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아트사코알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아트사코알코스는 멕시코 베라크루스주에 위치한 도시로, 올멕 문명의 중심지였다. 1522년 스페인 정착촌이 건설되었고, 1825년 항구로 승격되면서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1970년대 석유 붐 이후 중요한 교통 요충지가 되었으며, 석유화학 산업이 발달했다. 쾨펜 기후 구분상 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며, 멕시코만에서 발생하는 허리케인과 열대 폭풍의 영향을 받는다. 주요 산업은 석유화학이며, 코아트사코알코스 항구를 통해 해상, 항공, 도로, 철도 등 다양한 교통망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라크루스주 - 할라파 (베라크루스주)
할라파는 멕시코 베라크루스주의 도시로, "모래 속의 샘"이라는 뜻의 나우아틀어 이름을 가지며, 토토나카족 거주지, 아스테카 제국, 스페인 식민 시대를 거쳐 현재 교육 및 상업 중심지이다. - 베라크루스주 - 틀라코탈판
멕시코 베라크루스 주의 틀라코탈판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 건축과 도시 구조가 잘 보존되어 있고 강 항구로서의 역사와 독특한 문화, 작곡가 아구스틴 라라의 고향이라는 점으로 1998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된 "파파로아판의 진주"라는 별칭을 가진 도시이다. - 멕시코의 항구 도시 - 베라크루스
베라크루스는 멕시코 동부 해안의 항구 도시이자 주로, 에르난 코르테스의 상륙을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식민지 시대 주요 항구로서 번성했으나 여러 외세 침략과 역사적 사건을 겪었고, 풍부한 역사와 문화, 활기찬 항구,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 도시이다. - 멕시코의 항구 도시 - 아카풀코
아카풀코는 멕시코 게레로 주의 태평양 연안 도시로, 오랜 역사와 아름다운 해변, 마닐라 갤리온 무역 중심지로서의 번영을 누렸으나, 현재는 관광지 기능과 함께 마약 폭력, 환경 문제, 치안 악화 등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 멕시코의 도시 - 시우다드후아레스
시우다드후아레스는 멕시코 치와와주에 위치하며 미국 엘파소와 국경을 접하고, 1659년 건설되어 1888년 시우다드후아레스로 개칭되었으며, 마킬라도라 산업 성장으로 인구가 증가했으나 마약 카르텔 폭력으로 치안이 악화되었고, 수출 중심의 산업과 냉대 사막 기후를 보인다. - 멕시코의 도시 - 베라크루스
베라크루스는 멕시코 동부 해안의 항구 도시이자 주로, 에르난 코르테스의 상륙을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식민지 시대 주요 항구로서 번성했으나 여러 외세 침략과 역사적 사건을 겪었고, 풍부한 역사와 문화, 활기찬 항구,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 도시이다.
코아트사코알코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코아트사코알코스 |
다른 이름 | 라 시우다드 데 라스 아베니다스 (La Ciudad de las Avenidas, "대로의 도시") |
현지 이름 | |
별칭 | 대로의 도시 |
![]() | |
![]() | |
![]() | |
![]() | |
![]() | |
![]() | |
일반 정보 | |
국가 | 멕시코 |
주 | 베라크루스주 |
설립 | 1522년 |
시장 | 아마도 헤수스 크루스 말피카 MORENA |
지리 | |
면적 | 전체: 309.2 km2 |
고도 | 최대: 50 m 최소: 0 m |
인구 | |
총 인구 (2020년) | 310,698명 |
인구 밀도 | 1,004.8명/km2 |
도시 인구 | 212,540명 |
수도권 인구 | 354,606명 |
수도권 인구 밀도 | 714.64명/km2 |
시간대 | |
시간대 | CS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6 |
일광 절약 시간 | CD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일광 절약 시간) | -5 |
식별 코드 | |
우편 번호 | 96380 – 96599 |
지역 번호 | 921 |
기타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코아트사코알코스 지역은 고대 올멕 문명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1522년 에르난 코르테스의 명령으로 곤살로 데 산도발이 이곳에 '빌라 델 에스피리투 산토'라는 이름의 정착촌을 세우면서 유럽인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4] 1825년 항구로 지정되며 도시 이름이 '코아트사코알코스'로 변경되었고,[4] 1881년에는 자치구로 지정되었다.[4] 이후 1900년 '푸에르토 멕시코'로 잠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11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1936년 다시 현재의 '코아트사코알코스'라는 이름으로 확정되었다.[4] 1970년대 석유 개발 붐과 함께 유카탄 반도 및 캄페체 유전 지대와 태평양 연안의 살리나 크루스 항구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 요충지로 부상했다.
2. 1. 고대 시대
코아트사코알코스는 한때 올멕 문명의 지방 주요 도시였으며, 올멕 문명의 중심지에 위치해 있다. 2008년 코아트사코알코스 강 아래 터널 공사 현장에서 상당한 규모의 선(先) 스페인 시대 인구가 존재했음을 시사하는 유물이 발굴되기도 했다.[3] 스페인인이 도착할 무렵에는 마야 문명의 영향권 아래에 있었다.2. 2. 식민지 시대
스페인인이 도착했을 당시, 이 지역은 마야 문명의 영향 아래 있었다. 1522년, 에르난 코르테스는 곤살로 데 산도발에게 코아트사코알코스 강 근처에 정착촌 건설을 지시했다. 산도발은 이곳의 이름을 Villa del Espíritu Santo|빌라 델 에스피리투 산토spa라고 명명했다.[4]한편, 코아트사코알코스 북서쪽 시에라 데 로스 투스트라스에 위치한 활화산인 산 마르틴 투스트라는 식민지 시대 동안 여러 차례 분화했다. 1664년에 첫 분화 기록이 있으며, 1793년 5월에는 대규모 화산재 낙하와 용암류를 동반한 큰 분화가 있었고, 1796년에도 분화했다.[5]
1825년, 빌라 델 에스피리투 산토는 항구로 지정되었고, 도시 이름은 원주민 언어를 살려 '''코아트사코알코스'''로 변경되었다.[4]
2. 3. 독립 이후

1825년 이 도시는 항구로 승격되었고, 이름은 '''코아트사코알코스'''로 변경되었다.[4]
코아트사코알코스 자치구는 1881년 12월 22일에 설립되었으며, 이 도시가 자치구의 중심지가 되었다.[4] 1900년 이 도시의 이름은 외국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푸에르토 멕시코'''로 변경되었다.[4] 1911년에는 시로 승격되었고, 1936년 현재의 코아트사코알코스라는 이름으로 다시 변경되었다.[4]
1940년 7월 23일, 코아트사코알코스는 스페인 내전에서 파시즘 정권을 피해 대서양을 건너온 SS ''산토 도밍고''호에 탑승한 공화파 난민들을 환영하며 멕시코 망명을 도왔다.[4] 이는 당시 멕시코 정부의 진보적 난민 정책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959년, 이 도시는 규모 6.4의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다.[6]
코아트사코알코스는 1970년대 석유 붐 동안 유카탄 반도와 캄페체의 유전을 멕시코의 나머지 지역과 태평양 연안의 오아하카주에 있는 살리나 크루스 항구로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
3. 지리 및 기후
코아트사코알코스는 멕시코만 캄페체만 연안, 코아트사코알코스강 하구에 위치한 베라크루스주의 주요 항만 도시이다. 테우안테펙 지협에 자리 잡아 태평양과도 연결되는 지리적 요충지이며,[7] 쾨펜 기후 구분 상 열대 몬순 기후(Am)에 속하여 연 강수량이 많고 허리케인의 영향을 자주 받는다.[8] 도시 이름은 나와틀어로 "뱀의 장소" 또는 "뱀의 은신처"를 의미한다.
3. 1. 지리
코아트사코알코스 시는 코아트사코알코스강이 멕시코만의 캄페체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하구에 위치한다. 태평양과는 테우안테페크 지협을 사이에 두고 약 160km 떨어져 있으며, 도로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 때문에 지난 1세기 이상 동안 테우안테펙 지협을 가로지르는 대양 간 수로 건설 계획이나 대규모 철도 시스템 확장 계획이 추진되어 왔다. 1970년대 오일 붐 이후에는 유카탄반도 캄페체주의 유전 지대와 태평양 연안의 항만 도시 사리나 크루스를 잇는 교통 요충지로서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7] 코아트사코알코스는 베라크루스주의 주요 항만 도시 중 하나이다. 도시 이름은 나와틀어로 "뱀의 장소" 또는 "뱀의 은신처"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코아트사코알코스는 열대 몬순 기후(Am)에 속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290cm 이상으로 매우 높다.[7] 멕시코만에 위치하여 허리케인과 열대 폭풍의 영향을 자주 받는다. 주요 사례로는 1990년 8월 허리케인 다이아나, 1998년 11월 허리케인 미치, 2003년 10월 열대 폭풍 래리, 2005년 10월 허리케인 스탠, 2007년 8월 허리케인 딘, 2008년 10월 열대 폭풍 마르코, 2010년 9월 초 열대 폭풍 헤르미네, 2010년 9월 중순 허리케인 칼, 2010년 9월 말 열대 폭풍 매튜, 2010년 10월 허리케인 리처드, 2022년 5월 말 허리케인 아가타 등이 있다. 겨울철은 여름철보다 상대적으로 춥고 건조하다. 때때로 북미 대륙에서 발달한 차가운 고기압이 멕시코만 남쪽으로 확장하면서 강한 테우아노 바람이 테우안테펙 지협을 가로질러 불기도 하는데, 특히 오아하카주의 치벨라 패스 지역에서 바람이 강하게 분다.[8]
3. 2.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코아트사코알코스의 기후는 열대 몬순 기후 (Am)로 분류된다. 연평균 강수량은 290cm 이상이다.[7] 멕시코만에 위치한 코아트사코알코스는 여러 허리케인과 열대 폭풍의 영향을 받아왔다. 주요 영향 사례는 다음과 같다.- 1990년 8월: 허리케인 다이아나
- 1998년 11월: 허리케인 미치
- 2003년 10월: 열대 폭풍 래리
- 2005년 10월: 허리케인 스탠
- 2007년 8월: 허리케인 딘
- 2008년 10월: 열대 폭풍 마르코
- 2010년 9월 초: 열대 폭풍 헤르미네
- 2010년 9월 중순: 허리케인 칼
- 2010년 9월 말: 열대 폭풍 매튜
- 2010년 10월: 허리케인 리처드
- 2022년 5월 말: 허리케인 아가타
겨울철은 여름철보다 상대적으로 춥고 건조하다. 때때로 북미 대륙에서 발달한 차가운 고기압이 남하하여 멕시코만 남부까지 영향을 미치면, 강한 테우아노 바람이 테우안테펙 지협을 가로질러 분다. 이 바람은 특히 오아하카 주의 치벨라 패스(Chivela Pass) 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난다.[8]
4. 인구
2020년 기준 코아트사코알코스 시의 인구는 310,698명이며, 이 중 시청 소재지에 거주하는 인구는 212,540명이다.[1] 이는 베라크루스와 할라파 다음으로 베라크루스주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이다. 주요 읍면 인구는 올멕 시 24,085명, 아옌데 23,351명, 빌라 산 마르틴 15,659명, 푸에르토 에스메랄다 9,585명 등이다.[1] 코아트사코알코스는 광역권의 중심 도시로, 인근 이슈아틀란 델 수르와 난치탈 데 라사로 카르데나스 델 리오 시를 포함한 광역권 인구는 2020년 기준 354,606명이다.
5. 경제
이 도시의 산업은 석유화학 부문이 중심을 이룬다. 파하리토스(Pajaritos), 코솔레아카케(Cosoleacaque), 모렐로스(Morelos), 캉그레헤라(Cangrejera) 등 4개의 대규모 석유화학 산업 단지가 도시 근처에 위치해 있어,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석유화학 집적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국영 기업 페멕스(Pemex)의 석유화학 자회사는 코아트사코알코스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생산량의 85%가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10]
코아트사코알코스는 멕시코만에 면한 베라크루스주의 주요 항만 도시이다. 1970년대의 오일 붐 이후, 코아트사코알코스는 유카탄반도 캄페체주의 캄페체 유전과 태평양 쪽 항만 도시인 오아하카주의 사리나 크루스를 잇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태평양과는 테우안테페크 지협을 사이에 두고 약 160km 거리에 있으며, 도로와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6. 교통
코아트사코알코스는 수백 년 동안 중요한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항공, 해상, 도로, 철도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주변 지역 및 세계 여러 곳과 연결되어 있다.
특히 1970년대 멕시코의 석유 붐 이후, 멕시코만 연안의 캄페체주 유전 지대와 태평양 연안의 오아하카주 살리나 크루즈를 잇는 테우안테펙 지협의 핵심 교통 요충지로 부상했다. 멕시코만과 태평양은 약 160km 거리의 테우안테펙 지협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이곳을 통해 도로와 철도가 연결되어 물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 교통 수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6. 1. 항공
미나티틀란/코아트사코알코스 국립공항은 코솔레아카케에서 15km 떨어져 있으며 2006년 8월부터 국제공항으로 운영되고 있다.6. 2. 해상
코아트사코알코스는 멕시코만에 면한 베라크루스주의 주요 항만 도시로서, 수백 년 동안 해상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도시 이름은 나와틀어로 "뱀의 장소" 또는 "뱀의 은신처"를 의미한다.코아트사코알코스 항구(Puerto México)는 석유 및 석유화학 제품 환적을 주로 담당하는 국제 입항 항구이다. 포르피리오 디아스 정권 시기인 1907년, 테우안테펙 지협을 통과하는 철도 노선이 개선되면서 해상 운송량이 증가했는데, 특히 아메리카-하와이안 증기선 회사의 역할이 컸다. 그러나 1914년 파나마 운하가 개통되면서 항구의 물동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후 1970년대 멕시코의 석유 붐과 함께 유카탄반도 캄페체주의 유전 지대와 태평양 연안의 오아하카주 사리나 크루스를 연결하는 교통 요충지로서 항구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었고, 물동량도 회복되었다.
현재 CG 철도는 코아트사코알코스 항구와 미국 앨라배마주의 모빌 항구 사이에 열차 페리를 운행하며 국제적인 해상 연결망을 유지하고 있다.[13]
6. 3. 철도
코아트사코알코스는 테우안테펙 지협을 횡단하는 철도 노선의 중요한 거점이다. 이 노선은 현재 트렌 인터오세아니코(Ferrocarril Transístmico, "대륙 횡단 철도")로 알려져 있다.1907년 포르피리오 디아스 대통령 시기에 테우안테펙 노선이 개선되면서 코아트사코알코스를 통한 철도 운송이 활발해졌다. 특히 아메리카-하와이안 증기선 회사 등을 통해 태평양과 대서양을 잇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1914년 파나마 운하 개통 이후 철도 교통량은 감소했으나, 1970년대 석유 붐 이후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태평양 연안의 오아하카주 살리나 크루즈와는 테우안테페크 지협을 사이에 두고 약 160km 거리에 있으며,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현재 주요 철도 운영 현황은 다음과 같다.
- 페로수르(Ferrosur)는 코아트사코알코스에서 동남쪽으로 라스 초아파스까지, 북쪽 및 서쪽으로 베라크루스와 멕시코 시티까지 철도 서비스를 운영한다. 또한, 오아하카 주 살리나 크루즈까지 이어지는 테우안테펙 노선을 따라 남쪽으로도 운행한다.[13]
- CG 철도는 코아트사코알코스 항구와 미국 앨라배마 주의 모빌 항구 사이에서 열차 페리를 운행하여 국제적인 철도 화물 운송을 담당한다.
코아트사코알코스 강을 건너는 철도는 1910년에 건설된 ''코아차 I'' 다리를 이용한다. 이 다리는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80호선과 함께 1세기 이상 도시의 중요한 교통 기반 시설 역할을 해왔다.
6. 4. 도로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80호선은 코아트사코알코스를 지나 캄페체만 남쪽 해안을 따라 유카탄 반도까지 이어진다. 이 고속도로와 아옌데로 가는 철도는 1910년에 건설된 ''코아차 I'' 다리를 통해 1세기 이상 코아트사코알코스 강을 건너왔다. 늘어나는 도로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해 남쪽에 ''코아차 II'' 또는 ''안토니오 도발리 하이메''로 알려진 두 번째 다리가 건설되었다. 이 사장교는 1979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984년 10월 17일 미겔 데 라 마드리드 우르타도 대통령에 의해 개통되었다.[14] ''코아차 II'' 다리의 중앙 경간은 288m이고 전체 길이는 698.25m이다.[15] 코아트사코알코스 시와 아옌데 사이에는 페리가 운행되며, 2017년에는 4차선 교통을 처리하는 1.1km 길이의 코아트사코알코스 수중 터널이 추가되었다.[4]코아트사코알코스는 또한 멕시코 연방 고속도로 185호선의 북쪽 종착지이기도 하다. 이 도로는 테우안테펙 지협을 가로질러 반대편 태평양 연안의 오아하카주 살리나 크루즈까지 연결된다. 1970년대 석유 붐 이후 코아트사코알코스는 유카탄 반도의 캄페체주 유전 지대와 태평양 항구 도시 살리나 크루스를 잇는 도로 교통의 요충지로서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7. 교육
베라크루스 대학교는 코아트사코알코스에 분교와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11] 또한 TecNM도 이 도시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8. 스포츠
코아트사코알코스 티부로네스 로호스 (붉은 상어)는 2008년 12월까지 프리메라 디비시온 A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오리사바로 이전하여 개편된 알비네그로스 데 오리사바의 일부가 되었다. 코아트사코알코스 델피네스 (돌고래)는 1980년에 건설된 라파엘 에르난데스 오초아 경기장에서 경기를 치른다.[12] 우니베르시다드 이스토 아메리카나 F.C.는 멕시코 테르세라 디비시온에서 활동하며 코아트사코알코스에 기반을 두고 있다.
9. 유명 인물
wikitext
이름 | 분야 | 주요 활동/소속 |
---|---|---|
셀마 헤이엑 | 배우 | 영화 배우 |
마리아 안토니에타 콜린스 | 언론인 | 언론인 |
세르지오 라미레스 | 축구 선수 | FC 아라라트 예레반 (아르메니아 프리미어 리그) |
호세 아르투로 리바스 | 축구 선수 | 티그레스 UANL (리가 MX) |
실비아노 델가도 | 축구 선수 | 1992년 하계 올림픽 멕시코 국가대표,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푸에블라 FC, 아틀레티코 모렐리아 |
10. 자매 도시
참조
[1]
PDF
Censo Coatzacoalcos 2020
http://ceieg.veracru[...]
[2]
웹사이트
DICTIONNAIRE de la langue NAHUATL CLASSIQUE
http://sites.estvide[...]
2011-04-04
[3]
뉴스
Coatzacoalcos archaeological finds
http://www.cronica.c[...]
La Crónica de Hoy
2008-03-16
[4]
웹사이트
E-Local -Veracruz
http://www.e-local.g[...]
2011-04-02
[5]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 San Martín - Summary
http://www.volcano.s[...]
Smithsonian Institution
2011-04-03
[6]
간행물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https://www.ngdc.no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2-03-04
[7]
웹사이트
Worldwide Bioclimatic Classification System Mexico-Coatzacoalcos
http://www.ucm.es/in[...]
Worldwide Bioclimatic Classification System Phitosociological Research Center
2011-04-02
[8]
웹사이트
Non-Inertial Flow in NSCAT Observations of Tehuantepec Winds
http://coaps.fsu.edu[...]
2011-04-03
[9]
웹사이트
NORMALES CLIMATOLÓGICAS 1981–2000
http://smn.cna.gob.m[...]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16-02-13
[10]
웹사이트
Acerca de Pemex Petroquímica
http://www.ptq.pemex[...]
Pemex
2011-03-22
[11]
웹사이트
Entidades académicas - Coatzacoalcos - Minatitlán - Universidad Veracruzana
http://www.uv.mx/coa[...]
2011-04-03
[12]
웹사이트
Stadium Hernandez Ochoa (Coatzacoalcos)
http://wikimapia.org[...]
2011-04-03
[13]
웹사이트
Vias principales
http://www.ferrosur.[...]
2011-04-03
[14]
웹사이트
Puente Coatza II, 26 años de comunicar al sureste mexicano - Agencia Imagen del Golfo
http://www.imagendel[...]
Diario del Istmo
2010-03-31
[15]
웹사이트
Coatzacoalcos Bridge (1984) - Structurae
http://en.structurae[...]
2011-04-03
[16]
PDF
Censo Coatzacoalcos 2020
http://ceieg.veracru[...]
[17]
웹인용
NORMALES CLIMATOLÓGICAS 1981–2000
http://smn.cna.gob.m[...]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16-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