스 프라켄티아스 역 동쪽의 공항 방면 구간은 지상으로 운행하며 아테네 교외 철도와 선로를 공유한다.
아테네 지하철 시스템에는 아티키, 모나스티라키, 오모니아, 피레아스, 신타그마 등 5개의 환승역이 있어 세 노선 간 환승이 용이하다. 또한 각 노선은 아테네 교외 철도 및 아테네 트램과도 최소 한 곳 이상에서 연결되어 편리한 환승 시스템을 제공한다.
차량 정비 시설은 1호선의 경우 아티키, 팔리로, 이리니, 피레아스, 키피시아, 티시오에 위치하며, 2호선과 3호선은 두키시스 플라켄티아스, 엘레오나스, 세폴리아에 위치한다.
3. 1. 1호선 (그린 라인)
아테네 지하철 1호선(ISAP, Ηλεκτρικοί Σιδηρόδρομοι Αθηνών-Πειραιώςgre, 아테네-피레아스 전철)은 아테네 북쪽 교외인 키피시아에서 출발하여 아테네 시내를 남북으로 관통한 뒤, 남서쪽 에게 해의 관문인 피레아스 항까지 이어진다. 총 길이는 25.7km이며 24개의 역이 있고, 흔히 '그린 라인'으로 불린다.[4] 전 구간을 이동하는 데는 약 45분이 소요된다.
1호선은 1869년 2월 27일 피레아스와 티시오 사이를 운행하는 증기 기관차 기반의 단선 화물 및 여객 혼합 노선으로 처음 개통되었으며, 이는 2000년 1월 28일 2호선과 3호선이 개통되기 전까지 아테네의 유일한 급행 노선이었다. 이 노선은 1904년에 전철화되었고, 이후 다른 노선들과 점차 통합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운영 주체는 개통 초기 아테네-피레우스 철도 회사(SAP, 1869년~1926년)를 시작으로, 헬레닉 전기 철도(EIS, 1926년~1976년)를 거쳐 국유화된 아테네-피레우스 전기 철도 회사(ISAP, 1976년~2011년 6월 16일)가 운영을 맡았다.[9] 현재는 STASY S.A.가 2호선, 3호선과 함께 통합 운영하고 있다.
개통 당시 증기 철도였던 역사에서 알 수 있듯이, 1호선은 대부분의 구간이 지상으로 운행된다. 지하 구간은 아테네 시내 중심부의 모나스티라키 역과 아티키 역 사이, 그리고 카토 파티시아 역 주변 등 일부에 한정된다. 과거에는 ISAP사가 독자적으로 소유 및 운영했지만, 현재는 2, 3호선과 경영 주체가 통합되었으며, 티켓 시스템이나 안내 방송 등 실질적인 운영은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
역명 | 환승 정보 및 비고 |
---|---|
피레아스 (Πειραιάςgre) | 피레아스 항구 인접, 아테네 교외 철도(프로아스티아코스) 환승 |
네오 팔리로 (Νέο Φάληροgre) | 피스 & 프렌드십 스타디움(Στάδιο Ειρήνης και Φιλίαςgre) 인접, 아테네 트램 환승, 차량 기지 인접 |
모스하토 (Μοσχάτοgre) | |
칼리테아 (Καλλιθέαgre) | |
타브로스 (Ταύροςgre) | 열차 회차 시설 있음 |
페트랄로나 (Πετράλωναgre) | |
티시오 (Θησείοgre) | 차량 기지 및 차량 공장 인접 |
모나스티라키 (Μοναστηράκιgre) | 3호선(파랑) 환승 |
오모니아 (Ομόνοιαgre) | 2호선(빨강) 환승 |
빅토리아 (Βικτώριαgre) | |
아티키 (Αττικήgre) | 2호선(빨강) 환승 |
아요스 니콜라오스 (Άγιος Νικόλαοςgre) | |
카토 파티시아 (Κάτω Πατήσιαgre) | 지하역 |
아요스 엘레프테리오스 (Άγιος Ελευθέριοςgre) | |
아노 파티시아 (Άνω Πατήσιαgre) | 열차 회차 시설 있음 |
페리소스 (Περισσόςgre) | |
페브카키아 (Πευκάκιαgre) | |
네아 이오니아 (Νέα Ιωνίαgre) | 열차 회차 시설 있음 |
이라클리오 (Ηράκλειοgre) | 열차 회차 시설 있음 |
이리니 (Ειρήνηgre) | 아테네 올림픽 스포츠 단지 인접 |
네란치오티사 (Νεραντζιώτισσαgre) | 아테네 교외 철도(프로아스티아코스) 환승 |
마루시 (Μαρούσιgre) | |
K.A.T. (Κ.Α.Τ.gre) | 외상 치료 센터(KAT) 인접 |
키피시아 (Κηφισιάgre) |
3. 2. 2호선 (레드 라인)
2호선(레드 라인)은 2000년 1월 28일에 개통되었으며, 총 길이는 18.7km이고 20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4] 전 구간이 지하로 운행된다.2호선과 3호선 건설은 아테네 시내의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해 1991년부터 시작되었다. 공사 중 여러 유적이 발견되어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비용도 늘어났지만, 두 노선 모두 2000년 1월에 개통되었다.
2호선은 북서쪽의 안토폴리(Anthoupoli)에서 남동쪽의 엘리니코(Elliniko)까지 운행한다.[18][19] 주요 환승역으로는 아티키 역(1호선), 오모니아 역(1호선), 신타그마 역(3호선) 등이 있다. 또한 스타트모스 라리시스 역에서는 그리스 철도와 연결되고, 싱그루-픽스 역과 네오스 코스모스 역에서는 아테네 트램과 연결된다.
2호선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명 (그리스어) | 환승 및 주요 시설 |
---|---|
안토폴리 (Ανθούπολη|안토폴리el) | |
페리스테리 (Περιστέρι|페리스테리el) | |
아요스 안토니오스 (Άγιος Αντώνιος|아요스 안토니오스el) | |
세폴리아 (Σεπόλια|세폴리아el) | |
아티키 (Αττική|아티키el) | 1호선 |
스타트모스 라리시스 (Σταθμός Λαρίσης|스타트모스 라리시스el) | 그리스 철도 (아테네 중앙역) |
메탁수르이오 (Μεταξουργείο|메탁수르이오el) | |
오모니아 (Ομόνοια|오모니아el) | 1호선, 오모니아 광장 |
파네피스티미오 (Πανεπιστήμιο|파네피스티미오el) | 아테네 대학교 |
신타그마 (Σύνταγμα|신타그마el) | 3호선, 신타그마 광장 |
아크로폴리 (Ακρόπολη|아크로폴리el) | 아테네 아크로폴리스 |
싱그루-픽스 (Συγγρού-Φιξ|싱그루-픽스el) | 아테네 트램 |
네오스 코스모스 (Νέος Κόσμος|네오스 코스모스el) | 아테네 트램 |
아요스 얀니스 (Άγιος Ιωάννης|아요스 요아니스el) | |
다프니 (Δάφνη|다프니el) | |
아요스 디미트리오스 / 알렉산드로스 파나굴리스 (Άγιος Δημήτριος / Αλέξανδρος Παναγούλης|아요스 디미트리오스 / 알렉산드로스 파나굴리스el) | |
일리오폴리 (Ηλιούπολη|일리오폴리el) | |
알리모스 (Άλιμος|알리모스el) | |
아르기로폴리 (Αργυρούπολη|아르기로폴리el) | |
엘리니코 (Ελληνικό|엘리니코el) | 구 엘리니콘 국제공항 인근 |
3. 3. 3호선 (블루 라인)
3호선은 파란색 노선으로, 아테네 지하철 노선 중 가장 길며 총 길이는 47.3km에 달하고 27개의 역이 있다.[4] 이 노선은 아테네 국제공항과 도심의 신타그마 광장, 모나스티라키 등 주요 지역 및 파르테논 신전과 같은 중요 관광 명소를 연결하여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노선 중 하나이다. 모나스티라키 역에서는 1호선(녹색)으로, 신타그마 역에서는 2호선(빨간색)으로 환승할 수 있다.대부분의 구간은 지하 깊은 곳('심층')에 건설되었으나[18][20], 두키시스 플라켄티아스 역 동쪽의 아테네 국제공항 방면 구간은 지상으로 운행하며 아테네 교외 철도와 선로 및 일부 역(팔리니 역, 페아니아-칸차 역, 코로피 역)을 공유한다. 이 공유 구간의 역들은 GAIAOSE가 소유하며, 아테네 국제공항 역은 공항 운영사인 아테네 국제공항이 소유하고 있다.[4] 나머지 역들은 STASY가 운영한다. 차량 정비 시설은 두키시스 플라켄티아스 역과 엘레오나스 역에 위치한다.
기본 운임(1EUR)의 공통 승차권으로는 에갈레오 역부터 에스니끼 아미나 역까지만 이용할 수 있으며, 아테네 국제공항까지 가려면 별도의 승차권을 구매해야 한다.
3호선 건설은 1991년 아티카 메트로사에 의해 2호선과 함께 시작되었다. 아테네 도심의 교통 체증 완화와 대기 오염 감소를 목표로 했으나, 공사 중 시내 곳곳에서 고대 유적이 발굴되면서 조사와 보존 작업으로 인해 공사 기간이 지연되고 비용이 증가하기도 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3호선은 2000년 1월 28일에 첫 구간이 개통되었다.[18] 이후 2004년 하계 올림픽 개최에 맞춰 아테네 국제공항까지 연장되었고, 2007년 5월에는 서쪽으로 에갈레오 역까지 연장되었다. 가장 최근의 연장은 2022년 10월 10일에 이루어져 피레아스의 디모티코 테아트로 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18][20]
역명 (한국어) | 역명 (그리스어) | 환승 및 주요 시설 |
---|---|---|
디모티코 테아트로 역 | Δημοτικό Θέατροel | |
피레아스 역 | Πειραιάςel | 1호선, 아테네 교외 철도 |
마니아티카 역 | Μανιάτικαel | |
니케아 역 | Νίκαιαel | |
코리달로스 역 | Κορυδαλλόςel | |
아기아 바르바라 역 | Αγία Βαρβάραel | |
아기아 마리나 역 | Αγία Μαρίναel | |
에갈레오 역 | Αιγάλεωel | |
엘레오나스 역 | Ελαιώναςel | |
케라미코스 역 | Κεραμεικόςel | |
모나스티라키 역 | Μοναστηράκιel | 1호선 |
신타그마 역 | Σύνταγμαel | 2호선, 아테네 트램, 그리스 국회 의사당, 신타그마 광장 |
에반겔리스모스 역 | Ευαγγελισμόςel | 힐튼 아테네, 국립미술관 |
메가로 무시키스 역 | Μέγαρο Μουσικήςel | 아테네 콘서트홀 |
아벨로키피 역 | Αμπελόκηποιel | |
파노르무 역 | Πανόρμουel | |
카테하키 역 | Κατεχάκηel | |
에스니끼 아미나 역 | Εθνική Άμυναel | 그리스 국방부 |
홀라르고스 역 | Χολαργόςel | |
노미스마토코피오 역 | Νομισματοκοπείοel | |
아기아 파라스케비 역 | Αγία Παρασκευήel | |
할란드리 역 | Χαλάνδριel | |
두키시스 프라켄티나스 역 | Δουκίσσης Πλακεντίαςel | 아테네 교외 철도 (공항 방면) |
팔리니 역 | Παλλήνηel | 아테네 교외 철도와 공유 |
페아니아-칸차 역 | Παιανία-Κάντζαel | 아테네 교외 철도와 공유 |
코로피 역 | Κορωπίel | 아테네 교외 철도와 공유 |
아테네 국제공항 역 | Διεθνής Αερολιμένας Αθηνώνel | 아테네 국제공항, 아테네 교외 철도와 공유 |
3. 4. 환승역
아테네 지하철에는 아티키, 모나스티라키, 오모니아, 피레아스, 신타그마 등 5개의 환승역이 있다. 이 역들을 통해 세 노선은 최소 한 번 이상 서로 환승이 가능하다. 각 노선은 또한 아테네 교외 철도 및 아테네 트램과도 최소 한 곳 이상에서 연결되어 환승할 수 있다.4. 운영
1호선(노선 색상: 녹색)은 1869년 2월 27일 아테네와 피레우스를 잇는 증기 철도로 처음 개통되었다. 이후 1904년 전철화되었으며, 현재는 북쪽 교외 지역인 키피시아까지 운행한다. 총 길이는 약 26km이며, '그린 라인'으로도 불린다. 개통 당시 증기 철도였기 때문에 대부분의 구간이 지상으로 운행되며, 지하 구간은 아테네 시내 일부에 한정된다. 1호선은 ISAP사(Η.Σ.Α.Π. - Ηλεκτρικοί Σιδηρόδρομοι Αθηνών-Πειραιώς|Ilektrikoi Sidirodromoi Athinon-Pireosel, 아테네-피레우스 전기 철도)가 소유 및 운영한다.
2호선(빨간색)과 3호선(파란색)은 아테네 도심의 교통 체증과 대기 오염(스모그)을 줄이기 위해 아티카 메트로사(Attiko Metro) 주도로 1991년부터 건설되었다. 공사 중 시내 곳곳에서 고대 유적이 발견되어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비용도 증가했지만, 두 노선 모두 2000년 1월에 개통했다. 2호선과 3호선은 아티카 메트로 운영 회사(Attiko Metro Operations Company)가 운영한다.
1호선과 2, 3호선은 운영 주체가 다르지만, 승차권은 공용으로 사용하며 안내 방송이나 역 정보 등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는 하나의 시스템처럼 운영된다.
아테네 올림픽 개최 결정에 따라, 3호선은 올림픽 일정에 맞춰 아테네 국제공항까지 연장 개통하여 공항철도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으며, 2007년 5월에는 에게오까지 추가로 연장되었다. 2호선과 3호선은 현재도 추가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며, 세 노선 모두 아테네의 교외 철도와 연결된다.
3개 노선의 총 영업 길이는 약 77km이다 (3호선의 공항 직통 교외 철도 구간 포함).
지하철의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 유지를 위해 다음 행위는 금지된다.
- 흡연
- 인화성 물질 또는 위험물 반입
- 운반에 지장을 주는 큰 물건 소지
- 음식물 섭취
- 음주 또는 약물 복용 상태에서의 탑승
- 상품 판매, 서비스 제공, 광고물 배포
- 악기 연주
- 다른 승객에게 불편을 주는 행위
- 시설물 오염 행위
- 선로나 터널 무단 진입
단, 애완동물은 이동용 케이스에 넣은 상태로 동반 탑승이 가능하다. 차량 내부 및 역 구내(개찰구 안)에서는 유효한 승차권이나 교통카드를 소지해야 한다. 열차 출발 벨이 울린 후에는 무리하게 탑승해서는 안 된다.
2007년 9월, 당시 아테네 시장은 금요일과 토요일의 지하철 운행 시간을 심야 2시까지 연장할 것을 제안했고, 같은 해 11월부터 1, 2, 3호선에서 시범적으로 야간 운행을 시작했다.
4. 1. 차량
아테네 지하철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표준궤 전동차를 사용하며, 전동차는 직류 750V 제3궤조 방식으로 운행된다. 다만 3호선의 공항 연결 구간은 가공 전차선에서 교류 25kV 50Hz 전력을 사용하므로, 해당 구간 운행 열차는 두 전력 시스템을 모두 지원해야 한다.[18][20]과거 노선 운영 주체의 차이로 인해 차량 분류 방식이 달라, 1호선은 "배치"(batch), 2호선과 3호선은 "세대"(generation)로 구분한다. 총 6종의 차량이 운행 중이며, 모두 제3궤조 집전 장치를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 이 중 2세대 차량 일부(7개 편성)는 3호선 공항 구간 운행을 위해 가공 전차선 집전 장치(팬터그래프)도 갖춘 듀얼 시스템 차량이다.[22]
현재 운행 중인 가장 오래된 차량은 1983년에 도입된 1호선의 8차 배치 차량이며, 가장 최신 차량은 2014년에 도입된 2, 3호선의 3세대 차량이다.[23]
4. 1. 1. 1호선 차량
아테네 지하철 1호선은 대부분의 구간에서 표준궤 전동차를 사용하며, 제3궤조 방식의 직류 750V 전력을 공급받아 운행한다. 이는 가공 전차선에서 교류 25kV 전력을 사용하는 3호선 공항 구간과는 다른 방식이다.아테네 지하철은 과거 노선 운영 주체가 달라 차량 분류 방식에 차이가 있다. 1호선은 "배치"(batch) 단위로 차량을 분류하는 반면, 2호선과 3호선은 "세대"(generation) 단위로 분류한다. 현재 아테네 지하철 전체에는 총 6종의 차량이 운행 중이며, 모두 제3궤조 집전 장치를 갖추고 있다.
과거 1호선에서는 1925년에 제조된 목조 전차가 1985년경까지 운행되었으며, 1969년까지 제조된 강철제 차량과 1985년에 제조된 초기 독일제 차량도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폐차되었다.[40]
현재 1호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1984년부터 2004년 사이에 독일의 지멘스 또는 아드트란츠에서 제작되었거나, 이들 회사의 전기 장치를 사용하여 그리스 국내(헬레닉 조선소)에서 조립된 차량들이다. 여러 차례에 걸쳐 도입되었지만 기본적인 차체 설계는 유사하다. 총 245량이 제작되었으나, 2009년 3월 2일 발생한 테러로 9량이 파괴되어 현재는 236량이 운행 중이다. 이 차량들에는 냉방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일부 차량에만 송풍 장치가 있다. 또한, 차량 사이에 관통로가 없어 객차 간 이동은 불가능하다.
여객 운송에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차량은 8차 배치(1983년 도입)이다. 8차 및 10차 배치 차량은 외관상 유사하지만, 8차 배치는 플립 디스플레이 방식의 행선 표시기를 사용하며, 존스턴 서체와 크림색 및 녹색 조합의 내부 색상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8차 배치 차량에 대한 대대적인 개조 작업이 진행 중이며, 이 기간 동안 부족한 차량을 보충하기 위해 2호선과 3호선에서 운행되던 1세대 열차 중 최대 5개 편성이 1호선에서 임시로 운행되고 있다. 1호선 차량의 반세트(half-set)는 양쪽 끝에 운전실이 있지만, 2/3호선 차량의 반세트는 바깥쪽 끝에만 완전한 운전실이 있고 안쪽 끝에는 차량기지 내 이동을 위한 기본 운전 장치만 있다.
아래는 현재 1호선에서 주로 운행되는 차량의 세부 정보이다.
이름 | 제조사 | 사진 | 노선 | 열차 편성당 차량 수 | 측면당 출입문 수 | 승객 수 | 운행 시작 | 정보 |
---|---|---|---|---|---|---|---|---|
8차분 | 만 SE, 지멘스 모빌리티 | ![]() | 1호선 | 5 | 4 | 830 | 1983–1985 | "콜롬비아"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유명한 우주 왕복선에서 유래했다. 아테네 지하철에서 운행되는 가장 오래된 열차이다. 2023년 기준으로 14개 편성이 개조 중에 있다. |
10차분 | 만 SE, AEG, 지멘스 모빌리티, 헬레닉 조선소 | ![]() | 1호선 | 5 | 4 | 830 | 1993–1995 | 아테네 지하철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열차이다. 8차분과 외관이 거의 동일하며 같은 별칭으로 불린다. 향후 개조가 예정되어 있다. |
11차분 | 아드트란츠, 지멘스 모빌리티, 헬레닉 조선소, 봄바디어 운송 | ![]() | 1호선 | 6 | 4 | 1002 | 2000–2004 | 1세대 열차가 1호선에 투입되기 전까지 유일한 6량 편성 열차였다. 향후 개조가 예정되어 있다. |
1세대 | 지멘스 모빌리티, 다임러 AG, 알스톰 | ![]() | 1호선, 2호선, 3호선 | 6 | 4 | 1,030 | 2000 | 원래 2호선과 3호선을 위해 도입된 1세대 열차이다. 전체 아테네 지하철 차량 중 유일하게 미닫이식 출입문을 사용하며 잠금 장치가 없다. 8차분 개조 기간 동안 일부 편성이 1호선에서도 운행된다. |
4. 1. 2. 2호선 및 3호선 차량
(km/h)
120 (직류/교류)[22]
1,026 (직류/교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