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사이 후세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사이 후세인은 사담 후세인의 아들이자 이라크의 군인이었다. 그는 1991년 걸프전 이후 시아파 봉기 진압, 메소포타미아 습지 파괴에 관여했고, 이라크 반체제 인사들은 그가 많은 정치 활동가 살해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책임자, 이라크 특수 안보 기구 책임자 등을 역임하며 권력을 강화했다.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바그다드 중앙은행에서 거액을 인출했으며, 같은 해 7월 미군과의 교전 끝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 전쟁 관련자 - 토니 블레어
토니 블레어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영국 총리를 지낸 노동당 정치인으로, '제3의 길' 노선을 추구하며 북아일랜드 평화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 전쟁 참전 결정으로 논란을 겪었고 퇴임 후 국제적인 활동과 자선 활동을 이어가며 경제적 성공과 사회 개혁, 이라크 전쟁 책임에 대한 복잡한 평가를 받고 있다. - 이라크 전쟁 관련자 - 오사마 빈라덴
오사마 빈 라덴은 사우디아라비아 출신의 알카에다 지도자로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맞서 무자헤딘을 지원하며 이슬람 극단주의 운동에 참여, 알카에다를 설립하고 미국의 대외 정책과 이스라엘 지원에 반대하며 다수의 테러를 기획, 실행하다가 미국의 작전으로 사살되었다. - 이라크의 무슬림 - 알리 하산 알마지드
알리 하산 알마지드는 사담 후세인의 측근으로, 알-안팔 작전 지휘, 쿠웨이트 점령군 사령관, 시아파 봉기 진압 등 과정에서 대량 학살과 폭력을 자행하여 "화학 알리"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고, 사형 선고 후 교수형에 처해졌다. - 이라크의 무슬림 - 아드난 카이랄라
아드난 카이랄라는 이라크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국방장관, 부총리 등을 역임하며 이라크 군 현대화에 기여했으나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했다. - 이라크의 정치인 - 알리 하산 알마지드
알리 하산 알마지드는 사담 후세인의 측근으로, 알-안팔 작전 지휘, 쿠웨이트 점령군 사령관, 시아파 봉기 진압 등 과정에서 대량 학살과 폭력을 자행하여 "화학 알리"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고, 사형 선고 후 교수형에 처해졌다. - 이라크의 정치인 - 아드난 카이랄라
아드난 카이랄라는 이라크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국방장관, 부총리 등을 역임하며 이라크 군 현대화에 기여했으나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했다.
쿠사이 후세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쿠사이 사담 후세인 |
원어 이름 | قصي صدام حسين |
로마자 표기 | Qusay Saddam Hussein |
출생 이름 | 쿠사이 사담 후세인 알-나시리 알-티크리티 |
출생일 | 1966년 5월 17일 |
출생지 | 바그다드, 이라크 |
사망일 | 2003년 7월 22일 |
사망지 | 모술, 이라크 |
사망 원인 | 총상 |
안장 장소 | 알-아우자, 이라크 |
국적 | 이라크 |
정당 | 이라크 지역 지부의 아랍 사회주의 부활당 |
배우자 | 사하르 압드 알-라시드 (1988년 결혼–2003년 사망) |
자녀 | 모지 (1987년생) 무스타파 (1989년–2003년) 야히야 아드난 (1991년생) (할아버지 사담의 후계자) 사담 알리 (1995년생) |
부모 | 사담 (1937–2006) 사지다 (1937년생) |
친척 | 우다이 (형) 라가드 (누나) 라나 (누나) 할라 (누나) 마헤르 압드 알-라시드 (장인) |
군사 정보 | |
충성 | 바트당 이라크 |
군 종류 |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
복무 기간 | 1991년–2003년 |
계급 | 공화국 수비대 명예 감독관 |
참전 전투 | 1991년 이라크 봉기 이라크 전쟁 |
직책 | |
직책 | 페다이 사담 사령관 |
임기 시작 | 1997년 1월 3일 |
임기 종료 | 2003년 4월 9일 |
이전 직책 | 우다이 후세인 |
후임 직책 | 직책 폐지 |
대통령 | 사담 후세인 |
대통령 2 | 사담 후세인 |
직책 1 | 이라크 지역 지부의 지역 사령부 의원 |
임기 시작 1 | 2001년 5월 18일 |
임기 종료 1 | 2003년 4월 9일 |
직책 2 | 이라크 특별 보안 기구 국장 |
임기 시작 2 | 1992년 7월 4일 |
임기 종료 2 | 1997년 1월 6일 |
이전 직책 2 | 파나르 지빈 알-하산 |
후임 직책 2 | 왈리드 하미드 타우피크 |
2. 생애
쿠사이 후세인은 그의 아버지 사담 후세인이나 형 우다이 후세인 등 가족 구성원 및 다른 정부 인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인물이었다.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그는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와 주요 내부 보안 조직을 이끌며 상당한 군사적 권한을 행사했다.
1991년 걸프 전쟁 이후 발생한 시아파 봉기를 진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라크 남부 메소포타미아 습지를 파괴하는 작업을 주도했다. 이라크 정부는 농지 확보를 명분으로 내세웠으나, 이는 봉기에 참여했던 습지 아랍인들에 대한 보복 조치로 널리 해석되며 환경 파괴 논란을 낳았다.
이라크 반체제 인사들은 쿠사이가 다수의 정치 운동가 살해를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영국 ''선데이 타임스''는 쿠사이가 이라크를 떠나려던 기술자 칼리스 모센 알 티크리트의 살해를 지시했다고 보도했으며, 1998년에는 교도소 공간 확보를 명목으로 수백에서 수천 명에 달하는 정치범 처형을 명령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2003년 이라크 침공 직전, 사담 후세인은 쿠사이에게 수도 바그다드를 포함한 중요 지역(바그다드-티크리트 영역)의 방어를 맡겼다. 같은 해 3월 17일, 미국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사담 후세인과 두 아들에게 48시간 내 이라크를 떠날 것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냈다.
2. 1. 초기 생애
쿠사이 후세인은 1966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태어났다.[2][3] 당시 아버지인 바트당 혁명가 사담 후세인은 수감 중이었고, 어머니는 사담의 아내이자 사촌인 사지다 탈파였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의 출생 연도를 1965년, 1967년, 또는 1968년으로 기록하기도 한다.[2][3] 학창 시절에는 형 우다이 후세인에 비해 조용하고 계산적인 성격이었으며, 가정적인 사람 또는 법률 수습생으로 알려지기도 했다.[4] 그는 바그다드 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다.1984년, 바그다드 시내 호텔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외교관과 술에 취해 시비가 붙어 폭행한 혐의로 잠시 감옥에 수감되기도 했다. 1985년에는 이란-이라크 전쟁의 영웅으로 알려진 마헤르 압둘 라시드 장군의 딸 로마(사하르) 마헤르 압드 알-라시드와 결혼했다. 이는 아버지 사담 후세인이 마헤르 장군 가문과의 인척 관계를 통해 가문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려 한 정략 결혼의 성격이 있었다. 쿠사이와 아내 사이에는 딸 모즈(1987년생)와 아들 무스타파(1989~2003), 아드난(1991년생), 사담(1997년생) 등 네 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러나 이후 아버지 사담과 장인 마헤르 장군이 전쟁 지휘를 둘러싸고 대립하여 마헤르 장군이 해임되면서 쿠사이도 아내와 이혼하게 되었다.
쿠사이는 1991년 걸프 전쟁 이후 발생한 시아파 봉기를 진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라크 남부 메소포타미아 습지의 대규모 파괴를 기획했는데, 이는 습지를 터전으로 삼아 수세기 동안 살아온 시아파 습지 아랍인들의 삶의 방식을 파괴하고 수많은 철새 서식지를 없애는 결과를 낳았다. 당시 이라크 정부는 경작 가능한 농지를 만들기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지만, 국제 사회에서는 1991년 봉기에 참여했던 습지 아랍인들에 대한 보복 조치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원래 아버지의 후계자로는 형 우다이가 유력했으나, 우다이는 사치스럽고 변덕스러우며 폭력적인 행동으로 악명이 높았다. 반면 쿠사이는 상대적으로 대외 노출을 자제하며 조용한 행보를 보였다. 우다이가 1996년 암살 시도로 중상을 입으면서 쿠사이가 후계 구도에서 점차 부상하게 되었다는 평가도 있다.
2. 2. 권력 장악
1990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고 점령했을 때, 쿠사이는 삼촌 حسين كامل حسن 등과 함께 쿠웨이트 왕족의 궁전과 저택에서 그림, 보석, 고급 차량, 이탈리아산 가구 등을 대량으로 약탈하여 트럭으로 실어 날랐다.1991년 걸프 전쟁 이후 시아파 주민들의 봉기(ara)가 발생하자, 쿠사이는 봉기 진압과 그 후 이어진 주민 학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그는 이라크 남부 메소포타미아 습지의 파괴를 주도했는데, 이는 습지를 고향으로 삼아온 مارش عرب들의 수 세기 동안 이어진 삶의 방식을 파괴하고 수많은 철새의 서식지를 없애는 결과를 낳았다. 이라크 정부는 이 조치가 경작 가능한 농지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많은 외부 관측통들은 1991년 봉기에 참여한 습지 아랍인들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해석했다.
같은 해 5월, 유엔 대량살상무기 폐기 특별위원회(UNSCOM)의 사찰이 시작되자, 쿠사이는 사찰 방해를 목적으로 하는 소위 "은폐 작전 위원회"의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유엔 사찰단으로부터 대량살상무기의 존재를 숨기는 데 주력했다.
1990년대 초부터 쿠사이는 이라크의 주요 치안 및 정보기관, 보안 부대를 자신의 통제하에 두기 시작했다. 그는 이라크 공화국 경비대 감독관, 이라크 특수부대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1988년에는 대통령 경호 조직인 특별경호기관(Jihaz al-Amn al-Khass)의 부책임자, 1992년에는 책임자로 임명되었다. 1995년에는 국가안전보장회의 부의장 자리에 올랐다. 2000년경부터는 이라크 공화국 경비대에서 공식적으로 활동하며 아버지 사담 후세인이 직접 개입하지 않는 한 많은 군사적 결정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다.[5] 그는 공화국 경비대 감독관이자 내부 안보 부대(아마도 특수 안보 기구)의 책임자로서 다른 이라크 군 부대에 대해서도 상당한 권한을 행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1995년부터 1996년에 걸쳐 삼촌인 후세인 카밀과 صدام كامل의 망명 및 살해 사건, 형 وديع가 삼촌 وطبان에게 총격을 가한 사건, 그리고 우다이 자신이 암살 시도로 중상을 입는 사건 등이 연이어 발생했다. 이러한 사건들을 거치며 경쟁자들이 제거되면서, 쿠사이는 사실상 사담 후세인의 후계자로 부상했다. 사치스럽고 변덕스러우며 폭력적인 행동으로 악명 높았던 형 우다이와 달리, 쿠사이는 대외적으로 눈에 띄지 않는 신중한 행보를 보였다. 일부에서는 우다이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사담 후세인이 쿠사이를 후계자로 최종 결정했다고 보기도 한다. 1997년에는 우다이가 창설했던 민병대 조직인 فدائيين صدام의 사령관직을 넘겨받아 형의 영향력을 더욱 약화시켰다.
이라크 반체제 인사들은 쿠사이가 수많은 정치 활동가들의 살해를 지시했다고 주장한다. 영국 ''선데이 타임스''는 쿠사이가 군사 산업화 기구의 기술자였던 칼리스 모센 알-티크리티가 이라크를 떠나려 한다는 이유로 그의 살해를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1998년에는 이라크 반정부 단체들이 쿠사이가 교도소 공간 확보를 명목으로 수백 명에서 수천 명에 달하는 정치범들의 처형을 지시했다고 비난했다.
그의 군사적 능력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당시 이라크 국방장관이었던 술탄 하심 아메드 알-타이는 쿠사이가 "군 지휘에 대해 전혀 몰랐다. 그는 민간인처럼 단순한 군사적인 것만 이해했다. 우리는 그에게 정보와 조언을 준비했고, 그는 그것을 받아들이거나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평가했다.[6]
2003년 이라크 침공이 임박하자 사담 후세인은 쿠사이에게 이라크의 4개 군사 구역 중 하나인 바그다드-티크리트 지역의 방어를 맡겼다. 침공 몇 시간 전인 3월 18일 새벽 4시경, 쿠사이는 사담의 개인적인 지시에 따라 바그다드 중앙은행에서 100달러 지폐 약 9억달러와 유로 약 1억유로에 달하는 거액의 현금을 인출하여 세 대의 트랙터 트레일러에 싣고 사라졌다.[7] 이는 2011년까지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은행 강도 사건으로 기록되었다.[8]
2003년 3월 17일,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사담 후세인과 그의 두 아들 우다이, 쿠사이에게 48시간 이내에 이라크를 떠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
2. 3. 후계자 지목
원래 사담 후세인의 후계자로는 형인 우다이 후세인이 여겨졌으나, 1996년 암살 시도로 심각한 부상을 입으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사치스럽고 변덕스러우며 폭력적인 행동으로 알려진 우다이와 달리, 쿠사이는 대외적으로 눈에 띄지 않는 조용한 행보를 보였다.쿠사이는 1991년 걸프 전쟁 이후 발생한 시아파 봉기를 잔혹하게 진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라크 남부 메소포타미아 습지의 파괴를 기획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습지의 대규모 파괴는 습지를 고향으로 삼았던 시아파 습지 아랍인들의 수세기 동안 이어져 온 삶의 방식을 종식시켰고, 수십 종의 철새의 서식지를 파괴했다. 이라크 정부는 이 조치가 경작 가능한 농지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지만, 많은 외부인들은 1991년 봉기에 참여한 습지 아랍인들에 대한 보복으로 습지 파괴가 이루어졌다고 믿고 있다.
이라크 반체제 인사들은 쿠사이가 많은 정치 활동가들의 살해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영국 ''선데이 타임스''는 쿠사이 후세인이 모센이 이라크를 떠날 계획이라고 믿어 군사 산업화 기구의 기술자인 칼리스 모센 알-티크리티의 살해를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1998년 이라크 반정부 단체들은 과밀한 감옥의 수감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수백 명의 수감자들이 유사하게 처형된 후 쿠사이가 수천 명의 정치범 처형을 명령했다고 비난했다. 또한, 1999년에 발생한 대아야톨라 무하마드 사디크 알사드르 암살 사건도 쿠사이가 암살을 지시했다고 여겨진다. 이 외에도, 정치범의 심문·투옥, 그 가족의 구금을 허가하는 명령을 내려 수천 명이 감옥에 투옥되었다.
2000년경 쿠사이는 이라크 공화국 경비대에서 복무를 시작했다. 사담 후세인이 개입하지 않는 한 그는 많은 군사 결정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었다.[5] 그는 경비대 감독관이자 내부 안보 부대(아마도 이라크 특수 안보 기구)의 책임자가 되어 다른 이라크 군 부대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교활함에도 불구하고 이라크 국방장관 술탄 하심 아마드 알-타이는 쿠사이가 “군 지휘에 대해 아무것도 몰랐다. 그는 민간인처럼 단순한 군사적인 것만 이해했다. 우리는 그에게 정보와 조언을 준비했고, 그는 그것을 받아들이거나 받아들이지 않았다.”라고 주장했다.[6]
2000년, 쿠사이는 비상시 임시 대통령 대행으로 지명되었고, 2001년에는 바아스당의 권력 승진 코스인 당 군사국 부의장에 임명되는 동시에, 당 지역 지도부 멤버로 선출되었다. 쿠사이에게 주어진 최초의 공식 직책이다. 이 해의 제12회 지역 지도부 대회에서 고참 당 간부들이 낙선하여, 사실상 쿠사이 체제를 위한 포석으로 여겨졌다. 2002년에는 암살 미수를 당했다.
2003년 이라크 침공이 임박하자 사담 후세인은 쿠사이에게 이라크 4개 군관구 중 하나인 바그다드-티크리트 지역의 방어를 맡겼다. 2003년 3월 17일,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사담 후세인과 그의 두 아들 우다이, 쿠사이에게 48시간 이내에 이라크를 떠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 침공 시작 몇 시간 전인 3월 18일 새벽, 쿠사이는 사담의 개인적인 명령에 따라 바그다드 중앙은행에서 약 10억달러를 인출했다. 그는 100달러짜리 지폐 약 9억 달러와 유로 약 1억 달러를 압수하여 세 대의 트랙터 트레일러에 싣고 떠났다.[7] 이는 2011년까지 역사상 가장 큰 은행 강도 사건으로 여겨졌다.[8]
2. 4. 이라크 전쟁과 죽음
2003년 이라크 침공이 시작되자, 사담 후세인은 바그다드-티크리트 지역 방어를 포함한 이라크 군사 4개 구역 중 하나의 지휘를 쿠사이에게 맡겼다.[5] 전쟁 초기, 쿠사이가 사담 후세인 및 군 간부들과 회의하는 모습이 국영 TV에 여러 차례 방영되었다. 2003년 3월 17일, 미국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사담 후세인과 그의 아들 우다이, 쿠사이에게 48시간 안에 이라크를 떠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다.침공 몇 시간 전인 3월 18일 새벽, 쿠사이는 사담의 개인적인 지시에 따라 바그다드 중앙은행에서 약 10억달러 (100달러 지폐 약 9억달러, 유로 약 1억유로)을 인출하여 세 대의 트랙터 트레일러에 실어 옮겼다.[7] 이는 당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은행 강도 사건으로 기록되었다.[8]
미국의 시사 주간지 《타임》은 쿠사이가 전쟁 중 군 장교들과의 회의에서 같은 질문을 반복하는 등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고 보도했다. 또한, 바그다드 함락 전날인 4월 8일, 쿠사이가 수도 방어를 맡은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부대에 부적절한 이동 명령을 내려 미군의 침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게 만들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 이집트 신문 「알-우스부아」는 쿠사이가 바그다드 방어 전략을 놓고 이라크군 지휘부와 갈등을 겪었다고 보도했다. 쿠사이는 미군을 바그다드 시내로 유인해 시가전을 벌이려 했으나, 군 지휘부는 미군의 강력한 화력을 고려해 교외에서의 요격과 보급선 차단을 제안했다. 쿠사이는 이를 거부했고, 사담 후세인과 연락이 닿지 않자 군부는 패전을 예상했다고 전해진다.[23]
바그다드가 함락된 4월 9일, 쿠사이는 사담 후세인과 함께 시내에 나타나 군중들에게 둘러싸인 모습이 아랍 매체를 통해 방영되었다. 선데이 타임스에 따르면, 사담 후세인은 두 아들에게 각기 다른 경로로 시리아로 망명할 것을 제안했으나, 쿠사이는 눈물을 흘리며 아버지와 헤어지기를 거부했다고 한다. 이후 쿠사이와 우다이는 시리아 입국을 시도했으나 시리아 당국에 의해 거부당하고 이라크로 돌아와 잠복 생활을 시작했다. 사담 후세인의 측근이자 개인 비서였던 아비드 하미드 마흐무드는 체포 후 심문에서 자신과 사담의 두 아들이 시리아로 피신하려 했으나 돌려보내졌다고 진술했다.[10] 밀수꾼의 증언에 따르면, 그들은 국경을 넘은 지 48시간도 안 되어 다시 이라크로 돌아왔으며, 알레포 외곽에서 시리아 당국에 의해 제지당했다고 한다.
2003년 7월 22일, 모술의 한 은신처에 숨어있던 쿠사이와 그의 형 우다이 후세인, 쿠사이의 14세 아들 무스타파는 미 101 공수사단 3/327 보병대대 및 특수부대와 격렬한 총격전을 벌였다.[14] 이 은신처는 사담 후세인의 사촌이자 친구로 알려진 나와프 알 자이단이 제공한 정보에 의해 발각되었으며, 그는 몇 주 동안 자신의 집에 이들을 숨겨주었다. 미군은 정보에 따라 집을 급습했으나 내부에서 총격이 시작되자 후퇴하여 지원을 요청했다. 제121특임부대원들이 부상을 입은 후, 3/327 보병대대는 집을 포위하고 BGM-71 TOW 대전차 미사일, Mk 19 유탄발사기,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소총 등 중화기를 동원해 공격했다. 약 5시간의 교전 끝에 미군은 집에 진입하여 쿠사이, 우다이, 경호원, 그리고 쿠사이의 아들 무스타파 등 4명의 시신을 발견했다.[15] 미군 준장 프랭크 헬믹은 교전 중 집 안에 있던 모든 인원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미군 보고에 따르면, 우다이, 쿠사이, 경호원은 집 앞쪽 욕실에서 1층과 길 쪽을 방어했고, 무스타파는 뒤쪽 침실에서 저항했다. 미군은 세 차례 진입을 시도했으나 처음 두 번은 격렬한 총격과 수류탄 공격으로 실패했다. 결국 미군은 TOW 미사일 12발을 포함한 중화기로 집을 공격했고, 세 명의 성인은 이 공격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 번째 진입 시도에서 미군은 저항하던 무스타파를 사살했다.[16][17]
아들들의 사망 소식에 사담 후세인은 녹음 테이프를 통해 "사랑하는 이라크 국민 여러분, 여러분의 형제 우다이와 쿠세이, 그리고 쿠세이의 아들 무스타파는 신을 기쁘게 하고, 친구를 행복하게 하고, 적을 분노하게 하는 믿음의 자세를 취했습니다... 그들은 6시간 동안 적과 용감하게 싸운 후 모술에서 지하드의 경기장에 섰습니다... 침략군은 모든 종류의 지상군 무기를 동원했고, 그들이 있던 집에 비행기를 사용했을 때만 그들에게 해를 끼칠 수 있었습니다... 신은 그들의 순교로 우리를 영광스럽게 하셨습니다."라고 전했다.[18]
2003년 7월 23일, 미군 사령부는 치아 기록 대조를 통해 시신 두 구가 쿠사이와 우다이임을 공식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이라크 내에서 사망 소식에 대한 회의론이 일자, 미군은 이례적으로 두 형제의 시신 사진을 언론에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 속에서 두 형제는 발각을 피하기 위해 길게 기른 수염을 하고 있었으며, 미군은 공개 전 장의사를 통해 시신을 일부 복원(수염 제거, 상처 봉합 등)했다.[19] 이 사진 공개는 제네바 협약 위반 논란과 함께, 과거 미군 포로 사진 공개를 비난했던 미국 정부의 이중 잣대라는 비판을 받았다. 미군은 이에 대해 두 형제가 일반 전투원이 아니므로 국제법상 문제가 없으며, 이라크 국민에게 종결점을 제시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해명했다. 미국 정부는 정보 제공자(나와프 알 자이단으로 추정)에게 포상금 3000만달러를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0]
쿠사이는 형 우다이, 아들 무스타파와 함께 아버지의 고향인 티크리트 인근 알-아우자 마을의 공동묘지에 매장되었다. 2007년, 처형된 아버지 사담 후세인과 함께 아우자 마을 모스크 부지 내 묘지에 다시 안장되었다. 쿠사이의 다른 두 아들 야히야와 야쿠브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았다.[21]
3. 논란과 비판
쿠사이 후세인은 아버지 사담 후세인 정권 하에서 주요 권력 기관을 장악하고 정권 유지를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국내외적으로 심각한 인권 침해와 전쟁 범죄 혐의로 많은 비판을 받았다. 그의 행적은 이라크 국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겼으며, 국제 사회의 규탄 대상이 되었다.
특히 1991년 걸프 전쟁 이후 발생한 시아파 주민 봉기(인티파다)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보여준 잔혹성은 그의 주요 비판 지점 중 하나이다. 이 과정에서 쿠사이는 대규모 학살과 메소포타미아 습지 파괴를 주도한 책임자로 지목된다. 또한, 정권에 반대하는 수많은 정치범과 반체제 인사들의 살해 및 처형을 지시하고 직접 관여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러한 반인륜적 행위들은 쿠사이 후세인이 아버지의 독재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3. 1. 시아파 봉기 진압
1991년 걸프 전쟁이 끝난 후 이라크 남부에서 일어난 시아파 주민들의 봉기(인티파다)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쿠사이 후세인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봉기 진압과 그 후에 이어진 주민 학살을 주도한 인물로 지목된다. 특히 남부 습지대에 거주하던 마시 아랍인들을 살해하고, 그들의 삶의 터전인 늪지대를 파괴하는 데 앞장선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라크 정부는 이 늪지대 파괴가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공식적으로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봉기에 참여했던 시아파 주민들에 대한 보복 조치이자 그들의 생활 기반을 없애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 사건은 시아파 아랍인들과 이라크 정부 사이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라크의 반체제 인사들은 쿠사이 후세인이 많은 정치 운동가의 살해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1998년에는 감옥에 새로운 수감자를 수용할 공간을 만들기 위해 수백 명의 수감자와 수천 명의 정치인에 대한 처형을 집행했다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3. 2. 습지 파괴
1991년 걸프 전쟁 이후 발생한 시아파 주민들의 봉기(인티파다)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쿠사이 후세인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주민 학살과 더불어 이라크 남부 메소포타미아 습지의 대규모 파괴를 기획하고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 습지 파괴는 해당 지역을 고향으로 삼아 수세기 동안 독특한 생활 방식을 이어온 시아파 습지 아랍인들의 삶의 터전을 완전히 파괴했으며, 수많은 철새들의 서식지까지 없애버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당시 사담 후세인 정권은 습지 파괴가 경작 가능한 농지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고 공식적으로 주장했다. 그러나 국제 사회와 반체제 인사들은 이러한 주장을 일축하며, 1991년 시아파 봉기에 참여했던 습지 아랍인들에 대한 정권의 잔혹한 보복 조치로 해석하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3. 3. 정치범 처형
쿠사이 후세인은 이라크 내 독재 정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특히 정치적 반대 세력을 무력으로 탄압하는 데 앞장섰다.1991년 걸프전 이후 발생한 시아파의 봉기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이라크 남부 늪 지대를 파괴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늪 지대에 거주하며 생활하던 시아파 아랍인들의 삶의 터전을 파괴하고 관계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라크 정부는 농지 확보를 위한 조치라고 주장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시아파 봉기에 대한 보복으로 간주했다.
이후에도 쿠사이는 반정부 세력에 대한 강경 진압을 이어갔다. 1995년에는 수니파 대부족인 두라이미 부족의 반란을, 1997년에는 시아파 주민들의 반란을 자신이 지휘하는 특수부대와 공화국 방위군을 동원해 진압했다.
이라크의 반체제 인사들은 쿠사이 후세인이 수많은 정치 운동가들의 살해를 지시하고 직접 관여했다고 주장한다. 영국의 선데이 타임즈는 쿠사이가 이라크를 떠나려던 기술자 칼리스 모센의 살해를 명령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또한, 1999년 발생한 대아야톨라 무하마드 사디크 알사드르 암살 사건 역시 쿠사이의 지시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쿠사이는 정치범에 대한 심문과 투옥, 그리고 그 가족들의 구금까지 허가하는 명령을 내렸으며, 이로 인해 수천 명의 사람들이 감옥에 갇혔다. 특히 1998년에는 수감 시설의 공간 부족을 해소한다는 명목, 소위 "청소"를 이유로 약 4천 명에 달하는 정치범을 처형하라는 명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져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다. 이라크의 반체제 단체들은 이러한 대규모 처형을 강력히 규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Bound by Blood and Torn by Rivalry
https://www.latimes.[...]
2003-07-23
[2]
웹사이트
The bloodstained past of Saddam's sons
https://www.telegrap[...]
2003-07-22
[3]
웹사이트
U.S. Officials Believe Hussein's Son Qusay Is Still Alive
https://www.nytimes.[...]
2003-04-07
[4]
웹사이트
Saddam Groomed Sons to be Ruthless, Cruel
https://abcnews.go.c[...]
[5]
서적
War in Iraq: Planning and Execu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7-06-11
[6]
웹사이트
Analyzing the Enemy
https://www.dailypre[...]
2006-03-25
[7]
뉴스
Saddam's son took $1bn from bank on eve of war
https://www.theguard[...]
2003-05-07
[8]
웹사이트
http://www.cbsnews.c[...]
[9]
뉴스
Iraqi Opposition Group Says It Tried to Kill Hussein's Son
https://www.washingt[...]
2002-08-15
[10]
웹사이트
The Syrian Bet
https://www.newyorke[...]
2003-07-21
[11]
서적
Debriefing the President: The Interrogation of Saddam Hussein
https://books.google[...]
Transworld
2016-12-29
[12]
웹사이트
قصة الأيام الأخيرة في حياة عدي وقصي
https://www.alwatanv[...]
2005-03-10
[13]
웹사이트
خدام: الاسد سلم وطبان وطرد عدي وقصي ورفض استقبال عزيز
https://www.albawaba[...]
[14]
뉴스
After the war: Hussein's 2 Sons Dead in Shootout, U.S. Says
https://www.nytimes.[...]
2003-07-23
[15]
뉴스
Hussein's Two Sons Killed in Firefight With U.S. Troops
https://www.washingt[...]
2003-07-23
[16]
웹사이트
The last moments of Saddam's grandson
https://www.theguard[...]
2003-07-24
[17]
웹사이트
Hussein Home Movies
https://www.cbsnews.[...]
CBS News
2004-02-17
[18]
뉴스
Transcript of 'Saddam tape'
http://news.bbc.co.u[...]
2003-07-29
[19]
뉴스
Media films Saddam sons
http://news.bbc.co.u[...]
2003-07-25
[20]
뉴스
Iraq informant set for $30m reward
http://edition.cnn.c[...]
CNN
2003-07-23
[21]
웹사이트
Biography of Qusay Hussein
http://rferl.org/spe[...]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2]
웹사이트
Saddam Hussein's grandson asks Trump for help against Iran
https://www.dailysab[...]
2017-02-27
[23]
뉴스
読売新聞
2003-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