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쾨케누르 몽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쾨케누르 몽골은 칭하이성 지역에 거주하며, 몽골족의 일파를 지칭한다. 몽골족은 선비족 멸망 이후 칭하이성 서부로 이주하여 토욕혼 제국을 건설했다. 이후 원나라가 멸망한 후 명나라에 복속되었으나, 16~17세기에 상부 몽골족이 유입되었다. 호쇼트의 구시 칸은 티베트를 장악하고 호쇼트 칸국을 세웠으나, 준가르 몽골의 침략과 청나라의 개입으로 쇠퇴했다. 청나라 시기에는 티베트인과의 갈등, 후이족의 약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현재는 칭하이성과 수베이 몽골족 자치현에 거주하고 있다. 구성 민족으로는 호쇼트, 초로스, 토르구트, 할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하이성의 역사 - 서하
    서하는 1038년부터 1227년까지 중국 북서부에 존재했던 탕구트족의 왕조로, 이원호가 건국하여 송, 요와 대립하며 불교를 숭상하고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몽골 제국 침입으로 멸망했다.
  • 칭하이성의 역사 - 코슈트 칸국
    17세기 구시 칸이 칭하이 지역을 장악하고 티베트를 정복하여 칸 칭호를 받은 후 겔룩파 중심의 통치 체제를 확립했으나, 준가르 침공과 청나라 원정으로 멸망한 국가이다.
  • 오이라트 - 오이라트어
    오이라트어는 러시아, 몽골, 중국의 오이라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칼미크 공화국에서는 공용어이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몽골과 중국에서는 몽골어 방언으로 취급되지만 독자적인 문어(토도 문자)를 유지하며 소멸 위기에 처해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난다.
  • 오이라트 - 굴리치 울루그테무르 칸
    굴리치 울루그테무르 칸은 15세기 초 몽골 고원에서 키르기스족을 규합하여 대칸의 자리에 올랐으나, 명나라와의 관계 문제로 몽골 귀족들의 반발을 사 측근에게 암살당했으며, 그의 출신과 가계는 불분명하다.
  • 몽골족 - 몽골인
    몽골인은 몽골, 중국, 러시아 등에 거주하는 유목민족으로, 몽올실위에서 기원하여 흉노족, 돌궐족과 혼혈되었으며, 칭기즈칸의 몽골 제국을 거쳐 여러 칸국으로 분열 후 청나라 지배를 받았고,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되어 몽골어를 사용하며 유목 목축과 라마 불교 중심의 전통 문화를 가지고 있다.
  • 몽골족 - 부랴트인
    부랴트인은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몽골 제국의 일원이었던 몽골계 민족으로, 바이칼호 주변에서 반유목 생활을 하며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를 믿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지고 있으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높은 사상자 비율로 논란이 되었다.
쾨케누르 몽골
기본 정보
언어코슈트어 방언의 오이라트 몽골어
종교티베트 불교 및 샤머니즘
관련 민족오이라트, 몽골족, 중국의 몽골족
명칭
한국어청해 몽골, 데드 몽골, 상몽골
중국어 (간체)칭하이 멍구 (青海蒙古)
중국어 (정체)칭하이 멍구 (青海蒙古)
한어 병음Qīnghǎi Měnggǔ
몽골어 (키릴 문자)Хөх нуурын Монгол, Дээд монгол
몽골어 (몽골 문자)ᠬᠥᠬᠡ ᠨᠠᠭᠤᠷ ᠤᠨ ᠮᠣᠩᠭᠣᠯ, ᠲᠡᠭᠡᠲᠦ ᠮᠣᠩᠭᠣᠯ
영어Upper Mongolia
분포
국가중국
인구100,000명 (2009년)

2. 역사

선비족 멸망 이후, 몽골족과 같은 유목 집단은 칸 토욕혼의 통치 아래 본래 거주지인 요동반도에서 현대 칭하이성 서부 지역으로 이주했다.[1][2][3][4] 토욕혼 제국 (284–670)은 동서로 1500km, 남북으로 1000km에 걸쳐 있었다.

1368년 원나라 멸망 후 간쑤성-칭하이호 지역의 몽골족은 명나라에 복속되었지만, 16세기와 17세기에 상부 몽골족이 이주해 왔다. 다얀 칸, 리그단 칸, 오르도스와 투메드 군주 등 많은 북원 통치자들이 1509년부터 1632년까지 칭하이성을 침략하거나 피난처로 삼았다. 투메드 몽골족은 오르도스 지역을 다스렸고, 점차 칭하이성 북동부로 영토를 확장했다.[5]

1637년부터 1642년까지 호쇼트 지도자 토로 바이쿠 구시 칸제5대 달라이 라마의 적들을 모두 물리치고 달라이 라마에 의해 티베트 칸으로 즉위했다. 그의 손자이자 후계자인 곤촉 달라이 칸(1669-1698)은 갈단 칸이 구시 칸의 친척과 후손들을 박해하기 시작하자 반체제 준가르들을 환영했다.[6]

달라이 라마 궁궐에 있는 구시 칸 동상(오른쪽)과 달라이 라마 동상(왼쪽). (요한 그루버 그림, 1661)


1697년 갈단이 패배하자, 달라이 쿵 타이치 다시 바투르는 청나라 강희제에게 복종했다. 1705년 강희제 승인으로 호쇼드 라상 칸은 섭정을 폐위하고 제6대 달라이 라마를 베이징으로 보냈는데, 6대 달라이 라마는 암도 칭하이호(쾨케누르) 근처에서 사망했다. 1717년 준가르 몽골족이 티베트를 침공하여 1720년 청 제국 군대에 패배할 때까지 점령하면서 청나라의 티베트 통치가 시작되었다.[7]

1717년 상부 몽골족(호쇼트 칸국)은 정복되어 8만 명이 사망했다.[8] 당시 상부 몽골족 인구는 20만 명이었다. 1723년 롭상 단잔 왕자는 청나라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패배하고 준가르 칸국으로 도망쳤다가 1755년 청나라에 항복했다.[9]

19세기 말~20세기 초, 상부 몽골족은 티베트족 및 후이족 무슬림과 갈등을 겪었다. 1775년 이후 티베트족은 몽골족을 공격했고, 일부는 간쑤성으로 피신하여 수베이 몽골족 현을 형성했다. 1821년 티베트 유목민들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황하칭하이호 사이 몽골족 깃발을 쓸어버렸고, 1897년 후이족 무슬림이 상부 몽골족을 약탈했다.

1979년 이후, 중국 자유화 분위기 속에서 상부 몽골족은 내몽골과 문화적 유대를 회복했다. 티베트 문화 영향을 강하게 받았음에도, 오이라트 부족과 달리 몽골 문자를 사용하며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

2. 1. 몽골 제국 분열과 이주

선비족이 멸망한 후, 몽골족과 같은 유목 집단은 그들의 칸 토욕혼의 통치 아래 본래 거주지인 요동반도에서 현대 칭하이성 서부 지역으로 이주했다.[1][2][3][4] 토욕혼 제국 (284–670)은 동서로 1500km, 남북으로 1000km에 걸쳐 뻗어 있었다.

원나라가 1368년 멸망한 후 간쑤성칭하이호 지역의 몽골족명나라에 복속되었지만, 상부 몽골족은 16세기와 17세기에 그곳으로 왔다. 다얀 칸, 리그단 칸, 오르도스와 투메드의 군주와 같은 많은 몽골 황제들과 북원 통치자들은 1509년부터 1632년까지 칭하이성을 침략하거나 피난처로 삼았다. 투메드 몽골족은 오르도스 지역을 다스렸고, 그들의 영토를 점차 칭하이성 북동부로 확장했다.[5]

2. 2. 호쇼트 칸국의 흥망성쇠

1637년부터 1642년까지 호쇼트의 지도자 토로 바이쿠 구시 칸제5대 달라이 라마의 모든 적들을 물리쳤다. 달라이 라마는 그를 티베트의 칸으로 즉위시켰다. 그의 손자이자 두 번째 계승자인 곤촉 달라이 칸(1669년 ~ 1698년)은 갈단 칸이 구시 칸의 친척과 후손들을 박해하기 시작했을 때 반체제 준가르들을 환영했다.[6]

1697년 갈단이 패배하자, 달라이 쿵 타이치 다시 바투르는 청나라강희제에게 개인적으로 복종했다. 1705년, 만주 청나라의 강희제의 승인을 받아, 호쇼드의 라상 칸은 섭정을 폐위하고 제6대 달라이 라마를 베이징으로 보냈다. 제6대 달라이 라마는 곧 사망했는데, 아마도 암도의 칭하이호(코코 노르) 근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717년 준가르 몽골족은 티베트를 침공하여 1720년 청 제국 군대에 최종적으로 패배할 때까지 이 지역 전체를 점령했고,[7] 이로써 청나라의 티베트 통치 시대가 시작되었다.

1717년 상부 몽골족 또는 호쇼트 칸국은 정복되었고 8만 명이 사망했다.[8] 당시 상부 몽골족의 인구는 20만 명에 달했다. 1723년 상부 몽골족은 롭상 단잔 왕자의 통치 하에 만주 청나라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패배했다. 롭상 단잔은 준가르 칸국으로 도망쳐 결국 1755년 청나라에 항복했다.[9]

2. 3. 청나라 시기

티베트 고원에 기반을 둔 호쇼트 칸국 (1642–1717)


1697년 갈단이 패배하자, 달라이 쿵 타이치 다시 바투르는 청나라강희제에게 복종했다.[6] 1705년, 강희제의 승인을 받아 호쇼드의 라상 칸은 섭정을 폐위하고 제6대 달라이 라마를 베이징으로 보냈는데, 6대 달라이 라마는 암도의 칭하이호(쾨케누르) 근처에서 사망했다.[7] 1717년 준가르 몽골족이 티베트를 침공하여 1720년 청 제국 군대에 패배할 때까지 점령하면서,[7] 청나라의 티베트 통치가 시작되었다.

1717년 상부 몽골족 또는 호쇼트 칸국이 정복되면서 8만 명이 사망했다.[8] 당시 상부 몽골족의 인구는 20만 명에 달했다. 1723년 롭상 단잔 왕자는 청나라에 반란을 일으켰지만 패배하고 준가르 칸국으로 도망쳤다가 1755년 청나라에 항복했다.[9]

2. 4. 근현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상부 몽골족은 티베트족 및 후이족 무슬림과 갈등을 겪었다. 1775년 이후 티베트족은 몽골족을 공격했고, 일부 상부 몽골족은 간쑤성으로 피신하여 수베이 몽골족 현을 형성했다.[9] 1821년 티베트 유목민들은 북쪽으로 이동하여 황하칭하이성 호수 사이의 몽골족 깃발을 쓸어버렸고,[9] 1897년에는 후이족 무슬림이 상부 몽골족을 약탈했다.[9]

1979년 이후, 중국의 자유화 분위기 속에서 상부 몽골족은 내몽골과 문화적 유대를 회복했다.[9] 티베트 문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음에도, 오이라트 부족과 달리 몽골 문자를 사용하며 독자적인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9]

3. 구성 민족

상부 몽골은 호쇼트, 할하, 초로스, 토르구트 등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다.[10] 리가단 칸과 촉투 타이즈가 할하 병력을 이끌고 상부 몽골로 왔으나, 이들 중 상당수가 질병과 구시 칸의 군대에 의해 사망했다.[10]

부족구분
초로스서몽골인
할하동몽골인
호쇼트서몽골인
토르구트서몽골인


3. 1. 호쇼트

상부 몽골의 주류를 이루는 오이라트계 부족이다. 상부 몽골인 모두가 호쇼트 오이라트인 것은 아니며, 소수의 할하, 초로스 및 토르구트인도 있다.[10] 리가단 칸은 15만~20만 명의 차하르인(병사 3만~4만 명)과 함께 상부 몽골로 왔고, 그의 동맹인 촉투 타이즈는 4만 명의 할하 병사와 함께 왔지만, 그들 중 70%~90%가 질병과 구시 칸의 군대에 의해 사망했다.[10] 20세기 초 상부 몽골은 29개의 호슌(21개 호쇼트, 2개 초로스, 4개 토르구트, 1개 할하)을 가지고 있었다.[10] 2010년 기준으로 상부 몽골에는 9개의 호슌이 있으며, 8만~9만 명의 상부 몽골인이 칭하이 지역에 거주하고 있고, 1만 명의 상부 몽골인이 쑤베이 몽골족 자치현에 거주하고 있다.[10]

3. 2. 초로스

초로스는 오이라트계 부족이다.[10]

3. 3. 토르구트

오이라트계 부족이다.[10]

3. 4. 할하

촉투 타이즈는 4만 명의 할하 병사와 함께 상부 몽골로 왔지만, 이들 중 70%~90%가 질병과 구시 칸의 군대에 의해 사망했다.[10] 20세기 초, 상부 몽골에는 29개의 호슌이 있었는데, 이 중 1개가 할하에 속했다.[10]

참조

[1]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 Archaeological Data and Linguistic Hypothes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09-02
[2] 서적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4-18
[3] 서적 Interpreters in Early Imperial China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4] 간행물 The T'u-yü-hun from the [[Northern Wei]] to the time of the [[Five Dynasties]] Rome. Is.M.E.O. 1970
[5] 웹사이트 W.D.Shakabpa, Tibet: A Political History http://www.berzinarc[...]
[6] 논문 Charismatic Authority in Context: An Explanation of Guushi Khan's Swift Rise to Power in the Early 17th Century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ongolists 2018
[7] 문서 1986
[8] 웹사이트 БУЦАЖ ИРЭЭГҮЙ МОНГОЛ АЙМГУУД http://montaa.mn/con[...] 2013-11-15
[9] 서적 藏传佛教高僧传略 青海人民出版社
[10] 웹사이트 Хөх нуурын Монголчууд буюу Дээд монголчууд гэж хэн бэ? http://www.oirad.m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